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assic Style
- Zine Style
- Gallery Style
- Studio Style
- Blog Style
기독교를 말한다.(신약성서와 구원의 보편성)
복음서
예수의 일대기를 서술하는 복음서가 신약성서에 네 권이나 포함되었다는 것은 보기에 따라서
이상하다. 왜 엇비슷한 예수 이야기가 중복되었을까? 어쩔 수 없이 4권으로 전승되었다고 하더라도
정경화시에 가장 권위 있는 한권만 채택하는 게 좋았을 것인데 말이다. 우리는 그 내막을 완전하게
알지 못한다. 다만 다음과 같이 추정해 볼 수 있다. 아마 초대 교회는 어떤 절대적인 교권이 지배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각각 지역교회의 자유가 보장되었던 것 같다. 자기들의 공동체가 처한 상황에서
나름대로 각기 예수에 대한 전승들을 편집할 수 있을 정도로 열려져 있었다는 말이 된다.
네 복음서 중에서 마태복음과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은 거의 비슷한 관점으로 예수님에 대해 서술한다는
점에서 학자들이 ‘공관(共觀)복음서’라고 일컫고 있는 반면에 요한복음은 예수님에 대한 정보의 차이는
둘째 치고, 그 사건에 접근해 가는 방법이 사뭇 다르기 때문에 공관복음서와 구별해서 제 4복음서라고
부른다. 공관복음서는 예수님에 대해서 비교적 사실적인 보도에 그치고 있지만, 요한복음은 예수님의
사건에 대한 사실적 보도보다도 그 해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단적으로 ‘오병이어’ 사건을 보면
그러한 차이를 명백하게 알 수 있다. 공관복음서들은 예수님의 능력으로 물고기 두 마리와 떡 다섯
덩어리로 남자 어른만 계산해서 5천명 이상이 먹고도 열두 광주리가 남았다는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보도할 뿐이지만, 요한복음은 이 사건을 서술한 다음에 예수님을 하늘로서 내려온 ‘생명의 떡’으로
변증하고 있다.
우리가 복음서를 읽으면서 만나게 되는 예수님과 관련된 이야기들은 몇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첫째는 말씀으로 된 예수님의 가르침이다. 이 가르침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비유다. 또 다른 하나의
방식은 아포리즘, 즉 경구(警句)다. 예수의 이런 가르침은 그 당시의 종교적 관행이나 상식을 뛰어넘고 있다.
둘째는 기적사건들이다. 복음서 기자들의 관심이 예수가 메시야라는 사실을 알리는데 있었다는 점을
전제한다면 복음서에서 예수가 행한 기적 사건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즉 모든 병이 죄의
결과라거나 귀신의 조화라고 생각하던 그 당시 사람들에게 예수의 메시야성을 알리는 데는 그런 방법
밖에 없었다는 말이다. 그런 기적 사건들이 때에 따라서는 실제로 발생할 수 있긴 하지만 기계적으로
반복하는 사건은 아니다. 오늘의 기독교인들이 믿음이라는 명분으로 그런 기적을 무조건 사실이라고
주장하거나 더 나아가서 그런 비슷한 일들을 자신들이 실행하려는 것은 성서적이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신약성서에서 그것은 예수님의 경우에만, 특히 그의 메시야성을 높이는 경우에만 사람들에게
놀라운 사건으로 받아들여질 뿐이다.
셋째는 네 복음서가 예수님의 공생애를 다루면서 거의 일치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수난설화다.
예루살렘입성, 마지막 유월절 만찬, 겟세마네 기도, 체포, 심문, 빌라도 사형언도, 십자가 처형에 이르는
일련의 수난설화는 복음서 기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으로서 양적인 면에서도 절대적이고,
그 세부적인 장면의 묘사에서도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세밀하다.
각각의 복음서의 특징을 간략하게 말하면 이렇다. 마태복음은 75-90년 사이의 유대적 기독교 공동체와
깊은 관련이 있는 복음서이다. 마가복음은 16장 밖에 되지 않지만 복음서 중에서 가장 먼저 기록된
성서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예수의 오심과 고난과 부활을 현재의 언어로 담백하게 전달하고 있다.
누가복음은 사도행전의 저자와 동일인에 의해 쓰여진 복음서로서 역사적, 그리고 반유대적 성격이 강하다.
누가복음에는 여자, 이방인, 어린아이처럼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극진하게 나타난다. 요한복음은
복음서 중에서 가장 늦은 90-100년 사이에 기록되었으며, 헬라인 기독교 공동체의 성격이 매우 강하게
드러나 있다. 요한은 줄곧 헬라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관점으로 예수의 가르침과 행위를 설명하고
변증하면서 기독교가 야만이거나 무신론이 아니라 로마인이나 헬라인들에게도 이해될만한 진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사도의 선교 역사
28장으로 짜여진 사도행전은 원시 기독교의 공동체가 어떻게 출발했는가 하는 점을 설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사마리아와 소아시아, 헬라지역으로 확장되어가는 선교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사도행전은 앞부분에서 몇몇 사도들과 집사들의 이야기가 나오긴 하지만 결국 바울이 그 무대의
주인공이다. 사도행전을 기록한 누가가 바로 바울의 주치의였다는 사실에서도 역시 그런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사도들의 활동이 사도행전에만 기록된 것은 아닐 터이지만 안타깝게도 누가에 의해서 기록된
이것 밖에는 더 이상 권위 있는 사도들의 활동이 알려지지 않았다. 사도행전 13장 이후의 이야기는 바울이
안디옥 교회를 전진기지로 삼아 세 번에 걸쳐 감행한 선교여행의 내용으로 비교적 자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22장부터 마지막 28장까지에는 예루살렘과 가이사랴에서 바울이 심문당하는 이야기, 로마로
호송당하는 과정이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참고)
예수의 열두 사도 중에서 자살한 가룟 유다를 대신해서 나중에 맛디아가 예루살렘 공동체에 의해 사도로
추대되었다. 모든 사도들이 나름대로 순교의 각오로 예수를 전했겠지만 사도행전에는 주로 바울만이
중심이다. 베드로만 하더라도 사도행전에는 앞부분과 15장의 예루살렘 종교회의에서 잠깐 등장할 뿐이다.
전설로 전해지는 것처럼 그가 로마에서 활동하다가 십자가형을 받으면서 자기는 감히 예수님과 똑같이
죽을 수는 없다면서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죽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다메섹 도상의 회심 사건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의 사도들에게 공인을 받지 못한 채 고향인
사도에 은거하던 바울을 역사의 장에 끌어올린 인물은 바나바다. 그는 안디옥 교회에서 바울과 공역하며
1차 선교여행을 무사히 마치지만 2찬 선교여행 시에 사소한 일로 바울과 마찰을 빚어 갈라선다. 그 이후로
바나바의 활동이 어디까지 미쳤는지 사도행전의 저자인 누가는 침묵하고 있다. 도마는 인도에 가서 늙어서까지
활동했다는 설도 전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