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종의 노래 Ⅲ (사 50:4-9)

창조절 조회 수 5467 추천 수 0 2018.09.16 21:07:35
설교듣기 : https://youtu.be/LTEMYMIhKU4 
설교보기 : http://afreecatv.com/nfermata 
성경본문 : 이사야 50:4-9 

종의 노래

50:4-9, 창조절 셋째 주일, 2018916

 

4.주 여호와께서 학자들의 혀를 내게 주사 나로 곤고한 자를 말로 어떻게 도와 줄 줄을 알게 하시고 아침마다 깨우치시되 나의 귀를 깨우치사 학자들 같이 알아듣게 하시도다 5.주 여호와께서 나의 귀를 여셨으므로 내가 거역하지도 아니하며 뒤로 물러가지도 아니하며 6.나를 때리는 자들에게 내 등을 맡기며 나의 수염을 뽑는 자들에게 나의 뺨을 맡기며 모욕과 침 뱉음을 당하여도 내 얼굴을 가리지 아니하였느니라 7.주 여호와께서 나를 도우시므로 내가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고 내 얼굴을 부싯돌 같이 굳게 하였으므로 내가 수치를 당하지 아니할 줄 아노라 8.나를 의롭다 하시는 이가 가까이 계시니 나와 다툴 자가 누구냐 나와 함께 설지어다 나의 대적이 누구냐 내게 가까이 나아올지어다 9.보라 주 여호와께서 나를 도우시리니 나를 정죄할 자 누구냐 보라 그들은 다 옷과 같이 해어지며 좀이 그들을 먹으리라.

 

교회력에 따른 오늘의 제 1독서에는 매우 특별한 내용이 나옵니다. 이 내용을 정확히 알고 받아들일 수 있다면 성경이 가리키는 가장 깊은 신앙의 경지를 맛보게 될 겁니다. 이 본문은 일명 종의 노래로 불립니다. 하나님의 종이 겪어야 할 운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사야에는 종의 노래로 불리는 대목이 세 군데입니다. 하나는 사 42:1-4절이고, 두 번째는 사 49:1-6절이며, 오늘 본문이 세 번째입니다. 이 노래들은 바벨론 포로 시대를 배경으로 합니다. 바벨론 포로 시대라는 사실만으로도 종의 노래는 몹시 어려운 시절을 살던 사람에 의해서 기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 편 중에서 우리가 오늘 설교 본문으로 삼은 세 번째 말씀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보입니다. 길지 않은 구절이라서 오늘은 각각의 구절을 가능한 차례대로 설명하는 게 좋겠습니다.

 

4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 여호와께서 학자들의 혀를 내게 주사 나로 곤고한 자를 말로 어떻게 도와 줄 줄을 알게 하시고 아침마다 깨우치시되 나의 귀를 깨우치사 학자들 같이 알아듣게 하시도다.” 이 사람은 곤고한 사람을 말로 도와주고 싶어 합니다. 그의 주변에는 고달프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바벨론 포로 시대라는 걸 감안하면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그는 그들의 문제를 직접 해결해줄 수는 없어서 대신 말로라도 도와주어야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돕는 일이 바로 목사의 역할이고 교회의 역할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오늘날 세상에서 고달프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문제가 무엇인지 여러분은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일자리로 인해서 고달프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집값의 폭등으로 상대적인 박탈감에 떨어진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런 문제를 교회가 일일이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주어진 조건 가운데서 도울 수 있는 한 최대한 도와야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이 절망하지 않도록 말로, 즉 하나님의 말씀으로 위로하는 겁입니다.

말로 위로한다는 게 쉽지 않습니다. 마음이 속에서 우러나오지 못하면 말도 못합니다. 빈말은 위선이라는 게 곧 드러납니다. 진정성을 담아 위로의 말을 전하려면 우선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을 알아들을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종의 노래를 부르는 이 사람은 나의 귀를 깨우치사 학자들 같이 알아듣게 하시도다.’라고 고백합니다. 단순히 귀가 있다고 해서 말씀을 알아듣는 게 아닙니다. ‘들을 귀가 필요합니다. 잘 알아들으려면 학자의 영성이 필요합니다. 학자들의 태도로 삶을 성찰해야 한다는 뜻이겠지요. 그런 것 없이 세상 상식과 자기 경험에만 의존하는 사람은 귀가 열리지 않습니다.

