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의 죽음을 들뢰즈적으로 사유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하여 고민해 보았습니다.
들뢰즈의 철학이 탈주하여 새로운 고원을 발견하는 곳으로 열려있기에 통속적 정의로부터 벗어나 있는 예수의 죽음과 접속선을 그려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들뢰즈의 개념들은 선뜻 우리들에게 곁을 내주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들의 사고가 철학적 주류를 이루던 많은 사조들에 의하여 알게 모르게 침식당하거나 지배되어 있기 때문이 아닌 가 봅니다.
들뢰즈의 철학은 철학자들 사이에도 까다롭기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어쩌면 기존 철학적 사조와 개념에 익숙해 있기에 더욱 그럴 수도 있을 것입니다.
들뢰즈 자신은 자신의 철학에 대하여 음악을 듣듯이 하라고 합니다.
물론 자꾸 듣다보면 익숙해지는 것도 있겠지만 리듬을 타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
나이 든 이들에게 힙팝이, 트롯에 감응하는 평범한(?) 사람들에게 헤비메탈이 익숙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구태여 <메탈 머신 뮤직>같은 실험적 음악을 예로 들 필요도 없겠지요.
하지만 그런 음악도 자주 듣다 보면 그 리듬에 어깨를 들썩이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이를 통하여 자유로운 사유의 문을 열어보기를 바랍니다.

성서에서 기독교의 본질을 가장 명확히 드러내는 사건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죽음이란 인간의 생체적 의미에서 마지막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즉, 영적 세계를 표상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주체에게는 모든 것의 끝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어릴 적의 유치한 생각이기는 합니다만 예수께서 죽음을 물리치고 왜 메시아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았는가 하는 의문을 가졌던 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같은 생각의 지점을 지나왔다고 보아집니다.
이는 '당신이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그곳에서 내려오라'던 유대 대중의 기대와 비아냥거림과도 같은 지점에서 만날 수 있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은 소년기의 유치한 생각만이 아니라 믿음의 모든 공시적 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물어오는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성서는 이 의문을 초월적 사건인 부활을 통하여 극복시켜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활 사건 이전에 왜 예수는 십자가에서 죄인의 몸으로 죽음을 당하셨든가 그러한 상황을 죽음의 육체적 고통과 대중들의 배신에 대한 심적 외로움을 감내하면서 까지 견디어 냈던가 하는  지점에 의미를 고민해 봅니다.
그것은 성서의 모든 것이 초월적 사건과 경험을 통하여서 마무리되어지고 이것을 신앙이라는 형태로 극복하게 된다면 과연 물질적 시공간 속의 역사적 사건은 현실에서 무의미한 것인가 하는 의문의 의미를 사유하는 것입니다.
이 사건을 예수의 죽음의 시공간에서 당연한 규범과 정의와 도덕을 통하여 재구성해보자면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간 예수는 하나님의 힘을 통하여 유대정치권력과 종교세력, 로마의 지배를 타파하고 메시아로서 능력을 나타내어 유대인의 왕이자 하나님의 아들로서 권력을 장악하고 유대도 그런 예수님의 힘을 보고 복종하여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게 되었다는 스토리로 가던지 아니면 능력으로 십자가에서 내려와 자신을 죽이려 했던 세력을 벌하여 유대인들로 하여금 죄에 대한 용서를 빌게하고 하늘나라로 올라가시는 구성이 우리들이 가질 수 있는 정의이자 규범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능력과 세계는 우리들이 이해하는 척 하거나 또는 그 의미를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궁극적으로는 도달 할 수 없는 초월적영역입니다.
마치 ‘해님과 달님이 된 오누이’의 이야기에 대한 이해와 근본적으로 다를 바 없는 이해입니다.


부활을 사고하는 방식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부활이전에 예수의 죽음이 곧 구원이자 해방이라는 의미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그의 죽음은 우리들이 규정하는 사건의 운동에 종속되지 않는 시공간에 있습니다.
그것은 전체 시공간에 타당한 행동이며 예수의 죽음은 이 시공간과 같아지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구원이자 해방입니다.
다시말해보자면 예수의 죽음은 냉혹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파시즘의 승리를 가져왔던 히틀러를 열광적으로 지지하던 대중들의 모습이며 한국 사회에서도 유신의 지배와 군사독재를 가능하게 했던 대중들의 양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건입니다.
여기에서는 호랑이에게 잡혀 먹힌 오누이만 있을 뿐이며 하늘에서 내려오는 동아줄은 없는, 할머니에게 떡을 가져다주는 길에 늑대를 만난 아이가 살아남지 못하는 세계이며 늑대의 배를 갈라 할머니와 아이를 꺼내는 사냥꾼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입니다. 들뢰즈는 이를 '차가운 진실'의 세계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철학자 라이히가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던졌던 세계이기도 합니다.
대중의 욕망을 포섭한 로마권력과 종교세력에게, 억압에 길든 욕망을 가지고 있는 대중에게 예수는 죽음을 통하여 그 해결의 길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유대의 대중은 욕망-메시아-구원의 배치를 보이고 있지만 욕망-죽음-구원이라는 배치를 보여주고 있는 예수의 삶은 심판과 처벌의 윤리를 넘어서는 사랑의 윤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윤리는 유대의 대중을 그들이 갇혀 있는 또 다른 권력의 욕망으로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욕망으로 안내하는 해방의 이야기인 것입니다.
사랑이라는 것은 누구를 측은하게 여겨 동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누군가를 측은하게 여기는 이해가 아닙니다. 그것은 완전한 타자를 인정하는 것이고 이는 '나'의 언어가 아닌 '너'의 언어로 이야기 할 때만 가능한 것입니다.
누군가의 처지를 나의 언어로 기술하고 난 다음 "난 널 이해해"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상 이해도 아니고 여기에서 나오는 마음과 행동은 사실상 사랑이 아닙니다. 완전한 소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예수는 이 문제를 죽음이라는 소통의 방식을 통하여 구원의 문을 엽니다.
'냉혹한 현실'이 예수라는 인물에게 안겨주는 것은 사실상 죽음뿐입니다.
그것은 마치 80년 5월의 죽음과 같은 방향으로 열려있는 문입니다.
그러나 이렇듯 전시간적으로 내재해 있는 죽음의 내재적 의미는 부활과 민주화라는 시작점으로 생성됩니다.
여기서 시작점이란 의미는 원인과 결과에서 결과로 부활과 민주화를 의미 짓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의 시작점으로 즉, 종교권력과 정치권력이라는 계열화된 동일자가 아니라 새로운 고원을 발견하는 타자의 의미로 생성되는 것입니다.
또한 그것은 정치적 메시아로서 동일화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을 부정하는 과정이며 수많은 접속을 형성시키는 부활을 향해 그것을 내재적 흐름으로 만드는 사건입니다.

 

차가운 진실’의 죽음을 외면하는 부활은 권력화 되는 과정일 뿐입니다.

그것은 애매모호한 초월을 통해 동일자를 생성시키는 것입니다.

부활이 힘없이(?)죽어간 예수의 삶과 그를 추종하는 기독교인에 대한 보상으로 의미화하고 초월적 힘이 현실의 권력으로 변형되는 순간 탈출과 여행의 신앙은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예수의 죽음 그것은 권력화하고자 하는 모든 것으로부터 탈주하는 것입니다.

부활 또한 이 죽음과 같은 탈주의 선상에 서있을 때 내재적 의미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1. [2010/10/05] 탈주의 신학-신학의 탈주 by 떡진머리 (148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