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갈곳 없는 사람들 (요 6:56-69)

성령강림절 조회 수 8878 추천 수 0 2015.08.23 19:19:11
설교듣기 : https://youtu.be/dU3L09GcL1Q 
성경본문 : 요한복음 6:56-69 

갈 곳 없는 사람들

6:56-69, 성령강림후 열셋째주일, 2015823

 

56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의 안에 거하나니 57 살아 계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시매 내가 아버지로 말미암아 사는 것 같이 나를 먹는 그 사람도 나로 말미암아 살리라 58 이것은 하늘에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 59 이 말씀은 예수께서 가버나움 회당에서 가르치실 때에 하셨느니라 60 제자 중 여럿이 듣고 말하되 이 말씀은 어렵도다 누가 들을 수 있느냐 한대 61 예수께서 스스로 제자들이 이 말씀에 대하여 수군거리는 줄 아시고 이르시되 이 말이 너희에게 걸림이 되느냐 62 그러면 너희는 인자가 이전에 있던 곳으로 올라가는 것을 본다면 어떻게 하겠느냐 63 살리는 것은 영이니 육은 무익하니라 내가 너희에게 이른 말은 영이요 생명이라 64 그러나 너희 중에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 있느니라 하시니 이는 예수께서 믿지 아니하는 자들이 누구며 자기를 팔 자가 누구인지 처음부터 아심이러라 65 또 이르시되 그러므로 전에 너희에게 말하기를 내 아버지께서 오게 하여 주지 아니하시면 누구든지 내게 올 수 없다 하였노라 하시니라66 그 때부터 그의 제자 중에서 많은 사람이 떠나가고 다시 그와 함께 다니지 아니하더라 67 예수께서 열두 제자에게 이르시되 너희도 가려느냐 68 시몬 베드로가 대답하되 주여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사오니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오리이까 69 우리가 주는 하나님의 거룩하신 자이신 줄 믿고 알았사옵나이다.

 

6장은 모든 기독교인들이 잘 알고 있는 오병이어에 얽힌 이야기입니다. 어떤 아이가 들고 온 보리떡 다섯 개와 생선 두 마리로 오천 명이 배불리 먹고, 남은 것을 모아보니 열두 바구니나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것을 본 유대 군중들은 예수님을 통해서 세상을 새롭게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당시 그들이 처한 형편은 정치 경제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어둠의 시절이었고, 현실적으로 먹고 사는 문제도 힘겨웠기 때문에 뭔가 세상이 확 바뀌어야 한다는 열망으로 민심이 부글댔습니다. 그때 예수님이 역사에 등장했고, 오병이어 사건이 일어난 것입니다. 유대 군중들은 예수님을 임금으로 추대하려고 했지만 예수님은 그들의 기대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그들을 피해 배를 타고 갈릴리 호수를 건너 가버나움으로 자리를 옮기셨습니다.

 