 

5절 말씀을 들어보십시오. 주 여호와께서 나의 귀를 여셨으므로 내가 거역하지도 아니하며 뒤로 물러가지도 아니하며 ... ” 이 사람은 다행스럽게도 하나님의 말씀에 귀가 열렸습니다. 주 여호와께서 열어주신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서 자신을 초월하는 어떤 힘을 경험했습니다. 말씀의 빛이 그에게 왔습니다. 그는 그 말씀을 대충이 아니라 온전히 의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선지자들의 신탁 경험이 바로 이런 겁니다. 하나님이 자신을 붙들어서 말씀을 주시고, 그 말씀을 선포하게 하셨다는 확신입니다. 위대한 작곡가나 화가의 경험에 대해서 들어보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예술적인 경험을 밖에서 주어진 것으로 여깁니다. 정확한 이야기입니다. 하이데거 식으로 말하면 그게 존재의 빛입니다. 저도 설교를 하고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그런 비슷한 경험을 종종 합니다. 제가 무엇을 궁리해서 짜내면 늘 거기서 거기의 생각밖에 할 수 없습니다. 어느 순간 평소에 제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깨우침과 발상이 떠오를 때가 있습니다. 그것은 나의 내면에서 나온 게 아니라 밖에서 주어진 것입니다. ‘종의 노래를 부르는 이 사람의 경험이 바로 그런 것이기에 하나님의 말씀에 완전히 사로잡혀서 내가 거역하지도 않고 뒤로 물러가지도 않겠다.’고 담대하게 고백할 수 있었습니다.

 

6절 말씀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를 때리는 자들에게 내 등을 맡기며 나의 수염을 뽑는 자들에게 나의 뺨을 맡기며 모욕과 침 뱉음을 당하여도 내 얼굴을 가리지 아니하였느니라.” 이 사람은 지금 견딜 수 없는 상황에 떨어진 상태입니다. 사람들이 그의 등을 채찍이나 몽둥이로 때립니다. 그의 수염을 뽑고, 침을 뱉습니다. 요즘도 이슬람권의 어느 지역에서는 이런 일들이 벌어진다는 소식을 듣습니다. 어떤 여자가 잘못했을 경우에 마을 광장에서 공개적으로 회초리로 때립니다. 남자의 경우에는 훨씬 굵은 몽동이 찜질을 합니다. 우리는 아무리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라도 이런 방식으로 처벌하지 않습니다. 고문할 수도 없습니다. 그들의 방식이 미개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런 방식으로 대중들의 분노를 해소시키고 억제했다는 점에서는 나름으로 의미가 있긴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런 일들이 공개적으로 일어났다는 사실입니다. 실제로 몸의 고통도 고통이지만 더 큰 고통은 모욕감입니다. 종의 노래를 부르는 이 사람은 고대 유대 사회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실행되던 공개 모욕을 당하는 중입니다.

그런데 이 사람은 모욕을 모욕으로 느끼지 않았습니다. 자신을 때리는 사람에게 등을 맡기고, 수염을 뽑는 사람에게 마음대로 하시오.’라는 심정으로 뺨을 맡겼고, 사람들이 침을 뱉어도 얼굴을 가리지 않았습니다. 뻔뻔스러운 것일까요? 아니면 대담한 것일까요? 그가 무슨 힘으로 이런 상황을 버텨낼 수 있었을까요? 구약에서 이와 비슷한 상황에 떨어진 인물들이 제법 됩니다. 그중에 대표는 욥입니다. 동방의 의인으로 인정받던 욥은 졸지에 손가락질 받는 인물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는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 자신의 몸마저 악성 피부병에 걸렸습니다.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은 사람이라는 평판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친구들은 한결같이 그에게 회개를 요구합니다. 그러나 욥은 자신에게 죄가 없다고 끝까지 버팁니다. 당시의 전통적인 세계관과 신앙관에 맞선 힘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요?

