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설교보기 : https://youtu.be/tXtDZh_l17I 
성경본문 : 호세아 11:1~11 

하나님의 긍휼과 거룩하심

11:1~11, 성령강림 후 여덟째 주일, 2022731

 

 

호세아 선지자는 기원전 8세기 초, 그러니까 지금부터 27백 년 전 북이스라엘에서 활동했습니다. 성서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호세아는 문서 선지자 중에서 유일한 북이스라엘 출신이라고 합니다. 말이 27백 년이지 실감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 시대니까요. 그렇게 오래전에 선포된 말씀인데도 오늘 살아있는 선지자의 설교처럼 생생하게 들립니다. 그런 생생한 경험이 무엇인지를 오늘 여러분에게 전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바알 숭배

호세아는 북이스라엘 백성들의 문제를 짚는 것으로 설교를 시작합니다. 2절 말씀이 그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합니다.

 

선지자들이 그들을 부를수록 그들은 점점 더 멀리하고 바알들에게 제사하며 아로새긴 우상 앞에서 분향하였느니라.

 

북이스라엘은 핵심 도시 두 군데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하나님께 제사를 바칠 수 있는 성소를 만들었습니다. 남북 분단 이후로 북이스라엘 백성들이 남유다의 예루살렘에 있는 성전을 방문하지 못하게 하려는 조치입니다. 하나님을 예배하라는 선지자들의 충고를 무시하고 고급 성직자들은 가나안 토착종교의 신인 바알에게 제사했고, 형상을 만들지 말라는 말씀을 거부하고 보이는 형상을 만들어서 그 앞에서 종교의식을 거행했습니다.

호세아가 볼 때 이들의 바알 숭배 행태는 애굽의 삶으로 퇴행하는 것이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어렸을 때에 내가 사랑하여 내 아들을 애굽에서 불러냈거늘”(1)이라고 했는데, 이제 이스라엘 백성이 다시 애굽에서의 삶을 그리워하는 겁니다. 애굽은 그럴만한 메리트가 있는 제국이었습니다. 피라미드만 보더라도 애굽의 국력과 기술과 문명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 나일강 유역의 고센이라는 비옥한 지역에서 목축에 종사하면서 나름 잘 먹고 잘살았습니다. 소수민족으로서 불이익은 받았겠지만, 일방적으로 학대당했다는 출애굽기의 보도는 과장입니다. 애굽도 그렇고, 바빌로니아나 로마도 마찬가지인데, 어느 정도 규모와 체제를 갖춘 제국은 소수민족을 무조건 내치지 않습니다. 그렇게 해서는 제국이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요즘도 그렇지 않습니까. 중국, 러시아, 미국에도 소수인종이 많습니다. 그들은 그 나라의 체제를 부정하지만 않는다면 서로 어울려서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다 아는 대로 출애굽 이후 광야 40년은 그야말로 고난의 행군이었습니다. 먹을거리와 마실 물이 떨어지자 애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돌아간 사람들도 적지 않았을 겁니다. 어떤 때는 모세가 레위 자손을 동원해서 이스라엘 백성 3천 명을 죽이게 했습니다.(32:28) 일종의 내전 같은 상황입니다. 모세는 이런 상황을 예상했을 겁니다. 그래도 출애굽을 감행한 이유는, 예수님도 공생애를 시작하면서 인용하신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게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산다.’라는(8:3) 믿음 때문이었습니다. 먹고사는 문제만 생각했다면 그들은 애굽을 떠나지 말아야 했습니다. 그들의 믿음과 선택은 일종의 출가 수도승의 길이고, 모든 소유를 버리고 예수를 따르는 제자의 길이었던 셈입니다.

어떤 분들은 그냥 당시 선진국인 애굽에서 편안히 지내면서 하나님을 잘 믿으면 되지 않나, 하고 생각할 겁니다. 그게 그렇지 않습니다. 태양신을 섬기고 바로를 신의 아들로 여기는 애굽 안에서 창조주 하나님을 믿고 살기는 불가능했습니다. 이스라엘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하나님께 제사를 바칠 수 있느냐, 하는 종교 형식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애굽이라는 제국 안에서 전방위적으로 작동하는 통치 메커니즘을 그들은 버텨낼 수 없었습니다. 지금 우리 대한민국 안에 사는 그리스도인들이 거의 막장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는 자본주의 메커니즘을 거스르지 못하는 거와 같습니다.

