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7

기도로 신을 움직일 수 있는가. 두 번째

 

앞 선 글에서 신이 오직 자신의 뜻대로 섭리하고 이끈다면 신과 인간의 관계가 어떻게 인격적이라고

할 수 있느냐, 무엇 때문에 인간에게 기도를 하라고 하는가? 그리고 신의 인격성과 섭리는 기도

관련해서 부딪친다고 언급했다. 자신의 뜻만 행하는데, 인격적이라고? 정말로? 그런 자세 좋다.

그래서 오늘은 신의 인격성과 섭리(강제성)가 논리적으로 양립가능한지를 알아보겠다.

 

신학에서 정의하는 신의 인격성은 차치하고, 우리가 신앙생활하면서 목사들의 설교를 통해 수없이

들었던 얘기 좀 오버스럽지만,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뜻을 행할 때 잔인무도하게 행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충분히 받아들일 때 까지 기다리시며,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때 일을 행하십니다. 그러기

때문에 하나님은 인격적이십니다.” 참 좋은 말이다. 허나 세상 일이 어디 그런가? 신자나 불신자를

막론하고 불행은 마음을 가다듬을 겨를도 없이 태풍처럼 휘몰아친다. 우리에게는 불행처럼 비춰지기도

하는 삶의 모든 사건들과 변화들을 볼 때, 신은 우리의 사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자신의

섭리(강제성)만으로 세상을 이끄는 것 같다. 협의는 아니더라도 한 마디 예고만이라도 해 준다면

그나마, 신은 인격적이라고 말할 수 있겠는데, 그것마저도 찾기 어렵다. 이렇게만 본다면, 신은

전혀 인격적이지 않다. 오히려 폭군과 같은 느낌이다. 저자의 표현대로 어떻게 인격성과 강제성(섭리)

양립할 수 있는가?

 

과연 그런가? 신은 정말로 피조물이야 어떻게 되든 상관없이 자신의 계획만 실현하기 위해 일하는가?

곰곰이 생각해 보라. 그게 그렇지가 않다. 여기에는 착각또는 망각이 작용하고 있다. 신을 신으로

보지 않고, 위대한 왕 정도로 생각하는 착각, 우리가 이야기하는 대상이 창조주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은 망각이다. 그는 눈먼 시계공이 아니다. 뜬금없지만 한 가지 간단한 예를 들겠다.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길을 가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때 앞에서 위험이 다가오고 있어서 비장애인이

시각장애인을 강제로 가로막거나 다른 길로 이끌었다면 어떤가? 또는 철없는 자식에게 회초리를

드는 부모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두 사람의 관계가 인격적이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까? 예를

들었지만 이런 예는 우리의 일상에서 어렵지 않게 경험할 수 있는 일이다. 이런 사례는 강제성과

인격성이 논리적으로 양립 불가능하다는 우리의 막연한 가정을 쉽게 무너뜨린다. 더 나아가 선한 목적과

의도에서 나온 강제는 오히려 그 인격성을 강화해 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하물며 우리가 이야기하는

대상은 사람이 아니라 신이다. 신의 섭리(강제성)와 인격성의 관계가 바로 그렇다는 것이 기독교의

입장이다. 신은 자신만이 아니라 모든 피조물 포괄하는 선한 목적, 의도를 갖고 있다. 어떤가? 쉽게

인정이 되지 않는가? 그것은 나의 글쓰기가 형편없기 때문일 것이다.

 

성서인물들의 예를 더 들어 보겠다. 바울은 신의 섭리가 때로는 우리를 고통스럽게 할 수 있음을 알고

있었다. 자기 몸에 있는 가시를 제거해 달라고 세 번씩 기도했지만 그 간구가 이뤄지지 않자. 그는

순순히 받아들였다.(고후12:7~9) 하지만 그 고통 뒤에는 언제나 선한 목적과 뜻이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않았다.(8:28; 9:11; 9:19) 아브라함, , 하박국을 비롯한 성서의 영웅들 뿐 아니라,

무명의 그리스도인 그리고 현재의 우리까지 비록 무화과나무가 무성치 못하며 포도나무에 열매가

없어도......나의 구원의 하나님을 인하여 기뻐할 수 있지 않은가. 뭐냐, 처음에는 좌향좌로 문제제기

하는 것처럼 보이더니, 너무 우향우 하는 거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 도 있겠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신의 섭리를 따르려는, 가장 극적인 자기희생과 헌신을 보여준(물론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었다.)

예수를 보자. 예수는 겟세마네 동산에서 세 번의 기도를 통해 십자가의 잔을 지나가게 해 달라고 한다.