유대군중들은 끈질기게 예수님을 찾아 나섰고, 급기야 가버나움까지 찾아왔습니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다시는 이런 기회가 오지 않을 것이라는 조급증이 작용했는지 모릅니다. 성경 본문에는 나오지 않지만 예수님에게 이번 기회에 세상을 한번 확 뒤집어봅시다, 하고 말한 측근들도 있었을 겁니다. 실제로 예수님의 제자들 중에서도 예수님을 통해서 무력혁명의 꿈을 실현시켜보려 한 이들도 있었습니다. 가버나움까지 찾아온 군중들에게 예수님은 그들의 기대와는 전혀 다른 말씀을 하셨습니다. “썩을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하도록 있는 양식을 위하여 하라.”(6:27). 이 발언 뒤에 만나 사건을 중심으로 많은 신학 논쟁이 벌어집니다. 유대 군중들은 만나 사건이야말로 하나님이 자기들과 함께 하신다는 명백한 증거이며, 따라서 이런 초능력의 재현이 자신들의 살 길이라고 주장했고, 요한을 비롯한 초기 기독교는 예수님이 영생의 양식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이 논쟁은 유대교와 기독교 사이에서, 그리고 세속 문명과 기독교 사이에서 반복되었습니다.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유대 군중들의 생각과 주장은 설득력이 있습니다. 요즘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모든 관심은 풍요롭게 먹고 사는 문제에 집중됩니다. 그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선전과 선동에 우리는 하루 종일 파묻혀서 삽니다. 정치인들은 입을 열었다 하면 정치의 목표가 오직 그거 하나인 것처럼 경제를 살리겠다고 외칩니다. 그런 말이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국민들은 그런 말을 듣고 싶어 합니다. 대학사회도 삶의 근본보다는 먹고 사는 문제에 매달립니다. 머리 좋고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다 돈벌이 잘 되는 분야를 전공합니다. 썩을 양식을 위하여 일하지 말고 영생의 양식을 위해서 일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진리로 전하는 교회도 역시 이런 점에서는 별로 다를 게 없습니다. 예수 믿으면 잘 먹고 잘 살게 된다고 약장사처럼 외칩니다. 실제로 우리가 매일 일상에서 만나는 게 바로 그런 문제이니 사람들이 거기에 매달리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공평하게 나눠먹고 사는 세상을 이루기 위한 노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게 아무리 절실하다고 해도 썩을 양식이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아무리 잘 먹고 잘 살아도 결국 죽을 수밖에 없으며, 살아있는 동안에도 그런 것으로 참된 만족을 얻지 못한다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인간이 산다는 게 뭐 대수냐, 잘 먹고 잘 산다가 죽으면 그뿐이지, 하고 주장한다면 저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요한복음을 기록한 사람은 예수님의 입을 통해서 이런 유대 군중들의 절절한 주장을 맞받아칩니다. 6:49-51절 말씀을 새번역 성경으로 읽겠습니다. 잘 들어보십시오.

 

너희의 조상들은 광야에서 만나를 먹고도 다 죽었지만 하늘에서 내려 온 이 빵을 먹는 사람은 죽지 않는다. 나는 하늘에서 내려 온 살아 있는 빵이다. 이 빵을 먹는 사람은 누구든지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곧 나의 살이다. 세상은 그것으로 생명을 얻게 될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다.

 

이 말씀을 듣고 유대 군중들은 저 예수가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알아먹을 수 없다.’고 서로 옥신각신했습니다(52). 예수님은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하셨습니다. ‘인자의 살을 먹지 않고 인자의 피를 마시지 않으면 생명을 얻을 수 없다.’(6:53)고 말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오늘 설교 본문에 속하는 요 6:56-59절에서 예수님의 살과 피를 통해서 예수님과 하나가 된다는 말씀을 하십니다. 57절에서 아주 중요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아버지로 말미암아사는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 된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산다고 말입니다. 이어서 58절에 앞의 긴 논란을 마감하는 말씀이 나옵니다. ‘이것은 하늘에서 내려온 떡이니 조상들이 먹고도 죽은 그것과 같지 아니하여 이 떡을 먹는 자는 영원히 살리라.’ 이것으로 유대 군중들과 예수님의 관계는 끝났습니다. 유대 군중들은 이제 더 이상 예수님에게서 오병이어와 같은 환상적인 일들을, 즉 정치 경제적인 세상 혁명을 기대할 수 없다 판단하고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열광적인 콘서트 후에 찾아오는 적막감처럼 군중들이 떠난 예수님과 제자들의 자리도 그랬을까요?

 

6:60절부터 새로운 장면이 시작됩니다. 앞의 이야기는 주로 유대 군중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면 이제는 제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 제자들 중에서 여러 사람이 예수님의 말씀을 알아듣기 어렵다고 수군거렸습니다. 앞에서 유대 군중들이 세상 생명을 위한 내 살이라는 예수님의 말씀 앞에서 서로 옥신각신 한 것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어렵다는 단어는 헬라어 스클레로스의 번역입니다. 말 자체가 어려워서 알아들을 수 없다는 게 아니라 예수님의 말씀에 자신들이 동의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마음이 떠난 것입니다. 마음이 떠나면 언젠가 몸도 떠나게 됩니다. 66절이 그 사실을 이렇게 전합니다. “그때부터 그의 제자 중에서 많은 사람이 떠나가고 다시 그와 함께 다니지 아니하더라.”

