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8

성령의 도우심(롬 8:22-27)

성령강림절 조회 수 10899 추천 수 0 2015.05.24 21:59:04
설교듣기 : https://youtu.be/pp2fIzDRie4 
성경본문 : 로마서 8:22-27 

성령의 도우심

8:22-27, 성령강림절, 2015524

 

22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23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24 우리가 소망으로 구원을 얻었으매 보이는 소망이 소망이 아니니 보는 것을 누가 바라리요 25 만일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참음으로 기다릴지니라 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27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니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어리석은 질문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지금 행복하신가요? 대답은 제각각일 겁니다. 행복하다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할 겁니다. 실제로는 행복하지 않는데도 행복한 것처럼 대답할 수도 있고, 실제로는 행복한데도 개인적으로 불행하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행복의 문제는 주관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연봉 3천만 원으로도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있지만, 1억 원으로도 불행하게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신체가 건강한데도 불만이 많은 사람이 있고, 상대적으로 몸이 약하지만 만족스럽게 사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느 쪽에 속했든지 실제로는 탄식소리를 낼 수밖에 없습니다. 바울은 그 사실을 오늘 제2 독서 롬 8:22절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바울이 말하는 피조물은 사람만이 아니라 모든 사물과 모든 생명체를 가리킵니다. 장미, 민들레, 뻐꾸기, 고양이, 벌레와 곤충, 여러 물고기, 그리고 하늘의 별과 구름과 강과 산이 그것입니다. 만물이 탄식과 고통 가운데 놓여 있다는 바울의 말을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너무 비관적인가요? 저는 바울의 이 말이 세상을 정확하게 뚫어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십시오. 사람은 아무 것도 영원히 소유할 수가 없습니다. 돈과 건강만이 아니라 생명 자체도 소유할 수가 없습니다. 모든 것들은 우리 손에서 빠져나갈 뿐만 아니라 우리 자체가 결국 파괴됩니다. 우리 가족이 하양 아파트에서 살다가 원당 숲으로 들어가면서 겪게 되는 불편한 일은 쓰레기 처리입니다. 특히 음식물 처리가 어렵습니다. 처음에는 일일이 정해진 통에 담아 면소재지의 큰길가에 내다놓았는데, 그게 귀찮아서 이제는 집 마당의 텃밭 옆에 구덩이를 파서 해결합니다. 저는 이틀에 한 번씩 썩어가는 음식물을 그 현장에서 확인합니다. 그 쓰레기가 저의 미래입니다. 아름다웠던 꽃들도 시들고 떨어져 말라 썩습니다. 탄식이 나오지 않을 수 없습니다.

바울이 사용한 헬라어 수스테나제이를 개역개정 성경은 함께 탄식하며, 공동번역은 다 함께 신음하며로 번역했습니다. 루터는 함께 갈망하며로 번역했습니다. 탄식이나 신음이나 갈망은 근본적으로 비슷한 의미입니다. 돈을 많이 벌려는 갈망이 있는데, 이로 인해서 탄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인생살이의 성공여부에 상관없이 탄식이라는 실존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결혼 이전의 젊은이들은 자기 이상형을 만나면 더 이상 갈망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것도 착각입니다. 죽을 때까지 갈망과 탄식이 끝나지 않습니다.

그런 갈망이나 탄식은 믿음이 부족한 탓이라고 생각하는 기독교인들이 있습니다. 믿음만 강하면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다고 말입니다. 그래서 믿음을 달라고 하나님께 매달립니다. 그것은 착각입니다. 예수 믿는 사람도 인간 실존의 탄식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이것도 제 이야기가 아니라 바울의 가르침입니다. 23절에서 그는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의 탄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분명하게 말합니다.

