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맘때쯤 산에 가면 가위로 끊어 낸 듯한
도토리 가지들이 숱하게 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답니다.
사람이 꺾고 간 것이냐구요? 아니에요.
그럼 바람에 꺾인 것? 그것도 아니랍니다.
바로 도토리 거위벌레가 떨어트린 도토리 가지래요.
도토리거위벌레는 도토리 알을 주둥이로 쪼아 구멍을 내고 거기에 알을 깐답니다.
일주일쯤 뒤에 도토리 속에서 유충으로 부화하면
어미 벌레는 그 도토리가 달린 가지를 갉아서 잘라내, 땅에 떨어트린대요.
새끼들인 유충이 공중에서 낙하할까 봐 미리 안전하게 떨어트리는 것이지요.
이 때 나뭇가지 양쪽에 달린 나뭇잎이 날개 역활을 해서
도토리가 충격이 없이 사뿐히 땅에 떨어지게 한다는 군요.
땅에 떨어진 도토리 속의 유충은 도토리의 양분을 섭취한 뒤
땅 속으로 들어가 9개월을 칩거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겨울을 나고 다음 해 봄, 성충이
되어 나무에 오르지요.
이것이 도토리벌레의 한살이랍니다.
참 신기하지요?
어미벌레가 유충을 보호하기 위해 떨어트리는 것이나
성충이 되기 위해 껌껌한 땅속에서 9개월간이나 칩거를 하는 것이
신기하고 신비롭습니다.
우리 사람으로 치면 9년도 넘는 세월일
테지요.
진정한 자기가 되기 위해 9년은 커녕,
몇 시간의 고독도 참아내기 힘든 인간들 모습은
어쩜 벌레만도 못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미물도 이토록 창조질서에 순응을 하는데
유독, 인간이란 품목만이 거기에
반하는 한심한 종자 같아요.
멀쩡히 흐르는 강을 막고,
공해를 일으키고, 분수에 넘게 먹어
치우고 말입니다.
![profile](http://dabia.net/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595/002/2595.jpg)
![profile](http://dabia.net/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561/561.png)
자연의 섭리 앞에 서면
할 말을 잊을 수밖에 없네요.
그 도토리 벌레의 관점으로 인간을 볼 때는
또 이상한 게 많겠지요.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각양각색의 생명을
하나로 이어주는 그 무엇이 있을까요?
일단 우리는 우리에게 주어진 그 방식으로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아봅시다.
오전부터 햇살이 강하군요.
![profile](http://dabia.net/xe/files/member_extra_info/profile_image/595/002/2595.jpg)
그림일기 137화를 다시 그렸습니다.
어제 수원화성에 갔다가
도토리 나무가지가 무수히 떨어진 것을 보았는데
정말 신기했어요. 떨어진 가지는 마치 톱으로 잘라놓은 것처럼
반듯하게 잘려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에 올린 그림이 조금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았어요.
도토리 거위벌레 모습도 그랬지만,
요즘 도토리알은 그렇게 실하지 않고 여물지 않은 상태더라구요.
자세히 보니 도토리에 바늘 구멍같은 미세한 구멍도 있더군요.
그 속에다 알을 까 넣은 거겠지요.
잘못 된 그림이 마음에 걸려서
찜통 더위 속에서 다시 그렸습니다.^^
와! 새로운 거 배웠네요. 아항, 그 넘들 참 영리하군요. 저도 어제 사자다큐를 한참 보다보니까요,
진짜로 내가 사자보다 못한 종자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라요,
특히 그 녀석들 모성애는 끝내주더군요.
혹시..조안 말루프의 <나무를 안아 보았나요?> 읽어 보셨나요? (그 책 삽화 보면서, 웃겨님 생각 많이 났었는데...^^)
거기 보면 고목도 다 쓰임새가 있더라구요. 함부로 베면 안되겠더라니깐요.
글쎄말여요.. 왜 멀쩡한 강을 뒤집어 엎는지.. 저도 생각만 해도 화가 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