 

참으로 상황이 딱하게 되었습니다. 유대 군중들이야 그러려니 할 수 있지만 예수님의 제자들마저 예수님의 말씀을 불편하게 여겼다는 건 예상외의 상황입니다. 제자가 된다는 것은 자신의 일상생활을 포기하면서까지 전업으로 예수님을 추종한다는 뜻입니다. 복음서에는 예수님께서 제자를 부르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옵니다. 고기를 잡던 베드로와 안드레에게 나를 따르라.’고 예수님이 말씀하시자, 그 한 마디로 베드로와 안드레는 모든 가족과 직업을 포기하고 예수님을 따라나섰다고 합니다. 모든 제자들이 똑같은 건 아닙니다. 출가한 이들도 있고, 여전히 세속에 머무는 이들도 있습니다. 형편에 따라서 서로 다르기는 하지만 그들이 예수님에게 자신의 미래를 맡겼다는 점에서는 다를 게 없습니다. 이런 제자들 중에서 많은 이들이 예수님 곁을 떠났습니다. 예수님은 충격을 받으셨을까요? 그 모든 상황을 초월하셨을까요?

 

제자들이 예수님 곁을 떠난 이유는 예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기 힘들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앞에서 짚었습니다. 한걸음 더 나가서, 그들이 왜 예수님의 말씀을, 즉 예수님의 정체와 본질을 받아들일 수 없었을까를 생각해보십시오. 답은 명백합니다. 그들은 예수님 자체에 관심이 있었던 게 아니라 자신들의 기대와 욕망에 관심이 있었을 뿐입니다. 그것을 실현시켜줄 수 있는 대상으로 예수님을 만난 것이었습니다. 이제 더 이상 예수님에게 이런 걸 기대할 수 없게 되자 그들은 미련 없이 그 자리를 떠났습니다. 이것은 그 사람의 인격, 지성, 도덕성과 상관이 없습니다. 영적 관심의 문제입니다.

 

예수님 자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인지, 아니면 자기의 기대와 욕망을 실현하는 데만 관심이 있는 사람인지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겉으로는 모두가 예수님에게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함께 예배를 드리고, 교회 활동을 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자처하기 때문입니다. 자기 스스로 속기도 합니다. 제가 설교자로서 그걸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한 가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예수님과 그에게 일어난 일이 무엇인지 알고 싶은 마음이 자신에게 있는지를 보면 됩니다. 예수님과 그 사건을 설명하고 있는 신학 책을 읽고 싶어지는지도 보십시오. 예수님과 그가 선포한 하나님 나라와 그가 다시 오신다는 게 무슨 뜻인지를 알고 실제로 알고 싶다는 거룩한 열정이 없으면 사람은 진정성이 있든지 없든지 불물하고 어쩔 수 없이 자기의 욕망에 치우치게 되고, 언젠가는 예수님에게 실망하게 될 겁니다. 혹시 여러분 중에서도 예수님에게 관심이 가지 않는 분은 없으신가요? 신앙생활이 뭔가 지루하다고 여기지는 분은 없으신가요? 신앙의 위기입니다.

 

모두 떠나고 이제 열두 제자만 남았습니다. 그들을 향해서 예수님은 묻습니다. ‘너희도 가려느냐?’ 이런 말씀을 하실 때 예수님의 심정이 어땠을지 상상이 갑니다. 너희들도 떠난 이들과 마찬가지로 나에게 실망했느냐, 하는 질문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은 열두 제자들도 나중에는 다 떠납니다. 지금까지는 어느 정도 견뎌냈지만 십자가 사건 앞에서 그들의 한계가 여지없이 드러났습니다. 여자 몇몇을 제외하고 열두 제자는 모두 패잔병처럼 흩어졌습니다. 예수님은 그 때를 미리 내다보고 그들에게 연민을 느끼신 것인지도 모릅니다.

 

제가 보기에 너희도 가려느냐?’는 말씀은 지금 우리에게 주시는 강력한 영적 도전입니다. 양자택일의 강요입니다.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선택하라는 겁니다. 이런 말씀을 상투적인 것으로 이해하지 마십시오. 기껏해야 교회에 더 열심히 나오라거나, 봉사활동을 열심히 하라는 말씀으로 생각하지 마십시오. 이것은 저녁밥을 집에서 먹을 건지, 외식을 한 것인지의 차원이 아니라 생명이냐 죽음이냐의 차원입니다. 사람들은 생명을 선택하지 않고 오히려 죽음을 선택합니다. 썩을 양식을 위해서 삽니다. 그게 왜 썩을 양식인지를 잘 모르고, 안다고 해도 그 사실을 외면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살았으니까 이게 뭔지도 모르고 그냥 따라서 사는 것뿐입니다. 기독교는 지난 2천년 역사를 통해서 계속 너희도 가려느냐?’는 말씀을 기독교인들에게, 그리고 세상 사람들에게 던졌습니다. 지금 우리도 똑같이 그 질문 앞에 서 있습니다. 실감이 납니까? 베드로는 68,69절에서 우리를 대신해서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주여 영생의 말씀이 주께 있사오니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오리이까 우리가 주는 하나님의 거룩하신 자이신 줄 믿고 알았사옵나이다.