 

그뿐 아니라 또한 우리 곧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우리까지도 속으로 탄식하여 양자 될 것, 곧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리느니라.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가리킵니다. 그를 믿고 그를 통해서 부활 생명을 약속으로 받은 기독교인들은 당연히 구원을 받은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아직 생명 완성의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습니다. 여전히 갈망하고 탄식합니다. 여전히 배가 고프고, 몸이 아프기도 하고, 지나친 욕정에 빠지기도 합니다. 여전히 이기적이고, 때로는 알게 모르게 거짓말도 합니다. 교회 문제도 그렇습니다. 교회가 작으면 작은 대로, 크면 큰 대로 갈망과 탄식이 그치지 않습니다. 우리 믿는 사람들의 삶도 구원과 거리가 먼 것처럼 보일 때가 많습니다. 바울은 오늘 본문 앞장인 롬 7:19절에서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원하지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는도다.’라고 고백했습니다. 이런 자신의 영적 실존을 탄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 몸의 속량을 기다린다는 게 바로 이런 뜻입니다.

바울의 신학적 분석을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나는 옳다고 봅니다. 기독교인들도 상대적인 차이가 있긴 하지만 실제 삶에서 갈등과 모순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예수 믿으면 늘 기쁘고 평화로워야 하는데, 모두 그걸 기대하겠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합니다. 예수 믿어도 별 다를 게 없다는 사실로 인해서 믿음 생활을 포기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런 모순과 갈등을, 즉 탄식의 상황을 직면하면서 버텨낼 수 없어서 변질된 길을 찾는 사람들이 구원파에 속한 이들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구원받았다는 사실에만 집중합니다. 거기에 맹목적으로 빠져들면 탄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문제가 해결된 것처럼 착각할 수 있습니다. 정통 교회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몸의 속량이 가리키는 영적 깊이를 외면한 채 예수 믿고 구원받았으니 주님을 위해서 교회에 충성 봉사하며 살면 된다는 식입니다. 원칙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지만 바울이 가리키는 믿는 자들의 탄식을 전혀 눈치 채지 못한 신앙 행태입니다. 이런 방식의 신앙 행태에 머물면 신앙이 변질, 왜곡될 수 있습니다. 위선에 빠지거나 관념에 떨어집니다. 신앙이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됩니다.

바울의 설명을 좀더 따라갑시다. 그는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신앙 문제를 처리하지 않습니다. 생각이 미칠 수 있는 데까지 계속 밀고 들어갑니다. 몸의 속량이라고 할 때의 은 한 인간의 총체적 인격을 가리킵니다. 총체적 인격이 속량된다는 것을 사도신경은 몸의 부활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것이 곧 구원입니다. 그 몸의 부활을 희망함으로써 우리는 구원받은 사람들입니다. 본문 24,25절에 따르면 이 희망은 보이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것은 다 시간이 지나가면서 시들고 없어지기 때문에 그것을 희망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탄식하는 이유는 보이는 것만으로 영적 만족을 얻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몸의 속량은 지금 우리가 볼 수 없는 부활의 영광, 또는 부활의 현실에서 이뤄집니다. 그게 아직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2천 년 전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한번 일어났지만 다시 은폐의 세계로 들어갔으며, 종말 때에 분명하게 일어날 것입니다. 그 종말의 사건이 바로 바울이 말하는 보지 못하는 것입니다. 우리 기독교인들은 바로 그것, 아직은 보지 못하는 것을, 즉 하나님께서 권능으로 행하실 부활의 영광을, 생명의 절정을 희망합니다. 그 희망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여전히 세상에서 탄식합니다. 우리는 이제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마냥 탄식만 하고 있으면 될까요?

