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속죄와 구원 (히 5:1~10)

창조절 조회 수 3658 추천 수 0 2021.10.17 17:28:56
설교보기 : https://youtu.be/86RebEDkEBE 
성경본문 : 히브리서 5:1~10 

속죄와 구원

5:1~10, 창조절 일곱째 주일, 20211017

 

 

큰 대제사장

5:1~10절에는 현대인들에게 낯선 단어가 많이 나옵니다. 히브리서가 구약성경을 배경으로 기록된 문서라서 그렇습니다. 대제사장, 속죄제, 아론, 멜기세덱, 반차 등등과 같은 단어로 인해서 본문을 읽고 따라가기가 쉽지 않으나 핵심 내용은 그렇게 복잡하지 않습니다. 오늘 본문 앞에 나오는 히 4:14절부터 보면 그 내용을 좀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14절 말씀은 이렇습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큰 대제사장이 계시니 승천하신 이 곧 하나님의 아들 예수시라 우리가 믿는 도리를 굳게 잡을지어다.” 본문은 예수 그리스도를 구약의 대제사장으로 묘사했습니다. 단순히 대제사장이 아니라 대제사장(a great high priest)이라고 했습니다. 대제사장의 역할이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완성되었다는 뜻입니다.

본문 6절과 10절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멜기세덱 계열에 따른 대제사장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원래 구약의 대제사장은 모세의 형인 아론 후손이 맡았습니다. 세월이 흐른 뒤에는 열두 지파의 한 지파인 레위 지파에 속한 사람들이 맡았습니다. 멜기세덱은 아론이나 레위 지파와 관계가 없습니다. 그는 훨씬 이전의 역사로 소급되는 인물입니다. 아브라함이 포로로 잡힌 조카 롯을 구출하고 돌아올 때 그를 맞이한 인물이 살렘 왕 멜기세덱입니다. 창세기 본문에 따르면(14:18)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습니다. 그가 아브라함을 축복했고, 아브라함은 노획물 중에서 십 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줍니다. 지금 히브리서 기자는 예수님이 아론이나 레위 혈통이 아니라 오히려 멜기세덱처럼 특별한 위치에서 대제사장 역할을 한 분이라는 사실을 강조한 겁니다.

대제사장의 역할은 죄를 속한다는 뜻의 속죄 제사를 지내는 일입니다. 고대 유대인들은 비둘기나 양을 잡아서 피를 제단에 뿌리는 방식으로 속죄 제사를 바쳤습니다. 동물 몸의 일부는 불에 태웠고, 나머지는 제사에 참석한 사람들이 나눠 먹거나 다른 제사 업무용으로 사용했을 겁니다. 이런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는 칼과 불씨입니다. 칼과 불씨는 생명과 직결됩니다. 아브라함이 이삭을 모리아 산에서 번제를 바칠 때 준비한 도구도 칼과 불씨였습니다(22:6). 동물을 죽이고 피를 뿌리고 태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비릿한 냄새는 거기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아주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고대 유대인들이 속죄 제사를 중요한 종교의식으로 여긴 이유는 자신들의 삶을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성찰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그 하나님은 창조자이십니다. 하나님은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셨습니다. 모든 생명체에게 복을 주셔서 세상에 충만하여지라고 명령하셨습니다. 특히 하나님은 당신의 형상대로 사람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셨고,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창조를 마친 다음에 모든 것을 보시니 심히 좋았더라.”라고 창 1:31절이 말합니다. 그런데 세상은 심히 좋게흘러가지 못했습니다. 온갖 파멸적인 일들이 발생했습니다. 고대 유대인들은 그렇게 된 이유가 죄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아무리 노력해도 죄가 없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죄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자신들에게는 없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입니다. 유일한 해결책은 하나님에게서 용서를 받는 것이었습니다. 그런 생각이 속죄 제사 형태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속죄 제사는 여러 가지 점에서 미숙했던 고대인들에게나 필요하지 21세기 첨단 문명사회에서 성숙하게 살아가는 오늘 우리에게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과연 그럴까요? 2천 년 전 사람보다 오늘 우리가 더 성숙한 사람이라는 증거는 없습니다. 물질적으로 더 풍부하게 산다는 사실이 그 증거는 물론 아닙니다. 오늘 우리가 심리학과 물리학과 정치학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안다는 사실도 확실한 증거는 전혀 못됩니다. 스마트폰을 손에서 떼지 않고 세속사회에서 아주 역동적으로 사는 사람들이 노동과 기도만으로 수도원에서 소박하게 사는 사람들보다, 이는 2천 년 전 삶의 모습과 비슷한데, 더 성숙하거나 더 행복하게 사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저는 오늘도 여전히 속죄 제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거기서만 우리가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시원적 힘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속죄