출애굽 이후 광야 40년간 유목민으로 살면서 고대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충분한 수련을 마쳤습니다. 율법 종교의 기초를 다진 겁니다. 마치 예수님이 공생애를 시작하면서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고 사탄에게 시험을 치른 과정과 비슷합니다. 꿈에 그리던 가나안에 정착한 그들은 하나님 말씀대로 살면 됩니다. 현실은 그렇게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가나안의 풍요와 다산 신앙에 기울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비극도 이런 비극이 없습니다. 차라리 광야에서 유목민으로 계속 살았다면 신앙적인 차원에서는 더 나았을 테니까 말입니다.

광야에서의 삶과 가나안에서의 삶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납니다. 광야에서는 그야말로 일용할 양식만으로 살아야 합니다. 가나안에서는 풍부한 농산물로 부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부가 쌓이니까 문화도 발전합니다. 추수가 끝난 뒤에 멋진 축제를 엽니다. 가나안 젊은 여자들은 미모가 뛰어났고 남자들도 건장했습니다. 그들에게 성적인 매력이 넘쳤습니다. 이런 광경을 본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 문명에 푹 빠져들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알 숭배의 위험성을 이미 알았던 선지자들은 가나안 사람들과 결혼하지 말고, 거래하지 말라고 일렀으나, 그게 현실적으로 어려웠습니다. 7절 말씀을 들어보십시오. 호세아의 마음이 전달될 겁니다.

 

내 백성이 끝끝내 내게서 물러가나니 비록 그들을 불러 위에 계신 이에게로 돌아오라 할지라도 일어나는 자가 하나도 없도다.

 

모세를 중심으로 한 고대 이스라엘은 출애굽만이 생명을 얻는 유일한 길이라고 생각하여 백척간두진일보의 심정으로 애굽을 떠났으나 결과는 다시 애굽 정신으로 돌아간 것입니다. 선지자들이 통탄할만한 결과가 벌어졌습니다. 아들을 조폭 집단에서 빠져나오게 했으나 몇 년 지나지 않아 아들은 다른 조폭 집단에 들어간 거와 같습니다. “돌아오라 할지라도 일어나는 자가 하나도 없도다.”

이런 절망적인 상황이면 하나님의 심판을 외칠 수밖에 없습니다. 5~6절에서 호세아는 앗수르 사람들의 을 언급합니다. 당대 제국이었던 앗수르가 이스라엘의 성읍을 치고 빗장을 깨뜨릴 것입니다. 호세아의 활동이 끝날 즈음에 앗수르에 의해서 북이스라엘은 멸망합니다. 이것으로 북이스라엘의 역사는 끝장입니다. 실제로 역사는 그렇게 흘렀습니다.

영적인 감수성이 남달리 예민했던 호세아는 자포자기의 심정이 아니었을까요? 우리도 간혹 세상이 이렇게 비루하고 잔혹하고 비인간적이며, 무기력할 수 있는가, 하는 생각으로 자포자기의 심정이 되긴 합니다. 세상만 그런 게 아니라 우리 자신에 대해서도 그런 심정이 들곤 합니다. 사람들은 이럴 때 나도 모르겠다.’라거나 될 대로 되라.’라고 생각합니다. 가장 나쁜 상황은 도대체 뭐가 문제인지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겁니다. 호세아 당시에도 그의 설교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백성들이 많았을 겁니다.

 

하나님의 긍휼

절망적인 상황에서 호세아는 전혀 다른 관점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합니다. 선지자의 음성이 8절에서 울려 퍼집니다. 호세아의 심정으로 들어보십시오.

 

에브라임이여 내가 어찌 너를 놓겠느냐 이스라엘이여 내가 어찌 너를 버리겠느냐 내가 어찌 너를 아드마 같이 놓겠느냐 어찌 너를 스보임 같이 두겠느냐 내 마음이 내 속에서 돌이키어 나의 긍휼이 온전히 불붙듯 하도다.

 

에브라임은 열두 지파의 한 지파를 가리킵니다. 북이스라엘의 중심 지파입니다. 그래서 북이스라엘을 에브라임이라고도 불렀습니다. 아드마와 스보임은 소돔과 고모라처럼 자연재해로 몰락한 도시로 보입니다. 호세아는 자기 조국 북이스라엘의 파국을 내다보면서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긍휼을 붙들었습니다. 다른 길이 없습니다. 하나님의 긍휼만이 살아날 유일한 길이었습니다. 호세아는 9절에서 절규하듯이 외침을 이어갑니다. 하나님이 마땅히 내려야 할 맹렬한 진노를 내리지 않고 이스라엘을 버리지 않는 이유는 하나님이 사람과 달리 거룩한 이라는 데에 있다고 말입니다.