25절을 루터의 번역으로 읽겠습니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들을 희망한다면, 그러면 우리는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야 합니다.” 바울은 기다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기다림이 기독교 영성이 중심이라고 해야 과언이 아닙니다. 이 기다림에는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편안하게 카페에 앉아서 친구를 기다리는 게 아닙니다. 탄식할 수밖에 없는 삶의 현장에서 기다려야 합니다. 일정한 시간이 정해진 것도 아닙니다. 이런 기독교인의 삶은 답답합니다. 아예 몸의 속량에 관심이 없든지, 부활의 영광에 대한 희망이 없으면 차리라 마음은 편할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막막하고 답답해도 오직 굳센 믿음 안에서 주님의 재림을 기다려야만 할까요? 하나님은 우리를 고아처럼 내버려둔 채 스스로 어떻게 헤쳐 나가는지 두고 보는 분일까요? 우리가 처한 현실을 보면 그렇게 생각될 여지가 있습니다. 그것은 생각이 부족한 겁니다. 우리보다 먼저 이런 문제를 뚫어본 바울이 본문에서 무어라 말하는지를 보십시오. 26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바울은 우리가 무엇을 기도해야 할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연약하지만 성령이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며, 우리를 위해서 친히 간구하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지는 27절에서도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들을 위하여 간구하신다고 했습니다. 세 번에 걸쳐서 성령의 도우심을 말했습니다. 세 번째로 언급된 성도는 구체적으로 교회 공동체를 가리킵니다. 성령이 돕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믿을 수 있다면 탄식의 세상살이에서도 인내심을 갖고 몸의 속량을 기다릴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성령의 도우심을 어떻게 인식하고 믿을 수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아무런 근거도 없지 무조건 믿을 수는 없습니다. 성령이 주식투자 같은 거라면 실증적으로 논증해낼 수 있겠지만, 성령은 하나님과 마찬가지로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에 잡히지도 않기 때문에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나름대로 확인해보려는 시도가 지난 기독교 역사에서 여러 번 시도되었습니다.

26절 말씀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바울은 성령이 돕는다는 말을 하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을 합니다.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해서 친히 간구하신다는 겁니다. 탄식이라는 단어는 앞에서 두 번이나 반복되었습니다. 세상의 모든 피조물들은 함께 탄식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예수를 믿는 사람들도 역시 속으로 탄식합니다. 그런데 이제 세 번째로 성령마저 탄식한다고 했습니다. 성령의 탄식! 이게 말이 될까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성령도 피조물이나 기독교인들과 마찬가지로 몸의 속량을 애타게 기다린다는 말은 아니겠지요. 이 표현은 오랫동안 난해구절로 남아 있었습니다. 성서학자들이 대체로 동의하는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령이 탄식한다는 말은 당시의 열광주의 신앙행태를 가리킵니다. 구체적으로는 방언입니다. 방언은 남이 알아듣지 못하는 언어로 행해지던 기도의 한 행태입니다. 열광적이고 몰아적인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비슷한 현상을 무당들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종교나 유사 종교에서도 이런 현상은 종종 일어납니다.

바울은 고전 14장에서 이 문제를 자세하게 다루었습니다. 고린도교회는 방언을 가장 큰 은사로 여겼습니다. 왜냐하면 방언이 천사의 말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방언을 통해서 천상의 세계와 소통한다는 뜻입니다. 고린도교회에서는 개인이 기도할 때만이 아니라 예배 시간에도 중구난방으로 방언이 행해졌습니다. 바울은 이런 방언 현상이 교회의 질서를 깨뜨리고 선교에도 지장을 준다고 판단했습니다. 자신도 방언을 하는 사람이지만 방언은 철저하게 절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고전 14:19절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교회에서 네가 남을 가르치기 위하여 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이 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보다 나으니라.” 여기서 가르치는 건 예언, 즉 설교를 가리킵니다. 바울이 볼 때 방언은 믿지 않는 자들이 믿음의 단계에 들어가기 위한 수단이고, 예언은 믿는 자들을 위한 것입니다. 예배는 믿는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것이기 때문에 알아들을 수 없는 방언이 아니라 알아들을 수 있는 예언이, 즉 설교가 그 중심에 놓여야 합니다. 바울이 방언을 부정한 것은 물론 아닙니다. 열광적인 예배 행태에 대한 충고입니다.