이 물음에 답하기 전에, 답은 여러분들이 이미 알고 있겠지만, 저는 이 사람의 상황이 오늘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는가를 생각했습니다. 아무리 신앙적으로 감동적인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그게 나의 문제로 와 닿지 않으면 무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 사람은 지금 모욕을 당하는 중입니다. 그런 모욕을 당할 정도로 잘못이 있다면 모르겠지만 그는 억울하게 모욕을 당합니다. 근본적인 깊이에서 보면 현대 사회도 모욕을 받느냐, 모욕을 주느냐 하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서울의 어느 지역에는 장애인 학교 설립으로 인해서 수년 동안 비인간적인 행태들이 반복되었습니다. 노골적으로 말하면 장애인 학교 설립으로 인해서 집값이 떨어지니까 반대하는 겁니다. 일종의 님비 현상입니다. 공해 시설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화장터가 들어오는 것도 아니고, 유곽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었는데 말입니다. 장애인 부모들은 무릎 꿇고 하소연했습니다. 모욕을 당한 겁니다. 요즘은 가난하면 모욕을 당합니다. 모욕당하더라도 자신이 모욕감을 느끼지 않으면 되겠지만, 그게 어디 쉽습니까? 최선은 모욕과 혐오가 없는 세상을 향해서 우리가 함께 진보하는 겁니다. 이렇게 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지금의 우리 자식이나 그 후손들이 언젠가 모욕당하는 신세로 떨어질지 모릅니다. 가장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가난하기에 자식들 교육을 못 시키거나 병 치료를 못 받거나 일정한 거처를 마련하지 못하는 일들은 없는 세상이 되어야 합니다.

 

7절에서 우리는 종의 노래를 부르는 이 사람이 무슨 힘으로 모욕적인 상황을 버텨냈는지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주 여호와께서 나를 도우시므로 내가 부끄러워하지 아니하고 내 얼굴을 부싯돌 같이 굳게 하였으므로 내가 수치를 당하지 아니할 줄 아노라.” 비슷한 내용이 9절에도 나옵니다. 답은 주 여호와께서 나를 돕는다.’입니다. 우리가 흔히 들었던 문장입니다. 어떤 이들은 이 말씀을 막연하게 받아들입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이 어떤 것인지 실제로 경험해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 어떤 이들은 그런 도움이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인들에게는 이런 생각이 더 강할 겁니다. 자기가 노력한 만큼 인생을 살면 충분하지 하나님의 도우심까지 기대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그들은 하나님이 도와주심으로 자신의 인생은 술술 잘 풀린다고 주장하는 기존의 잘못된 기독교 신앙에 반발하는 겁니다. 미신적이고 광신적으로 하나님을 믿지 않겠다는 거지요. 무슨 뜻인지 알겠지만 그것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태도입니다. 하나님이 도우신다는 말은 요행수를 기다린다는 게 아닙니다. 자신에게 일어난 어려운 일들이 말끔하게 해결된다는 뜻도 아닙니다. 하나님은 돈 몇 푼 받고 문제를 해결해주는 심부름센터 소장이 아닙니다. 본문에 나오는 내가 수치를 당하지 아니할 줄 아노라.’는 표현 역시 실제로 모욕적인 상황에서 벗어나게 될 때를 기다린다는 뜻이 아닙니다.