모세가 호렙산에서 타지는 않으나 불이 붙은 떨기나무에서 하나님을 경험했을 때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라는 소리를 듣습니다. 이사야도 성전에서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라는 천사들의 합창을 듣습니다. 하나님을 경험한 이들은 모두 하나님을 거룩한 존재로 표현합니다. 하나님이 거룩하다는 말은 하나님의 생각이 우리의 생각과 다르다는 뜻입니다. 우리의 생각은 좋아질 가능성이 전혀 없는 이스라엘 백성을 응징하고 심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는 정의는 바로 악을 응징하는 겁니다. 호세아가 볼 때 그것은 하나님의 생각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거룩하신 분이기에 우리의 생각과 달리 이스라엘 백성에게 긍휼을 베푸십니다. 이게 말이 될까요?

소위 탕자의 비유’(15:11~32)에서 아버지는 둘째 아들을 위해서 잔치를 베풀었습니다. 이를 첫째 아들은 못마땅하게 생각했습니다. 첫째 아들은 그렇다 치고, 아버지가 잔치를 베푼 이유는 둘째가 회개하고 돌아왔기 때문이라고 우리는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아버지는 둘째가 회개하고 돌아오지 않았어도 긍휼을 포기하지 않으셨을 겁니다. 하나님의 긍휼은 우리가 착한지 아닌지, 회개했는지 아닌지를 초월합니다. 악한 이들에게도 비가 내리고 햇빛이 비치듯이 하나님의 긍휼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선악을 초월합니다. 역설적으로 하나님의 긍휼을 긍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자체가 하나님의 심판입니다. 호세아는 그 사실을 전하려고 실제로는 이스라엘이 파멸할 수밖에 없었으나 하나님이 긍휼하시기에 그들을 지키신다고 외쳤습니다.

나의 긍휼이 온전히 불붙듯 하도다.”라는 표현은 인간적인 표현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정말 불쌍해 죽겠어.’라는 표현과 비슷합니다. 하나님도 사람처럼 똑같이 기뻐하고 슬퍼하고 진노하고 불쌍하게 여기는 듯이 들리긴 합니다. 그런 표현을 신학자들은 신인동형론(anthropomorphism)이라거나 의인화(擬人化)라고도 합니다. 호세아는 다른 표현 방법이 없어서 인간적인 감정으로 하나님을 묘사했으나 정작 말하려는 핵심은, 그분만이 거룩한 분이라서 우리의 상식적인 생각과 달리 북이스라엘 백성에게 진노하지 않고 오히려 그들을 불쌍히 여긴다는 사실입니다. 바알을 섬기고 우상에게 절하는 북이스라엘 백성이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하나님의 긍휼밖에 없다고, 즉 하나님이 불쌍하게 여기는 길밖에 없다고 본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을 긍휼하신 분으로 알고 경험하는 게 최고 수준의 믿음입니다.

 

두 가지 관점

하나님의 긍휼은 우리에게 두 가지 관점을 가리킵니다. 하나는 우리가 하나님의 긍휼을 입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부끄럽게 산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교회 예배 순서에 사죄 기도가 있습니다. 그 순서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긍휼을 간구합니다. 그분이 우리를 불쌍히 여겨주지 않으면 삶을 견뎌낼 수 없다는 뜻입니다. 여러분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시나요? 우리는 호세아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과 다를 게 없이 바알에게 제사를 바치고 우상 앞에서 분향합니다. 그게 무엇인지 제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여러분이 다 인정할 겁니다. 우리가 늘 뻔뻔하고 부도덕하게 행동했다는 뜻이 아닙니다. 자기의 삶이 상대적으로 괜찮다는 생각 자체가 부끄러운 것입니다. 우리가 얼마나 교만하게 사는지는 우리 자신이 압니다. 그렇지 않은가요? 저도 하나님이 저를 불쌍하게 여겨주시지 않았다면 이렇게 은퇴할 때까지 설교자로 살지 못했을 겁니다.

