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공부, 20151014일 저녁 7:30, 대구샘터교회

17장 욥의 자조

 

욥은 16장에서 엘리바스의 비난을 맞받아쳤고, 이어 17장에서 자신이 처한 형편을 자조적으로 진술한다. 이런 진술들이 일목요연하게 진행되는 건 아니다. 욥기가 근본적으로 유대인들의 구전과 문서의 편집과정, 그리고 고대 언어와 문자와 사본의 긴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그런 빈틈을 보이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오늘 독자들에게 문서비평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1- 욥은 1절부터 자기의 신세가 딱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짚는다. 삶의 의지가 완전히 꺾인 상태다. 그는 무덤 앞에 선 심정이다. 우리가 실제로 욥과 똑같은 처지에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영적으로는 그런 태도로 살아야 한다. 유영모 선생은 나이가 들어서는 아내와의 성관계도 포기하고, 사시사철 널빤지 위에서 잤다고 한다. 그 널빤지로 자기 관을 만들어달라고 했다는 말이 전해진다. 침대를 관 모양으로 만들어 지내면 죽음과 조금 더 친밀해질까?

2- 욥의 자조는 직접 당한 불행도 불행이지만 친구들의 조롱으로 인해서 더 깊어졌다. 친구들은 욥이 당한 불행의 이유가 뭐냐를 놓고 말이 많았다. 선천적 시각장애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제자들의 질문에 예수는 아무에게도 책임이 있는 게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다.

3- 욥은 자신의 상황을 버텨내기 힘들었다. 자기가 옳다는 사실을 인정해주는 사람들이 하나도 없었다. 친구들은 물론이고, 아내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하나님에게 자기가 옳다는 담보물’(보증)을 달라고 했다. 그의 영혼이 불안하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하나님만 의지하겠다는 결단이기도 하다. 하나님에게만 운명을 거는 사람은 고독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7- 욥은 6절과 7절에서 자기의 신세를 한탄한다. 사람들의 속담거리로 떨어지고, 침 뱉음을 당했으며, 근심으로 눈이 어두워졌다고 한다. 발등의 불이라는 말이 있듯이 사람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는 자기가 그림자같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그를 보기 싫어한다는 뜻이다. 그림자 같다는 말은 단순히 문학적 수사가 아니라 우리 삶의 실체를 가리킨다. 1) 모든 사람들은 인격적인 깊이에서 관계를 맺는 일이 드물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외면 받는다는 뜻이다. 2) 우리는 언젠가 때가 되면 결국 무()가 된다. 무는 그림자다. 욥의 운명은 바로 우리의 미래다.

13, 16- 욥은 14:13절에 언급했던 스올을 13절과 16절에서 다시 거론한다. 스올은 죽은 자가 거해야 할 지하의 어두운 세계, 즉 음부(陰府). 무덤의 세계이고, 구더기가 지배하는 세계다. 현재의 욥에게는 죽음이 차라리 낫다는 말이다. 고대인들은 인간의 죽음을 현상적으로 보고 스올 개념을 생각했다. 스올이 근본적으로는 부정적인 의미지만 역설적으로 안식의 세계라는 관점도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스올에서는 더 이상 친구의 조롱을 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16절에서 우리가 흙 속에서 쉰다.’고 말했다.

 

고난의 대표자 격인 욥은 기독교인들에게서도 기피 인물로 받아들여진다. 욥의 이야기는 바로 나, 그리고 인류 전체의 실존을 가리킨다. 욥이 떨어진 나락을 이해하지 못하면 삶을 이해할 수 없으며, 또한 하나님을 이해할 수도 없다. 깊은 곳으로 떨어진 경험을 한 사람만이 절정의 높이를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다.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