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의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부담없이 서로의 생각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음 합니다.
거미란 놈은 어떤 고정된 지점에서 자신을 투하할 때는 언제나 자기 앞에 오로지 하나의 빈 공간만을 볼 뿐, 아무리 허우적 거려도 발판을 찾지 못한다. 나 역시 그렇다. 내 앞에는 하나의 빈 공간이 있을 뿐이다. 나를 앞으로 밀어내는 것은 뒤에 있는 일관성이다
< 키르케고르 / 이것이냐 저것이냐1 p.40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정용섭 목사님의 물 시리즈를 패러디해서 키르케고르의 글을 적어 봤습니다.
2022.04.06 20:53:38 *.182.156.131
거미 사진 한장 함께 올리시지 그랬어요.
그놈은 정말 신묘막측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존재 자체가 특별한 친구입니다.
케에르케고르 글은 구구절절이 '시' 같군요.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를 넘어서
2023년 서울샘터교회 예배 안내 [10]
물러난다는 것
토기장이의 집 곶감을 소개합니다. [1]
다비아 카운터 [3]
한국교회 원로의 일침
목사의 기원과 역사(2)
목사의 기원과 역사(1)
바른 설교를 함께 고민하는 공간이 있네요. [1]
이맘때가 되면 이렇게 [4]
로고
다비아 홈페이지가 정상복구 되었습니다 [8]
자작시 - '이별'과 '평등'
토기장이의 집 발효생강차를 소개합니다. [1]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회란
거미 사진 한장 함께 올리시지 그랬어요.
그놈은 정말 신묘막측하다고 말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존재 자체가 특별한 친구입니다.
케에르케고르 글은 구구절절이 '시'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