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8

희망의 하나님 (롬 15:4-13)

대림절 조회 수 13965 추천 수 0 2013.12.08 20:26:36
설교듣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208.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31208.wmv 
성경본문 : 로마서 15:4-13 

 

희망의 하나님

롬 15:4-13, 대림절 둘째 주일, 2013년 12월8일

 

 

4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5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6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7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8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으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고 9 이방인들도 그 긍휼하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 바 그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10 또 이르되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하였으며 11 또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하라 하였으며 12 또 이사야가 이르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13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있듯이 초기 기독교 당시에는 로마가 유럽의 중심 도시였습니다. 바울은 로마 교회를 방문하고 싶어 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당장 달려갈 수는 없습니다. 일단은 재정적인 어려움에 처한 예루살렘 교회에 후원금을 전달해야만 했습니다. 그 일이 예정대로 잘 처리되면 로마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그 뒤로 스페인까지 가고 싶었습니다. 로마 교회는 바울이 설립한 교회는 아닙니다. 그가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교회입니다. 기원 후 40년대에 유대 기독교인들이 로마로 이주해오면서 교회 공동체가 시작되었고, 50년대 중반부터는 이방 기독교인들이 훨씬 많아졌습니다. 바울이 로마서를 쓴 게 바로 이때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기원후 56년 고린도에 머물러 있으면서 로마 교회 방문에 앞서 자신의 신학적 입장과 선교계획을 밝히려고 로마서를 썼습니다. 그게 역사에 살아남아서 로마서라는 이름으로 신약성경 안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오늘 우리가 제2 독서로 읽은 본문은 로마교회 신자들 사이에 벌어진 어떤 문제에 대해서 충고하는 내용입니다. 믿음이 강한 사람들과 약한 사람들 사이에 벌어진 갈등이었습니다. 로마교회 교인들 중에서 어떤 사람은 채식만 먹었고, 어떤 사람은 육식도 먹었습니다. 당시 육식을 한다는 것은 이교 신전에 바쳐졌던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입니다. 믿음이 좋은 사람들은 그런 것에 신경을 쓰지 않았지만 믿음이 약한 사람들은 그걸 꺼림칙하게 생각했습니다.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먹는 자는 먹지 않는 자를 업신여기지 말고, 먹지 않는 자는 먹는 자를 비판하지 말라.’(롬 14:3)고 말입니다. 오늘 한국교회의 실정에서 말한다면 술을 마시는 신자와 마시지 않는 신자의 갈등과 비슷합니다. 당시 로마 교회에서는 이 문제가 매우 심각해서 교회 공동체를 위태롭게 할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똑같이 복음 안에서 사는 사람들이 이런 먹을거리 문제 하나로 서로 상처를 낼 정도로 대립한다는 것은 인격적인 수준이 낮은 탓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게 인간의 어쩔 수 없는 실존적 한계라면 한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이런 문제가 충고를 통해서 해결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서로 노력해서 잠시 갈등을 봉합할 수는 있겠지만 기회만 되면 그 갈등은 다시 불거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바울은 더 본질적인 부분을 언급합니다. 그게 바로 오늘 본문 롬 15:4-13절입니다. 4절 말씀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여기서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라는 말은 구약성경을 가리킵니다. 구약성경의 영적 교훈은 희망과 연관된다는 뜻입니다. 우리말 성경은 단순히 ‘소망을 가지게 함’이라고 했는데, 루터는 더 강하게 표현했습니다. die Hoffnung festhalten, 즉 희망을 단단하게 붙드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본문 마지막절인 13절도 비슷한 내용입니다.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바울은 여기서 희망을 기독교 영성의 핵심으로 말하는 게 분명합니다. 희망의 하나님이라는 말은 하나님의 본질이 희망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만이 우리에게 희망을 줄 수 있습니다. 그 희망으로 기독교인은 기독교인으로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가 말하는 희망이 무엇일까요?

 

세상 사람들도 희망을 말합니다. 내년에는 모든 일이 잘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새롭게 시작하는 사업이 잘되기를, 좋은 사람을 만나서 결혼할 수 있기를, 새로운 직장에서 즐겁게 생활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심지어는 복권에 당첨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이런 것들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누구나 바라는 것들이기에 좋다, 나쁘다 말할 거는 없습니다. 그러나 바울이 본문에서 말하는 희망은 그런 것과 차원을 달리합니다. 희망을 본질로 하는 하나님만이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줄 수 있는 궁극적인 희망입니다. 그것은 메시아 희망, 즉 구원론적 희망입니다.

