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 (마 18:21-35)

창조절 조회 수 12662 추천 수 0 2011.09.11 22:41:13
설교듣기 : mms://wm-001.cafe24.com/dbia/2011/dawp_0911.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10911.wmv 
설교구독(아이튠즈) : itms://itunes.apple.com/kr/podcast/id458569912 
성경본문 : 마태복음 18:21-35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

마태복음 18:21-35, 창조절 둘째 주일, 2011년 9월11일

 

오늘의 제3독서인 마태복음 18:21-35절은 세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단락은 21, 22절입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에게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형제의 잘못을 일곱 번까지 용서하면 됩니까?” 율법이 말하는 것보다 훨씬 늘려서 말한 것입니다. 베드로가 칭찬을 받고 싶어서 이런 말을 했을지도 모릅니다. 예수님은 전혀 다른 대답을 하셨습니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도 용서하라는 것입니다. 이걸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490번의 용서라는 뜻입니다. 용서가 끝이 없다는 말씀입니다.

     둘째 단락은 23-34절입니다. 예수님은 이 용서에 대한 문제를 비유로 부연해서 설명하셨습니다. 천국은 어떤 임금이 회계 결산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겁니다. 임금의 하인들이 1만 달란트를 빚진 사람을 데리고 왔습니다. 그 돈은 천문학적 액수입니다. 5천만 데나리온입니다. 1데나리온은 노동자의 일당입니다. 대충 계산하면 5백억 원입니다. 갚을 길이 없었습니다. 임금은 당시의 관습대로 아내와 자식을 팔아서라도 빚을 갚게 했습니다. 이 사람은 참아달라고 했습니다. 임금은 그 사람을 불쌍하게 생각하고 탕감해주었다고 합니다. 탕감 받은 이 사람이 집으로 돌아가다가 자기에게 빚을 진 친구를 만났습니다. 빚은 1백 데나리온입니다. 자신이 탕감 받은 것과 비교해보면 50만분의 1에 불과합니다. 이 사람은 갚을 길이 없는 친구를 기어코 옥에 가두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임금은 이 사람을 불러다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 너도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마 18:32,33) 이 사람도 결국 옥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 단락은 마지막 절인 35절입니다. 비유에 대한 해석입니다.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이 구절은 “우리가 우리에게 지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시옵고”(마 6:12)라는 주기도 구절과 상응합니다.

 

     용서의 미덕?

     세 단락으로 구성된 위 본문은 용서의 미덕을 말하는 것일까요? 용서의 미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용서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귀한 가치입니다. 성서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마태공동체에서도 이런 문제들이 심각했다고 합니다. 마음의 상처를 받고 교회를 떠나는 사람들도 나왔고, 교회에 나오지만 서로 마음의 문을 닫아두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일어나나는 흔한 일입니다. 아무리 신앙으로 모였다고 하더라도 갈등은 여전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교회 지체들이 상호 실수도 하고, 심지어 모함하는 일도 있습니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라는 경구는 교회 공동체에도 해당됩니다. 교회를 너무 이상적으로 생각하면 안 됩니다. 보이지 않는 교회는 이미 승리한 교회이고 절대적인 교회이지만, 보이는 이 현실 교회는 여전히 전투 중에 있는 교회이고 상대적인 교회입니다. 지금 우리가 참여하고 있는 역사의 구체적인 교회에 절대적인 것을 기대했다가는 실망할 뿐입니다. 교회 지도자에게 너무 큰 기대를 할 것도 없습니다. 이 현실 교회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면서 끊임없이 개혁해나가면 됩니다. 그게 바로 종교개혁자들이 말한 “에클레시아 샘퍼 래포만다”에 담긴 뜻입니다. 이런 개혁의 과정에 용서가 자리합니다. 용서가 교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습니다. 일곱 번씩 일흔 번까지 용서하라는 이 말씀은 ‘용서의 영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것을 용서 만능주의로 생각하면 곤란합니다. 궁극적으로 옳은 말이라고 하더라도 우리의 현실 삶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불가능합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여기 형사재판을 진행하는 판사가 있습니다. 그는 반인륜적인 범죄를 행한 피의자에게 선고를 내려야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그가 일흔 번까지 용서해야 한다는 주님의 말씀을 그대로 따를 수는 없습니다. 개인의 영성으로는 용서할 수 있어도 법을 집행하는 공인의 입장에서는 그것이 불가능합니다.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든 잘못을 무조건 용서한다면 사회 질서 자체가 허물어집니다. 이 문제는 재판과 같은 공공의 차원만이 아니라 일상의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건 접어두고 자녀 교육만 보십시오. 자녀들이 문제를 일으켰을 때 어떻게 대하는 것이 용서의 영성를 따르는 것일까요? 자녀들끼리 사소한 일로 자꾸 다투었습니다. 한 두 번은 말로 타이를 수 있지만 그것이 더 반복되면 분명한 책임을 물어야 할 겁니다. 사업을 하는 분들도 경쟁사를 용서의 영성으로만 대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이미 천국에 들어가서 사는 게 아니라 아귀다툼처럼 보이는 이 세상에서 삽니다. 거기서 어려움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두 사실에서 느끼는 영적인 딜레마이고 긴장입니다. 하나는 무제약적인 용서의 영성을 붙들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으로 불가능한 세계 안에서, 즉 용서가 아니라 책임을 물으면서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전자는 하나님 나라의 윤리라고 한다면 후자는 세속의 윤리입니다. 하나님 나라의 윤리를 세속의 윤리에 그대로 대입시킬 수는 없습니다. 세속의 윤리만으로 살아간다면 그건 또한 그리스도인이기를 포기하는 것입니다.

