1,048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성령강림절 조회 수 16671 추천 수 0 2010.10.10 22:25:31
설교듣기 : mms://wm-001.cafe24.com/dbia/2010/dawp_1010.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01010.wmv 
성경본문 : 디모데후서 2:8-15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딤후 2:8-15), 10월10일, 성령강림절 후 20째 주일

 

     디모데서는 믿음의 스승인 바울이 제자 디모데에게 쓴 편지입니다. 스승과 제자는 특별한 관계입니다. 혈연관계도 아니고 직장의 동료 관계도 아닙니다. 사람들은 혈연관계가 가장 가깝다고 말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닙니다.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은 가족의 혈연이 아니라 진리라는 점에서 스승과 제자의 관계야말로 우리가 생명을 얻는데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서 스승과 제자는 사제 관계만이 아니라 도반 관계라고 말해야 옳습니다. 바울과 디모데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에서 도반이었습니다. 도반이며 스승인 바울은 자신의 길을 가야할 뿐 아니라 디모데의 길을 염려하기도 했습니다. 그 길이 무엇인지를 바울은 디모데에게 간곡하며 단호한 어조로 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의 병사

     딤후 2:3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병사는 싸우는 사람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병사라면 예수 그리스도를 위해서 싸우는 사람입니다. 싸움이라는 단어가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어울리지 않아 보입니다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출현 자체가 투쟁의 결과입니다. 그리스도교 자체 안에서도 싸움이 많았습니다. 심하게 표현하면 그리스도인들은 싸움꾼이었습니다. 만약 그런 투쟁적인 모습이 없었다면 복음 공동체가 아니라 유대교의 아류로 떨어지고 말았을 겁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싸움이 아니라 평화를 외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옳은 이야기입니다. 교회는 평화 공동체입니다. 문제는 이 세상이 거짓된 평화를 요구할 때 일어납니다. 초기 그리스도교는 ‘로마의 평화’와 투쟁했습니다. 로마의 정치, 경제, 외교 체제를 절대화하는 개념이 ‘로마의 평화’였습니다. 로마 식민 지배 밑에 놓은 사람들은 모두 여기에 동의해야만 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은 거기에 동의하지 않는 방식으로 살았습니다. 그것 자체가 투쟁입니다.