 

쉽게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구원받을 거라고 믿습니다. 어떤 구원일까요? 구원의 내용이 무엇일까요? 그런 구원이 오늘 우리의 삶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구원은 죽어서 천당 가는 거니까, 그리고 그건 죽어봐야 아는 거니까 더 복잡하게 생각할 거 없고, 이 세상에서는 그냥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행복한 삶을 살기만 하면 충분하다고 말할 분들은 없겠지요. 기독교인들의 삶은 메시아적 희망에 의해서 규정됩니다. 오늘 우리의 삶을 끌어가는 근원적인 능력이 바로 그것입니다. 바울은 이런 메시아적 희망을 통해서 로마교회 신자들 사이에 벌어진 갈등도 해결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자신의 주장에 대한 성서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바울은 본문 9-11절 사이에서 구약성경을 여러 군데 인용합니다. 시 18:49, 신 32:43, 시 117:1,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 11:10절입니다. 여기에 공통되는 단어는 열방입니다. 열방은 ‘여러 나라’라는 뜻인데, 원래는 이방인들을 가리킵니다. 이 인용구절에 따르면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백성인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될 것입니다. 말이 쉽지, 이건 아무나 생각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유대인과 이방인은 서로 적대적입니다. 서로를 원수처럼 생각했습니다. 특히 늘 약자로서 따돌림을 당하던 유대인들은 이방인들에 대한 적개심과 분노를 숨길 수 없었습니다. 아우슈비츠의 홀로코스트가 그들의 역사에서 반복되었기에 이방인을 용서할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지옥의 불쏘시개로 사용하기 위해서 이방인을 만드셨다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이런 상황이 해결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은 메시아가 오는 것이었습니다. 메시아사상이 유대인들에게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바울이 마지막에 인용한 구절인 사 11:10절만 공동 번역으로 읽겠습니다.

 

이새의 줄기에서 싹이 돋아 이방인들을 다스릴 분이 나타나리니 이방인들은 그분에게 희망을 걸리라.

 

이새는 다윗의 아버지입니다. 이새의 줄기라는 말은 다윗 가문이라는 뜻입니다. 다윗 가문에서 나신 메시아를 통해서 이제 이방인들도 희망을 얻게 될 것입니다. 바울은 바로 그 희망이 로마교회 교인들에게도 차고 넘치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이런 희망을 로마교회 교인들이 깨닫게 된다면 그들 공동체를 깨뜨릴 위험성이 있었던 교인들 사이의 갈등을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겁니다.

 

바울이 오늘 본문에서 네 번째로 인용한 구절이 포함된 사 11:1-10은 오늘의 제1 독서입니다. 거기에 메시아 개념이 좀더 자세하게 나옵니다. 거기서 이사야는 메시야를 심판자라고 표현했습니다. 그 심판자는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이나 들리는 소문으로 심판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의 생각을 뛰어넘어 전혀 새로운 기준으로 심판합니다. 그런 심판에 의해서 새로운 세상이 시작됩니다. 이사야는 그 세상을 이렇게 묘사합니다. 사 11:6-9절입니다.

 

그때에 이리가 어린 양과 함께 살며 표범이 어린 염소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 사자와 살진 짐승이 함께 있어 어린 아이에게 끌리며... 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장난하며... 내 거룩한 산 모든 곳에서 해 됨이 없고 상함도 없을 것이니...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

 

이사야의 예언자적 상상력이 마음에 그려집니까? 모든 적대적인 일들이 해체되는 세상입니다. 이사야는 제가 지난 주일의 설교에서 잠시 설명했듯이 말일에, 즉 메시야가 올 때 사람들이 칼을 쳐서 쟁기를 만들고 창을 쳐서 낫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선포했습니다(사 2:4b). 오늘 말씀과 연관됩니다. 당시는 근동의 패권을 휘두르던 앗수르 제국이 주변 나라를 정복해가는 시대였습니다. 앗수르의 군사력 앞에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는 긴박한 순간에 이사야는 예루살렘에서 메시아 희망을 선포한 것입니다. 궁극적인 평화이며, 참된 안식에 대한 외침입니다. 그가 도대체 정신이 있는 사람이었나요? 포식자인 이리와 표범과 사자가 양이나 염소와 함께 평화롭게 지낸다는 게 인간 세상에서 말이 되나요?