속죄 제사를 이해하려면 죄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먼저 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죄는 실정법 위반입니다. 학생에게는 학칙 위반, 군인에게는 군법 위반, 대한민국 사람에게는 대한민국 헌법과 법률입니다. 제가 종종 말씀드렸듯이 성경이 말하는 죄는 그런 실정법의 차원과 다릅니다. 지금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실정법은 죄의 뿌리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실정법이 아무리 잘 갖춰진 21세기 문명사회 안에서도 죄의 힘이 막강하다는 사실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경이 말하는 죄는 삶에 나타나는 방향의 오류입니다. 그 오류의 핵심은 자기 숭배입니다. 자기를 생명의 주인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자기 사랑이자 자기 연민이고, 자기 집중입니다. 자기 안에 갇혀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나 다른 식물들과 생명 충만한 관계를 맺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형식에 머물 때가 많습니다. 말과 행동에서 모범적인 사람이 그 내면에서는 교만할 수 있지 않습니까. 그것이 바로 성경이 말하는 죄의 본질입니다. 키에르케고르가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피력했듯이 죄는 우리의 내면을 불안하게 만들고, 그 불안은 우리를 죽입니다. 겉으로는 살아있다 하나 죽은 자와 다를 게 없습니다. 여러분은 지금 어떻습니까. 불안에 휩싸여 있습니까? 죽은 자처럼 사는 건 아닙니까? 이런 문제에서 아예 무감각하십니까?

죄와 불안 문제는 우리의 생존 방식과 직결됩니다. 그래서 벗어나기 힘듭니다. 우리는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만 삽니다. 아주 옛날에는 수렵과 채집의 방식으로 먹고살았는데, 지금은 가축 사육과 농경 방식으로 먹고삽니다. 살려면 다른 생명체를 먹어야 합니다. 먹지 않으면 우리는 죽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이런 문제가 더 복잡하게 돌아갑니다. 부자 나라가 더 부자가 되려고 하기에 가난한 나라 사람들은 더 힘들게 삽니다. 우리가 커피를 값싸게 마시려고 하면 커피를 생산하는 가난 나라 농부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습니다. 택배비를 낮추면 택배 기사들의 삶이 힘들어집니다. 이런 일을 생각하면 여유 있게 사는 삶 자체가 미안하고 불안합니다. 우리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실존적으로 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겁니다.

우리는 평소에 죽음을 모른 척하고 지내듯이 실존적인 죄의 경향성과 불안을 모른 척합니다. 모른 척한다고 해서 그게 없어지는 게 아닙니다. 불안한 구석이 전혀 없다고 말하는 분들은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상황에 떨어진 겁니다. 하나는 자신의 내면을 직시할 용기와 지혜가 없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신적으로 뻔뻔한 겁니다. 오늘의 자본주의는 우리를 뻔뻔한 인간이 되라고 세뇌하는 건 아닐까요? 우리는 상당한 부분에서 이미 그렇게 세뇌당한 건 아닐까요?

