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을 제안한 지도 어언 10여일이 지났고  이노무 토론 너무 느긋한거 아니야?” 하는 원성도 들리는 해서 이상 늦출 수가 없군요. 이제 책을 손에 쥐신 분들께서도 쉽게 따라올 있도록 서서히 느긋하게 진행하겠습니다.

<첫번째 주제: 편파적인 텍스트>

휘틀럼의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장은 편파적인 텍스트와 파열된 역사라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으로 시작합니다. 여기서 편파적인 텍스트 다름아닌 성경(구약) 말하는 것이지요. 휘틀럼을 비판하는 사람들의 비평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 바로 편파성을 주장하는 휘틀럼 자신도 역사해석의 정치적 판단이라는 편파성에 함몰되어 있다라는 것입니다. 책을 실제 읽지 않는 사람들에겐 훌륭한 떡밥인 셈이지요. 그런데 휘틀럼은 이미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장에서 자신의 글도 편파적인 텍스트라는 것을 인정하고 들어갑니다.

breeze 역사학과 고고학에서 다루는 모든 텍스트와 유물은 편파적이라는데 (아니, 편파적일 밖에 없다는데) 일단 동의합니다.

그런데 우리 기독교인의 경전인 성경(구약) 역사학이나 고고학 분야에서 편파적인 텍스트로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유대-기독교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텍스트가 학문 분야에서 다른 텍스트들이나 유물과 똑같이 취급되는 것에 편안하신지를 묻는 것입니다. 만약, 그런 식으로 취급되어선 된다고 생각하신다면 이유는 무엇입니까?

토론에 참여하면서 주의해야 사항들을 바로 아래 꼭지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덧붙여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자신의 의견 만을 담담히 적어주시라는 겁니다. 설사 특정 의견에 대한 반대의견이라 할지라도 말입니다. , 다른 이 의견에 댓글 달지 마시라는 겁니다. 그러한 문제는  breeze 조정해서 기회를 드릴 것입니다.

토론의 주제나 진행방식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저에게 쪽지주세요. 빼놓지 않고 심각하게 고려하겠습니다. 물론 하고 싶은 말이 있음에도 진행자인 breeze 연약한 마음에 상처를 주면 어쩌나 또는 괜히 진행자의 심기를 건드려 토론하는 과정에서 손해라도 보면 어쩌나 하는 분들도 있겠지요. , 맞습니다. 푸하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