지금 바울이 편지를 쓰고 있는 로마교회에도 방언 집단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이상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탄식할 수밖에 없는 세상살이에서 기독교 신앙을 뜨겁게 경험하면서 살아가려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이 선택한 길은 엑스타시 경험입니다. 부활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입니다. 다른 사람은 물론이고 자기 스스로도 무슨 기도를 하는지 모를 정도의 황홀경에 빠져드는 경험입니다. 이를 통해서 그들은 자신들의 영혼이 고양되는 경험을 합니다. 세상도 없고 자기도 없고 오직 부활의 그리스도만 현실이 됩니다. 탄식이라는 실존도 사라집니다. 이미 천국에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것이 바로 성령을 받은 증거라고 여겼습니다.

바울은 그런 방식의 신앙 행태에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방언으로 대표되는 열광적인 예배 행태는 예배의 영적인 풍요가 아니라 오히려 결핍에 대한 표식이었습니다. ‘성령의 말할 수 없는 탄식이라는 바울의 진술이 가리키는 의미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바울이 로마 교회에 말하고 싶은 것은 성령의 탄식에 의존할 게 아니라 성령이 우리를 위해서 친히간구하고, 하나님의 뜻대로 교회를 위해서 간구한다는 사실입니다. 그 사실을 바울은 27절에서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나나 이는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심이니라.

 

참으로 놀라운 통찰이자 믿음이자 가르침입니다. 창조자인 하나님의 영이면서, 부활의 영광을 입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인 성령이 우리를 위해서 간구하신다는 겁니다. 이는 곧 성령이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는 뜻입니다. 성령이 주도적으로 신자들과 교회 공동체를 이끌어갑니다. 속된 표현으로 성령은 우리의 든든한 입니다. 빽이 있으면 상황이 어려워도 걱정하지 않습니다. 문제가 이미 해결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바울은 오늘 본문에 바로 이어지는 롬 8:28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저는 위에서 성령의 도우심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 하고 여러분을 대신해서 질문했습니다. 제 설교에서 대답을 찾으셨는지요. 이에 대한 딱 떨어지는 대답은 아무도 제시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나 포도주의 깊은 맛을 잘 모르는 사람에게 그것을 딱 떨어지게 설명할 수 없는 거와 같습니다. 커피나 포도주의 맛은 설명이 아니라 자주 마시고 공부하면서 경험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성령의 도우심을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의존하는 이들의 모임이 바로 에클레시아, 교회입니다. 초기 교부들이 교회를 성령의 피조물이라고 규정한 것도 여기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이런 전통에 따라서 2015년 오순절 성령강림절 예배에 참석한 여러분들에게 간곡하게 말씀드립니다. 다음의 사실을 잊지 마십시오. 성령께서 연약함 가운데서 몸의 속량을 기다리면 살아가는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성령께서 이런 사람들의 공동체인 교회를 위해서 친히 간구하십니다.  


profile

[레벨:6]사막교부

May 25, 2015
*.39.218.195

우리는 땅에 발을 딛고 사는 실존적 존재인데

신앙이 몰역사적, 탈현세적인 것이 되어 버려

우리가 몸 담고 있는 현재적 역사속에선 맥을 못추게 된 듯 합니다.


내가 도상의 존재임을 잊지 않고 살아야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y 25, 2015
*.94.91.64

사막교부 님,

성령강림절을 잘 보내셨는지요.

오늘 우리의 일상과 역사 속에

은폐의 방식으로 현존하며 활동하시는 성령을

우리 모두 reality로 경험했으면 합니다.

profile

[레벨:11]그흥나쇠

May 27, 2015
*.183.61.146

목사님의 해석에서

<성령이 탄식한다는 말은 
당시의 열광주의 신앙행태를 가리킵니다. 
구체적으로는 방언입니다. 
방언은 남이 알아듣지 못하는 언어로 행해지던 
기도의 한 행태입니다. 
열광적이고 몰아적인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비슷한 현상을 무당들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종교나 유사 종교에서도 
이런 현상은 종종 일어납니다.> 라면,

롬 8:26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는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열광주의 신앙행태인 방언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라고

하시는 말씀은 아닐테고...
저에게는 좀 애매하게 이해됩니다

제가 잘 못 알아 들었는지...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y 27, 2015
*.94.91.64

그흥나쇠 님,

잘 짚으셨습니다.

