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을 위한 책갈피입니다. 나누고 싶은 책 내용이나 소개하고 싶은 글들은 이곳에 올려주세요~

JULY 20 누가 나의 이웃인가?

조회 수 2571 추천 수 0 2010.07.20 12:04:45

JULY 20


Who is My Neighbour?


"Love your neighbour as yourself" the Gospel says (Matthew 22:38).


But who is my neighbour?

 

We often respond to that question by saying, "My neighbours are all the people I am living with on this earth, especially the sick, the hungry, the dying, and all who are in need."


But this is not what Jesus says.


When Jesus tells the story of the good Samaritan (see Luke 10:29-37) to answer the question "Who is my neighbour?" he ends by asking, "Which... do you think, proved himself a neighbour to the man who fell into the bandit's hand?"

 

The neighbour, Jesus makes clear, is not the poor man lying on the side of the road, stripped, beaten, and half dead, but the Samaritan who crossed the road, " bandaged his wounds, pouring oil and wine on them,... lifted him onto his own mount and took him to an inn and looked after him."


"My neighbour is the one who crosses the road for me!

 

누가 나의 이웃인가?

 

복음은 “네 이웃을 네 자신을 사랑하듯 사랑하라” 라고 말합니다. (마태 22:38)

 

그런데 누가 나의 이웃입니까?

 

우리는 흔히 그 질문에 대한 반응으로 “우리의 이웃은 이 땅에서 나와 함께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 특별히 아프고, 배고프며, 죽어가는 사람들과 곤경에 처해 있는 모든 사람들입니다” 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예수께서 말씀하신 것과는 다릅니다.

 

예수께서 “누가 나의 이웃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착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하실 때(누가 10:29 -37 참고) 그는 “너는 그들 중 누가 몸소 자신이 강도 만난 그 사람의 이웃임을 드러내 보였다고 생각하느냐?” 라는 질문으로 말씀을 마무리 하십니다.

 

이웃은 길거리에 옷이 벗겨지고 두들겨 맞아서 거의 반죽은 상태로 누워 있는 가난한 사람이 아니라 길을 건너와서 상처를 싸매어주고, 상처 위에 기름과 포도주를 붓고... 그를 들어 그 자신의 안장위에 올리고는 그를 여관으로 데려가서 돌보아 주었던 사마리아 사람이라는 사실을 예수께서는 명확히 하십니다.

 

“내 이웃은 나를 위해서 길을 건너오는 그 사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NOVEMBER 28 우리들의 죽을 몸, 바로 부활의 씨 [1]

OCTOBER 4 예수, 우리의 먹을 것과 마실 것

JANUARY 31 다른 사람들과 같다는 기쁨

FEBRUARY 13 살아있음을 축하하기

“쌍용차 문제해결 위해 초교파적 행동 나서겠다”3대 종단 기자회견, 쌍용차 국정조사 · 해고자 복직 촉구

MARCH 2 하나님의 언약

AUGUST 28 감사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기 [42]

SEPTEMBER 16 사람의 아들이 오심 [12]

DECEMBER 30 옛 상처에서 벗어나기

NOVEMBER 22 나이가 들어간다는 사실이 우리에게 던지는 과제

JULY 20 누가 나의 이웃인가? [1]

JANUARY 26 용서, 자유함으로 가는 길 [1]

미군의 노근리 학살을 고발한 영화 작은 연못 부천에 상륙합니다.

OCTOBER 11 그리스도 안에서 서로를 아는 것

SEPTEMBER 19 십자가 아래에 서기 [37]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