본문은 종의 노래라는 제목으로 분류되는 일련의 노래 중에서 마지막 노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는 자신이 당하는 모욕과 수치를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무슨 일로 이런 모욕과 수치를 당하는지는 본문이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다가 당하게 되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지금 유대인들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간 신세입니다. 바벨론 제국이 유대인들을 자신들의 문화에 동화시키기 위해서 요구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런 요구를 따르면 비록 포로생활이라고 하더라도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바벨론 제국의 요구를 따르지 않는 게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많은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계속해서 미운털이 박혔습니다. 그러다가 억울한 일로 바벨론 당국에 체포되었을지 모릅니다. 그는 자신에게 닥친 모욕과 수치의 운명을 하나님의 뜻이라고 받아들였습니다. 따라서 그걸 벗어나는 건 오히려 하나님의 뜻을 거스르는 것입니다. 모욕과 수치스러운 상황을 견뎌낼 수 있도록 하나님이 자신을 돕는다고 그는 노래하는 중입니다.

 

하나님이 어떤 방식으로 돕는다는 것일까요?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입니다. 사람으로부터는 모욕과 수치를 당하더라도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는 인정을 받고 있어서 그는 이 상황을 버텨낼 수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서 이 사람에게는 모욕과 수치가 오히려 자랑스러운 일이 됩니다. 그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인정받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8절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를 의롭다 하시는 이가 가까이 계시니 나와 다툴 자가 누구냐 나와 함께 설지어다 나의 대적이 누구냐 내게 가까이 나아올지어다.” 지금 제가 설교자로서 본문에 나오는 사람의 입장을 그럴듯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이 사람처럼 살 자신은 없습니다. 다만 그의 처지와 마음과 믿음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기에 저도 그런 신앙의 경지에 이르기 바랄 뿐입니다. 모욕과 수치마저 구원의 근거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경지 말입니다. 가난과 고독마저 구원의 기회가 된다는 사실을 완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하나님의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럴 때 존재의 용기, 신앙의 용기가 가능하겠지요. 지금 설교를 듣는 여러분도 같은 심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놀라운 사실을 한 가지 더 선포합니다. 자신을 의롭다고 인정하신 하나님이 가까이 계시다는 겁니다. ‘하나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예수님의 말씀과 서로 통하는 의미입니다. 이게 리얼하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공허하게 들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리얼하게 느끼는 사람은 세상 사람들과는 전혀 다른 관점으로 삽니다. 조금 다른 관점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다른 관점의 삶입니다. 부모 없이 시설에서 사는 아이들과 부모와 함께 사는 아이들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의 노래를 부르는 이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의 의에 근거해서 자신과 다툴 자는 누구냐, 나의 대적인 누구냐, 나서 봐라, 하고 큰소리를 칩니다. 9()절에도 나를 정죄할 자가 누구나?’라고 했습니다. 이런 표현만 보면 잘난척하는 것 같습니다. 그는 진리의 법정에서 떳떳하다는 사실을 문학적으로 이렇게 표현한 것입니다. 바울도 이 사람과 같은 심정으로 롬 8:31절에서 이렇게 외칩니다. “그런즉 이 일에 대하여 우리가 무슨 말 하리요 만일 하나님이 우리를 위하시면 누가 우리를 대적하리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만 자신의 정당성이 확보된다는 믿음입니다. 마틴 루터는 15213,4월에 보름스에서 열린 제국의회에 호출당해 재판을 받았습니다. 루터는 로마가톨릭교회에 대한 반대 주장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받고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제 양심은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있기에 저는 아무 것도 철회할 수 없으며 또한 철회하지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양심에 역행하는 것은 저에게 안전하지도 않고 올바르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저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제가 서 있습니다. 하나님이 저를 도와주시기를 빕니다. 아멘.”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보다는 사람들에게서 인정받는 게 실제로는 더 좋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하나님으로부터의 의는 멀리 느껴지고 사람으로부터의 의는 실질적인 것으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은 주로 젊은 기독교인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아직 삶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했기에 자신들의 눈앞에서 벌어지는 것들이 인생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해가 갑니다. 그 시절에는 그런 열정으로 당연히 살아야 합니다. 사람과 세상으로부터 인정받는 일에 몰두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나이를 먹으면서 생각이 조금씩 변할 겁니다. 어떻게 변할까요? 궁극적인 운명 앞에서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정받았다는 사실이 별로 큰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고독사를 끔찍한 불행으로 여겨서 사람들을 곁으로 끌어들이지만, 옆에 정다운 사람들이 아무리 많아도 죽음은 본질적으로 다 고독사입니다. 나이가 들면 가능한대로 모든 것들로부터 미리 멀어지는 게 좋습니다. 그렇게 살라고 우리의 시력도 나빠지고, 근력도 약해지고, 기억력도 떨어지는 겁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유일한 취미생활인 테니스를 언제까지 즐길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그것이 나를 의롭게, 즉 궁극적인 평화로운 삶으로 이끌지 못한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테니스 라켓을 손에서 놓을 준비를 늘 하고 있습니다.