김선우 시인의 시집 내 따스한 유령들에 나오는 시 마스크에 쓴 시 2”의 한 연을 읽어드리겠습니다.

 

잉여의 발생이 부추기는 탐욕, 무기와 노예, 땅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병든 인간, 잉여가 없다면 살기 위해 협력했을 수도 있는데 잉여가 발생하면 반드시 폭력이 시작된다 최초의 잉여를 점유한 세력이 씨 뿌린 악의 계보, 어떻게 해야 나쁜 피로부터 탈출할 수 있을까 만년 동안 후퇴 없이 몸통을 불려온 지옥을

 

김선우 시인은 나쁜 피로부터 탈출할 수 없다고 절망합니다. 우리의 일상을 지배할 듯한 기세를 보이는 정치가 우리에게 탈출구는 당연히 아닙니다. 우리의 삶을 더 나쁘게 만들지만 않는다면 정치는 제 몫을 다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 많습니다. 선한 양심과 정치력을 동시에 갖춘 정치인들만 활동하는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80년 전 히틀러 시절에 경험했듯이, 그리고 최근에는 미국 트럼프 시절에 경험했듯이 아무리 정치적으로 민주화되고 문명이 선진화된 나라에서도 포퓰리즘에 능한 선동가가 권력을 잡는 일이 허다합니다. 21세기 정치인들이 2천 년 전 로마 정치인들보다 더 양심적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구원의 근원

저는 히브리서 기자가 전하는 말씀에 근거해서 탈출구는, 즉 구원의 길은 예수 그리스도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큰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야말로 구원의 근원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말이 상투적이고 도식적이고 진부하게 들립니까? 일단 8~9절 말씀을 읽겠습니다. 마음을 열어놓고 들리는 말씀 그대로 들어보십시오.

 

그가 아들이시면서도 받으신 고난으로 순종함을 배워서 온전하게 되셨은즉 자기에게 순종하는 모든 자에게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고

 

여기에도 약간 까다로운 단어가 여럿 나옵니다. 아들, 고난, 순종, 배움, 온전하게 됨, 영원한 구원, 구원의 근원이 그것입니다. 각각 해석이 필요한 단어입니다. 핵심적으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구원의 근원이라는 뜻입니다. 구원은 곧 속죄를 가리킵니다. 기독교 전통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속죄 제사가 완성되었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더는 동물을 잡아서 피를 뿌리거나 태우는 방식으로 예배를 드리지 않습니다. 오히려 하나님께 영광을 바치는 방식으로 예배를 드립니다.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단번에 속죄를 받았으니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겁니다. 우리에게 여전히 죄의 속성이 남아 있으나 거기에 좌절하지 않고 오히려 감사 찬송을 올립니다. 본질의 차원에서는 죄가 극복되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속죄 경험이 있으십니까? 각자 답은 다르겠지요. 다음의 설명을 들으면 여러분은 그렇다.”라고 대답하게 될 겁니다. 그런 대답을 기대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구원의 근원이 된 이유는 그가 온전하게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문이 말했습니다. 온전하다는(perfect) 말은 하나님과 하나 되었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원래 하나님의 아들이시니까 하나님과 하나 되었다는 말이 이상하게 들리긴 합니다. 하나님의 아들이었다고 해서 당연히 이 인간 역사에서 하나님과 하나 되는 건 아닙니다. 예수가 자신의 역할을 감당하지 않았다면, 즉 자신의 소명에 충실하지 못했다면 그는 온전하게 될 수 없었습니다. 비유적으로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소프라노 조수미 씨는 한국을 대표하는 성악가입니다. 그는 위대한 성악가가 될 소질을 갖고 태어났습니다. 그 천성적 소질만으로 그가 위대한 성악가가 된 건 아닙니다. 1%의 재능과 99%의 노력이 천재를 만든다는 말처럼 조수미 선생은 성악가가 되려는 자신의 소명을 충실하게 감당했습니다.