 

이런 일은 불가능합니다. 앗수르가 나중에 바벨론에게 망하지만 스스로 작은 나라와 평화롭게 지내지는 못했습니다. 사자가 배고프면 양을 잡아먹듯이 강한 나라와 강한 사람은 자기들의 필요에 따라서 약한 나라와 약한 사람을 폭력적으로 지배합니다. 아무리 옆에서 뜯어 말려도 되지 않습니다. 지금도 나라와 나라가 서로 힘을 겨루고 있습니다. 지긋지긋합니다. 남북한은 60년 이상 싸우고 있습니다. 육이오가 끝났지만 종전이 아니라 휴전상태일 뿐입니다. 우리 일상에서도 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로 실력으로 대결하고, 때로는 헐뜯고 모함합니다. 배운 사람은 배운 방식대로, 배우지 못한 사람은 배우지 못한 방식으로 다툽니다. 가족끼리도 싸우는 경우가 허다하지 않습니까.

 

이사야는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던 세상에서 메시아 희망을 품었습니다. 포식동물과 초식동물이 평화롭게 지내는 것처럼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가, 모든 인류와 모든 생명체들이 평화롭게 지내는 그런 시대를 꿈꾸었습니다. 그걸 희망했습니다. 그런 시대를 갈망했습니다. 그런 조짐이 전혀 없는 현실에 살면서 그는 미래에 그런 때가 온다고 믿고 선포했습니다. 그런 궁극적인 평화를 실현할 이가 바로 이새의 줄기에서 올 메시야라고 말입니다. 그러나 이사야가 살아있을 때는 아직 그런 때가 오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오랫동안 어둠의 시절이 지났습니다.

 

이사야의 메시아 희망을 알고 있던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님이 바로 이새의 줄기에서 온 메시아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사야의 예언이 예수님에게서 성취된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그들에게 예수님은 메시아, 즉 참된 평화의 왕이었습니다. 그를 통해서만 모든 적대 관계가 해체될 수 있습니다. 누가복음 기자는 예수님의 탄생에 관한 목자 전승을 전하면서 천군 천사의 노래를 이렇게 전합니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하나님이 기뻐하신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눅 2:14) 그리스도이신 아기 예수를 통해서 참된 평화가 시작되었으며, 그런 평화가 곧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뜻입니다.

 

이제 우리는 바울이 갈등을 겪고 있던 로마교회 신자들을 향해서 희망의 하나님이 희망을 가득히 부어주기를 바란다고 말한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메시아 희망을 아는 사람만이 다툼과 갈등의 질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을 통해서 다툼과 갈등의 원인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었다는 뜻입니다. 사자도 배가 부르면 옆에 토끼가 지나가도 잡아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사람은 동물과 달리 배가 불러도 싸웁니다. 동물보다 문제가 더 많은 겁니다. 그걸 성서는 죄라고 합니다. 사람의 평화는 육체의 배를 부르게 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근본적인 배부름을 필요로 합니다. 영적인 만족, 영적 풍요가 그것입니다. 다른 것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님을 통해서 영적인 만족을 경험했습니다. 그것은 곧 죄와 죽음의 해결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서 죄와 죽음이 해결되었다는 겁니다. 이게 기독교 신앙의 요체입니다. 우리는 모든 인류가 짊어지고 있는 죄를, 그리고 모든 인류가 숙명적으로 가야될 죽음을 믿음 안에서 극복한 사람들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영적인 만족을, 즉 궁극적인 배부름을 얻은 사람들입니다. 이제 다른 이들과 다퉈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미 배부른 사람이라고 한다면 밥을 더 먹겠다고 싸우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이것을 모르는 사람은 없으나 문제는 이게 실질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는 데에 있습니다. 십자가와 부활, 죄와 죽음의 극복이라는 말에 실감이 가지 않습니다. 어느 순간에는 그게 느껴지다가도 세상살이에 파묻히면 완전히 잊어버립니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그렇게 오락가락하며 삽니다. 식당이나 공장에서 일하거나 장사하는 어떤 기독교인이 있다고 합시다. 일주일 내도록 그런 일에 시달리다가 한번 갑자기 첨단 물리학에 대한 강의를 듣는다면 이질감을 느낄 겁니다. 지난주일이 지난 다음날 둘째 딸에게 설교를 알아들었냐고 물었습니다. 딸은 ‘멍 때렸어요.’라고 대답했습니다. 설교만이 아니라 예배 전체가 그랬을 겁니다. 그날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주일을 그렇게 지내는 것처럼 보입니다. 딸의 영혼을 울릴 수 있도록 설교를 설득력 있게 전하지 못한 저의 책임도 있겠지만, 딸의 마음이 평소에 기독교 영성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예배와 설교의 세계로 들어오지 못한 책임도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이런 경험을 하실 겁니다.

