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8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기타 조회 수 9652 추천 수 29 2004.07.02 16:36:07
성경본문 : 요한복음 4:16-24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요 4:16-24

사마리아 여인
요한복음 4장에는 그 유명한 사마리아 여인과 예수님의 대화가 나옵니다. 이 사건이 특별히 주목받
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사마리아라는 지역이 그렇습니다. 북쪽 갈릴리와 남쪽 유다의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끼어있는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불미스러운 일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부터 '왕따'를 당했
습니다. 경건한 사람들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여행하거나 반대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올 때 사마리아
땅을 거치지 않으려고 일부러 멀리 우회할 정도였습니다. 그렇게 문제가 많은 지역을 예수님은 아무 거
리낌 없이 들어가셨다가 수강 성 우물가에서 한 여자를 만났습니다. 우리나라의 옛 그림이나 소설에도
나옴직한 장면인데, 예수님은 그 여자에게 마실 물을 달라고 했습니다. 웬 낯선 남자가 초면의 아낙네
에게 물을 달라는 것도 괴이쩍었습니다만, 그 남자가 유대인이고 그 여자가 사마리아 사람이라는 사실
이 더욱 해괴했습니다. 그 당시에 유대인과 사마리아 사람과는 상종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여튼 그
당시의 상식적인 관점에서 자연스럽지 못한 만남이었지만 예수님의 적극적으로 자세로 인해서 이 두 사
람 사이의 대화가 매우 깊은 정신적인 세계로 밀려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예수님이 이 여자에게 전혀 의외의 말씀을 하셨습니다. "가서, 남편을 불러오라."(16
절). 당황한 이 여자는 남편이 없다고 대답합니다(17절). 그러자 이 여자의 실상을 이미 파악하고 있던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남편이 없다는 말은 숨김없는 말이다. 너에게 남편이 다섯이나 있었고
지금 함께 살고 있는 남자도 사실은 네 남편이 아니니 너는 바른 대로 말하였다."(18절). 이런 대목에
이르면 예수님이 좀 짓궂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사마리아 여자의 부도덕한 삶을 책망하실 게 아니었다
면 과거에 다섯 남자와 살았다는 사실을 지적할 필요까지는 없었던 것 아닐까요? 예수님은 어디서나 사
람들의 부도덕성 자체를 나무란 일은 별로 없습니다. 삭개오를 만났을 때도 그렇고, 세리 마태를 제자
로 삼았을 때도 그렇고, 동네에서 손가락질 받던 어떤 여자를 만났을 때도 그랬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런 사람들의 부도덕한 행위를 잘했다는 뜻이 아니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사람들을 만나신 것입니다.
오늘 여러 남자를 거친 이 사마리아 여자의 행적을 거론한 것도 그 행위 자체를 책망하기보다는 대화를
영적인 깊이로 끌어가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사마리아 여자가 보인 태도를
보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연 선생님은 예언자이십니다."(19). 아마 이 여자는 자신의 과거를
짚어내는 능력을 보고 예수님을 예언자라고 고백했습니다.
이 사마리아 여자도 자기 방어 능력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남편을 데리고 오라는 말을 듣고 예수님
을 예언자라고 추켜세우더니 대화의 방향을 다른 곳으로 돌립니다. "그런데 우리 조상은 저 산에서 하
느님께 예배드렸는데 선생님네들은 예배드릴 곳이 예루살렘에 있다고 합니다."(20). 이제 남편을 여러
명 갈아 치웠던 과거는 사라지고 유대인과 사마리아 사람 사이에 놓여 있는 매우 델리케이트한 예배 장
소문제가 대화의 주제로 부각되었습니다. 이 여자가 이런 주제에 대해서 호기심이 많은 탓인지 아니면
자신의 곤란한 형편을 벗어나기 위해서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는 것인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지만 이 여
자는 매우 중요한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예수님과의 대화를 진지하게 만들었습니다. 사마리아 사람들과
유대 사람들이 서로 다른 곳에서 예배드린다는 이 여자의 말에는 어두웠던 이스라엘의 역사가 담겨 있
습니다. 사마리아 사람들은 유대인들의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이 아니라 자기들 땅에 있는 그림신 산이
곧 하나님께 예배드릴 적소라고 생각했습니다. 주로 모세 오경만을 성서로 인정하고 있던 사마리아 사
람들은 아브라함과 모세 등, 중요한 인물들에게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들을 사마리아 지역에 있는 그림
신 산과 연결시켜서 해석함으로써 예루살렘에 성전을 갖고 있던 유대인들과 갈등을 빚었습니다.