 

베드로의 이 고백은 가이사랴 빌립보에서 베드로가 행한 신앙고백,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16:17)에 버금가는 것입니다. 베드로의 이 고백을 거칠게 정리하면 우리는 예수님 외에는 갈 곳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당신만이 유일한 선택입니다.’는 뜻입니다. 열두 제자들처럼 갈 곳이 없는 사람들은 마 5장에 나오는 소위 팔복에 해당되는 사람들입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 애통하는 자, 온유한 자,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들입니다. 세상에서 더 이상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이들을 세상은 불행한 인생이라고 측은하게 여깁니다. 반면에 갈 곳이 많은 사람들을 행복하다고 여깁니다. 만날 사람도 많고, 돈벌이 할 것도 많고, 취미생활도 많아야만 행복하게 사는 것이라고 단정합니다. 그렇게 정신없이 바쁘게 사는 게 정말 행복한지를 돌아보십시오. 지천명(50)의 나이에 든 분들에게 물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몇 년을 더 사실 거 같은지요. 개인적으로 차이가 있겠지만 20-40년입니다. 그동안에 여러분은 무엇을 하면서 살고 싶으신가요? 많은 일에 남은 시간을 소진하느라 정작 중요한 것에 시간을 쓰지 못하는 비극은 없어야겠습니다. 갈 곳이 많은 사람들은 예수님 곁에 머물 수 없습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을 유일한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예수님을 영생의 말씀으로 경험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다른 데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이것보다 더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삶을 단조롭다고 착각하지 마십시오. 산만한 데서 벗어나서 훨씬 깊어지는 겁니다. 예를 들어 어느 누구를 사랑하게 되었다고 합시다. 그 사람만 생각하고, 그 사람과의 관계에만 집중하게 됩니다. 그와 함께 있는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에 다른 누군가가 더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화염에 휩싸이는 경험이기 때문에 대상과 함께, 대상을 위해서 죽을 수 있다는 마음도 들게 합니다. ‘우리가 누구에게로 가오리이까.’라고 말하는 순간의 베드로와 다른 제자들의 마음은 예수님과 함께 죽어도 좋다는 데까지 이르렀음에 틀림없습니다. 그런 경험이 기독교의 순교 전통으로 이어졌습니다. 이게 과연 실제로 가능한 경험일까요? 어느 정도의 경지를 가리키는 것일까요? 참으로 아득한 경지입니다. 우리는 그쪽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이런 경험은 다른 한편으로 위험합니다. 광신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오빠부대의 소녀들처럼 일방적인 감정에 치우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우리는 사이비 이단들에게서도 자주 봅니다. 인간의 심리는 아주 심층적이고 다층적이라서 심리적, 육체적 자기학대를 사랑으로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사랑은 결국 모두를 파괴할 뿐입니다. 실제 사랑이 아니라 사랑하고 싶다는 자기감정의 노예가 되는 것입니다. 서로의 인격 안에서 공유되어야만 실제의 사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경우에 예수님과의 영적 소통이 있어야만 합니다.