다른 하나는 현재 우리의 삶이 생명 충만하다는 사실입니다. 자기중심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지금의 삶이 감사하고 기쁘고 자유하고 즐겁습니다. 만족스럽습니다. 부족한 게 하나도 없습니다. 순간마다 노래하고 춤추고 싶을 지경입니다. 어떤 분은 현재 삶의 조건이 실제로 괜찮아서 그렇게 말할 수 있다고 주장하겠지요. 그렇지 않습니다. 북이스라엘은 기원전 722년에 망했습니다. 나라가 망하면 그 백성들의 삶도 파괴됩니다. 패전이나 죽음이라는 상황에서도 생명을 풍요롭게 누릴 수 있다는 사실이 하나님의 긍휼을 보증합니다. 그걸 실제로 느끼면서 사는 사람이 있고, 전혀 모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요즘 저는 나이가 들어서 그런지 모르겠으나, 삶의 중심을 점점 더 소소한 것에서 찾아야 한다는 사실을 절감합니다. 누구나 보고 놀랄만한 큰일이 아니라 스쳐 지나칠 수 있는 작은 일에서 삶의 신비를, 즉 행복을 누리는 겁니다. 그 작은 일을 경험하는 데에는 돈이 많이 들지 않습니다. 거의 공짜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우리 인생을 가장 즐겁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서 문 여닫기가 그중의 하나입니다. 방문을 여닫는 일은 신비롭습니다. 손으로 손잡이를 잡을 때 특별한 느낌이 전달됩니다. 문을 잡아당기거나 밀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문을 통과한다는 사실 자체가 놀라운 겁니다. 동양 가르침으로 말하면 문 여닫기도 도()입니다. 만약에 저에게 손이 없다면 발로, 눈이 없다면 순전히 촉감으로만 그 일을 해야겠지요. 제가 여전히 손을 쓰고, 발로 걷고, 눈으로 보며, 방향 감각을 잃지 않았다는 사실은 하나님의 긍휼입니다. 제가 장애인이 아닌 것을 다행으로 여긴다는 뜻이 아니니, 오해는 마십시오. 이렇게 소소한 일상에서 느끼는 생명 충만감 외에 우리가 더 욕심내야 할 일은 없습니다. 자기의 삶을 하나님의 긍휼이라는 관점에서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그는 이미 구원받은 사람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아닌가요?

설교 앞 대목에서 호세아가 본 이스라엘 백성의 잘못은 풍요의 신이라 할 수 있는 바알 숭배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바알 숭배 역시 하나님이 긍휼을 베푸신다는 사실을 외면함으로써 자기 성취와 자랑거리에 매몰되는 삶의 태도입니다. 여기서 악순환이 일어납니다. 긍휼을 모르니까 자기 성취에 매달리고, 자기 성취에 매달리면 긍휼에서 멀어집니다. 무엇을 먹을까 마실까 입을까, 하는 이방인들의 염려에 떨어지지 말고 하나님 나라에 천착하라는 예수님의 말씀도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라는 뜻이 아니겠습니까.

이런 악순환에서 벗어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우리는 압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예수님을 세상에 보내셨습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 세상을 얼마나 사랑하는지에 관한, 즉 그가 우리를 얼마나 불쌍하게 여기시는지에 관한 살아있는 증거입니다. 이 사실이 믿어지지 않으십니까? 이기적이고 위선적이며, 자기연민과 이전투구로 돌아가는 세상 이치에 길들어서 믿음이 무언지를 모르는 겁니다. 거칠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속는 셈 치고 예수님을 제대로 알고 실제로 믿어보십시오. 하나님의 긍휼하심과 거룩하심을 절감하게 될 것입니다. 아멘


profile

[레벨:6]좋은나무

August 02, 2022
*.198.16.17

하나님의 거룩하심이라는 게, 9절 맥락에서 보니 인간과는 차원이 다른 분이라는 뜻이었네요.

막연하게 상투적으로 생각했던 거룩함을 뒤집는 시각입니다.

하나님의 긍휼하심을 입고 있다는 사실을 매 순간 의식하며 산다면, 

더 바랄 것도, 불만족에 빠져 삶을 비관할 것도 없을 텐데 말입니다.

목사님의 설교와 가르침을 통해서 요즘 새롭게 기독교 신앙에 눈 뜨는 중인 것 같습니다.

40대 초중반, 이제까지 이것저것 눈 돌리며 허황된 이상을 좇아 산 것 같습니다. 마음이 급해지기도 하지만 아직 늦지 않았으니 이제부터라도 더욱 심화된 기독교 영성의 길로 들어가고 천착하고 싶습니다. 평생 수행하는 자세로.

오늘 아침도 키리에 엘레이손을 고백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02, 2022
*.201.3.230

좋은나무 님의 대글이 설교자에게도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새롭게 기독교 신앙에 눈 뜨는 중이라는 말은

제 설교가 좋은나무 님에게 공명 되었다는 뜻이라서 

설교자인 저에게 더할나위 없는 기쁨이 됩니다.

