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구원(51)

조회 수 542 추천 수 0 2025.03.10 21:14:08

거룩한 교회

사도신경은 성부, 성자, 성령, 이렇게 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한다. 우리말 사도신경에도 세 번 나는 믿습니다.’가 나온다. 그게 사도신경의 기본 골격이다. 1)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믿습니다. 2) 나는 그의 유일하신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3) 나는 성령을 믿습니다. 세 번째 성령 항목에 교회도 나온다. “나는 성령을 믿으며, 거룩한 공교회와 성도의 교제와 죄를 용서받는 것과 몸의 부활과 영생을 믿습니다.” 사실은 성령만 믿음의 대상이다. 교회는 성령에 대한 믿음에 근거해서 믿을 뿐이다. 사도신경은 교회의 속성을 거룩성과 보편성으로 본다. 참고로 세계교회에서 사도신조와 더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는 우리는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사도적인 교회를 믿습니다.”라고 한다. 단일성, 거룩성, 보편성, 사도성, 이렇게 네 가지 속성이다. 나는 여기서 사도신경의 두 가지 속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필요한 대목에서 니케아신조의 여타 항목을 보충하겠다.

우선 우리말 사도신경과 영어와 라틴어와 독일어를 비교해서 읽어보자.

(우리말) 나는 성령을 믿으며, 거룩한 공교회와 성도의 교제와

(영어)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Holy Universal Church, The Communion of Saints.

(라틴어) Credo in Spiritum Sanctum,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sanctorum communionem.

(독일어) Ich glaube an den Heiligen Geist, die heilige katholische (evangelisch-christliche) Kirche, Gemeinschaft der Heiligen.

본래 사도신경은 로마교회의 전통에서 온 것이다. 세례를 받을 사람은 회중 앞에서 나는 믿습니다.’(Credo in)를 세 번 진술해야 한다. 라틴어 사도신경이 오리지널인 셈이다.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는 동방정교회 지역에서 열린 공의회의 결과물이라서 당연히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훗날 로마교회가 그 신조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Filio que(아들로부터)를 보충했다. 성령이 아버지만이 아니라 아들 그리스도에게서 왔다는 뜻이다. 이 문제에 관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의 갈등은 아직 해결이 안 되었다. WCC(세계교회 협의회)가 정교회와 함께 모일 때는 필리오 께가 빠진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를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6665 교회 구원(76) new 2025-04-28 49
6664 교회 구원(75) 2025-04-24 130
6663 교회 구원(74) 2025-04-23 123
6662 교회 구원(73) 2025-04-22 138
6661 교회 구원(72) 2025-04-21 130
6660 교회 구원(71) 2025-04-11 360
6659 교회 구원(70) 2025-04-10 216
6658 교회 구원(69) 2025-04-03 359
6657 교회 구원(68) 2025-04-02 309
6656 교회 구원(67) 2025-04-01 317
6655 교회 구원(66) [1] 2025-03-31 402
6654 교회 구원(65) 2025-03-28 463
6653 교회 구원(64) 2025-03-27 371
6652 교회 구원(63) 2025-03-26 483
6651 교회 구원(62) 2025-03-25 449
6650 교회 구원(61) 2025-03-24 480
6649 교회 구원(60) 2025-03-21 555
6648 교회 구원(59) 2025-03-20 496
6647 교회 구원(58) 2025-03-19 550
6646 교회 구원(57) 2025-03-18 501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