     예수님의 삶도 싸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이것은 제가 일일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분명한 사실입니다. 여러분이 예수님을 시대정신에 고분고분한 종교인이나 랍비 정도로 생각하면 큰 착각입니다. 그는 인간 실존의 허무를 깊이 각성하고 자기 내부의 불성을 발견하라고 가르친 부처와 달랐습니다. 부처는 내면세계를 철학적으로 접근했지만 예수님은 외부세계와 충돌했습니다. 공자의 도덕적 가르침과도 다릅니다. 예수님이 천수를 다 한 부처나 공자와 달리 30대 초반에 십자가에 달려 죽었다는 사실은 이런 차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여기서 좀 이상하게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인류를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사랑이지 세상과의 투쟁은 아니라고 말입니다. 예, 일리가 있는 생각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인류 구원의 유일한 길입니다. 그러나 그것이 일종의 마술이나 주술과 같은 사건은 아닙니다. 악령 영화에서 보듯이 십자가 모형을 들면 악령이 도망치는 것과 같은 사건은 전혀 아닙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싸움의 결과입니다. 예수님이 유대교 지도자들과 싸웠다는 사실은 모든 복음서 기자들이 증언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빌라도에게 재판을 받을 때 좀더 타협적으로 나왔어도 십자가 처형을 당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진리를 향한 싸움은 사람들에게 귀찮게 받아들여집니다. 개혁이 힘든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습니다. 가부장제에 찌든 사회에서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면 지지 받기 힘듭니다. 체벌이 당연시되는 교육계에서 체벌 없는 교육을 주장하면 지지 받기 힘듭니다. 레드콤플렉스가 교리로 굳어진 사회에서 공산주의자와의 대화는 용납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무엇이 옳은지 알아도 일반적으로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넘어갑니다. 매사에 트집 잡기 식으로 살아가는 삶이 바르다는 뜻이 아닙니다. 불평불만에 빠져 있는 삶과 진리에 속한 삶은 차원이 다릅니다. 불평불만은 자기에게 민감한 삶의 태도입니다. 그런 사람은 인정을 받기만 하면 잘못된 일도 얼마든지 받아들입니다. 진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자기에게 예민한 게 아니라 옳은 것을 꾸준히 추구합니다. 그야말로 진리 논쟁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그런 삶은 옳지 않은 질서에서 어려움을 당하기 마련입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삶이 그랬습니다. 바울이 디모데에게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딤후 2:3)고 말한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그리스도 예수의 병사로 산다는 가르침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진리라는 말도 거리가 멀게 느껴집니다. 진리에 속해서, 진리를 위해 투쟁하면서 살아가기가 힘듭니다. 우리 자신의 일상을 지켜내기도 벅찹니다. 당장 먹고 살기도 어렵습니다. 내 코가 석자인 형편입니다. 그렇습니다. 생존이 일단 급선무입니다. 어떻게 해서라도 세상에서 살아야 합니다. 하루 일하지 않으면 굶을 수밖에 없는 형편에서는, 힘든 병을 치료하고 있는 형편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병사가 감당해야 할 진리 투쟁은 요원합니다. 저는 지금 그런 분들에게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의 일상이라는 것이 늘 그렇게 급박한 것도 아닙니다. 일용할 양식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오히려 ‘웰 푸드’를 찾느라 여유가 없습니다. 생존이 문제가 아니라 ‘웰 빙’이 문제입니다. 더 많은 것에, 더 고급스러운 것에 마음이 빼앗겨 병사의 투쟁을 외면한다면, 그것은 복음을 외면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마치 안방에서 주인과 같이 생활하고 있던 애견이 주인과 함께 야생에 나갔을 때 주인을 위해서 싸울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지금 한국교회가 길들여진 애견과 같다고 생각이 들지 않으시나요? KTX의 ‘통도사’라는 역명을 반대하는 일에는, 팔공산 불교 테마 공원 조성을 반대하는 일에는 온갖 에너지글 불태우면서 남북분단 체제를 극복하는 일과 빈부격차 해소와 생태를 지키는 일에는 미온적입니다. 사랑을 억지로 할 수 없는 것처럼 병사의 싸움도 억지로 할 수 없습니다. 마마보이처럼 자기 연민에 휩싸인 사람은 성숙한 사랑을 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잠시 싸우는 시늉은 할 수 있을지 몰라도 병사의 삶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습니다. 그걸 감당할만한 영적 동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 저는 여러분에게 사회투쟁에 앞장 서야한다는 말씀을 드리는 게 아닙니다. 그것만이 그리스도 예수의 병사가 싸워야 할 대상이라는 것도 아닙니다. 거기에 깊숙이 참여할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겠지요. 저는 지금 그리스도인의 영적인 관심과 태도를 말씀드리는 중입니다. 비록 사회투쟁에 직접 나서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하나님의 뜻이 이 땅에 임하는 사건에 영적으로 민감해야 합니다. 그런 부분에는 둔감한 채 자기 외모에만 민감한 사춘기의 소녀들처럼 자기교회를 키우는 것이나 개인적으로 축복받는 일에만 열을 내고 있다면 그리스도의 병사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지금 우리 자신에게 질문해봅시다. 우리에게 그런 영적 동력이 있을까요? 아니라면 다음과 같이 둘 중의 하나입니다. 삶에 지쳐서 아무 것도 생각할 겨를이 없든지, 또는 기독교 신앙을 착각하고 있든지 말입니다.

 

   기억의 해석학

    제가 이렇게 말은 쉽게 하지만, 우리가 영적으로 늘 예민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 병사들도 늘 전쟁에 대해서 예민할 수 없는 것과 비슷합니다. 병사들은 훈련을 철저하게 합니다. 그리스도인들도 역시 영적으로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우리의 무뎌졌던 영혼이 각성되는 훈련입니다. 그리스도인의 훈련은 ‘기억’입니다. 바울은 디모데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딤후 2:8b) 이어서 딤후 2:14절에서 바울은 “너는 그들로 이 일을 기억하게” 하라고 이릅니다. 당시 그 교회에 말다툼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이런 말다툼을 하지 말게 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게 하라는 겁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는 것이 영성의 근본이기도 하고, 목회의 근본이기도 합니다. 거기서 그리스도의 병사로 살아갈 수 있는 영적 동력이 살아납니다.