그게 난해구절이라서

오해의 소지가 있긴 합니다.

그흥 님이 롬 8:26절을 저의 해석과 연결해서 편집한 구절이

'하시는 말씀은 아닐테고...' 하셨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닌 게 아니라 그런 겁니다.

바울은 방언을 성령의 탄식으로 이해한 거지요.

그게 옳은지 아닌지는 더 논의되어야겠지만,

바울의 입장에서 그렇게 본 것은 분명하고,

우리는 바울의 견해가 옳다고 보는 거지요.

성경을 읽을 때 다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성경은 당시 공동체의 하나님 경험에 대한 신학적 해석입니다.

아브라함이나 모세가 하나님과 대화하는 장면들이나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는 요한의 진술도 신학적인 해석입니다.

바울 당시의 이방인 교회에서 방언은 성령 임재의 실증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사도행전의 오순절 성령강림 사건 때 그 현상이 묘사됩니다.

바울도 방언 경험을 했는데,

위 로마서에서는 그것을 성령의 탄식으로 해석한 겁니다.

다르게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

저는 성서신학의 대가인 캐제만의 주석을 참조했습니다.

profile

[레벨:11]그흥나쇠

May 27, 2015
*.183.61.146

목사님,
그렇다면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는 마땅히 기도할 바를 알지 못하므로
(무당들의)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 (알아듣지 못하는 방언)을
통해서 라도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 라는
식으로 새로운 성서 번역을 해야 말이 될것 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y 27, 2015
*.94.91.64

예, 그렇습니다.

그흥나쇠 님의 그 편역이 괜찮아 보이는군요.

'무당들의'는 굳이 첨가하지 않아도 됩니다.

무당 이야기는 방언의 몰아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방편이었어요.

저는 무당들을 싫어하거나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짝퉁 무당 말고

진짜 무당은 자신의 희생을 통해서

탄식할 수밖에 없는 한(恨)의 깊이를 드러내거든요.

어쨌든지 위험하기는 하겠지만

성경을 이런 식으로 의역해보는 것도 재미 있을 것 같습니다.

profile

[레벨:11]그흥나쇠

May 27, 2015
*.183.61.146

목사님,

제가 소위 모태신앙이며 
이제 곧 환갑을 바라보며
총신, 고신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신학 계통의
목사들의 통해서만 신앙생활을 한 사람이지만
그래도 적어도 제 주위에서는 자타가 인정하는
진보적 개방주의자로 판정받은자 임에도 불구하고
목사님의 성서해석이 
매우 파격적이며 충격적이지만 (좋은 뜻으로)
어떻게 보면
매우 신선하게 다가옵니다

사도 바울이 롬 8:26에서 말하고자 하는 원래 뜻이
대충 제가 의역한 식이였다면
보통사람들이 어떻게 그렇게 이해하겠습니까
작금에 제가 목사님을 통해 접한
예수님의 부활이 유일회적인 우연한 사건이란 컨셉이나
욥 23:10 개역개정 번역의 오역 등등이
그냥 매일 버릇처럼 아침 몇 구절, 몇 장 읽는
우리같은 평신도가 어떻게 알아채리겠습니까 

이제 제가 궁금한건 이겁니다
이런 신학이 세계 어느 계통의 신학교에서든
(예를 들어 총신, 고신, 웨스트민스터 등)
보편적으로 받아드리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어떤 지역 아니면 신학에 국한되어있는지
(예를 들어 독일계통 신학, 한국의 장신 계통 등)
입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y 28, 2015
*.94.91.64

성서해석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역사비평 수용 여부입니다.

대충 분류하면,

한국의 합동, 고신 등은 거부하고

기장, 통합, 성공회 등은 수용하고,

기성은 애매모호하고,

순복음은 아예 해석이 없다고 봐야지요. ㅎㅎ

세계 신학계로 눈을 돌리면

대부분의 신학대학이 역사비평을 받아들입니다.

최소한 학문성을 유지하는 신학교는 다 그렇습니다.