     이 딜레마를 마틴 루터는 ‘두왕국론’으로 설명했습니다. 하나님 왕국의 윤리와 세속 왕국의 윤리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된다는 것입니다. 뮌처와 칼뱅은 그것을 일치시켜 보려고 했습니다. 뮌처는 무력을 통해서라도 억압받는 농민들을 해방시켜야 한다고 생각했고, 칼뱅은 제네바에서 신정정치를 실천해보려고 했습니다. 둘 다 실패했습니다. 두 왕국을 무리하게 일치시키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이와 달리 루터는 이 둘의 질서와 윤리를 구분했습니다. 하나님이 영주에게 세속의 방식으로 통치하게 하셨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그런 세속의 윤리를 교회가 지나치게 참견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여러 종교개혁자들 중에서 루터가 더 옳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뮌처의 혁명이 실패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옳은 길이었다고 한다면 우리는 그를 지지해야 합니다. 이 문제는 교회사 학자들이 더 진지하게 논의하면 됩니다. 제가 말씀드리려는 것은 하나님 나라의 윤리라 할 무제약적인 용서가 우리의 현실 삶에 무조건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의 신학적인 근거를 정확하게 제시한 사람이 루터라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하나님 나라의 질서와 세속의 질서가 완전히 구분된다면, 즉 무제약적인 용서가 세상에서는 불가능하다면 그리스도교 신앙은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예수 믿고 죽어서 천당 갈 것만 생각하면서 세상살이는 적당히 요령껏 하면 되냐, 하는 질문입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현재 그렇게 살아갑니다. 그게 편리합니다. 신앙적으로는 독실하고 세상살이에는 영악한 겁니다. 그런 모습의 한 전형이 서울의 강남 지역에 나타납니다. 그곳은 대체적으로 부자들이 사는 곳이라고 합니다. 땅값과 집값이 전국에서 가장 비쌉니다. 그 지역의 특성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정치적으로 매우 보수적입니다. 지난 급식문제로 서울시 주민투표가 있었는데, 강남 지역만 보편적 급식을 반대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그 이전의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강남 지역만 오세훈 씨의 지지가 더 높았고 나머지 지역은 한명숙 씨의 지지가 골고루 높았습니다. 강남의 몰표 덕분으로 오세훈 씨가 시장으로 당선되었습니다. 차이는 0,5%였습니다. 다른 하나는 그 지역의 그리스도인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아주 높다는 것입니다. 보통 높은 게 아니라 전국에서 최고로 높습니다. 대략 40%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정확한 수치는 조사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나지만 평균에 비해서 거의 두 배 가량 높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소위 잘 나가는 그리스도인들은 모두 강남에서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소망교회와 사랑의교회를 비롯해서 대형교회도 그곳에 몰려 있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윤리와 신앙을 교회라는 특별한 자리에 묶어두고 세상살이는 아주 세속적으로 요령껏 하는 게 그리스도인의 삶은 결코 아닙니다.

