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구원(19)

조회 수 498 추천 수 0 2025.01.25 20:45:16

신학대학교 교수들의 임면권은 일반적으로 이사회에 있다. 이는 일반 대학교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신학대학교 이사회는 주로 대형교회 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되어 있다. 신학대학교 교수가 이사회에 의해서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찍히면 교수직을 유지하기 힘들다. 그런 사례가 최근까지 일어났다. 수년 전 장로회 통합 교단은 동성애 문제로 신학자의 신학을 검증하는 위원회까지 설치했고, 최근에 서울 신학대학교는 진화론 문제로 박 아무개 교수를 면직했다. 신학자들도 가장이고 생활인이기에 교수직을 박탈당하는 걸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 두려움만이 문제는 아니다. 자기 혼자 나서서 문제를 제기한다고 해서 해결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기에 외면하는 것이다. 일종의 패배의식이다. 더구나 동성애 문제는 한국교회 일부가 아니라 거의 전체라 해도 좋을 정도로 많은 교회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문제라서 신학자가 섣불리 나설 수도 없다. 그래도 본인들이 선지자의 전통에 선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면 한국교회 운명이 걸린 이런 문제에 모른척하면 곤란한 게 아닐는지. 저항하다가 이사회로부터 불이익을 받는 신학자가 몇 명이라도 나와야만 했는데, 모두가 침묵이다. 돌들이 소리를 지르는 순간이 오기를 기다려야만 하는가 보다. 혹시나 해서 진보적인 월간지 <기독교 사상> 202411, 12, 그리고 20251월호를 확인했으나 한국교회에 아무런 일도 없었다는 듯이 조용했다. 내가 현재 신학대학교 교수였다면 어떤 태도를 보였을지를 역지사지로 생각해보니 마냥 큰소리칠 수는 없으나 그래도 에둘러서라도 발언했을 것이다. 유럽과 북미 교회에서 벌어진 일들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만 해도 한국교회가 지금 얼마나 비신학적이고 비상식적인 행태를 보이는지가 드러날 테니 말이다.


profile

[레벨:18]김사관

2025.01.31 12:38:15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기독교 사상>지도 어쩌면 <한계레 신문>의 전철을 밟는 건 아닌 지... 잠시 그랬을 거라고 생각하고 기다려 보겠습니다. 한국교회의 민낯을 시대의 비극처럼 예리하게 지적해 주셨네요. 목사님, 어느 시대나 '신학무용론'은 존재하는 걸까요? 신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는 것일까요. 아니면, 교회의 눈치를 보는 것일까요. 극동방송 같은 기독교 방송 재벌도 세습의 길로 접어들고, 이사장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점에서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교회 안에 신학의 건강한 자생력을 애타게 간구해 봅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2025.01.31 19:40:50

추천
1
비추천
0

제가 보기에 이 세상만이 아니라 교회도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찌들어 있다는 게 가장 심각합니다.

일종의 바알숭배인 자본주의는 무한성장과 적자생존이라는 기계론적 진화론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요. 

모든 목사가 큰 교회를 꿈꿉니다. 성공한 벤처기업가가 되든지 대형교회 CEO가 되려고 합니다.

인격과 품성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관의 문제인데,

이 세계가 철저하게 자본주의로 흘러가니까 목사들도 어쩔 수 없이 그런 마인드로 사는 겁니다.

<교회구원> 중반부터 다루게 될 '나는 거룩한 공교회를 믿는다.'는 사도신경 고백이 유명무실한 거죠.

한국교회는 '하나의 거룩하고 보편적인 사도적 교회'(니케아신조)가 아니라 

'여러 개의 세속적이고 사적인 교파교회'가 되어 버렸습니다. 한마디로 사기업체와 똑같은 구조입니다.

신학대학교 교수들은 대다수가 목사인데도 그 교단의 일반 목사들 수준이 아니라

일반 대학교 수준의 연봉을 받기에 교단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 같은 한국교회 모습으로는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부자가 망해서 3년은 간다는 말처럼 어느 정도는 유지되겠으나

한두 세대가 지나면 소종파로 떨어질지 모릅니다.