역사비평이 성서해석의 만능은 아니지만

성서본문이 처한 '삶의 자리'를 이해하려면 필연입니다.

한국의 보수 계열의 신학교나 교회나 목사들이 역사비평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그것으로 인해서 성서의 권위가 떨어질까 하는 노파심에 있는데,

신학적 사유에서 어린아이로 머물러 있겠다는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평신도들이 성서를 충분하게 이해할 수 없다는 건 분명합니다.

그래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웬만한 건 대충 알 수 있고,

또 필요하면 주석을 참고하면 되니까요.

그리고 전문가인 목사들에게 도움을 받으면 됩니다.

문제는 교회가 성서문자주의와 근본주의라는 동굴에 갇혀서

말씀의 빛을 보지 못할 때가 많다는 겁니다.

좀 안타까운 현실이긴 합니다.

그리고 한마디 변명하자면

저의 성서해석이나 설교는 

특별히 진보적이거나 자유적인 게 아니라  

세계 신학계의 메인 스트림에 자리합니다.

그렇지만 생각과 신앙이 열려 있는 그흥나쇠 님에게도

제 성서해석과 설교가 파격적으로 들리는 걸 보니

뭔가 다르긴 다른가 봅니다.  

 

 

profile

[레벨:11]그흥나쇠

May 28, 2015
*.183.61.146

뭔가 다르긴 다른 이유가
목사님은 신학의 풍경을  높은 곳, 낮은곳,
동에서, 서에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등
여러 각도에서 이미 경험하신 분이지만
저는 오랫동안 한 곳, 한 각도에서만 머물러서
신앙의 경치를 경험한 것 아니겠습니까

어쨋든 
목사님이 가르키는 손가락 따라 
신학의 좋은 구경합니다
깨달음은 진리의 영의 몫이겠죠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May 27, 2015
*.118.84.242

로마서 8장에서 탄식은 세 번 나온다. 같은 탄식이다. 살펴보자.

 

1. 모든 창조물의 탄식(21절):

 현재 창조물은 쇠퇴하고썩는 자연의 법칙 아래 속박받고 있다. 창조물의 유일한 소망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나타날 때, 썩음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다.

 

2. 우리의 탄식(23절)

성령의 첫 열매는 바로 첫 열매이신 성령 자신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은 우리의 누림이시다. 그분은 우리에게 모든 것이 되신다. 우리 몸이 구속(속량)될 때에 이 축복의 수확, 곧 충만한 누림이 있게 될 것이다. 오늘날 성령은 장차 올 수확의 첫 열매이시며, 우리는 성령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충만한 누림을 미리 맛본다.

 비록 우리가 첫 열매인 신성한 영을 우리 영 안에 가지고 있더라도, 우리 몸은 아직 신성한 생명으로 적셔지지 않았다. 우리 몸은 여전히 옛 창조와 연결된 육체이고, 하나님의 일에는 무능한 죄와 사망의 몸이다(롬 8:2). 그러므로 창조물과 함께 탄식하며(롬 8:19, 22) 완전한 아들의 자격(양자 됨)과 구속과 우리 몸의 변형을 얻어 썩음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될 영광스러운 날을 간절히 기다린다.

 이 아들의 자격(양자)은 우리 영이 거듭날 때 시작되었고, 우리 혼의 변화와 함께 계속되며, 우리 몸의 속량(구속)으로 완결될 것이다.

 

3. 성령의 탄식(26절):

 우리의 연약함은 우리가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이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어떠한 기도를 갈망하시는지 알지 못하고, 하나님의 아들과 같은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우리가 느끼는 부담에 따라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도 분명하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는 탄식한다(롬 8:23). 우리가 탄식할 때 성령도 또한 탄식하시며 우리를 위해 중보기도하신다. 그분의 중보기도는 주로 우리가 생명의 변화를 체험하여 아들의 자격(양자 됨)의 성숙에 이르도록, 우리가 하나님의 아들과 완전히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기도하는 것이다.