 

     빚진 자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하나님 왕국의 질서를 세속 왕국의 질서에 일치시킬 수도 없고, 방금 말씀드린 대로 완전히 구분해서 사는 것도 아니라고 한다면 그리스도인다운 삶의 길은 무엇인가요?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는 어디에 있는 건가요? 오늘 본문에 나오는 비유를 다시 보십시오. 1만 달란트를 탕감 받은 사람이 1백 데나리온을 갚지 못한 친구를 감옥에 넣었습니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이 벌어진 겁니다. 이 사람이 친구를 감옥에 넣은 이유는 자기가 1만 달란트를 탕감 받았다는 사실을 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걸 기억하고 있었다면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없습니다. 사람의 기억은 기계적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필요한 것만 골라서 기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작 필요한 것은 기억하지 못하고 필요 없는 것만 기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게 삶을 왜곡하는 길입니다.

     그리스도교 영성은 일종의 기억입니다. 무엇을 기억하는가에 따라서 그 사람의 영성이 달라집니다. 당연히 우리는 하나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시편을 비롯해서 구약성서에 하나님이 행하신 일을 기억하라는 표현이 자주 나오는 이유도 거기에 있습니다. 하나님을 기억하라는 말도 좀 막연합니다. 어떤 하나님을 기억해야 하나요? 오늘 설교 본문에 한정해서 본다면 하나님이 1만 달란트를 탕감하셨다는 사실에 대한 기억입니다. 그 기억이 우리의 영혼을 가득 채운다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지 그 길이 보입니다. 누가 옆에서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것을 생생하게 기억하는 사람에게는 성령이 말을 걸 것이며, 그는 여기에 순종하기만 하면 됩니다.

     현대인들은 1만 달란트 탕감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 그것이 무엇을 가리키는지도 알지 못합니다. 자신들은 빚을 진 사람들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빚이라고 하면 단순히 은행빚, 카드빚 정도로만 생각합니다. 본문이 말하는 빚은 죄입니다. 하나님을 거부하고 자기에게만 집중하는 삶의 태도가 바로 죄입니다. 그 죄가 존재론적인 깊이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통찰이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원죄 개념입니다. 원죄 개념을 현대적인 용어로 바꾸면 ‘악의 평범성’입니다. 유대계 독일 여자 철학자인 한나 아렌트(1906-1075)가 나치 친위돌격대장인 아이히만의 전범재판을 보면서 쓴 용어입니다. 아이히만은 아내와 아이들을 사랑하는 평범한 가장입니다. 집에서 나올 때 아이들을 안아주고, 아내와 키스를 나눕니다. 직장에 와서는 아무런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도 못한 채 유대인들을 가스실로 보냅니다. 모든 이들에게 아이히만의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탕감에 대한 기억이 우리의 영혼에 깊이 각인된다고 해서 우리 삶의 모든 문제가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 삶에서는 싸워야 할 때도 있고, 책임을 물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것은 여러분들이 처한 자리에서 판단하고 처리하십시오. 그러나 그 모든 윤리적 판단과 행위는 1만 달란트를 탕감 받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합니다. 그럴 때만 우리의 판단과 행위는 적개심과 자기 욕망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를 그 토대로 작동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라도 평소에 하나님을 더 생각하십시오. 하나님의 용서와 은총을 더 기억하십시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통치를, 그 사랑을, 그 생명의 신비를 더 기억하십시오. 그 하나님이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지키십니다.(빌 4:9) 아멘.


profile

[레벨:11]질그릇

September 12, 2011
*.159.144.211

목사님, 가족과 친지, 함께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이렇게 명절 인사를 드리니 송구합니다.

 

'탕감에 대한 기억이 우리 영혼에 깊이 각인된다고 해서 우리 삶의 모든 문제가 자동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수님의 윤리 지침에 대해서 가장 많이 왜곡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질을 왜곡하니 삶의 자리가 변질될 수밖에 없겠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를 기대합니다.