종의 노래는 지금 여기서 모욕과 수치를 당하는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말씀이 아닙니다. 우리는 언젠가 이런 노래를 부른 이 사람의 자리에 서게 될 것입니다. 죽음은 일종의 모욕입니다. 모든 살아있는 자들로부터 무시당하는 운명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으니, 지금부터 종의 노래를 부를 필요가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현재 생명 충만한 인생을 실제로 살아가려면 종의 노래가 가리키는 신앙의 깊이를 알아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바로 종의 노래를 실제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신 분이십니다. 그는 우리의 구원자이십니다.


profile

[레벨:17]홍새로

September 20, 2018
*.151.83.22

목사님, 하나님의 도우심이란
나에게 일어난 어려운 일들이 해결되고
모욕적인 상황에서 벗어나는 것인줄 알았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오랫동안 오해를 하면서 살았을까?
그런 상황을 견뎌낼수 있도록 하나님이 도우신다는것을 믿는것이 신앙이군요.
그냥 힘들게 견뎌낸다는 운명론적인 태도가 아니라
나를 의롭다, 죄없다하신 그 하나님이 가까이 계셔서
사람들의 인정이 아니라 하나님 관계에서만
정당성을 인정 받는다는 것을 믿음으로,
이제 모욕과 수치를 당할까 두려워
반사적으로 방어하는것에서 해방되는 기쁨이

하나님의 도우심 인것을 깨닫게 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20, 2018
*.182.156.177

모욕적인 상황을 신앙으로 버텨내는 것이 쉽지 않지요?

오죽했으면 예수님도 십자가의 운명을 벗어났으면 좋겠다고 호소했겠어요.