 

4. 결론

결국 모든 창조물과 우리와 성령의 탄식은 모두 영화(glorification)에 대한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로마서 8장 14절로부터 39절은 영광스럽게 됨(glorification)에 대한 문단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구절들이 이렇게 읽혀집니다.

 

profile

[레벨:11]그흥나쇠

May 27, 2015
*.183.61.146

브니엘 남 님의 해석을 따른다면
우리가 어떻게 기도 해야할지 모르는
연약한 존재요 하나님께서 어떠한 기도를
원하시는지도 몰라서 성령님이 탄식하며
우리를위해 중보기도하신다면
우리가 굳이 기도할 필요가 무엇인가

마음을 살피시는 이가 성령의 생각을 아시므로
성령이 하나님의 뜻대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시면
결국 성령님의 탄식은 사라질 것 아닌가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y 27, 2015
*.94.91.64

브니엘남 님은 성령의 탄식이라는 표현이 

성령께서 우리의 탄식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군요.

은혜롭기는 한데 옳은지 아닌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profile

[레벨:13]진인택

July 06, 2015
*.176.175.19


성령이 있음에 피조물은

심장이 뛰고 생각이 나를 이끌고 원하는 바를 하게 하는  걸 알겠습니다.

오늘 보이지 않는 부활에

믿음을 걸어야하는 이유를 더 알게 되었습니다.

정말 배움의 끝이 없습니다. 그리고 배우는 만큼 참으로

알게되어 정말 감사드립니다.

너무 큰 깨우침을 주셔서 기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July 06, 2015
*.94.91.64