판넨베르크는 어떤 설교에서 이 본문을 최초의 종교간의 대화라고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사마리아
의 그림신 산과 유대의 예루살렘 사이에 벌어진 대화 말입니다. 종교간의 갈등과 대화는 여러 면에서
어렵습니다. 종교는 자체 안에 절대적인 경험을 담고 있기 때문에 그것이 상대화할 위험성을 감수하면
서까지 대화에 나서기는 힘든 형편입니다. 특히 기독교는 다른 종교에 비해서 훨씬 강도가 높은 배타성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변의 종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간혹 목사들 중에서도 석
탄일을 맞아 축하 현수막을 내다 거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그런 일은 거의 별종들이나 하는 짓거리로
치부됩니다. 요즘 연일 이라크에서 벌어지는 미군들의 야만적 행위가 보도되고 있는데, 그들의 그런 행
위가 미국의 제국주의적 발상에 근거하고 있기는 하지만 내면적으로는 이슬람교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독선적인 감정이 작용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모든 종교가 자기의 특성을 허물어뜨리고 '좋은 게 좋
다'는 식으로 혼합적 형태를 보이는 게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진리론적 태도로 대화의 가능성
은 늘 열어놓아야 할 것입니다.

종파간의 갈등
이제 예수님은 이 여자의 문제 제기에 대해서 답을 주십니다. "내 말을 믿어라. 사람들이 아버지께
예배를 드릴 때에 '이 산이다' 또는 '예루살렘이다' 하고 굳이 장소를 가리지 않아도 될 때가 올 것이
다."(21). 이 말씀이 예수님의 친언(親言)인지, 아니면 예수님의 입을 빌린 요한의 신앙고백인지 우리
가 지금 정확하게 분별하기는 힘들지만 어떤 경우라고 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결
국 성서를 기록한 사도들이나 그 사도들의 제자, 혹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예수
님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런 차이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예수님은 예배의
본질을 정확하게 해명하고 있습니다. 예배드릴 장소가 아니라 예배 받으실 하나님과 사람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말씀입니다. 그 이전까지는 사람들이 장소로 인해서 서로 자기들이 옳다고 주장했지만 이제
예수님의 등장으로 인해서 그런 다툼이 무의미해진 것입니다. 사마리아 사람들이 그림신 산에서 예배드
려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그들로서는 절실한 문제였습니다. 늘 무시당하는 것도 억울한데 하나님께
예배드리기 위해서 유대인들의 본산지인 예루살렘으로 간다는 것은 도저히 견뎌낼 수 없는 치욕이었습
니다. 그들의 입장에서 하나님은 반드시 그림신 산에서 자신들을 만나주시는 분이어야만 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본문에서 거론되고 있는 그림신 산과 예루살렘 같은 문제로 갈등하지는 않지만 약간 다
른 관점에서 여전히 이런 닫힌 마음을 갖고 살아갑니다. 사마리아 여자가 반드시 그림신 산에서 예배를
드려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은 곧 오늘 우리에게 거의 절대적인 도그마로 자리잡은 개교회 중심주의를
의미합니다. 이런 강도가 심한 교회에서는 교인들이 먼 곳에 출타하더라고 주일은 반드시 본교회에 돌
아와서 지키라고 가르칩니다. 신앙인들도 인간인 이상 자신들만의 동류 의식에서 강한 연대감을 느낄
수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거의 조폭들의 패거리 의식처럼 강화되어 있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이런 방식
으로 신앙이 굳어진 사람들은 다른 교회에서 예배드리는 것이 어색할 뿐만이 아니라 예배를 드렸다는
느낌도 없게 됩니다.