그때가 되어야 교회의 교회다움이 회복될 수도 있을 거고요.

루터교회나 성공회는 비교적 공교회성이 살아있지 싶네요.

profile

[레벨:18]김사관

2025.02.01 10:16:36

네, 목사님. 목사님께서 늘 강조하시던 자본주의라는 시대정신에 굴복하는 게 가장 큰 원인이군요. 

2천 년 전, 로마 시대 제국주의에 결코 무릎 꿇지 않았던 초기 기독교를 생각해 봅니다.  

답변의 말씀, 감사합니다.

[레벨:4]웃음.

2025.01.31 20:50:54

최근에 독일에서도 공부하고 인터넷교회를 운영하는 진목tv라고 있던데요..
어제 잠시 들으니 교회다니지 말고 , 심지어는 안믿어도 된다고 말하기도 하고, 가나안성도가 되라고 하기도 하더라고요.  상당한 수준의 신학자로 평가받는데 대지위의 교회는 없고 인터넷목회와 유튜브로 신학을 안내하면서 하고 싶은말을 다 하고 살더라고요

아마도 점점 더 변하면 교회가 축소되더라도 다른 형식의 교회가 생겨나지 싶습니다.


종교학자가 삼프로에서 이야기하던데 기존의 종교인의 숫자는 줄었는데, 명상 성지순례 템플스테이 등등은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종교도 형태가 변하고 있고, 기존의 교회의 형태도 변하는듯 합니다. 


언젠가 신학을 가르치는것도 신학교가 아니고 독특한 다른 방법이 생기면 신학자들도 마음놓고 말하는 때가 오지 않을까요? 


 <style>.tb_button {padding:1px;cursor:pointer;border-right: 1px solid #8b8b8b;border-left: 1px solid #FFF;border-bottom: 1px solid #fff;}.tb_button.hover {borer:2px outset #def; background-color: #f8f8f8 !important;}.ws_toolbar {z-index:100000} .ws_toolbar .ws_tb_btn {cursor:pointer;border:1px solid #555;padding:3px} .tb_highlight{background-color:yellow} .tb_hide {visibility:hidden} .ws_toolbar img {padding:2px;margin:0px}</style>

[레벨:4]웃음.

2025.01.31 20:52:13

근데 왜 저는 글을 쓰면 꼬리가 붙는것일까요?> <style>.tb_button {padding:1px;cursor:pointer;border-right: 1px solid #8b8b8b;border-left: 1px solid #FFF;border-bottom: 1px solid #fff;}.tb_button.hover {borer:2px outset #def; background-color: #f8f8f8 !important;}.ws_toolbar {z-index:100000} .ws_toolbar .ws_tb_btn {cursor:pointer;border:1px solid #555;padding:3px} .tb_highlight{background-color:yellow} .tb_hide {visibility:hidden} .ws_toolbar img {padding:2px;margin:0px}</style>
profile

[레벨:100]정용섭

2025.02.01 20:39:33

공교육에 문제가 많다고 해서 아예 공교육을 부정하고 족집게 사교육을 교육의 근간으로 삼는 건 경솔한 것처럼

정통 교회에 문제가 많다고 해서 교회에 다니지 말라고 일반화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지금 교회의 위기를 몰고 온 포스트모더니즘이 세련되어 보이기는 하겠으나 하나의 유행으로 끝날 것이며

2천년 역사를 짊어지고 온 정통 교회의 그 깊이와 무게는 웬만해서 무너지지 않을 겁니다.

다만 자정과 개혁을 게을리하면 결국 버림을 받겠지만요.

웃음 님 글에 꼬리표가 따라오는 이유는 나도 모르겠네요.

[레벨:4]웃음.

2025.02.01 23:09:34

네 목사님의 말씀이 맞으십니다.


그래도 변화는 있고, 그 변화는 수십년후에 지금과 완전 다른 어떤 형태의 다른 교회가 탄생할 듯 합니다.