예, 성령이 생명의 영이라는 사실을

우리가 좀더 진지하게 생각하면서

신앙생활을 해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8238
748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와 씨 비유 (막 4:26-34) [5] 2018-06-17 6665
747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10] 2018-06-11 5477
746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605
745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078
744 성령강림절 성령이 도우시리라! (롬 8:22-27) [4] 2018-05-20 5824
743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6974
742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661
741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245
740 부활절 믿음과 사랑 (요일 3:16-24) 2018-04-22 5564
739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7827
738 부활절 오래된 미래 (행 4:32-35) [4] 2018-04-09 9016
737 부활절 예수의 빈 무덤과 막달라 마리아 (요 20:1-18) [8] 2018-04-01 9521
736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365
735 사순절 예수의 영광과 영원한 생명 (요 12:20-33) [4] 2018-03-18 6626
734 사순절 원망에서 생명으로! (민 21:4-9) 2018-03-11 11820
733 사순절 표적과 지혜를 넘어서! (고전 1:18-25) [8] 2018-03-04 9916
732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341
731 사순절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 (벧전 3:18-22) [14] 2018-02-18 10162
730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303
729 주현절 예수의 회당 전도 (막 1:29-39) [13] 2018-02-04 9612
728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1-28) [4] 2018-01-28 5839
727 주현절 하나님의 회심 (욘 3:1-5, 10) [6] 2018-01-21 6487
726 주현절 하늘이 열리는 것을 보리라 (요 1:43-51) [4] 2018-01-15 9822
725 주현절 회개 세례와 성령 세례 (행 19:1-7) [6] 2018-01-07 8703
724 성탄절 종의 삶과 아들의 삶 (갈 4:4-7) [9] 2018-01-01 8650
723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7409
722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7735
721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3] 2017-12-11 15686
720 대림절 "깨어 있으라!" (막 13:24-37 [5] 2017-12-03 10813
719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9] 2017-11-26 6761
718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눅 17:11-19) [10] 2017-11-19 9817
717 창조절 언약을 통한 생명 경험 (수 24:19-25) [12] 2017-11-12 6578
716 창조절 낮춤과 높임의 역설 (마 23:1-12) [14] 2017-11-05 12622
715 창조절 왜 복음인가? (롬 1:8-17) [7] 2017-10-29 11208
714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566
713 창조절 청함 받은 자와 택함 받은 자 (마 22:1-14) [7] 2017-10-16 11331
712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192
711 창조절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출 17:1-7) [4] 2017-10-01 12305
710 창조절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한 삶 (빌 1:21-30) [7] 2017-09-24 8819
709 창조절 용서의 능력과 기술 (마 18:21-35) [2] 2017-09-17 8775
708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184
707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7802
706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468
705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믿음 (마 15:21-28) [7] 2017-08-20 12882
704 성령강림절 요셉과 그 형제들 (창 37:1-4, 12-28) 2017-08-13 10084
703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049
702 성령강림절 어두운 심연으로부터의 해방 (롬 8:26-39) [2] 2017-07-30 4988
701 성령강림절 종말과 오늘 사이에서 (마 13:24-30, 36-43) [2] 2017-07-23 5647
700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6881
699 성령강림절 예수만이 안식이다 (마 11:16-19, 25-30) [5] 2017-07-10 9240
698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109
697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5] 2017-06-25 9959
696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369
695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807
694 성령강림절 교회와 성령 충만 (행 2:1-13) [11] 2017-06-04 11267
693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741
692 부활절 믿음과 희망 (벧전 3:13-22) [4] 2017-05-21 12475
691 부활절 순교 영성 (행 7:55-60) [3] 2017-05-14 5826
690 부활절 생명의 깊이 (요 10:1-10) [4] 2017-05-07 5319
689 부활절 눈이 열리다! (눅 24:13-34) [4] 2017-04-30 9742
688 부활절 "우리는 부활의 증인들이다." (행 2:22-32) [2] 2017-04-23 6396
687 부활절 생명의 은폐와 탈은폐 (골 3:1-4) [7] 2017-04-16 6650
686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6890
685 사순절 에스겔의 마른 뼈 환상 (겔 37:1-14) 2017-04-02 25978
684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181
683 사순절 하나님과의 평화가 답이다 (롬 5:1-11) [5] 2017-03-19 9653
682 사순절 심판과 구원 (요 3:1-17) [7] 2017-03-13 9357
681 사순절 죄의 본질 (창 2:15-17, 3:1-7) [1] 2017-03-05 8629
680 주현절 변형 (마 17:1-9) 2017-02-26 9878
679 주현절 완전한 사람 (마 5:38-48) [2] 2017-02-19 8804
678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556
677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771
676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405
675 주현절 "회개하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4] 2017-01-22 11399
674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231
673 주현절 나사렛 예수와 죄용서 (행 10:34-43) [6] 2017-01-09 8735
672 성탄절 나사렛 사람 예수 (마 2:13-23) [6] 2017-01-01 12983
671 성탄절 태초의 말씀 (요 1:1-14) [5] 2016-12-25 14002
670 대림절 복음 (롬 1:1-7) [12] 2016-12-18 13701
669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720
668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356
667 대림절 주의 날을 준비하라. (마 24:36-44) [11] 2016-11-27 15081
666 창조절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신다! (빌 4:4-9) [9] 2016-11-20 10362
665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229
664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440
663 창조절 삭개오 이야기 (눅 19:1-10) [14] 2016-10-30 22698
662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11] 2016-10-23 11433
661 창조절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8:18-9:1) [9] 2016-09-18 12586
660 창조절 하나님의 기쁨 (눅 15:1-10) [21] 2016-09-11 16465
659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269
658 성령강림절 천국식탁 이야기 (눅 14:1, 7-14) [22] 2016-08-28 14267
657 성령강림절 예레미야의 소명 (렘 1:4-10) [9] 2016-08-21 13048
656 성령강림절 예수는 불이다! (눅 12:49-56) [18] 2016-08-15 10248
655 성령강림절 믿음의 길 (히 11:1-3, 8-16) [19] 2016-08-07 9906
654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072
653 성령강림절 "이렇게 기도하라!" (눅 11:1-13) [28] 2016-07-24 12107
652 성령강림절 마리아의 좋은 선택 (눅 10:38-42) [15] 2016-07-17 15084
65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7994
650 성령강림절 이스라엘의 선지자 '너머' [16] 2016-07-03 6506
649 성령강림절 예수 따름의 위급성 (눅 9:51-62) [9] 2016-06-26 9873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