그걸 버텨내는 것이 기독교 신앙의 극치이니

자신에게 그걸 버텨낼 수 있는 힘이 없더라도 크게 실망하지 말고

그 방향을 향해서 꾸준히 나가기만 하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670
1051 부활절 죽은 자 가운데서 (눅 24:36b-48) [2] 2024-04-14 408
1050 부활절 생명의 로고스 (요일 1:1-10) [2] 2024-04-08 518
1049 부활절 예수 부활의 첫 증인들 (막 16:1-8) [4] 2024-03-31 635
1048 사순절 향유를 손에 든 여자 (막 14:1-11) [4] 2024-03-24 671
1047 사순절 새 언약의 날 (렘 31:31-34) [2] 2024-03-17 582
1046 사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6] 2024-03-10 818
1045 사순절 십자가의 길과 하나님의 능력 (고전 1:18-25) [2] 2024-03-04 865
1044 사순절 예수 승천과 하나님 우편 (벧전 3:18-22) [9] 2024-02-18 1197
1043 주현절 예수의 변모 사건 (막 9:2-9) [5] 2024-02-11 930
1042 주현절 여호와를 믿고 기다리는 사람 (사 40:21-31) [6] 2024-02-05 964
1041 주현절 예수의 배타적 권위 (막 1:21-28) [4] 2024-01-28 881
1040 주현절 부름-버림-따름 (막 1:14-20) [2] 2024-01-21 929
1039 주현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2] 2024-01-14 983
1038 주현절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세례 (행 19:1-7) [5] 2024-01-07 981
1037 성탄절 만물의 찬양 (시 148:1-14) [2] 2023-12-31 1117
1036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2] 2023-12-24 2035
1035 대림절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2] 2023-12-17 2206
1034 대림절 하나님의 날: 새 하늘과 새 땅 (벧후 3:8-13) [2] 2023-12-10 2197
1033 대림절 깨어있음이란? (막 13:24-37) [2] 2023-12-04 2492
1032 창조절 교회는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다! (엡 1:15-23) [2] 2023-11-26 1131
1031 창조절 은혜를 갈망하는 시인 (시 123:1-4) [2] 2023-11-19 1183
1030 창조절 외면당한 사람들 (마 25:1-13) [5] 2023-11-12 1279
1029 창조절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의 역설 (마 23:1-12) 2023-11-07 1029
1028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마 22:41-46) [7] 2023-10-29 1324
1027 창조절 재림신앙 (살전 1:1-10) [4] 2023-10-22 1275
1026 창조절 금송아지 이야기 (출 32:1-14) 2023-10-15 1166
1025 창조절 모퉁이 머릿돌이신 예수 (마 21:33-46) 2023-10-09 1109
1024 창조절 과정으로서의 구원 (빌 2:1-13) 2023-10-01 1150
1023 창조절 하나님의 선하심 앞에서 (마 20:1-16) [2] 2023-09-24 1285
1022 창조절 홍해 이야기 (출 14:21-31) 2023-09-17 1274
1021 창조절 도반 공동체 (마 18:15-20) [4] 2023-09-10 1222
1020 창조절 '악' 앞에서 (롬 12:14-21) [4] 2023-09-04 1403
1019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2023-08-27 1158
101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큰 믿음 (마 15:21-28) [6] 2023-08-20 1520
101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롬 9:1-5) [2] 2023-08-08 1713
1016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에 관한 말씀 (마 13:31-33, 44-50) [2] 2023-07-30 1634
1015 성령강림절 여기 계신 하나님 (창 28:10-19a) [4] 2023-07-23 1768
1014 성령강림절 생명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1-11) 2023-07-16 1308
1013 성령강림절 영혼의 안식 (마 11:16-19, 25-30) [4] 2023-07-09 1596
1012 성령강림절 인신 제사의 유혹 (창 22:1~14) 2023-07-03 1275
1011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4] 2023-06-25 1771
1010 성령강림절 성령과 하나님 사랑 (롬 5:1~8) 2023-06-18 1425
1009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소명 경험 (창 12:1~9) [2] 2023-06-11 1578
1008 성령강림절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 (마 28:16~20) [6] 2023-06-05 1537
1007 성령강림절 평화-파송-성령-사죄 (요 20:19~23) [2] 2023-05-28 1455
1006 부활절 가난한 자의 하나님 (시 68:1~10) [4] 2023-05-21 1757
1005 부활절 "살아있음" (요 14:15~21) [2] 2023-05-14 1579
