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assic Style
- Zine Style
- Gallery Style
- Studio Style
- Blog Style
죄와 죽음의 문제
12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 13 죄가 율법 있기 전에도 세상에 있었으나 율법이 없었을 때에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아니하였느니라 14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까지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모형이라 15 그러나 이 은사는 그 범죄와 같지 아니하니 곧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 더욱 하나님의 은혜와 또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말미암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넘쳤느니라 16 또 이 선물은 범죄한 한 사람으로 말미암은 것과 같지 아니하니 심판은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정죄에 이르렀으나 은사는 많은 범죄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심에 이름이니라 17 한 사람의 범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그 한 사람을 통하여 왕 노릇 하였은즉 더욱 은혜와 의의 선물을 넘치게 받는 자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생명 안에서 왕 노릇 하리로다 18 그런즉 한 범죄로 많은 사람이 정죄에 이른 것 같이 한 의로운 행위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아 생명에 이르렀느니라 19 한 사람이 순종하지 아니함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 된 것 같이 한 사람이 순종하심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되리라 20 율법이 들어온 것은 범죄를 더하게 하려 함이라 그러나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 21 이는 죄가 사망 안에서 왕 노릇 한 것 같이 은혜도 또한 의로 말미암아 왕 노릇 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에 이르게 하려 함이라.(롬 5:12-21)
죄가 죽음을 불러왔다는 바울의 진술은 옳은가요? 도대체 죄가 무엇일까요? 창세기는 아담과 이브의 불순종을 가리켜 죄라고 합니다. 바울도 그것을 배경에 두고 말하는 중입니다. 아담과 이브는 하나님의 명령을 듣지 않고 선악과를 취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선악과를 취하지 않았는데도 아담과 똑같은 운명에 처했습니다. 이것이 억울하게 생각될 수도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선악과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신화입니다. 창세기 기자는 신화의 방식으로 어떤 근원적인 세계를 전합니다. 아담의 불순종으로 죄가 인간의 본질이 되었다고 말입니다. 죄의 본질은 유전의 성격을 띱니다. 모든 인간은 천성적으로 죄의 속성이 사로잡힌다고 보는 겁니다. 태어나면서 곧 죽은 아이들도 죄가 있나, 하고 궁금하게 생각할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건 죄론과는 별로 상관이 없는 질문입니다. 성서는 인간이 왜 죽어야 할 운명에 떨어졌는가 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선악과와 죄를 거론합니다. 죽음의 이유, 죽음의 힘이 바로 죄입니다. 그 죄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죽음을 가져오는 세력이 바로 죄입니다. 판넨베르크는 죄를 가리켜 ‘자기 집중’이라고 했습니다. 자기에게만 집중하면 생명의 본질인 초월로부터 멀어지게 됩니다. 그 결과는 죽음입니다. 문제는 인간은 죽을 때까지 자기에게 집중한다는 사실입니다. 인간 자신은 초월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생명 성취가 불가능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순종으로 이제 생명은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 이뤄지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영생을 약속으로 받은 사람들입니다.
주님, 비록 우리가 이 세상에서 죽음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다고 해도 절망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전혀 예상할 수 없는 차원의 생명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헛된 것에 굴복당하지 않도록 저희를 붙들어 주십시오. 허무한 것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도록 저희에게 지혜와 용기를 주십시오. 아멘.
갓 태어나서 죽은 아이가 죄가 있냐, 없냐의 문제는
우리가 죄를 행위로 보느냐, 존재로 보느냐의 문제가 아닐까 싶은데요.
갓 나아서 죽었으니 죄 지을 틈이 없지 않느냐란 생각이 아닐까 싶은데요.
이렇듯 우리 사고에 죄에 대한 오해가 얼마나 깊이 박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요즘에 와서야 더 알게 된 사실은 주님을 믿는다 하면서도,
제 안에서 여전히 주님께 확증, 실증을 바라고 있었던 것 같아요.
제 안에 평안, 기쁨이 생기는 것도, 물론 주님이 주시는 것은 확실하지만,
이것 또한 자칫 잘 못 생각하면, '나의 만족'에만 머무르겠구나, 싶구요.
이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오히려, 때로는 주님 앞에서 우리 영혼이 탄식으로 고통스러울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애끊는 마음이라고 할까요? 탄식이라고 밖에는 달리 표현할 길이 없는데요.
그래서 믿음은 주님과 나의 합작품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요.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예수님을 우리가 바로 바라 볼 수 있는 눈,
저는 그것이 '믿음'이라고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