 

바울도 그 메시아 희망이 저절로 주어지는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4절에서는 인내와 성경의 위로를 통해서 주어진다고 했고, 13절에서는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주어진다고 했습니다. 그의 말은 다음과 같은 뜻입니다. 우여곡절이 많겠으나 구도적인 태도로 신앙생활에 참여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적 만족이 무엇인지 경험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메시아 희망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뜻입니다.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이것보다 더 귀한 경험은 없습니다. 거꾸로 이것 이외에 더 필요한 것도 없습니다.

 

오늘은 대림절 둘째 주일입니다. 예수님의 초림을 기억하고 재림을 기다린다는 의미의 절기입니다. 지금 우리는 초림과 재림 사이의 중간시기를 살고 있습니다. 중간시기의 특징은 불안입니다. 절대적인 평화를 가리키는 메시아 희망이 여전히 모호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리의 세상살이가 혼란스럽습니다. 그래서 세상이 못마땅해 보일 수도 있고, ‘될 대로 되라’ 하는 생각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피로가 누적된 이 세상을 볼 때 더 낙심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용기를 잃지 마십시오. 원수처럼 여겨졌던 이방인들까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절대적인 평화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대림절의 평화이며 희망입니다. 우리는 거기에 전적으로 의지해서 살아야 할 사람들입니다. 저는 바울과 똑같은 심정으로 말씀드립니다. 희망의 하나님이 여러분들을 메시아 희망에 사로잡혀 살아가도록, 그래서 그리스도의 평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아멘.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December 08, 2013
*.192.53.116

왜 그 분은 구원의 은혜까지 베풀어주시고는
영혼의 진정함 만족은 우리의 몫으로 유보하셨을까요?

부르시는 날까지 평생에 걸친 구도정진의 안간힘을 써야,
오늘 말씀으로 하자면,
늘 우리 영혼의 촉수가 그 분께로 향하여져야만,
잠시 잠깐이라도 영적 긴장감을 놓치면
여지없이 우리 영혼이 세상것에 팔려갈수 밖에 없는,
그런 운명, 그런 실존속에 허락하셨을까요?

결국 그런 영적 사투나, 몸부림 없이
종교적 열심에 갇혀
봉사 섬김등 자기 만족 가운데
편하게(?) 신앙생활하다가 소천하는 신자들도
참 많은것 같은데
(아닌가요? 다비안들만 고급한 영적수준에 이르고자 가난하고 애통해하고 있다고 착각과 자만속에 빠져있는 신종 집단인가요? 그래서 저들의 신앙생활을 폄하하며 우리끼리 추켜세워가고 있는건가요?)
그리고 그런 자기의 영적 실존에 대한 갈등도
불만도 그래서 채움받고자 하는 끊임없는 갈증과 이를 향한 몸부림도 없이 무난하게 신앙생활 하는것 같은데
왜 다비안들은
기존 교회의 거부할수 없는 그 거대한 흐름과 경향과 풍조에 함몰, 동화, 순응하지 못한채 방황하다가 이 다비안에 모여
잡히지도 않는, 쉽게 잡힐것 같지도 않은,
그 신기루같은 목표를 향하여 신앙생활하게 된걸까요?