예배를 드릴 때 굳이 장소를 가리지 않아도 될 때가 온다는 예수님의 말씀을 좀더 넓게 해석한다면
어느 한 시점에, 그리고 어떤 형식을 통해서 드리는 예배만이 아니라 우리의 삶 전체가 곧 예배로 승화
되어야 한다는 뜻으로 새길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장소가 무의미해진다는 것은 일정
한 시간의 절대성도 사라졌다는 뜻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대인들은 늘 일정한 공간과 시간을 거룩하게
여기고 그런 장소와 시간에 절대자와 만난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이제 예수님에 의해서 그런 시공간의 거
룩성은 밀려나게 되었습니다. 이런 경험은 인간에게 일종의 자유입니다. 그림신 산과 예루살렘이 더 이
상 그들을 지배할 수 없다는 자유입니다. 그 자유는 방종의 수단이 아니라 훨씬 깊은 차원의 예배를 경
험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를 구속하는 시간과 장소가 사라짐으로써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를 통해
서 이제 우리는 모든 시간을 통해서 하나님과의 교제가 가능해졌다는 뜻입니다.

영이신 하나님
하나님께 예배를 드릴 때 굳이 장소를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오늘 우리에게는 매우 자연스럽게
들릴지 모르지만 예수님 당시에는 아주 파격적이었습니다. 예수님은 이런 식으로 기존의 발상을 깨곤
했습니다. 식사하기 전에 손을 씻든 씻지 않든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거나 안식일을 위해서 사
람이 있는 게 아니라 사람을 위해서 안식일이 있다는 말씀 등이 그렇습니다. 예수님이 일부러 파격적으
로 보이려고 그렇게 하신 게 아니라 당신 자신에게는 매우 자연스러운 일을 하셨을 뿐인데 다른 사람들
에게 그렇게 보였을 뿐입니다. 지금도 성지 순례를 대단한 것인 양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형편인데,
2천년 전이야 오죽했겠습니까? 예루살렘 성전에서 예배를 드리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 제사장들이나 사
두개인들에게 들어갔다면 예수를 당장 멍석말이 해야한다고 들고일어났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무슨 근
거에서 이런 말씀을 하실 수 있었을까요?
23,24절 말씀을 읽겠습니다. "그러나 진실하게 예배하는 사람들이 영적으로 참되게 아버지께 예배를
드릴 때가 올 터인데 바로 지금이 그 때이다.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예배하는 사람들을 찾고 계신다. 하
느님은 영적인 분이시다. 그러므로 예배하는 사람들은 영적으로 참되게 하느님께 예배드려야 한다." 이
말씀에서 우리는 참된 예배가 무엇이며, 그런 예배를 드려야 할 이유가 무엇인지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24절에 하느님이 어떤 존재인지, 그래서 우리가 드려야 할 예배가 어떠해야하는지 정확하게 설명
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은 영적인 분이시다"가 무슨 뜻인지 설명하는 작업만 해도 한 두 시간으로 끝나지 않을 것입
니다. 물론 우리는 '영적인'이라는 말을 대충 이해하기는 합니다만 정확하게 인식하거나 더구나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헬라어 문장은 이렇습니다. "프뉴마 호 테오스". 일반적으로 '영'이
라고 해석되는 '프뉴마'는 구약의 '루아흐'에 해당되는데 주로 생명의 힘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원래 스
토아 학자들은 신의 본성을 '프뉴마'라고도 했으며, 또는 '누스'(정신)라고도 했습니다. 프뉴마나 누스
모두 인간처럼 가시적 존재가 아닌 존재를 가리킬 때 사용되긴 했습니다만, 반드시 그런 것만도 아닙니
다. 어쨌든지 여기서 "하느님은 영이시다"는 말은 우리가 하나님을 볼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다는 뜻입
니다. 우리에게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공허하다는 뜻이 아니라 우리의 감각적 수단이 아니라 그분의 특
별한 방식으로 자신의 뜻을 우리에게 알리신다는 뜻입니다. 말씀을 통해서, 그리고 예수의 사건을 통해
서 우리에게 계시하시는 하나님이라는 것입니다. 보른캄은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하느님은 영이시다!