‘기억’을 시시하게 생각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좀더 화끈한 것, 말하자면 ‘40일 특새’처럼 뭔가 화끈한 것이 필요하다고 말입니다. 아닙니다. 신앙은 기본적으로 기억입니다. 구약성서의 핵심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위해서 어떻게 구원의 역사를 행하셨는지 기억하는 것입니다. 출애굽은 계속 기억되어야만 했습니다. 그들은 유월절 때마다 무교병을 먹었습니다. 아버지는 자녀들에게 출애굽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주었습니다. 시편이 역사에 남은 것도 결국 이스라엘 사람들의 기억 덕분입니다. 그들은 그런 방식으로 하나님의 구원 사건을 기억했고, 그 기억으로 모진 세월을 견뎌냈습니다. 지금 우리의 예배도 기본은 기억입니다. 2천년 동안 똑같은 성경을 읽고, 사도신경을 암송하고, 찬송을 불렀습니다. 거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모두 기독교의 근본을 기억했습니다. 성만찬은 예수 그리스도에게 일어난 구원 사건을 기억하는 종교의식입니다. 성서 신앙은 기억의 해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이런 차원에서 디모데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고 권했습니다.

     여러 동물 중에서 인간의 기억력이 가장 좋습니다. 몸의 크기에 비해서 뇌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뇌출혈 등으로 뇌의 일정한 부분이 손상당하면 기억력도 떨어집니다. 치매에 걸리면 오래된 것에 대한 기억력은 남아도 최근의 것에 대한 기억력은 형편없이 떨어집니다. 건강한 사람도 건망증이라는 것으로 실수할 때가 있습니다. 뇌가 기계적으로 기억을 저장하는 것 같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닙니다. 뇌가 취사선택을 합니다. 똑같이 당한 사건이라고 해도 기억에 남는 것도 있고, 사라지는 것도 있습니다. 여기에는 우리의 의지와 신앙적인 태도가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우리의 영혼이 평소에 무엇에 관심이 있느냐에 따라서 기억의 내용도 달라집니다. 우리가 그리스도 예수의 병사로 살기 위해서 당연히 예수 그리스도를 생각해야 하고, 기억에 담아두어야 합니다.

    디모데를 향한 바울의 이런 가르침은 디모데를 힘들게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거기에서만 생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거기서만 예수 그리스도의 병사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거기서만 선한 싸움의 영적 동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설명하지 않아도 여러분이 잘 알고 있을 겁니다. 다른 것을 비유적으로 생각해보십시오. 지금 우리가 열심히 살아가는 것도 필요하지만 지구가 어떻게 시작됐는지, 인류의 기원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삶의 근원으로 돌아가면 삶의 용기와 지혜가 생깁니다. 개인들이 어머니 자궁에서 생명으로 자랄 때를 기억하면 지금 우리에게 무엇이 본질적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한다는 것은 바로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 사건에 우리의 영적인 관심을 집중한다는 것입니다.

     디모데의 목회 현장을 다시 돌아봅시다. 초기 그리스도교 공동체에 모인 사람들도 우리와 다를 게 없었습니다. 사람이 모이면 문제가 생깁니다. 아무리 훈련이 잘 된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수 없습니다. 앞서 짚은 대로 디모데가 목회하던 교회에서는 말다툼이 심각했던 것 같습니다. 말다툼은 해결되기가 어렵습니다. 나중에는 서로 말꼬리를 물게 되고 감정이 개입됩니다. 그런 정도까지 말다툼이 확장되면 신앙의 본질까지 훼손됩니다. 이게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반적인 현상들입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고 했습니다. 그에게서 일어난 하나님의 구원을 기억하라고 했습니다. 이런 근원적인 것에 영혼을 담지 않으면 교회 문제는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개인의 삶도 역시 그렇습니다. 우리 내부에는 끊임없는 말다툼이 일어납니다. 자기와 또 다른 자기가 다툽니다. 자기 자신에 대해서 속상하고 불만스럽습니다. ‘행복을 파는 전도사’라고 하더라도 역시 그런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는 바울의 권면을 진지하게 생각해보십시오. 디모데가 이 사실을 몰라서 바울이 말한 게 아닙니다. 알고 있어도 실제 삶에서는 시간이 가면서 느슨하게 됩니다. 열심히 사는 사람일수록, 열심히 목회하는 사람일수록 이걸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을 경향이 높습니다. 삶과 신앙의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는 어떤 상태일까요? 예수 그리스도의 병사로서 투쟁적인 삶을, 즉 영적 긴장감으로 가득한 삶을 살지 못한다고 생각되나요? 그렇다면,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부활의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십시오. 그것만이 여러분이 살 길입니다.


profile

[레벨:13]눈사람

October 11, 2010
*.179.74.206

좋은 것은 기억하고, 나쁜 것은 잊어버리면 좋으련만...

누군가가 잘해준 것은 금방 잊어버리고

서운하게 한 것은 잘도 기억하는 것이 저인지라...