히브리서 본문에 따르면 예수가 자신의 소명을 세 가지로 감당했다고 말합니다. 하나는 고난받는 자이고, 둘째는 순종하는 자이고, 셋째는 배우는 자입니다. 배운다는 말이 예수에게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어울립니다. 그는 어려서부터 유대인들의 신앙 전통을 배웠습니다. 그런 배움이 없었다면 그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실감할 수 있었으며,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로 경험할 수 있었겠습니다. 그가 당한 고난은 십자가 죽음까지 이어집니다. 그의 고난은 곧 하나님의 고난입니다.

 

순종

이 세 가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제가 보기에 순종입니다. 예수는 십자가의 죽음을 예감하고 힘들어했습니다. 그 운명을 받아들이기 어려웠습니다. 구약성경 신명기(21:23)도 나무에 달린 자는 하나님께 저주를 받은 자라고 했으며, 바울도(고전 1:23) 예수의 십자가 죽음은 유대인에게 거리낌의 대상이며 이방인에게 미련한 운명이라고 말했습니다. 예수님도 십자가에 달렸을 때 아람어로 이렇게 외쳤습니다.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생각해보십시오. 하나님이 말씀으로 우주를 창조한 전능하신 분이라면 예수의 십자가 죽음이 아니라 한 마디 명령으로 인류를 구원하실 수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예수 자신도 십자가 운명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마가복음 기자는 십자가에 달리기 전날 밤 예수님이 겟세마네 동산에서 드린 기도를 이렇게 전합니다. “아버지, 나의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무엇이든 다 하실 수 있으시니 이 잔을 나에게서 거두어주소서. 그러나 제 뜻대로 마시고 아버지의 뜻대로 하소서.”(15:36) 예수는 순종하셨습니다.

국가를 위해서 죽음을 택하는 사람도 있고, 가문을 위해서 죽거나 다른 종교적 신념으로 죽는 사람들도 있으니, 예수의 십자가 죽음이라고 해서 그렇게 특별한 게 아니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신가요? 예수와 하나님의 관계를 먼저 생각해보십시오. 예수는 하나님을 절대적으로 신뢰했습니다. 그에게 하나님은 아빠 아버지였습니다. 가까이 온 하나님 나라를 현실(reality)로 믿고 경험했습니다. 십자가 죽음은 이런 신뢰를 파괴하는 사건이었습니다. 자기의 존재 전체가, 인생 전체가 부정당하는 사건이었습니다. 이런저런 이유를 대고 거부할 수도 있었으나 예수는 그 십자가의 길을 갔습니다. 오직 한 가지 사실, 즉 하나님의 사랑을 믿고 십자가의 죽음을 피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믿음이 무너지는 운명까지 받아들인 순종이었습니다. 그 순종에서 인류 구원의 길이 열렸습니다.

순종이라는 말이 현대인들에게는 탐탁스럽지 않습니다. 자기 주체성이 부정당하는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과연 그럴까요? 그들은 삶에서 영적이고 거룩한 권위를 아직 경험해보지 않았기에 그런 반응을 보이는 건 아닐는지요. 이렇게 바꿔서 질문해보십시오. 땅에 순종해보신 적이 있나요? 하늘에 순종해본 적이 있나요? 꽃에 순종해본 적이 있나요? 없나요? 사랑의 힘에 순종하지 않고 우리가 어떻게 이 척박한 인생살이를 버텨낼 수 있는지요. 시인과 예술가와 수도승들은 순종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렇습니다. 절대적인 대상을 경험한 사람에게는 오직 순종이 있을 뿐입니다. 이 대목에서 다음의 엄중한 사실 한 가지를 잊지 마십시오. 여러분이 거룩한 부르심에 순종하지 않고 자기 주관에 따라서, 자기 마음대로 평생을 살았다 해도 순종이 무슨 뜻인지 알게 될 결정적인 순간이 올 겁니다. 그 순간이 이르기 전, 살아있는 동안에 순종하는 게 훨씬 지혜로울 뿐만 아니라 영혼 충만한 삶이 아니겠습니까.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예수 그리스도는 큰 대제사장이십니다. 그에게 순종하는 사람은, 그를 실제로 사랑하는 사람은 죄를 용서받습니다. 자유를 얻는 것입니다. 그 사람에게 예수 그리스도가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시기 때문입니다. 이 히브리서 말씀이 가리키는 세계 안으로 발을 들여놓은 순간, 여러분에게 전혀 새로운 차원의 삶이 열릴 것입니다. 아멘.