이것은 분명히 다름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그는 거기에 현재하고 있으며, 우리를 기다리고 계시다. 실
제로 그는 단순히 기다릴 뿐만 아니라 마치 아버지가 돌아온 탕자를 맞기 위해서 달려가듯이 두 팔을
벌리고 우리를 향해 달려오고 있다."
위에서 좀 까다로운 문제를 신학적으로 설명했기 때문에 여러분의 생각이 더 혼란스러워졌을지 모르
겠습니다. 복잡하게 생각되면 그냥 잊어버려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 이 말씀을 하게 된 배경을
염두에 두십시오. 사마리아 여자가 끄집어들인 예배 장소의 문제는 역사적 매우 복잡한 문제들이 연루
되어 있다고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그들이 그렇게 예배 장소에 집착하게 된 이유에는 훨씬 근원적인
요소가 개입되어 있습니다. 그들이 생각하는 하나님은 여전히 실체처럼 여겨졌다는 것입니다. 흡사 헬
라의 제우스가 올림포스 산에 거주하듯이 하나님은 예루살렘 성전에, 또는 그림신 산에 거주한다고 생
각했습니다. 한 신이 한 장소에 거주한다는 것은 공간적으로 제한 받는다는 뜻입니다. 그게 곧 실체론
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하나님을 영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제 하나님은 인간들이 공간적으로, 그
리고 실체론적으로 생각하든 방식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우리를 찾아오셨습니다. 하나님은 영이
기 때문에, 우리에게 영적으로 찾아오십니다. 그렇다면 '영적인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하나님을 안다
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매오 복잡한 의미를 담고 있는 영이라는 단어를 위에서 잠시 언급한 것만 해
도 복잡한데 여기서 더 이상 이 문제로 시간을 끌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에 영이신 하나님에게 드려야
할 예배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을 확인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봅니다.

진리의 영
"예배하는 사람들은 영적으로 참되게 하느님께 예배드려야 한다."(24). '영적으로 참되게'라는 표현
은 헬라어 본문에 '프뉴마티 카이 알레테이아'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프뉴마티는 프뉴마의 어미
변화이고, 카이는 '그리고'라는 접속사, 알레테이아는 '진리'라는 뜻입니다. 요한복음은 영과 진리를
동격으로 표현합니다. 이 말은 곧 영과 진리가 동일한 것이라는 뜻일 수 있고, 아니면 최소한 영과 진
리가 서로 소통하는 관계라는 뜻입니다. 요한복음 14장17절에도 매우 귀중한 단어가 나옵니다. 예수님
이 제자들에게 앞으로 성령을 보내겠다는 약속을 하시면서 그 성령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분은 곧
진리의 성령이시다. 세상은 그분을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기 때문에 그분을 받아들일 수 없지만 너
희는 그분을 알고 있다. 그분이 너희와 함께 사시며 너희 안에 계시기 때문이다." 토 퓨뉴마 테스 알레
테이아스. 즉 진리의 영이 곧 성령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영이신 하나님께 영적으로, 진리의 마음으로
드려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영적이라는 말은 곧 참되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성령강림절입니다. 사도행전 2장에 보도된 대로 예수님이 부활 승천하신 다음, 오순절에 성
령이 제자들에게 특이한 현상으로 경험된 사건을 기리는 주일입니다. 기독교는 단지 성령 강림절에만
성령을 생각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삼위일체'의 신앙 안에서 성령을 하나님으로 믿고 있습니다. 그런데
적지 않은 기독교인들이 이 성령을 기이한 현상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40일 금식기도를 하고 성령의 충
만함을 받았다든지, 열광적인 신앙에 빠지는 것을 보고 성령 충만하다고 말합니다. 물론 성령이 그런
방식으로 경험될 수도 있지만, 그런 방식에 치우치면 성령을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성령은 말 그대로
거룩한 영입니다. 이 영은 오늘 본문과 요한복음 14장17절에 나오는 퓨뉴마와 똑같은 단어로 표기됩니
다. 따라서 성령은 우리로 하여금 진리를 깨닫게 하는 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참된 것을 참된 것으로
분별할 줄 아는 능력이야말로 성령 충만의 증거입니다.