 

예수님을 기억하고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기억하고

함께 참여하는 것...

 

저절로 기억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항상 접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잊어버리고 싶어도 잊을 수 없을만큼,

기억하고 싶지 않아도 저절로 떠오를만큼...

 

목사님의 설교를 들으며 생각해볼때처럼

매 시간이 그렇다면 괜찮을텐데...

설교 듣고 생각한 후 또 어느 사이에 잊어버리니..

이것이 문제랍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October 11, 2010
*.120.170.243

눈사람 님,

예수 그리스도 사건을 기억하면 살기가

말처럼 쉬운 게 아니지요?

우리가 수도승이 아니라면 그건 불가능합니다.

실제 삶에서 부딪치는 문제들은 즉각적인데 반해서

신앙의 힘은 반성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최선의 길은

예수 그리스도 사건을 단순히 암기 방식이 아니라

개념의 차원에서 인식하고 경험하는 훈련입니다.

그런 과정이 무르익으면

우리가 예민하게 생각했던 것들이 줄어들고

예수 사건이 확대되겠지요.

좋은 계절이지요?

profile

[레벨:21]beginner

October 12, 2010
*.238.202.176

설교를 들으면서 시편공부 때 자주 말씀하시던 기억 이라는 단어가 생각났습니다.


「신앙은 기억이다.

시편기자가 기억한 하나님의 창조, 출애굽 ,바벨론 포로 귀환,  등등 역사에서 행하신 기이한 일.

삶의 매 순간이 축제이며 예배라는 사실을 기억하라.  등등」


자주 말씀하시던 기억의 필요성과 의미를 설교를 통하여 확실히 알게 된 것 같습니다.

물이 빠져도 콩나물은 키가 커 지듯이

목사님 덕택에 조금은 키가 자란것 같습니다.

늘 감사드리며...

비록 콩나물의 물처럼 빠져나가더라도

주님의 말씀을 자주 묵상하며  하나님이 행하신 구원 사건에 영적인 관심을 집중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October 12, 2010
*.120.170.243

이일녀 집사님,

성경 전체가 이리저리 연결 되지요?

그것이 기계적으로 되는 것은 아니고

충분한 해석을 통해서 됩니다.

집사님은 신앙의 세계로 한걸음씩 더 깊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다른 경험들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아도 좋습니다.

우리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이 행하신 일에

우리의 영혼을 밀착시켜서 살아가도록 힘을 내봅시다.

profile

[레벨:3]떨기나무

October 17, 2010
*.238.32.22

목사님의 설교에 큰 은혜를 받았습니다.

신앙은 기억이요,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는 것이 신앙임을 다시한번 묵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October 18, 2010
*.253.1.101

떨기나무 님,

반갑습니다.

하나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행하신 구원사건에 대한 기억이

우리를 종말에 일어난 생명의 완성으로 이끌어줄 겁니다.