 

이런 점에서 이제 마지막으로, 영생의 말씀이 주님에게 있다는 베드로의 고백이 무엇인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십시오. 예수님은 먹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분이 아닙니다. 그걸 원하면 돈 버는 기술을 배우십시오. 예수님은 단순히 심리 치료를 하는 분이 아닙니다. 그걸 원하면 심리나 명상 센터를 찾거나, 또는 힐링 프로그램에 참가하십시오. 예수님은 하나님의 주도적 행위를 통해서만 가능한 생명에 이르는 길입니다. 그래서 진리이고, 생명입니다. 그게 뭔지가 손이 잡히지 않나요? 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한가요? 제가 늘 설명했고, 지금 다시 설명한다고 해도 억지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습니다. 노력해서 되는 것도 아닙니다. 이것은 은총 사건입니다. ‘내 아버지께서 오게 하여 주지 않으면 누구든지 내게 올 수 없다.’(6:65)는 말씀이 이를 가리킵니다. 문제는 은총을 은총으로 받아들지 못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세상에 갈 곳이 많으신가? 그래서 재미가 넘칩니까? 저는 여러분들이 세상에서 역동적으로 살아가기를 바랍니다. 그러나 그것은 다 삶의 과정으로 지나갈 뿐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오히려 갈 곳 없는 영혼으로, 즉 산만하지 않은 영혼으로 살기를 바랍니다. 그때 여러분은 한 분에게 몰입함으로써 영생의 말씀을 경험할 것입니다. 그 한 분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August 24, 2015
*.125.153.176

설교를 묵상하고 나서
위로와 소망가운데
그래! 그렇게 살아야지...
결연한 결단과 도전을 받기 보다는
그분의 요구하시는 수준에 턱도 없이 부족한
자신의 믿음의 현주소와의 아득한 괴리감에
자괴감만 더 커지는군요


쉽게 내려 놓아지지 않는 세상것들에 대한
미련의 끈을 여전히 붙든채
알지만 그렇게 살아갈 실력없음에 대한
자책속에, 오늘도 비틀거리긴 하지만
성전에 올라가 가슴을 치는 세리의 심정으로
이모습 이대로 나아가 은혜를 구하면서
오늘 내게 허락된 일상을 향해 나아가는수 밖에요
고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24, 2015
*.94.91.64

부스러기 님,

저의 설교가 괴리감과 자괴감만 더해주니

죄송해서 어쩌지요?

우리가 대글로만 생각을 주고받아서

지금 부스러기 님의 영적 상황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분들에 비해서 영혼이 더 투명하고 예민해서 그런지

아니면 정말 자괴심이 들 정도로

기독교 신앙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건지요.

세리의 심정으로 일상을 향해 나가신다 하니

어느 쪽이든지 길을 잘 가고 있는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주님의 평화!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August 24, 2015
*.148.220.219

세상을 좇을것인가
현실의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오롯이 그분만 의지할것인가..

신자라면 매일 매순간이
양자택일의 기로에서
선택과 결단의 연속들이 아닐런지요

영생의 세계로 들어가려면
오로지 그분께만 몰입하고 집중해야 한다는
설교의 결론 앞에서
심정적으로 동의하지만
그렇게 살지 못하는 자신의 무능에 대한
탄식였답니다 ㅎㅎ

그러고 보니 갑자기 궁금한 점이 생겼답니다

1. 성전에 올라가 가슴을 치며 자신의 무능을 탄식한
세리가 팔복에 합치되는 믿음이 아닌지요?

2. 목사님의 설교를 묵상하다 보면
매일 매일의 실존의 삶을 "금방 지나가버리고 말"
영역으로 홀대(?)하시는것 같은 뉘앙스를 받곤 하죠

물론 베드로의 고백대로 영생, 종말에 집중되는 삶과 비교할때 상대적으로 그렇게 평할수 있겠구나..

싶지만, 오늘을 긍정하고, 오늘 여기서 하나님 나라를 누리지 못하면서
종말의 구원에 올인하는 믿음을 건강한 신앙이라고 할수 있는지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24, 2015
*.94.91.64

1) 세리와 팔복의 인물들을 연결해서 보는

부스러기 님의 통찰력이 좋습니다.

정확히 짚었습니다.

2) 이 현실의 삶에 집착하지 않는 게 좋다는 거지

소홀히 대해도 좋다는 게 아니라는 것은

이미 부스러기 님이 알고 있을 겁니다.

그게 지나간다는 사실을 확실하게 붙들어야만

실제로 그 실제 삶을 충실하게 살아낼 수 있을 겁니다.

종말의 힘은 지금 이미 여기에 들어와 있는 겁니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August 24, 2015
*.62.162.43

설교보다는
제게 주신 댓글과
다른 다비안의 댓글에
오히려 더 도전과 은혜를 받았답니다
고맙습니다
profile

[레벨:17]홍새로

August 24, 2015
*.237.104.169

 예수님을 만나기전에는 갈곳이 많았었지요. 간적없는곳 해본적없는일

다 해보고 싶었고, 이일을 하고 있으면 저일도 좋아보이고...