지난 지난 설교때 그러셨죠?
사업이 형통하고 자식들이 내 기대대로 되어도
영혼의 진정한 만족을 없을수 없다고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존재이기에
그 분으로 우리 영혼이 충만해 질때
삶의 정황을 초월한 진정한 만족과 기쁨이 가능함을 머리로는 아는데
그래서 늘 되풀이 말씀하시는 구도정진에 십분 공감하며 그 길을 가고자 애쓴데 3년전이나 1년전이나 오늘이나 스스로 감각하는 영혼만족도의 채감지수가 도무지 올라가는것 같지 않아서요

목사님! 괜히 한번 투정부려봤습니다
이 선한 싸움!
죽을때 까지 싸워야겠죠?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09, 2013
*.94.91.64

투정, 잘 하셨습니다. 
그럴 때도 필요합니다. 
투정의 내용은 이렇게 요약하면 되겠지요? 
머리로는 아는데 실제로는 잘 되지 않는다는 거 말입니다. 
솔직한 말씀인데요,
그걸 설명하려면 A4 용지 10장은 필요합니다. ㅎㅎ
수많은 성서기자들과 영성가들과 수도자들이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용맹정진한 거잖아요. 
우리가 잘 아는 주님의 말씀을 빗대서 말씀드리면 
마음은 원이지만 몸이 안 따라주는 거구요. 
왜 어떤 사람은 영적 심화 문제와 무관하게 살고 
어떤 사람은 예민하게 사느냐, 하는 것도 간단한 게 아닙니다. 
세상살이도 그렇잖아요. 
독재정권이 제멋대로 해도 사는 데 아무 지장이 없으니
그냥 그러려니 하며 사는 사람들이 있고, 
참된 민주주의를 위해서 투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목사가 사이비 교주처럼 행세해도 그냥 순종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고
거기에 대항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거지요. 
노래방에 가서 흥겹게 노는 것으로 음악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있고, 
발성으로부터 시작해서 끝없는 공부와 훈련을 해야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신이 선택하는 겁니다.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냥 편하게 신앙생활을 해도 좋아요. 
물론 그들도 나름으로 영적 진정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는 도저히 영적 만족이 되지 않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들이 다비안들이라고 해도 좋아요. ㅎㅎ
2천년 기독교 역사에 담지된 영적 깊이를 인식, 체험하려는 거지요. 
바울의 표현을 빌리면 
붙잡힌 바 된 그것을 잡으려고 푯대를 향해서 달려가는 겁니다. 
그 푯대가 사실은 부스러기 님이 말한 것처럼 '신기루'와 같은 거에요. 
보이는 사람에게만 보이는 거지요. 
그런 선배들이 많았기에 기독교가 지금까지 생명력을 잃지 않는 거구요. 
부스러기 님도 지금 진도가 나가지 않아서 약 오를지 모르겠으나 
때가 되면 어떤 소리를, 어떤 언어를, 어떤 그림을 만나게 될 겁니다. 
그 과정이 기독교인의 삶인 거지요. 
죽는 순간에도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거는 아니지만요. 
그게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상의 신비, 생명의 신비랍니다.
 

profile

[레벨:8]쩡쩡이

December 10, 2013
*.150.95.127

땅에서 뿌리가 뽑혀 하늘로 심겨진 경험이 있는 사람은
 'already but not yet'의 실존을 잘 인식하고 얽매이지 않고 즐거이 푯대를 향해 달려 가겠죠?
때때로 괴로우나 가슴 벌렁 거렸던 기억을 떠올리며 또 기대하며...^^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1, 2013
*.94.91.64