회당을 사용하거나 가정을 사용했던 초대 교회에서 지금까지 계속 변천해 온 교회의 모습이 이제는 가상의 세계로 들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목사님의 교육도 전체 기독교역사 2천년 중에 겨우 20년 정도를 향해 가고 있을 뿐이지만, 어느날 우리 후세들은 목사님의 이 남겨진 글 전체를 단 몇 페이지나 책 한 권이나 우리가 지시하는대로 요약한 AI의 글을 읽을 것 같네요. 


공교육의 문제는 자정의 노력으로 변하는것이 아니고 교회의 형태의 변천으로 사라지거나 변형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교회 구원(58) new

  • 2025-03-19
  • 조회 수 41

지금 나는 사도신경이 말하는 ‘거룩한 교회’ 개념을 밝히려고 모세의 소명 이야기를 따라가는 중이다. 자기 민족을 이집트에서 끌어내라는 소명에 앞서 모세는 땅이 거룩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만 했다. 이처럼 오늘날 그리스도인 역시 성령을 받고 땅끝까지 복음의 증인이 되라는 소명에 앞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땅의 거룩함을 실질적으로 느끼고 경험해야만 하지 않겠는가. 이런 경험이 없는 소명감은 종교적 자기 열망에 떨어지기 쉽다. 그러다가 소명감이 시나브로 시들거나 광기로 변질된다. 그런 종교적 광기를 우리는 2024년과 20...

교회 구원(57)

  • 2025-03-18
  • 조회 수 69

사람이 죄를 지어 타락한 것도 분명한 사실이기에, 그리고 실제로 세상에 악과 불행이 그치지 않는다는 사실도 분명하기에 사람을 무조건 거룩한 존재로 보는 건 너무 순진한(naive) 생각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일종의 낙관적인 생각에 치우치면 타락한 세상과 교회가 구별되지 못한다고 말이다. 일리가 있다. 어떤 그리스도인에게 교회는 노아의 방주와 같다. 하나님의 심판으로 그려지는 대홍수에서 구원받으려면 노아 방주에 들어가야 했던 것처럼 악한 세상에서 구원받으려면 교회에 들어와야 한다고 선전한다. 내가 알기로 사이비 신...

교회 구원(56)

  • 2025-03-17
  • 조회 수 87

거룩한 공동체인 교회에 속한 사람은 창조의 빛으로 세상을 보기에 모든 사람을 거룩한 존재로 여긴다. 부처 눈에는 모든 사람이 부처로 보이는 법이다. 성경은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다고 말한다. 하나님의 형상은 하나님의 속성이기에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속성이 있는 셈이다. 여기에 예외가 없다. ‘천하에 죽일 놈’이라는 말을 듣는 사람에게도 하나님의 형상은 남아 있다. 그래서 나는 설교할 때 종종 다른 사람을 비판할 수는 있으나 조롱하거나 혐오하면 안 된다고 말한다. 조롱과 혐오는 하나님의 창조를 부정하는 ...

교회 구원(55)

  • 2025-03-15
  • 조회 수 106

하나님 경험 안에서 만물을 받아들인다는 말은 기본적으로 창조의 빛 가운데서 만물을 본다는 뜻이다. 창조의 빛을 느끼는 사람에게 땅과 거기에 속한 모든 것은 거룩하다. 성경이 창조가 시작했다고 말하는 태초(아르케)는 물리학이 138억 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는 빅뱅 순간이다. 지금의 지구는 그 빅뱅의 순간과 직간접으로 연결된다. 정확히 말하면 지구는 태양이라는 별에 속한 행성으로 대략 45억 년 전에 만들어졌다. 45억 년 전 태양을 비롯한 여러 행성의 질료가 된 우주 먼지는 당연히 138억 년 전으로 소급된다. 이 까마득...