성서 해석이 중요하다는 것을 설교자들 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많이 보면서,

안타까움에 더욱 더 영적인 수고에 정진하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 보름달을 볼 수 있을 듯 하네요. ㅊㅊ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2, 2011
*.185.31.7

예, 박옥진 목사님도

손주들 재롱을 보면서 좋은 추석을 보내세요.

신앙과 삶의 관계는

아마 죽을 때까지 부등켜 안고 씨름해야 할 주제 같습니다.

신앙이 좋다고 삶이 저절로 해결되는 게 아니고,

삶이 성실하다고 해서 신앙이 좋다는 것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

신앙 없이 삶이 충실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 말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삶에 대한 통찰력도 함께 깊어져야겠지요.

오늘 하양은 소나기가 몇 번이나 내리고,

천둥 번개도 많이 쳤습니다.

주님의 은총이...

profile

[레벨:3]문정

September 13, 2011
*.183.13.166

목사님,

지난번 방문때 직접 만나뵈서 참 좋았습니다. 

저는 지난 토요일에 보스톤으로 돌아왔구요. 이제 다시 일터로와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주신 책은 감사히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

사역에 항상 감사드리며 주님의 평안이 항상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3, 2011
*.185.31.7

문정일 님,

보스톤의 일상이 다시 시작되었군요.

두 주일 전에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한국에서 인터뷰 한 일은 잘 되야 할 텐데요.

가족 모두에게 주의 평안을 빕니다.

profile

[레벨:13]진인택

September 18, 2011
*.220.104.49

참으면서 둥글 둥글 살아가는 것이 미덕이요, 인간성이 좋은 사람인가요?  이건 참으면서 방치가 따라붙고, 둥글 둥글게 살다보면 부정을 눈감게 되고 , 인간성 어떤것이 좋은 지는 모르겠지만 사이비에게 마음여는 것이.... 맞서 계속 싸우고 있는 나를 지금껏 보아 왔습니다.

 

오늘 교회를 나가는 것보다 더 가치있고 옳은 시간을 보내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용서의 갈등,윤리에 늘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용서와 윤리라는 상황이 오지만 않는 다면 참 나도 좋은 사람이련만 상황이 바뀌면 지금까지는 이리저리 마음속으로 아파하기만 하였습니다.

선별적인 기억본능에 용서의 기억이 자꾸 밀려 나기도하고 쉽게 날라가 버리고 멍한 머리로 다니니 그동안 힘들었습니다.

오늘 말씀에 빚지고 용서받은자의 악행에 키포인트를 맞추면서 성경책을 읽어 왔었습니다.

그리고 말씀 처음부분도 그저 아는 내용이네라고 보다가 기억과 영성의 매치가 나를 변화 시킬수 있다는 사실에 뭔가 한대 맞은 느낌입니다.

 하나님, 나를 용서해주신 사실을 ROM에 넣어 주시고  세상윤리와 영악을 RAM에 드나들게 하여 주소서.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9, 2011
*.185.31.7

진인택 님,

오늘은 완연한 가을이네요.

창문을 꼭 닫았습니다.

이제 차 맛이 좋아지겠지요?

위선이 아니라 용서의 영성으로

오늘의 이 척박한 세상을 뚫고 나가야겠지요.

9월18일 설교에 인용한 본회퍼의 책 제목처럼

<순종과 항거>의 변증법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창문을 닫으니 조용해서 좋네요.