profile

[레벨:29]모모

October 28, 2021
*.134.194.227

목사님, 설교 말씀 중에서 "여러분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속죄 경험이 있으십니까?" 물으시고 "다음의 설명을 들으면 '그렇다'라고 대답하게 될겁니다" 라고 하셨는데 그 '다음의 설명'이 무엇인지 제가 이해하지 못 했습니다.
예수님이나 조수미씨 처럼 자신의 소명에 충실한것이, 즉 고난, 순종,배움에 충실한 것이 속죄 경험이라는 뜻인지요?
조금 더풀어서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October 28, 2021
*.182.156.28

모모 님의 던지신 질문은 제 설교 작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칫하면 설교가 독백에 떨어질 수 있으니까요.

예수를 통해서 생명의 본질을 경험했다는 사실이 

곧 속죄 경험입니다.

여기서 생명의 본질은 죄의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능력입니다.

모모 님이 하나님께 온전히 순종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생명을 경험했다면,

이는 예수 그리스도에게 모모 님이 순종할 때 일어나는 경험인데,

그게 바로 속죄를 경험한 것입니다.

속죄와 구원은 똑같은 의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638
1051 기타 무엇을 기다리는가? [3] [2] 2004-06-14 19922
1050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163
1049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402
1048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8107
1047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721
1046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3966
1045 기타 숨겨진 미래를 기다림 2004-06-30 12060
1044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275
1043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494
1042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380
1041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421
1040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566
1039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528
1038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632
1037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099
1036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721
1035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714
1034 기타 두려움을 넘어서 [3] [2] 2004-07-02 11662
1033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391
1032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263
1031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4028
1030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4955
1029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438
1028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725
1027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635
1026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450
1025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2991
1024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272
1023 기타 야곱의 하나님 체험 [1] [1] 2004-07-02 12114
1022 기타 종말론적인 삶 (벧전 4:1-11) [1] 2004-07-02 11895
1021 기타 은폐와 노출 [3] 2004-07-02 11614
1020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3947
1019 기타 흔들리지 않는 터전 [1] 2004-07-02 11631
1018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517
1017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299
1016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303
1015 기타 삶으로서의 예배 [1] 2004-07-02 9828
1014 기타 말의 구원론적 능력 [1] 2004-07-02 11983
1013 기타 불평을 넘어서 존재의 기쁨으로 [1] 2004-07-02 9510
1012 기타 주님의 재림과 생명의 완성 [1] 2004-07-02 9521
1011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378
1010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793
1009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509
1008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381
1007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764
1006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118
1005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0939
1004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281
1003 기타 막힘에서 열림으로! 2004-07-02 12277
1002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388
1001 기타 야훼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 [1] 2004-07-02 11552
1000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2947
999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259
998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744
997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125
996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367
995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407
994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471
993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2052
992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024
991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490
990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9986
989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344
988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8963
987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734
986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562
985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647
984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370
983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425
982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287
981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577
980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643
979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299
978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559
977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827
976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706
975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367
974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443
973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405
972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122
971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9900
970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251
969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309
968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263
967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152
966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646
965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318
964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248
963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342
962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029
961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400
960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105
959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8915
958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484
957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611
956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629
955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445
954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007
953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592
952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044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