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아델포스님과의 '예수의 죽음-들뢰즈적 사유'라는 글에서 나눈 이야기를 확장해보고자 하는 글입니다.
'탈주의 신학'이라는 화두를 던졌습니다만 어쩌면 '신학의 탈주'라는 말이 더 어울릴지 모르겠습니다.
'탈주의 신학'을 이야기 한 것은 기존의 신학에 대립선을 그어 생성되고 재코드화되는 동일자적 신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의미에서 '사실 말씀하신 정도의 진보 신학은 이미 많이 나와는 있죠...
어찌 보면 본회퍼의 ‘기독교의 비종교화’ 정도로도 파악되죠. 그만큼 많죠.'라고 말씀 하신 부분은 의도에 대한 정확한 지적은 아닌 듯합니다.
신학과 들뢰즈의 만남은 이 양자가 만들어내는 상호적인 어떤 것이 아니라 비-평형적 진화로 둘 사이에 있으면서 둘 바깥에 존재하고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하기에 권력화 된 기독교를 파괴시키는 것 이상으로 'n-1'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입니다.
'n-1'또는 중심의 제거, 바로 비중심화 된 체계로 신학의 중심으로 귀속되는 상위의 체계를 통하지 않고 직접 이웃과 만나고 접속하는 체계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탈주의 신학'을 이야기 한 것은 본회퍼의 '비종교화'의 위로도 탈주의 선이 그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만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자신들의 저서에서 언급한 '편집증적 파라오'와 '정염적 히브리'로부터 이야기되는 성서에 '지리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탈주의 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모세의 이야기, 사무엘과 사울왕 그리고 유대민족의 이야기, 카인과 아벨, 요나 등 그들이 저서에서 이야기하는 성서에 내재적으로 흐르는 탈주와 영토화 이야기의 훔쳐내기입니다.
그리고 앞에서 '신학의 탈주'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신학의 근거인 '존재의 제1원리'로부터 탈주하는 것입니다.
이 원리는 신과 구분됩니다.
'존재의 제1원리'로부터 굳이 탈주하고자 하는 것은 철학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신으로 부터의 탈주를 의미합니다.
극명하게 이야기하자면 그것은 이율배반에 빠진 원리로 부터의 탈주이고 이렇게 만든 의도와 영토화, 코드화로 부터의 도망치기입니다.
이율배반의 원리란 초월자인 신을 관념한다면 그것은 스스로가 초월자의 관념을 형성하는 것이고 스스로가 초월적이지 않음을 고백한다면 초월자를 온전히 관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스피노자의 표현을 빌리면 "개개의 사유들, 즉 이 사유 저 사유는 신의 본성을 일정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양태들이다."(에티카)는 의미로 우리의 사유는 신의 본성을 부분적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이 또한 인간적 사유의 부분을 명확히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인간이 이해하는 만큼만 신을 안다면 그것은 인간의 생각일지 초월자의 의지인지 역시도 모호해 지기 때문입니다.
즉, 피조물들에 상대적인, 단순히 부대적인 신적 질들과 명확히 경계를 획정하기가 가능한가 하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이것은 존재하는 신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에서 발견되는 순간에 생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의 원리'는 만물들 속에 있지만 그 만물은 우리의 사고에만 존재하는 것들입니다.
신은 그 사이를 흘러가는 흐름에서만 생성되는 것입니다.
물론 그것은 원리로 존재하거나 생성됨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종교화된 영토에는 의도를 가진 우상만 있을 뿐입니다.
그것은 인간들의 코드화에 맞추어진 초월하여 있지 않은 초월자일 뿐입니다.
종교화와 비종교화의 사이를 걸어가십시오.
기독교와 안티기독교의 중간에서 생성되는 것들을 발견하십시오.
그리고 다시 이 생성된 것들의 사이로 도망치십시오.
생성이란 없던 것이 만들어진다는 의미보다는 의미나 존재를 알 수 없던 것이기에 사용될 수 있는 의미입니다.
드러나다.
나타나다.
발견하다. 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생성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이러한 생성이 초월자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를 묻는 다면 말을 더듬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생성이 '존재의 제1원리'로 부터는 탈주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굳이 신학적 영역이라고 의미 지워 말한다면 여러 신학 중 한 부류가 아닌 그 내부를 면면히 흐르는 내재적 흐름 되기 - 거대 통일이론이 아닌 - 를 말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사무엘의 만류와 왕의 옹립과 국가의 건설, 신의 물음-"나, 주가 말한다. 내가 살집을 네가 지으려고 하느냐?"-과 다윗의 성전건축, 이는 언약궤를 안정적인 장치로 체계화하는 것으로 국가적 규율이 됨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성전의 파괴로 이어지는 얼굴돌리기의 이야기는 탈주와 배신의 선을 그리는 성서의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이는 창세기의 이야기부터 시작되는 것들입니다.
어쩌면 유대민족의 정통을 이어가는 '셋'보다는 우리들의 조상일 수 있는 도시를 건설한'카인'이 '진정한 주체'일지 모르겠습니다.
다르싯으로 도망가려는 요나역시도 배신자이자 '진정한 주체'이며 예수 또한 마찬가지로 유태인의 신과 유태인을 배신하고 신으로부터 배신당합니다. - 주여, 왜 저를 버리시나이까?-물론 이 또한 유다의 배신의 결과입니다.
이렇듯 성서는 배반과 응답이 만들어내는 생성을 보여줍니다.
'탈주의 신학'은 배반의 선으로 부터 생성 합니다.
성서를 '모든 것이 담겨있으며 그것을 따르고 암송하며 복종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어떠한 새로운 해석도 배신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 배신만이 새로운 생성을 만들어냅니다.
"그것은 배신(trahison)의 체계, 보편적 배반의 체계로서, 거기서는 신이 인간을 배신하는 한, 새로운 긍정성을 정의하는 신의 분노 안에서 진정한 인간 역시 끊임없이 신을 배신한다."(천의 고원)

  1. [2010/08/31] 예수의 죽음 - 들뢰즈적 사유 by 떡진머리 (1771,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