쓸데 없는 것들은 가능한 빨리 잊어버리고

오직 이것이 우리의 기억을 가득채웠으면 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8271
848 부활절 어두운 데서 기이한 빛으로! (벧전 2:2-10) [4] 2020-05-10 4977
847 부활절 성찬 예배 공동체 (행 2:42-47) [2] 2020-05-03 4026
846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347
845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8676
844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8598
843 사순절 주의 손과 주의 얼굴 (시 31:9-16) [6] 2020-04-05 5555
842 사순절 여호와의 손과 영 (겔 37:1-14) [2] 2020-03-29 5250
841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694
840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195
839 사순절 영생과 예수 (요 3:1-17) 2020-03-08 5285
838 사순절 의와 생명 (롬 5:12-19) [2] 2020-03-01 5524
837 주현절 영광스러운 미래의 생명 (마 17:1-9) 2020-02-23 4034
836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060
835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690
834 주현절 가난한 사람과 하늘나라 (마 5:1-12) 2020-02-02 9461
833 주현절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2] 2020-01-26 5144
832 주현절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7] 2020-01-19 4777
831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6924
830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387
829 성탄절 환난에 동참하시는 하나님 (사 63:7-9) [2] 2019-12-29 5468
828 성탄절 영광과 찬송 (눅 2:8-20) 2019-12-25 9523
827 대림절 예수와 임마누엘 (마 1:18-25) [5] 2019-12-22 9005
826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142
825 대림절 알곡과 쭉정이 (마 3:1-12) [6] 2019-12-08 11562
824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429
823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752
82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6860
821 창조절 두려워 말라! (학 1:15-2:9) 2019-11-10 5512
820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738
819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612
818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9901
817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5774
816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048
815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060
814 창조절 양자택일 (눅 16:1-13) 2019-09-22 5265
813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218
812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6843
811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705
810 성령강림절 안식, 해방, 연민 (눅 13:10-17) [6] 2019-08-25 4893
809 성령강림절 "정의" (사 5:1-7) [6] 2019-08-18 5086
808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016
807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694
806 성령강림절 살아계신 하나님 (호 1:2-10) [4] 2019-07-28 4853
805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107
804 성령강림절 아들과 죄 용서 (골 1:3-14) [6] 2019-07-15 9649
803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488
802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2, 6-14) [7] 2019-06-30 5047
801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731
800 성령강림절 지혜의 근원 (잠 8:1-4, 22-31) [4] 2019-06-16 6545
799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326
798 부활절 바울과 실라, 빌립보 감옥에서 (행 16:16-34) [4] 2019-06-02 15829
797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482
796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228
795 부활절 '그리스도'에 대한 질문 (요 10:22-30) [5] 2019-05-13 4471
794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7709
793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6997
792 부활절 창조의 능력, 부활의 능력 (사 65:17-25) [2] 2019-04-21 5803
791 사순절 제자도의 위기 (눅 22:24-34) [4] 2019-04-14 5955
790 사순절 마리아와 가룟 유다 (요 12:1-8) [4] 2019-04-07 5780
789 사순절 하나님과의 화해 (고후 5:16-21) [5] 2019-03-31 6205
788 사순절 백척간두의 실존 (눅 13:1-9) [6] 2019-03-24 5373
787 사순절 흑암과 두려움 가운데서 (창 15:1-12, 17-18) [5] 2019-03-17 5713
786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6896
785 주현절 "빛으로 변화되리라!" (눅 9:28-36) [2] 2019-03-03 5678
784 주현절 하나님, 역사, 삶 [4] 2019-02-24 5277
783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697
782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388
781 주현절 게네사렛 어부들 이야기 [6] 2019-02-03 6638
780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670
779 주현절 은사의 다양성과 성령의 동일성 (고전 12:1-11) [6] 2019-01-21 6389
778 주현절 창조주 여호와! (사 43:1-7) [6] 2019-01-13 5444
777 주현절 별을 따라온 사람들 (마 2:1-12) [11] 2019-01-06 9303
776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6704
775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6445
774 대림절 '노래하라!' (습 3:14-20) [2] 2018-12-16 8438
773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2018-12-10 8600
772 대림절 예수 강림! (살전 3:9-13) [6] 2018-12-02 8091
771 창조절 예수는 왕이시다! (요 18:33-37) 2018-11-25 5189
770 창조절 기도하라, 감사하라! (딤전 2:1-7) [5] 2018-11-18 9808
769 창조절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막 12:38-44) [6] 2018-11-12 16336
768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532
767 창조절 바디매오의 구원 이야기 (막 10:46-52) [4] 2018-10-28 13083
766 창조절 만물의 시원성에 대한 질문 (욥 38:1-7) [20] 2018-10-21 6263
765 창조절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히 4:12-16) [4] 2018-10-15 6212
764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049
763 창조절 만나와 메추라기 이야기 (민 11:4-15) [6] 2018-09-30 12650
762 창조절 사소한 것들과의 생명 관계 (막 9:30-37) [4] 2018-09-24 5780
761 창조절 종의 노래 Ⅲ (사 50:4-9) [2] 2018-09-16 5417
760 창조절 '힐링'의 원천 (막 7:24-37) [2] 2018-09-10 6261
759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111
758 성령강림절 예수는 누군가? (요 6:60-69) [6] 2018-08-26 5524
75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038
756 성령강림절 기독교 윤리와 하나님 사랑 (엡 4:25-5:2) [4] 2018-08-13 6367
755 성령강림절 예수는 생명 충만이다! (요 6:24-35) [2] 2018-08-05 6198
754 성령강림절 예수는 왕인가? (요 6:1-15) [8] 2018-07-29 6150
753 성령강림절 예수의 치유 능력 (막 6:30-34, 53-56) [6] 2018-07-22 5348
752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6865
751 성령강림절 다윗과 임마누엘 (삼하 5:1-5, 9-10) [8] 2018-07-09 6905
750 성령강림절 연보도 은혜다! (고후 8:7-15) [6] 2018-07-01 6425
749 성령강림절 두려움의 대상 (막 4:35-41) [4] 2018-06-24 1165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