행복한 가을을 맞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533
951 부활절 찬송과 존귀와 영광과 권능의 삶 (계 5:11~14) [1] 2022-05-01 2842
950 부활절 예수를 '믿는 자' (요 20:19~31) [1] 2022-04-24 4815
949 부활절 살아있는 자와 죽은 자의 재판장 (행 10:34~43) [1] 2022-04-17 2740
948 사순절 유월절 마지막 식사 (눅 22:14~23) [2] 2022-04-10 3274
947 사순절 하나님의 새로운 일 (사 43:16~21) [4] 2022-04-03 4224
946 사순절 예수의 하나님 (눅 15:1~3, 11b~32) [5] 2022-03-27 3075
945 사순절 목마름의 실체 (사 55:1~9) [4] 2022-03-20 3241
944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2] 2022-03-13 3368
943 사순절 시험받는 예수 (눅 4:1~13) 2022-03-06 3253
942 주현절 예수 변모 순간 (눅 9:28~36) 2022-02-27 3087
941 주현절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창 45:3~11, 15) [2] 2022-02-20 3381
940 주현절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 (고전 15:12~20) [6] 2022-02-13 3325
939 주현절 첫 제자들의 출가 이야기 (눅 5:1~11) [7] 2022-02-06 3106
938 주현절 "나는 항상 주를 찬송하리이다" (시 71:1~6) 2022-01-30 3084
937 주현절 하나님 말씀의 성취 (눅 4:14~21) [3] 2022-01-23 3670
936 주현절 “네 하나님이 너를 기뻐하시리라!” (사 62:1~5) [7] 2022-01-16 3551
935 주현절 성령 받음이란? (행 8:14~17) [2] 2022-01-09 4714
934 성탄절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 (요 1:10~18) 2022-01-02 4978
933 성탄절 그리스도의 평화 & 그리스도의 말씀 (골 3:12~17) [3] 2021-12-26 4692
932 대림절 평화의 왕이 오신다! (미 5:2~5a) [1] 2021-12-19 6378
931 대림절 성령과 불 (눅 3:7~18) 2021-12-12 4804
930 대림절 빈 들에서 (눅 3:1~6) [2] 2021-12-05 5731
929 대림절 늘 깨어 기도하라! (눅 21:25~36) [1] 2021-11-28 7107
928 창조절 수치를 당하지 않으리라! (욜 2:2~27) [1] 2021-11-21 4257
927 창조절 하나님께 가까이! (히 10:19~25) [2] 2021-11-14 6591
926 창조절 불행한 서기관 (막 12:38~44) 2021-11-07 3560
925 창조절 유대교 신학자의 질문 (막 12:28~34) [4] 2021-10-31 5122
924 창조절 욥의 회개 (욥 42:1~6) [4] 2021-10-24 6060
923 창조절 속죄와 구원 (히 5:1~10) [2] 2021-10-17 3652
922 창조절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사는 그리스도인 (막 10:17~22) [5] 2021-10-10 5342
921 창조절 욥의 재난 & 욥의 믿음 (욥 1:1, 2:1~10) [1] 2021-10-03 4003
920 창조절 생명과 지옥 (막 9:42~50) [4] 2021-09-26 5369
919 창조절 지혜 그 '너머' (약 3:13~4:3) 2021-09-19 3814
918 창조절 지혜 & 그 너머 (잠 1:20~33) [3] 2021-09-12 4397
917 창조절 놀람의 근거 (막 7:24~37) 2021-09-05 4271
916 성령강림절 나의 사랑 나의 어여쁜 자 (아 2:8~13) [1] 2021-08-29 4143
915 성령강림절 전투하는 교회 (엡 6:10~20) [2] 2021-08-22 4678
914 성령강림절 예수와 영생 (요 6:52~58) [2] 2021-08-15 5036
913 성령강림절 "나는 생명의 떡이다." (요 6:35, 41~51) [3] 2021-08-08 4787
912 성령강림절 만물의 충만-그리스도의 충만 (엡 4:1~16) [3] 2021-08-01 3592
911 성령강림절 가난한 자의 피난처 (시 14:1~7) [2] 2021-07-25 4073
910 성령강림절 예수 십자가와 세계 평화 (엡 2:11~22) [2] 2021-07-18 3835
909 성령강림절 왕-선지자-그리스도 (막 6:14~29) [1] 2021-07-11 3840
908 성령강림절 열두 제자 파송 이야기 (막 6:1~13) [2] 2021-07-04 4520
907 성령강림절 "딸아!" (막 5:25~34) [4] 2021-06-27 4584
906 성령강림절 "지금", 은혜와 구원 (고후 6:1~13) [5] 2021-06-20 5032
905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와 씨 (막 4:26~34) [4] 2021-06-13 4196
904 성령강림절 왕의 출현 (삼상 8:4~11, 16~20) [1] 2021-06-07 3856
903 성령강림절 충만! (사 6:1~8) [5] 2021-05-30 5004
902 성령강림절 성령과 예수 그리스도 (요 16:5~15) [2] 2021-05-23 5386
901 부활절 의인의 길과 악인의 길 (시 1:1~6) [8] 2021-05-16 4819