그러나 예수님을 알아가는 지금은 그것이 삶의과정으로 다 지나가는일일뿐이며

목적이 될수없다는것과 어떤일이든지 하나님과의관계에서

이루어지는게 아니며 현존할수 없다면 결국 참만족을 주지않으며

허무에 빠지게 되는것임을 알게되었습니다.  자기의 기대와 욕망을

실현하는데 관심을 두는일과  사소해 보이는것이라도

소중하게 여기는일, 예수님께 몰입하는삶은 생명과죽음만큼 다를테지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24, 2015
*.94.91.64

에스더 님의 신앙이 일취월장이군요.

세상 일이 무의미하다는 게 아니라

그것이 목표가 아니라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우리의 시만권은 하늘에 있다는

바울의 고백은 단순한 종교적 덕담이 아니라

실체를 뚫어본 직관이자 믿음입니다.

예수님에게 몰입할 때

세상의 삶도 눈에 보일 뿐만 아니라

거기에 성실하게 됩니다.

제가 보기에 그렇습니다.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26]은빛그림자

August 25, 2015
*.108.173.177

왜.. 그... 예전에 보면 권사님들께서 항상 예배 시간에 맨 앞에 앉으시잖아요.

맨 앞 자리는 금 자리 뭐 그 다음은 은 자리, 뒤에는 똥 자리.. 우스갯소리로들 목사님들께서 하시곤 하셨는데

이 설교를 공교롭게도 맨 앞 자리에 앉아서 들었는데 저희 서울샘터 김승국 목사님께서

저를 딱 보시고, " 너도 가려느냐?" 막 이러시는데 괜히 막 막 막 들킨 것 같고 막 막 막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고.ㅎㅎ


"영생"이 지금 여기 있는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에 대해 깊이 생각하다가

대체 하나님은 누구신가까지 생각이 흐르면서 뭔가 또 막 막 막 화가 나려고 하더라고요.

제발 이 질문들 좀 사라졌으면, 기냥 좀 토달지 말고 편하게 좀 가자.. 싶은 생각이 밀려왔어요.

저는 뭐 고상한 사람도 아니고 신앙에 멋부릴 생각이 요만큼도 없는데 질문은 끊이질 않고

이 상황을 나누는 과정에서 뭐랄까 스스로 하나님께 대단히 관심이 많은 척 미화하게 되고

절박하지 않은 사람들이 내심 별로로 보이는 것도 같고 등등 정신적 진상 짓을 하게 됩니다.ㅎㅎ


"영생"이 내 삶을 견인해 가는 동력인가, 예수님 자체에 대해 진짜 관심이 있는가,

라는 질문에 아니다, 라고 답한 후 그러나 이것은 어쩔 수 없다, 그건 하나님 아버지께서 하실 일이니

나는 내 할 일을 그냥 꾸준히 하자 하고 공부를 시작했는데 또 막 막 막 질문이 생기면서 머리가 아프면서

이건 뭐 뫼비우스의 띠도 아니고. 아, 기쁘고도 슬픈 이 내 운명이라니ㅎㅎㅎㅎㅎ


설교 고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25, 2015
*.94.91.64

'아, 기쁘고도 슬픔 이 내 운명이라니...'

자신이 기독교 영성의 깊이로

점점 빠져들고 있다는 사실을

은근히 자랑질 비슷하게 하는군요.

그래도 밉지 않네요.

profile

[레벨:20]문전옥답

August 26, 2015
*.194.68.54

기독교는 참 역설적인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 동안 한 방향으로만 시각이 고정되어 있어서

새삼 그렇게 느끼는 걸 수도 있겠지만,

팔복이 왜 팔복인지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ugust 26, 2015
*.94.91.64

팔복에 대한 느낌이 새로워진다니

정말 반가운 말씀입니다.

다른 것에 대한 관심이 전폭적으로 줄어드는,

줄어들 수밖에 없는 자리에 떨어진 사람은

마치 설사를 만난 사람처럼

오직 한 가지 사실에 매달리게 됩니다.