그러나 오해하지는 마십시오. 이 세상의 학문이 깊어야만 진리를 분별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른 지
식이라고 한다면 그것이 도움은 되지만 늘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생물학이나 물리학, 또는 철학과 역사
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사람들 중에서도 그런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적인 힘인 하나님을 느끼는 사람
이 있고, 전혀 반대로 나가는 사람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오늘 성령감림절을 맞는 우리 한국 교회에 필요한 것은 영의 진리론적 차원을 회복하는 일입니다.
엉뚱한 것에 치우치면서 성령을 받았다고 고집만 부릴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 얼마나 진리에 가까운
지, 얼마나 참되고 진실한지 되돌아봄으로써 성령이 강림한 증거를 보여야 할 것입니다.
2004. 5.30.          
profi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8281
1048 기타 무엇을 기다리는가? [3] [2] 2004-06-14 19799
1047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016
1046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281
1045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7971
1044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588
1043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3849
1042 기타 숨겨진 미래를 기다림 2004-06-30 11946
1041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157
1040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355
1039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223
1038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292
1037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429
1036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397
1035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514
1034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2986
1033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605
1032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598
1031 기타 두려움을 넘어서 [3] [2] 2004-07-02 11557
1030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276
1029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137
1028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3961
1027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4882
1026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328
1025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654
1024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553
1023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371
1022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2904
1021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173
1020 기타 야곱의 하나님 체험 [1] [1] 2004-07-02 12005
1019 기타 종말론적인 삶 (벧전 4:1-11) [1] 2004-07-02 11841
1018 기타 은폐와 노출 [3] 2004-07-02 11543
1017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3877
1016 기타 흔들리지 않는 터전 [1] 2004-07-02 11559
1015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461
1014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196
1013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221
1012 기타 삶으로서의 예배 [1] 2004-07-02 9754
1011 기타 말의 구원론적 능력 [1] 2004-07-02 11899
1010 기타 불평을 넘어서 존재의 기쁨으로 [1] 2004-07-02 9440
1009 기타 주님의 재림과 생명의 완성 [1] 2004-07-02 9447
1008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313
1007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733
1006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457
1005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280
1004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683
1003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044
1002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0880
1001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223
1000 기타 막힘에서 열림으로! 2004-07-02 12217
999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325
998 기타 야훼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 [1] 2004-07-02 11468
997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2787
996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185
995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678
994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059
993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293
992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323
991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399
990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1981
989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9958
988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397
987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9897
986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270
985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8839
»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652
983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432
982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573
981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288
980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331
979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172
978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459
977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545
976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178
975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425
974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760
973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632
972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310
971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325
970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328
969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8994
968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9825
967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126
966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186
965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128
964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072
963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548
962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189
961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129
960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269
959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8929
958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332
957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047
956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8803
955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405
954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522
953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551
952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358
951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2924
950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500
949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0970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