쩡쩡이 님, 
'땅에서 뿌리가 뽑혀 하늘로 심겨진 경험'이라는 표현은 
어디서 베낀 거 아니에요? ㅎㅎ
영성가 아니면 시인의 마음에서나 나올 수 있는 표현이라서요. 
죽을 때 우리 모두가 그런 경험을 하게 될텐데,
그걸 실질적으로 미리 경험했다는 거잖아요. 
'already but not yet' 개념을 
N.T. Wright는 이렇게 표현했어요. 
'the now-and-not-yet of the Gospel'
돌아오는 대림절 셋째 주일의 교회력에 따른 렉셔너리를 
톰 라이트가 묵상하는 대목에 나옵니다. 
그 책은 손 선생님에게서 선물로 받는 거를 아시지요? 
라이트가 재미있게 설명하네요. 
요한은 예수님에게 오실 그이가 당신인가, 하고 물었잖아요. 
근데 그 순간에 요한은 헤롯의 감옥에 있었어요. 
예수가 메시아라고 한다면 요한을 감옥에서 석방시킬 수 있었어야지요. 
이게 바로 어두운 미스터리(a dark mystery)라고 하네요. 
그런 말을 하면서 위에서 인용한 표현을 한 겁니다. 
저 책이 재미있는데 읽고 싶으면 말씀하세요.
나는 영어가 딸려서 엉금엉금 읽습니다. 
'푯대'가 일단 잡혔다면 됐습니다. 
그렇게 가보십시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December 10, 2013
*.192.53.116

목사님의 댓들을 읽다가 문득 숭실대 김회권 교수가 쓴
 '청년설교'의 일부분이 생각났습니다.

"창세기 13장,  
  아브라함이 이집트에서 사래로 인해 큰 재물을 얻어 나오면서
  아브라함의 믿음이 양자 물리학적으로 큰 비약을 이룬것을 경험하였다.

  (양자 물리학적이란 점진적으로 발전하다가,
   어느 순간 임계점에 도달하면 질적으로 전혀 다른 차원의 성장을 이루는 것을 말한다)

   창세기 13장에서 돈과 재산 문제에 초연한 사람이 되고,
   14장에선 아내를 팔아먹으려 했던 그  옹졸한 아브라함이 맥아더 장군같은
   용맹함을 보이더니,
   15-16장에서 다시 영적 침체와 쇠락의 길을 걷는다.
   17장에서 약간 회복되기 시작하더니,
   18- 19장에서 다시 비약적인 성장을 한다.
   20장에서는 다시 실족하고,
   21장에서 다시 회복되더니,
   22장에서 성숙의 최고봉에 이른다"

   우리도 아브라함과 방불한 모습으로 부름을 받았겠죠?
   우리가 자초한 실수와 실족이든, 불가항력적인 정황이든,
   우리 앞에 놓인 요동치는 세상사 앞에서
   믿음 또한 다양한 변곡점을 그리며
   그래서 우리기 가진 믿음의 그릇이 채워지는
   양자 물리학적 비약을 이루는 그 임계점에 알음 알음 다가가겠죠?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1, 2013
*.94.91.64

김회권 박사님의 글을 읽으시는군요.
그렇다면 일반 교회의 설교를 듣기 힘들겠네요. ㅎㅎ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8]쩡쩡이

December 11, 2013
*.150.95.127

ㅎㅎㅎ 목사님!제가 당근 지어낸 말은 아니구요.근데 참 신기하네요 저 말을 하신분이 영성가이자 시인인거 어떻게 아셨어요?!지난 금요일 그분이 페북에 설교 올리셨는데 저 부분에 심장이 뛰고 감동되어 잊어버릴까 계속 외우고 있었거든요.목사님 설교중에 오버랩이 되었습니다.저번에 '우지마라....'해주신 분이죠.    
톰 라이트 책은 많이 있어요. 손샘이 하도 유투브에 설교 들으래서 듣느데 영국 영어에 넘 어려운 단어에 남다른 설교진행에 그야말로 멍~~~하나도 못알아먹고 나옵니다 ㅜㅜ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1, 2013
*.94.91.64

음, 어떻게 알았냐구요?
그건 비밀입니다. ㅎㅎ 
모든 전문영역 공부에서 기초적으로 필요한 작업은
읽기, 외우기, 쓰기, 따라하기 ... 등등인 것처럼
사실 신학과 신앙 영역에서도 그게 필요한 거지요.
'우리 마라' 말씀하신 분의 문장을 외우셨다니, 잘 한 겁니다.
기독교 신앙에서는 예배가 가장 중요한 공부라 할 수 있어요.
거기에 2천년 기독교 영성이 대부분 녹아 있기 때문이에요.
예배를 읽고, 외우고, 쓰고, 따라하다 보면
어느 사이에 우리가 그 거대한 흐름 안에 들어가 있다는 걸 발견할 겁니다.
문제는 영적으로 건강한 예배를 어떻게 살려내느냐에,
거기에 어떻게 영적 진정성을 안고 참여하느냐에 있어요.
설교도 예배의 한 요소라는 점에서
그걸 맡은 사람의 책임이 막중합니다.
마지막 심판대 앞에서 그분께서 책임을 물으실 거를 생각하면
부끄럽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고... 좀 그렇지요.

profile

[레벨:13]진인택

April 18, 2014
*.220.104.49

진정으로 내 허기를 채워줄 수 있는 것이 죄와 죽음의 해결이란 말씀이 지난주에 이어 또 다시 쿵 하고 다가 옵니다.