교회 구원(54)

  • 2025-03-14
  • 조회 수 106

거룩한 땅 출 3장에는 모세의 소명 이야기가 나온다. 1절은 이렇다. “모세가 그의 장인 미디안 제사장 이드로의 양 떼를 치더니 그 떼를 광야 서쪽으로 인도하여 하나님의 산 호렙에 이르매” 모세의 장인 이드로는 모세에게 종교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출 18:13절 이하에 따르면 출애굽 이후 광야를 지나면서 모세가 백성의 모든 송사 문제를 직접 다루는 걸 본 이드로는 여러 지도자를 세워서 문제를 해결하라고 조언했다. 이드로는 아브라함 전통에 따른 여호와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 아니라 미디안 원주민...

교회 구원(53)

  • 2025-03-13
  • 조회 수 120

유대교가 예루살렘 성전을 중심의 한 제사 종교에서 회당을 중심으로 한 율법(말씀) 종교로 바뀌는 역사적 분기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 이들이 바리새인들이다. 그들은 예루살렘 근처 얌니야에 랍비 학교를 세워서 율법 전통을 공고히 했다. 얌니야는 지금의 야브네(Yavne)인데, 텔아비브 남쪽 20킬로미터 지점에 있다. 기원후 90년 그곳에서 얌니야 공회(Council of Jamnia)가 열렸다. 그 공회에서 결정한 가장 중요한 내용은 두 가지다. 하나는 39권의 거룩한 문서를 유대교의 정경으로 삼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와의 관...

교회 구원(52)

  • 2025-03-11
  • 조회 수 138

교회 항목 앞에는 성령이 나오고 뒤에는 성도가 나온다. 우리말 문장으로는 그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으니까 라틴어 문장을 보자. Sanctum, sanctam, sanctorum이 각각 세 항목에 나온다. 독일어 문장도 비슷하다. Heiligen, heilige, Heiligen. 영어 문장에 따르면 성령에는 Holy가 나오고 교회에도 Holy가 나오는데, 성도에는 Saints가 나온다. 우리말로는 성(령), 거룩한(교회), 성(도)가 된다. 한자와 순수 우리말이 섞였다. 이 대목을 라틴어 원문에 맞도록 직역하면 이렇다. ‘나는 믿습니다. 거룩한 영과 거룩한 교회와 거룩한 이들의...

교회 구원(51)

  • 2025-03-10
  • 조회 수 114

거룩한 교회 사도신경은 성부, 성자, 성령, 이렇게 삼위일체 하나님을 고백한다. 우리말 사도신경에도 세 번 ‘나는 믿습니다.’가 나온다. 그게 사도신경의 기본 골격이다. 1)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믿습니다. 2) 나는 그의 유일하신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3) 나는 성령을 믿습니다. 세 번째 성령 항목에 교회도 나온다. “나는 성령을 믿으며, 거룩한 공교회와 성도의 교제와 죄를 용서받는 것과 몸의 부활과 영생을 믿습니다.” 사실은 성령만 믿음의 대상이다. 교회는 성령에 대한 믿음에 근...

교회 구원(50)

  • 2025-03-07
  • 조회 수 176

나는 한국교회의 이런 상황 앞에서 크게 불안해하지 않고, 절망하지도 않는다.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일하는 방식을 배웠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절망적이라고 생각할 때 하나님은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일하시고 뜻밖의 결과를 이루신다. 그런 이야기를 성경 텍스트에서 찾아 말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 총괄적으로 한 단어만 짚는다면 하나님은 ‘남은 자’를 통해서 일하신다. 하나님은 당신께서 함께 일하실 그런 이들을 어딘가에 남겨두셨다. 억압적이고 폭력적인 다수의 사람이 아니라 평화롭고 사랑 충만한 소수의 사람을 말이다....

교회 구원(49)

  • 2025-03-06
  • 조회 수 134

나는 북한이 국제 정세에서 ‘악의 축’인지 아닌지를 잘 알지도 못하고 대충 아는 것을 여기서 말하고 싶지도 않다. 북한을 말할 때는 권력 집단만 볼 게 아니라 더 우선해서 북한 주민을 생각해야 한다. 그들은 우리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공동의 역사와 문화가 있으며 앞으로도 한반도에서 함께 살아야 이웃이자 형제지간이라는 사실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비유적으로 건달처럼 동네 사람들에게 늘 민폐를 끼치는 동생인지 모른다. 앞으로 계속 원수처럼 지낼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지난 수십 년 동안 우리의 몇몇 정권이 남북 화해...