누가 앞섰다고 할 수 없으니 서로 자기가 선 자리에서 

'구원을 이루라.'(빌 2:12)는 말씀을 화두로 삼아 

기독교 영성의 깊이로 구도정진했으면 합니다.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August 02, 2022
*.118.117.232

북이스라엘은 핵심 도시 두 군데인 사마리아와 벧엘에 하나님께 제사를 바칠 수 있는 성소를 만들었습니다-북이스라엘은 핵심 도시 두 군데인 벧엘과 단에 하나님께 제사를 바칠 수 있는 성소를 만들었습니다(왕상 12:29).

목사님, 사마리아에도 성소가 있었습니까?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02, 2022
*.201.3.230

와, 왕상12:29절이 말하는 금송아지 제작과 설치 건을 짚으셨군요.

대단하십니다.

금송아지와 성소의 관계는 제가 잘 모르겠고요.

사마리아는 북이스라엘의 수도이니까 성소가 있는 건 당연하고,

남유대와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벧엘에 성소가 있는 것도 당연합니다.

사실 '단'은 저 북쪽 끝에 있는 별볼일 없는 마을이라서 

성소가 없을 가능성이 높아요.

여로보암이 르호보암에 반역하여 북이스라엘을 세우면서

금송아지를 북쪽 단과 남쪽 벧엘에 정책적으로 설치한 건 맞겠지요.

사마리아와 벧엘에 성소가 있었다는 정보는

독일성서공회해설 <성경전서> 1256쪽에 나옵니다.


profile

[레벨:7]제통

August 03, 2022
*.127.118.219

이스라엘 여행가서 단의 성소유적지를 보았습니다. 얼마나 역사적으로 고증된 것인지는 모르겠고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03, 2022
*.201.3.230

성지순례를 다녀오셨군요. 단만이 아니라 여러 곳에 성소가 있었을 겁니다.

그 성소는 토착종교를 제사하는 '산당'이기도 하고요.

솔로몬이 일천 마리 양을 잡아 바친 일천번제 장소도 그런 산당(왕상 3:4)이고요.

솔로몬이 원래 애굽 바로의 딸을 아내로 데려왔으니까 

왕궁 어느 구석에는 애굽 종교 산당도 있었겠지요.

저는 기회가 되면 갈릴리 호수 근방과 사마리아 지역을 다녀오고 싶습니다.

예루살렘에는 성전이 없으니 크게 매력적이지 않고요.

아, 이스라엘과 터키는 그리스도인 여행객들을 끌어모으려고 

별 근거도 없는 유적을 그럴듯하게 꾸몄을지도 모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423
1051 기타 무엇을 기다리는가? [3] [2] 2004-06-14 19898
1050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136
1049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377
1048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8083
1047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702
1046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3950
1045 기타 숨겨진 미래를 기다림 2004-06-30 12044
1044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248
1043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461
1042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352
1041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396
1040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538
1039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500
1038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607
1037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082
1036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704
1035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690
1034 기타 두려움을 넘어서 [3] [2] 2004-07-02 11644
1033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366
1032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237
1031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4018
1030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4937
1029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417
1028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710
1027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621
1026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435
1025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2976
1024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252
1023 기타 야곱의 하나님 체험 [1] [1] 2004-07-02 12102
1022 기타 종말론적인 삶 (벧전 4:1-11) [1] 2004-07-02 11886
1021 기타 은폐와 노출 [3] 2004-07-02 11597
1020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3933
1019 기타 흔들리지 않는 터전 [1] 2004-07-02 11623
1018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512
1017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277
1016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282
1015 기타 삶으로서의 예배 [1] 2004-07-02 9815
1014 기타 말의 구원론적 능력 [1] 2004-07-02 11976
1013 기타 불평을 넘어서 존재의 기쁨으로 [1] 2004-07-02 9496
1012 기타 주님의 재림과 생명의 완성 [1] 2004-07-02 9507
1011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359
1010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781
1009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501
1008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368
1007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751
1006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099
1005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0926
1004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271
1003 기타 막힘에서 열림으로! 2004-07-02 12268
1002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379
1001 기타 야훼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 [1] 2004-07-02 11541
1000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2924
999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250
998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728
997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110
996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353
995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398
994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459
993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2042
992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013
991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470
990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9972
989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338
988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8942
987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720
986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544
985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631
984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354
983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403
982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268
981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551
980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621
979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275
978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531
977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818
976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697
975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358
974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424
973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395
972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095
971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9889
970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232
969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288
968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244
967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135
966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638
965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291
964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226
963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331
962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019
961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389
960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098
959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8887
958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477
957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590
956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618
955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432
954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2994
953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571
952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032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