기독교인으로서 구도의 자세를 어떻게 잡아가야 하는지 조금씩 이해가 됩니다. 그냥 성경책만 모르면서 페이지만 넘기는 게 능사가 아니란 사실에 자기 자랑 삼아 성경책 읽은 것이 부끄럽습니다.

수많은 페이지를 읽어도 한 줄을 이해 하지 못하면 애써 읽은 것이 자기 위안 같아 보이고 한 줄을 제대로 읽고 희망의 메시지를 경험하게 된다면 제대로 읽은 것이 되는 것 같습니다.

학교 다닐 때 앉을 자리가 넉넉한 버스가 오면 모두들 느긋하게 양보까지 합니다. 아마 주님께선 그런 넉넉한, 모든걸 포용하는 현실을 보여 주시겠지요.

곧 그런 희망의 버스를 탈 수 있기에 자리 싸움하지 말고 느긋하게 사는 삶을 만들어 가겠습니다.

저는 지금 너무 날카롭습니다. 내 옆을 누가 스치고 지나만 가도 베이는 예리한 날들이 이리저리 장착이 되어있습니다. 진짜로 그 칼들을 다 녹여서 시원한 그릇을 만들어 물을 마시고 싶습니다. 느긋함이 없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8, 2014
*.94.91.64

자신에게 장착된 날선 칼로 인해서 힘들어하시는군요.

