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구원(50)

조회 수 658 추천 수 0 2025.03.07 20:37:50

나는 한국교회의 이런 상황 앞에서 크게 불안해하지 않고, 절망하지도 않는다.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일하는 방식을 배웠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절망적이라고 생각할 때 하나님은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일하시고 뜻밖의 결과를 이루신다. 그런 이야기를 성경 텍스트에서 찾아 말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총괄적으로 한 단어만 짚는다면 하나님은 남은 자를 통해서 일하신다. 하나님은 당신께서 함께 일하실 그런 이들을 어딘가에 남겨두셨다.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다수의 사람이 아니라 평화롭고 사랑 충만한 소수의 사람을 말이다. 종말론적 메시아 공동체인 교회의 속성상 숫자가 많으면 안 된다. 비유적으로 버터플라이 이펙트’(Butterfly Effect) 개념에 나오는 나비의 날갯짓이면 충분하다. 문제는 오늘 우리에게 하나님께서 결정적인 순간을 위해서 남겨두신 자들이라는 소명감이 분명한가에 달려 있다. 그것만 분명하다면 지금보다 교회 크기와 사회 영향력이 십분의 일로 줄어든다고 하더라도 큰 문제는 아니다.

남은 자로 자리를 잡으려면, 또는 남은 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려면 교회가 자신의 본질에 얼마나 충실한지를 보면 된다. 교회의 본질에 관한 질문은 곧 교회 구원이 어떻게 실현되는가, 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본질에 충실할 때 구원에 가까이 가고, 충실하지 못할 때 멀어지는 건 당연하다. 교회의 본질에 관한 질문은 교회만이 아니라 개별 그리스도인의 구원과도 관련된다. 교회와 개별 그리스도인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기 때문이다. 교회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에 속한 그리스도인은 구원에 가까이 가고, 충실하지 못한 교회에 속한 그리스도인은 당연히 구원에서 자기도 모르게 시나브로 멀어진다. 본질과 비본질, 구원에 가까이 감과 멀어짐을 칼로 무를 자르듯이 자를 수는 없으나 분명한 차이는 있다. 가능한 한 본질에 가까이 가려고 구도적으로 노력하고 구원에 가까이 가도록 치열하게 몸부림쳐야 한다. 그래서 바울도 그리스도 예수께 잡힌 바 된 그것을 잡으려고 달려가노라.”(3:12)라고 고백하지 않았는가. 나는 교회론에 해당하는 여러 관점을 여기서 종합적으로 다룰 생각이 없다. 사도신경에 나오는 교회 항목만 집중해서 살피겠다. 그 항목이 교회의 본질을 정확하게 드러낼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의 병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6664 교회 구원(75) 2025-04-24 99
6663 교회 구원(74) 2025-04-23 93
6662 교회 구원(73) 2025-04-22 114
6661 교회 구원(72) 2025-04-21 115
6660 교회 구원(71) 2025-04-11 343
6659 교회 구원(70) 2025-04-10 204
6658 교회 구원(69) 2025-04-03 349
6657 교회 구원(68) 2025-04-02 292
6656 교회 구원(67) 2025-04-01 297
6655 교회 구원(66) [1] 2025-03-31 388
6654 교회 구원(65) 2025-03-28 447
6653 교회 구원(64) 2025-03-27 360
6652 교회 구원(63) 2025-03-26 475
6651 교회 구원(62) 2025-03-25 439
6650 교회 구원(61) 2025-03-24 476
6649 교회 구원(60) 2025-03-21 540
6648 교회 구원(59) 2025-03-20 487
6647 교회 구원(58) 2025-03-19 537
6646 교회 구원(57) 2025-03-18 494
6645 교회 구원(56) 2025-03-17 543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