사람들은 그런 상황에서 삶이 파괴된다고 단정하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지레 겁 먹습니다.

오히려 그런 상황이 우리를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께만 집중하게 할 수 있어요.

이런 사실을 깊이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자기의 운명에 대해서 미리 걱정하지 않습니다.

그런 사람이 복 있는 사람이겠지요.

,

 

profile

[레벨:13]진인택

December 26, 2015
*.176.176.109

30세의 유대인 청년이 구주 예수라는 사실, 부활, 하나님은 왜 예수님을 보내셨는가? 예수님은 지나가신것일까 아니면 지금도 계시는 것일까? 늘 궁금해하고 알려고 하였습니다.

사건의 알리바이를 확인하듯이 뒷조사 캐는 모습으로 한 적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진리와 사건은 양과 횟수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작지만 , 순간적이었지만 그게 어떻다고 말씀드리긴 힘들지만

전 갑작스럽게 예수님의 모든 것을 믿게 되었습니다.

모든것을 맡기고 주님께 향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왜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달리셨나? 부활은 어떤의미인가,


저는 그동안  목사님의 말씀을 통해서 제가 궁금했던 것을

 알고나면  잊어 버리는 행위를 지금도 반복 중입니다.

몰라서 궁금해하는 상황은 목마름이요

말씀듣고 알았을 때의 상황은 타는 목에 냉수를 들이키는 기분이었습니다.

잊어버리고 생각이 안날땐 야속하기도 하였습니다만

또 그만큼 알고나서 즐거움은 참으로 큽니다.

목사님께 늘 감사드립니다. 길이 있어도 보지 못하는

저를 보게하고 듣게 하여 주셔서.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26, 2015
*.94.91.64

잊어버리고 생각이 나지 않는 일이 자주 있어야만

저의 역할이 빛을 냅니다. ㅎㅎ

그런 길을 계속 가다보면

기독교 신앙의 근본이

점점 또렷하게 보이게 될 겁니다.

2015년 마지막 주일을 복되게 맞으세요.

profile

[레벨:14]햇빛처럼

July 02, 2016
*.156.90.197

..



profile

[레벨:100]정용섭

July 02, 2016
*.164.153.48

ㅎㅎ 햇빛 님이 나에게 힘을 불어넣으려고

눈물까지 보이셨군요.

저도 간혹 성경을 읽을 때 속으로 눈물을 흘리곤 합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불쌍한데,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서 그 사실을 확인할 때가 그렇습니다.

'소자가 네 죄가 용서받았다.'는 말씀이

우리에게 얼마나 큰 은혜가 될 뿐만 아니라

용기가 되는지요.