본인도 마시고 이웃도 마실 수 있는 물그릇이 되기 원하시니

주님께서 도와주실 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8236
748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와 씨 비유 (막 4:26-34) [5] 2018-06-17 6665
747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10] 2018-06-11 5477
746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605
745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078
744 성령강림절 성령이 도우시리라! (롬 8:22-27) [4] 2018-05-20 5824
743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6974
742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661
741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245
740 부활절 믿음과 사랑 (요일 3:16-24) 2018-04-22 5564
739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7827
738 부활절 오래된 미래 (행 4:32-35) [4] 2018-04-09 9015
737 부활절 예수의 빈 무덤과 막달라 마리아 (요 20:1-18) [8] 2018-04-01 9521
736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365
735 사순절 예수의 영광과 영원한 생명 (요 12:20-33) [4] 2018-03-18 6626
734 사순절 원망에서 생명으로! (민 21:4-9) 2018-03-11 11820
733 사순절 표적과 지혜를 넘어서! (고전 1:18-25) [8] 2018-03-04 9916
732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341
731 사순절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 (벧전 3:18-22) [14] 2018-02-18 10162
730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303
729 주현절 예수의 회당 전도 (막 1:29-39) [13] 2018-02-04 9612
728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1-28) [4] 2018-01-28 5839
727 주현절 하나님의 회심 (욘 3:1-5, 10) [6] 2018-01-21 6487
726 주현절 하늘이 열리는 것을 보리라 (요 1:43-51) [4] 2018-01-15 9822
725 주현절 회개 세례와 성령 세례 (행 19:1-7) [6] 2018-01-07 8703
724 성탄절 종의 삶과 아들의 삶 (갈 4:4-7) [9] 2018-01-01 8650
723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7409
722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7735
721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3] 2017-12-11 15686
720 대림절 "깨어 있으라!" (막 13:24-37 [5] 2017-12-03 10813
719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9] 2017-11-26 6760
718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눅 17:11-19) [10] 2017-11-19 9817
717 창조절 언약을 통한 생명 경험 (수 24:19-25) [12] 2017-11-12 6578
716 창조절 낮춤과 높임의 역설 (마 23:1-12) [14] 2017-11-05 12622
715 창조절 왜 복음인가? (롬 1:8-17) [7] 2017-10-29 11208
714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566
713 창조절 청함 받은 자와 택함 받은 자 (마 22:1-14) [7] 2017-10-16 11331
712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192
711 창조절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출 17:1-7) [4] 2017-10-01 12305
710 창조절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한 삶 (빌 1:21-30) [7] 2017-09-24 8819
709 창조절 용서의 능력과 기술 (마 18:21-35) [2] 2017-09-17 8775
708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184
707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7802
706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468
705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믿음 (마 15:21-28) [7] 2017-08-20 12882
704 성령강림절 요셉과 그 형제들 (창 37:1-4, 12-28) 2017-08-13 10084
703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049
702 성령강림절 어두운 심연으로부터의 해방 (롬 8:26-39) [2] 2017-07-30 4988
701 성령강림절 종말과 오늘 사이에서 (마 13:24-30, 36-43) [2] 2017-07-23 5647
700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6881
699 성령강림절 예수만이 안식이다 (마 11:16-19, 25-30) [5] 2017-07-10 9240
698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109
697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5] 2017-06-25 9959
696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369
695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807
694 성령강림절 교회와 성령 충만 (행 2:1-13) [11] 2017-06-04 11267
693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741
692 부활절 믿음과 희망 (벧전 3:13-22) [4] 2017-05-21 12475
691 부활절 순교 영성 (행 7:55-60) [3] 2017-05-14 5826
690 부활절 생명의 깊이 (요 10:1-10) [4] 2017-05-07 5319
689 부활절 눈이 열리다! (눅 24:13-34) [4] 2017-04-30 9742
688 부활절 "우리는 부활의 증인들이다." (행 2:22-32) [2] 2017-04-23 6396
687 부활절 생명의 은폐와 탈은폐 (골 3:1-4) [7] 2017-04-16 6650
686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6890
685 사순절 에스겔의 마른 뼈 환상 (겔 37:1-14) 2017-04-02 25978
684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181
683 사순절 하나님과의 평화가 답이다 (롬 5:1-11) [5] 2017-03-19 9653
682 사순절 심판과 구원 (요 3:1-17) [7] 2017-03-13 9357
681 사순절 죄의 본질 (창 2:15-17, 3:1-7) [1] 2017-03-05 8629
680 주현절 변형 (마 17:1-9) 2017-02-26 9878
679 주현절 완전한 사람 (마 5:38-48) [2] 2017-02-19 8804
678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556
677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771
676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405
675 주현절 "회개하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4] 2017-01-22 11399
674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231
673 주현절 나사렛 예수와 죄용서 (행 10:34-43) [6] 2017-01-09 8735
672 성탄절 나사렛 사람 예수 (마 2:13-23) [6] 2017-01-01 12982
671 성탄절 태초의 말씀 (요 1:1-14) [5] 2016-12-25 14002
670 대림절 복음 (롬 1:1-7) [12] 2016-12-18 13701
669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720
668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356
667 대림절 주의 날을 준비하라. (마 24:36-44) [11] 2016-11-27 15080
666 창조절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신다! (빌 4:4-9) [9] 2016-11-20 10362
665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229
664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440
663 창조절 삭개오 이야기 (눅 19:1-10) [14] 2016-10-30 22697
662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11] 2016-10-23 11433
661 창조절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8:18-9:1) [9] 2016-09-18 12586
660 창조절 하나님의 기쁨 (눅 15:1-10) [21] 2016-09-11 16465
659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269
658 성령강림절 천국식탁 이야기 (눅 14:1, 7-14) [22] 2016-08-28 14267
657 성령강림절 예레미야의 소명 (렘 1:4-10) [9] 2016-08-21 13048
656 성령강림절 예수는 불이다! (눅 12:49-56) [18] 2016-08-15 10248
655 성령강림절 믿음의 길 (히 11:1-3, 8-16) [19] 2016-08-07 9906
654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072
653 성령강림절 "이렇게 기도하라!" (눅 11:1-13) [28] 2016-07-24 12107
652 성령강림절 마리아의 좋은 선택 (눅 10:38-42) [15] 2016-07-17 15084
65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7994
650 성령강림절 이스라엘의 선지자 '너머' [16] 2016-07-03 6506
649 성령강림절 예수 따름의 위급성 (눅 9:51-62) [9] 2016-06-26 9873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