900 부활절 예수 사랑 안에! (요 15:9~17) [5] 2021-05-09 4451
899 부활절 하나님 사랑, 형제 사랑 (요일 4:7~21) [2] 2021-05-02 4582
898 부활절 선한 목자 (요 10:11~18) 2021-04-25 4970
897 부활절 회개 (행 3:12~19) 2021-04-18 5712
896 부활절 그는 "변호인"이다 (요일 1:1~2:2) [1] 2021-04-11 6026
895 부활절 빈 무덤 앞에서 (막 16:1~8) [3] 2021-04-04 6323
894 사순절 "일어나라, 함께 가자!" (막 14:32~42) 2021-03-28 5893
893 사순절 순종과 영원한 구원 (히 5:5~10) [6] 2021-03-21 4443
892 사순절 "나는 영생을 믿습니다!" (요 3:14~21) [15] 2021-03-14 6354
891 사순절 십계명 "너머" (출 20:1~17) [7] 2021-03-07 6381
890 사순절 아브라함의 믿음, 우리의 믿음 (롬 4:13~25) [2] 2021-02-28 5879
889 사순절 예수와 복음 (막 1:9~15) [9] 2021-02-21 6464
888 주현절 하나님의 빛, 하나님의 공의 (시 50:1~6) [2] 2021-02-14 4319
887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9~39) [2] 2021-02-07 3747
886 주현절 선지자의 운명 (신 18:15-20) [2] 2021-01-31 6365
885 주현절 세상의 외형 (고전 7:29-31) 2021-01-24 4668
884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7895
883 주현절 하늘로부터 … (막 1:4~11) [3] 2021-01-10 9473
882 성탄절 영광-찬송 (엡 1:3~14) [2] 2021-01-03 5940
881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445
880 대림절 "은혜를 받은 자여!" (눅 1:26-38) [2] 2020-12-20 10160
879 대림절 "너는 누구냐?" (요 1:19-28) [4] 2020-12-13 11083
878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2020-12-06 11066
877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 (고전 1:3-9) 2020-11-29 8771
876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057
875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511
874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089
873 창조절 함께하시는 여호와 하나님 (수 3:7-17) [2] 2020-11-01 10077
872 창조절 삶의 견고한 토대 (시 90:1-6, 13-17) [4] 2020-10-25 6190
871 창조절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 (출 33:12-23) [4] 2020-10-18 11203
870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316
869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7959
868 창조절 대제사장과 장로, 세리와 창녀 (마 21:23-32) [2] 2020-09-27 9323
867 창조절 복음, 은혜, 믿음, 고난 (빌 1:21-30) [2] 2020-09-20 5688
866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044
865 창조절 "급히 먹으라!" (출 12:1-14) [2] 2020-09-06 5601
864 성령강림절 "사탄아!" (마 16:21-28) [2] 2020-08-30 5192
863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5] 2020-08-23 4760
862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하심 (롬 11:1-2a, 29-32) [4] 2020-08-16 4912
861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7810
860 성령강림절 "브니엘"에서 (창 32:22-31) [5] 2020-08-02 5381
859 성령강림절 하늘나라 (마 13:31-33, 44-52) [5] 2020-07-26 5380
858 성령강림절 몸의 속량을 기다리며… (롬 8:12-25) [2] 2020-07-19 4984
857 성령강림절 에서와 야곱 이야기 (창 25:19-34) [4] 2020-07-12 13514
856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401
855 성령강림절 냉수 한 그릇의 궁극적 의미 (마 10:40-11:1) [2] 2020-06-28 5881
854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9) 2020-06-21 5485
853 성령강림절 못 하실 일이 없는 하나님 (창 18:1-15) [6] 2020-06-14 6508
852 성령강림절 삼위일체이신 하나님 (고후 13:11-13) [4] 2020-06-07 531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