교회 구원(48)

  • 2025-03-05
  • 조회 수 134

이 대목에서 아킬레스건은 미국이다. 한국교회가 닮고 싶어 하는 모델은 미국교회다. 미국교회만이 아니라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한국 그리스도인에게는 선망의 대상이다. 미국의 상류층을 가리키는 WASP, 즉 White Anglo-Saxon Protestant(백인 앵글로-색슨계 프로테스탄트)라는 이미지가 우리의 이런 정서에 크게 작용한다. 신앙의 자유를 찾아 엑소더스의 심정으로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미국으로 온 영국의 청교도들이 세운 나라가 미국이라는 말을 어린이교회학교 시절부터 듣고 자랐으니 어쩔 수 없긴 하다.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

교회 구원(47)

  • 2025-03-04
  • 조회 수 155

북한 체제에 문제가 한둘이 아니라는 사실을 나도 충분히 안다. 그곳에서 살고 싶지 않다. 다만 우리가 북한을 제쳐놓고 한반도의 미래를 설계할 수 없기에 정나미가 떨어지는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대화의 끈은 놓아버리지 말아야 한다. 미래만이 아니라 현재도 북한과의 관계는 우리의 먹고사는 문제와 직결된다.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의 국방비는 61조 원이 넘는다. 단순히 계산해서 100억 원짜리 도서관을 6천 개 이상 만들고도 남는다. 남북 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 당연히 국방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 돈을 청년 일자리나 ...

교회 구원(46)

  • 2025-03-03
  • 조회 수 148

내가 1983-1985년 잠시 신학 공부를 했던 당시 통독 이전 서독에서는 외국인 학생에게도 값싼 의료보험과 킨더겔트(자녀 수당)와 싼 임대료로 들어갈 수 있는 소찌알보눙(Sozialwohnung, 사회주택)이 제공되었다. 외국인 학생에게도 독일 학생들과 똑같이 등록금이 없다. 이런 사회주의 정책은 기본에서 좌파적이다. 어려운 이들을 보살피는 정책은 그리스도교 정신에 가까운데도 한국교회는 ‘사회’라는 말만 들어가면 공산주의를 연상하는 좌파 딱지를 씌운다. 그들에게 좌파는 종북을 의미하기도 한다. ‘저놈은 종북 좌파 빨갱이!’라는 ...

교회 구원(45)

  • 2025-03-01
  • 조회 수 197

김일성과 김정일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북한의 세습 왕조 행태는 21세기 어떤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기이하다. 아무리 북한과의 대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이라도 이런 북한 체제 자체에 동의하지는 못할 것이다. 북한을 지배하는 당은 공산당이 아니라 ‘조선노동당’이다. 형식적으로는 다른 이름의 당이 있을지 몰라도 실제로는 조선노동당 1당 유일 체제다. 김정은의 세습 권력 체제와 조선노동당의 1당 체제가 못마땅하다고 해서 정치적 좌파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 사실 북한 김정은 체제를 좌파라고 할 수도 없다. ...

교회 구원(44)

  • 2025-02-28
  • 조회 수 162

신을 부정한다는 이유로 그리스도인들이 공산주의를 비판할 수는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공산주의가 신을 부정한다는 말은 편견이다. 공산주의에 큰 영향을 준 마르크스가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라고 말한 데서 알 수 있듯이 공산주의 정권은 현실의 고통에 눈감게 하는 종교를 탐탁지 않게 여겨서 종교에 반대되는 정책을 펼치는 건 분명하나 종교를 이유 없이 막무가내로 박해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서 여전히 공산 체제인 러시아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거의 국교처럼 자리를 잡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를 가짜라고 말할 수는 없는 거 ...