그러나 언제나 마지막에는 아버지의 원대로 하기를 기도한다. 저자는 이렇게 표현한다. ‘견딜 수 없는

공포와 전율 속에서도 신의 섭리를 믿고 따르려는 거룩한 기도이다.’ 우리도 그렇게 기도해야 한다는

것이 기독교의 가르침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말이다. “기도란 자신에게 합당한 것을 청원하는 것이 아니라 신에게 합당한 것을

청원하는 것이다.”

 

여기서부터는 저자의 말이다.

 

그래야만 기도는 우리가 신을 조종하는 도구가 아니라 신이 우리를 조종하는 도구가 된다. 그래야만

기도가 우리를 자신의 뜻과 의지를 따르려는 자율적 인간이 아니라 신의 뜻과 의지를 따르려는

신율적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래야만 기도가 신을 우리처럼 속되게 만드는 계기가 아닌,

우리를 신처럼 거룩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그래야만 우리가 파멸에 이르지 않고

구원을 얻게 된다.

 

그래도 아직 우리에게는 의문이 다 사라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성서에 명시적으로 기도하면 응답된다는

구절이 난무한다. 그건 어떻게 설명할 것이냐. 그건 다음 글에서 나눠 보도록 하자.


profile

샘터

August 29, 2014

  좋은 감사합니다...

"신에게 합당한 것을 청원하는것..." 

 저는 개인적인 기도생활을 전혀 못하고 있으니 내심 바라기는

 

 우리의 기도와 관계없이 신의뜻이 이루어지는것입니다..^ 

profile

小木

August 30, 2014

신에게 합당한 것을 청원하는 게 기도라고 했을때,  결국 우리의 삶이 신의 뜻과 반하는 세상 부조리와

투쟁하는 모습이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런 눈으로 제 자신을 돌아보니, 표면적 기도행위가

아무리 많았다한들 세상 부조리에 무관심하고 눈감았으니 결론적으로 기도의 삶은 아니었던 것이죠. 그저

기도행위에 스스로 만족했던 것 뿐. 그래서 고민이 더 많아졌습니다. ㅠㅠ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사회적거리 유지 기간 온라인예배 임마누엘 Mar 05, 2020 59515
Notice 말씀예전 - 성경봉독 - 에문. 2023.12.10 file 우디 Jan 09, 2018 65516
Notice 서울샘터교회 휘장성화 총정리 file [7] 우디 Jan 04, 2014 131836
Notice 교인나눔터 게시판이 생겼습니다. [2] mm Feb 13, 2012 233827
Notice 2025년 교회력 [1] 우디 Nov 26, 2011 271534
Notice 서울샘터 교회 창립의 변 [123] 정용섭 Oct 24, 2008 353004
807 진짜 무교병으로 성찬해보셨어요? file [1] 우디 Oct 16, 2014 9453
806 기독교를 말한다. 두 번째 小木 Oct 14, 2014 3574
805 2014년 서울샘터교회 수련회 현수막 주문 도안 file [4] 우디 Oct 13, 2014 6028
804 2014 서울샘터교회수련회안내 Kgb Oct 10, 2014 3756
803 서울샘터교회 수련회 장소 교통편 小木 Oct 10, 2014 4353
802 기독교를 말한다 小木 Oct 08, 2014 3645
801 서울샘터 수련회 안내 [2] Kgb Oct 06, 2014 4982
800 기도로 신을 움직일 수 있는가 마지막 小木 Sep 16, 2014 3534
799 기도로 신을 움직일 수 있는가 세 번째 小木 Sep 05, 2014 3477
» 기도로 신을 움직일 수 있는가 두 번째 [2] 小木 Aug 29, 2014 5047
797 기도로 신을 움직일 수 있는가 [1] 小木 Aug 26, 2014 4858
796 <명량>의 고독한 근대인 이순신 [4] 체호프 Aug 20, 2014 4964
795 시간화와 탈시간화의 마법을 통한 신 이해 小木 Aug 19, 2014 3838
794 예스주석성경 습득했습니다. [2] 체호프 Aug 18, 2014 4826
793 신 존재에 대한 증명 두 번째! 小木 Aug 12, 2014 3391
792 신 존재에 대한 증명 小木 Aug 08, 2014 3959
791 재준이에게 [2] 은빛그림자 Aug 04, 2014 4877
790 결혼식 [5] 小木 May 26, 2014 5065
789 재정부에서 알립니다. (2) [2] 남양주댁 Apr 10, 2014 5087
788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 나오는 "페리클레스의 추도 연설" 중 한 부분입니다. 비가오는날 Mar 27, 2014 4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