좋은 주일을 맞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657
851 성령강림절 성령 공동체의 길 (고전 12:4-13) [2] 2020-05-31 4562
850 부활절 영광과 영생 (요 17:1-11) [4] 2020-05-24 5346
849 부활절 사랑과 계명 (요 14:15-21) 2020-05-17 5978
848 부활절 어두운 데서 기이한 빛으로! (벧전 2:2-10) [4] 2020-05-10 5025
847 부활절 성찬 예배 공동체 (행 2:42-47) [2] 2020-05-03 4081
846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456
845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8818
844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8719
843 사순절 주의 손과 주의 얼굴 (시 31:9-16) [6] 2020-04-05 5616
842 사순절 여호와의 손과 영 (겔 37:1-14) [2] 2020-03-29 5304
841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729
840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242
839 사순절 영생과 예수 (요 3:1-17) 2020-03-08 5329
838 사순절 의와 생명 (롬 5:12-19) [2] 2020-03-01 5599
837 주현절 영광스러운 미래의 생명 (마 17:1-9) 2020-02-23 4069
836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123
835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742
834 주현절 가난한 사람과 하늘나라 (마 5:1-12) 2020-02-02 9521
833 주현절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2] 2020-01-26 5191
832 주현절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7] 2020-01-19 4823
831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6964
830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536
829 성탄절 환난에 동참하시는 하나님 (사 63:7-9) [2] 2019-12-29 5592
828 성탄절 영광과 찬송 (눅 2:8-20) 2019-12-25 9633
827 대림절 예수와 임마누엘 (마 1:18-25) [5] 2019-12-22 9357
826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410
825 대림절 알곡과 쭉정이 (마 3:1-12) [6] 2019-12-08 11943
824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669
823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791
82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6905
821 창조절 두려워 말라! (학 1:15-2:9) 2019-11-10 5560
820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792
819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641
818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9961
817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5821
816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093
815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114
814 창조절 양자택일 (눅 16:1-13) 2019-09-22 5305
813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247
812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6894
811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785
810 성령강림절 안식, 해방, 연민 (눅 13:10-17) [6] 2019-08-25 4928
809 성령강림절 "정의" (사 5:1-7) [6] 2019-08-18 5141
808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094
807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767
806 성령강림절 살아계신 하나님 (호 1:2-10) [4] 2019-07-28 4894
805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167
804 성령강림절 아들과 죄 용서 (골 1:3-14) [6] 2019-07-15 9687
803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526
802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2, 6-14) [7] 2019-06-30 5103
801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779
800 성령강림절 지혜의 근원 (잠 8:1-4, 22-31) [4] 2019-06-16 6608
799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382
798 부활절 바울과 실라, 빌립보 감옥에서 (행 16:16-34) [4] 2019-06-02 15912
797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528
796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277
795 부활절 '그리스도'에 대한 질문 (요 10:22-30) [5] 2019-05-13 4526
794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7840
793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7034
792 부활절 창조의 능력, 부활의 능력 (사 65:17-25) [2] 2019-04-21 5877
791 사순절 제자도의 위기 (눅 22:24-34) [4] 2019-04-14 5993
790 사순절 마리아와 가룟 유다 (요 12:1-8) [4] 2019-04-07 5815
789 사순절 하나님과의 화해 (고후 5:16-21) [5] 2019-03-31 6242
788 사순절 백척간두의 실존 (눅 13:1-9) [6] 2019-03-24 5430
787 사순절 흑암과 두려움 가운데서 (창 15:1-12, 17-18) [5] 2019-03-17 5778
786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6941
785 주현절 "빛으로 변화되리라!" (눅 9:28-36) [2] 2019-03-03 5727
784 주현절 하나님, 역사, 삶 [4] 2019-02-24 5337
783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755
782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511
781 주현절 게네사렛 어부들 이야기 [6] 2019-02-03 6694
780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718
779 주현절 은사의 다양성과 성령의 동일성 (고전 12:1-11) [6] 2019-01-21 6429
778 주현절 창조주 여호와! (사 43:1-7) [6] 2019-01-13 5496
777 주현절 별을 따라온 사람들 (마 2:1-12) [11] 2019-01-06 9333
776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6824
775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6756
774 대림절 '노래하라!' (습 3:14-20) [2] 2018-12-16 8751
773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2018-12-10 8829
772 대림절 예수 강림! (살전 3:9-13) [6] 2018-12-02 8437
771 창조절 예수는 왕이시다! (요 18:33-37) 2018-11-25 5233
770 창조절 기도하라, 감사하라! (딤전 2:1-7) [5] 2018-11-18 9855
769 창조절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막 12:38-44) [6] 2018-11-12 16456
768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568
767 창조절 바디매오의 구원 이야기 (막 10:46-52) [4] 2018-10-28 13211
766 창조절 만물의 시원성에 대한 질문 (욥 38:1-7) [20] 2018-10-21 6297
765 창조절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히 4:12-16) [4] 2018-10-15 6273
764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107
763 창조절 만나와 메추라기 이야기 (민 11:4-15) [6] 2018-09-30 12747
762 창조절 사소한 것들과의 생명 관계 (막 9:30-37) [4] 2018-09-24 5829
761 창조절 종의 노래 Ⅲ (사 50:4-9) [2] 2018-09-16 5461
760 창조절 '힐링'의 원천 (막 7:24-37) [2] 2018-09-10 6292
759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166
758 성령강림절 예수는 누군가? (요 6:60-69) [6] 2018-08-26 5572
75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098
756 성령강림절 기독교 윤리와 하나님 사랑 (엡 4:25-5:2) [4] 2018-08-13 6420
755 성령강림절 예수는 생명 충만이다! (요 6:24-35) [2] 2018-08-05 6230
754 성령강림절 예수는 왕인가? (요 6:1-15) [8] 2018-07-29 6191
753 성령강림절 예수의 치유 능력 (막 6:30-34, 53-56) [6] 2018-07-22 5386
752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690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