교회 구원(43)

  • 2025-02-27
  • 조회 수 175

다른 하나는 우리 기독교인에게만 주어진 역사 경험이다. 해방과 6.25 전쟁을 거치면서 북한에 있던 기독교인들이 공산당의 박해를 피해서 대거 남쪽으로 내려왔다. 평양을 가리켜서 동양의 예루살렘이라고 부를 정도로 기독교 세력이 강력했었다. 김일성은 독실한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특히 외가가 그렇다. 내가 알기로 외조부 강돈욱은 장로였다. 김일성도 어렸을 때 부모를 따라서 교회에 다녔고 교회 활동도 했으며 세례도 받았다고 한다. 해방 이후 북한 공산당은 기독교와 협력관계를 맺지 못하고 박해하기 시작했다. ...

교회 구원(42)

  • 2025-02-26
  • 조회 수 186

내 생각에 한국교회의 트라우마는 무엇보다도 막무가내식 반공주의로 나타난다. 그럴만하다. 두 가지 역사 경험이 이런 트라우마를 생산했다. 하나는 3년이나 계속된 6.25 전쟁이다. 이 전쟁은 그리스도인만이 아니라 한반도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트라우마로 남았다. 이 전쟁으로 남북 가릴 거 없이 수많은 군인과 민간인이 죽고 장애를 입고 인생을 망쳤다. 전쟁에 참가했거나 경험했던 분 중에서 많은 분이 여전히 생존해 있다. 전쟁이 끝난 게 아니라 잠시 휴전 상태다. 휴전 이후 지금까지 주로 군사정권 시절에 국지적인 남북 군사 ...

교회 구원(41)

  • 2025-02-25
  • 조회 수 216

한국교회의 집단 트라우마 그 대답을 종합적으로 찾으려면 따로 책 한 권으로도 부족할 것이다. 내 능력을 벗어난 작업이기도 하다. 내가 보는 관점에 한정해서 본다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심한 집단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는 것이 그 대답이다. 한국교회만이 아니라 유럽 교회도 그런 비판을 종종 받았다. 종교 현상을 집단 노이로제라고 본 학자도 있고, 인민의 아편이라고 본 학자도 있다. 신이 하늘이라는 공간에 존재한다고 생각하거나 살아생전에 예수를 믿지 않았다는 이유로 죽어서 지옥의 고통을 영원히 받는다고 위협하거나 현실...

교회 구원(40) [2]

  • 2025-02-22
  • 조회 수 329

미국 장로교회(PCUSA, Presbyterian Church in USA)는 2011년 219차 총회에서 목사, 장로, 집사가 되려면 “남자와 여자 간 결합인 결혼을 했거나 독신일 경우 순결을 지켜야 한다.”라는 교단 헌법 규정을 삭제하고, 동성애자도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2014년 총회에서는 결혼에 대한 정의를 ‘한 남자와 한 여자’에서 ‘두 사람의 결합’으로 변경했고, 2015년에는 동성애자들의 결혼을 인정하는 교회 헌법 개정안을 승인했다. 동성애 문제에 우호적인 견해를 보이는 미국 내 교단은 그리스도 연합교회(The United Church of ...

교회 구원(39)

  • 2025-02-21
  • 조회 수 194

미국교회와 동성애 문제 2025년 2월2일 내가 설교 목사로 있는 다샘교회 주일 공동예배에 미국에서 오랫동안 목회하는 정 아무개 목사가 잠시 모국 방문차 고향인 대구에 내려왔다가 들렸다. 처음 뵙는 분이다. 그 목사가 목회하는 교회는 한인교회이면서 미국 장로교(PCUSA) 노회에 속했다. 미국의 주류 교단이다. 한인으로 구성된 교회가 미국 장로교 노회에 들어가는 일은 그렇게 흔하지 않고 쉽지도 않을 것이다. 미국교회 상황을 잘 아는 목사라서 물어보고 싶은 게 많았다. 식사 친교 시간에 잠시 대화를 나누면서 미국교회가 동성...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