1004 부활절 어둠에서 빛으로! (벧전 2:2~10) [5] 2023-05-08 1843
1003 부활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벧전 2:18~25) 2023-04-30 1340
1002 부활절 눈이 밝아진 두 제자 (눅 24:28~35) [7] 2023-04-23 1756
1001 부활절 믿음의 깊이 (요 20:24~31) 2023-04-16 2194
1000 부활절 감추어짐과 나타남 (골 3:1~4) [7] 2023-04-09 2391
999 사순절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 (사 50:4~9a) 2023-04-02 1910
998 사순절 하나님의 영 (롬 8:6~11) [4] 2023-03-26 1859
997 사순절 바리새인의 '죄' 문제 (요 9:35~41) 2023-03-19 1850
996 사순절 '르비딤' 광야에서 (출 17:1~7) [6] 2023-03-12 2870
995 사순절 믿음과 영생 (요 3:1~7) [2] 2023-03-05 2270
994 사순절 생명 왕권 (롬 5:12~19) 2023-02-26 2211
993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마 17:1~8) [4] 2023-02-19 2704
992 주현절 양자택일 (신 30:15~20) [3] 2023-02-12 2592
991 주현절 천국 윤리 (마 5:13~20) [4] 2023-02-06 2445
990 주현절 삶의 무게 (미 6:1~8) [4] 2023-01-29 3434
989 주현절 가버나움 사람 (마 4:12~23) [4] 2023-01-22 2489
988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4] 2023-01-15 2568
987 주현절 여호와께 예배하라! (시 29:1~11) [2] 2023-01-09 2534
986 성탄절 나사렛 사람 (마 2:13~23) [4] 2023-01-01 3243
985 성탄절 큰 기쁨의 좋은 소식 (눅 2:1~14) [7] 2022-12-25 3197
984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종 (마 11:2~11) [3] 2022-12-22 3164
983 대림절 구원의 징표 (마 11:2~11) [1] 2022-12-11 4387
982 대림절 여호와를 아는 지식 (사 11:1~10) [3] 2022-12-05 3981
981 대림절 잠듦과 깨어 있음 (마 24:36~44) [2] 2022-11-27 4410
980 창조절 기쁨 충만, 가능한가? (빌 4:4~9) [2] 2022-11-21 2971
979 창조절 마지막에 관한 이야기 (눅 21:10~19) 2022-11-14 2601
978 창조절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선하심 (시 145:1~5, 17~21) 2022-11-07 2547
977 창조절 부르심에 합당한 사람 (살후 1:1~4, 11~12) [2] 2022-10-31 3241
976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4] 2022-10-24 2645
975 창조절 기도의 신비와 능력 (눅 18:1~8) 2022-10-17 4127
974 창조절 하나님께 영광=예수께 영광! (눅17:11~19) [8] 2022-10-11 3259
973 창조절 은혜의 시원적 깊이 (딤후 2:1~11) 2022-10-03 2780
972 창조절 한 부자와 거지 나사로 (눅 16:19~31) 2022-09-26 3563
971 창조절 하나님과 사람 '사이' (딤전 2:1~7) 2022-09-19 3259
970 창조절 하나님을 모르는 하나님의 백성 (렘 4:11~12, 22~28) [1] 2022-09-12 3472
969 창조절 왜 예수 제자인가? (눅 14:25~35) 2022-09-05 3403
968 성령강림절 복된 삶의 역설 (눅 7:1, 7~14) [6] 2022-08-29 3901
967 성령강림절 흔들리지 않는 나라 (히 12:18~29) [4] 2022-08-22 3577
966 성령강림절 포도원 노래꾼 (사 5:1~7) [4] 2022-08-15 2451
965 성령강림절 준비된 삶이란? (눅 12:32~40) [5] 2022-08-08 3716
96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과 거룩하심 (호 11:1~11) [6] 2022-08-01 3603
963 성령강림절 성령을 주시리 (눅 11:1~13) [6] 2022-07-25 4625
962 성령강림절 ‘말씀’이 없는 시대 (암 8:1~12) 2022-07-17 4215
961 성령강림절 아들의 나라 (골 1:1~14) 2022-07-11 2849
960 성령강림절 하늘에 기록된 이름 (눅 10:1~11, 16~20) [2] 2022-07-03 3452
959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의 미래 지향성 (눅 9:57~62) [2] 2022-06-26 2701
958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산 호렙에서 (왕상 19:1~4, 8~15a) [2] 2022-06-20 3418
957 성령강림절 성령이여, 오소서! (요 16:12~15) [2] 2022-06-12 3508
956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양자의 영 (롬 8:14~17) [4] 2022-06-05 4775
955 부활절 의로운 자의 기쁨 (시 97:1~12) [2] 2022-05-29 3998
954 부활절 루디아와 빌립보 교회 (행 16:9~15) [4] 2022-05-22 4567
953 부활절 새로운 계명 '사랑' (요 13:31~35) [2] 2022-05-15 2927
952 부활절 영생과 하나님 (요 10:22~30) [2] 2022-05-08 365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