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2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대림절 조회 수 10895 추천 수 0 2016.12.11 23:18:26
설교듣기 : https://youtu.be/J6G0ltt-h5I 
설교보기 : https://youtu.be/NZE3Kjwa0Uk 
성경본문 : 이사야 35:1-10 

하나님이 오신다.

35:1-10, 대림절 셋째 주일, 20161211

 

1 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백합화 같이 피어 즐거워하며 2 무성하게 피어 기쁜 노래로 즐거워하며 레바논의 영광과 갈멜과 사론의 아름다움을 얻을 것이라 그것들이 여호와의 영광 곧 우리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리로다 3 너희는 약한 손을 강하게 하며 떨리는 무릎을 굳게 하며 4 겁내는 자들에게 이르기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 보복하시며 갚아 주실 것이라 하나님이 오사 너희를 구하시리라 하라 5 그 때에 맹인의 눈이 밝을 것이며 못 듣는 사람의 귀가 열릴 것이며 6 그 때에 저는 자는 사슴 같이 뛸 것이며 말 못하는 자의 혀는 노래하리니 이는 광야에서 물이 솟겠고 사막에서 시내가 흐를 것임이라 7 뜨거운 사막이 변하여 못이 될 것이며 메마른 땅이 변하여 원천이 될 것이며 승냥이의 눕던 곳에 풀과 갈대와 부들이 날 것이며 8 거기에 대로가 있어 그 길을 거룩한 길이라 일컫는 바 되리니 깨끗하지 못한 자는 지나가지 못하겠고 오직 구속함을 입은 자들을 위하여 있게 될 것이라 우매한 행인은 그 길로 다니지 못할 것이며 9 거기에는 사자가 없고 사나운 짐승이 그리로 올라가지 아니하므로 그것을 만나지 못하겠고 오직 구속함을 받은 자만 그리로 행할 것이며 10 여호와의 속량함을 받은 자들이 돌아오되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로다.

 

오늘이 1211일 두 번째 주일이니 2016년 역시 거의 다 흘러간 셈입니다. 지난 일 년 동안 여러분들의 삶은 어땠습니까? 그리고 지금은 어떻습니까? 행복하셨는지요? 각각 다를 겁니다. 사람은 개인으로만 사는 게 아니라 어울려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사회 분위기에도 큰 영향을 받습니다. 요즘 대한민국은 크게 혼란스럽습니다. 지난 두달 동안 전국적으로 촛불 집회가 계속되었고, 129일에는 대통령 탄핵안의 압도적으로 가결되었다. 시국도 어수선하고 경제도 어렵습니다. 사람 사는 세상이 언제인들 힘들지 않을 때가 있었겠습니까만 요즘이 유독 혼란스러운 시절이라는 건 분명해보입니다. 이럴 때 기독교인은 어떤 자세로 살아할는지 방향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저는 여러분에게 세상을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는 처세술을 말하거나 심리적인 힐링의 방법론을 전하지 않겠습니다. 성경에 운명을 건 목사로서 성경이 지시하는 것만을 말씀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대림절 셋째 주일의 제1독서는 사 35:1-10절입니다. 이 본문의 배경은 바벨론 포로 귀환입니다. 기원전 587년에 예루살렘은 바벨론에 의해서 함락 당했고, 예루살렘 성전은 파괴되고, 많은 사람들이 포로로 잡혀가거나 종의 신세로 전락했습니다. 그렇게 50년쯤 흐른 뒤에 바벨론이 망하고 페르시아가 근동의 패권을 장악하면서 이스라엘 사람들도 고국으로 돌아갈 기회를 얻었습니다. 꿈에 그리던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으니 누구나 다 기꺼운 마음으로 돌아갔을 거라고 예상하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50년 전에 바벨론으로 처음 포로로 잡혀온 1세대 사람들은 대개 죽었습니다. 지금 살아있는 사람들은 포로 2세나 3세입니다. 그들은 이미 바벨론에서 삶의 터전을 잡고 있었습니다. 그 자리를 털고 일어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구미를 당길만한 게 아니었습니다. 예루살렘은 바벨론에 비해서 경제 수준도 떨어지고 문명도 훨씬 낙후되어 있었습니다. 예루살렘으로 돌아가서 다시 삶의 터전을 잡는다는 게 쉬운 게 아니었습니다. 웬만하면 바벨론에 남는 게 현실적으로 훨씬 좋은 선택입니다. 당시 그들의 심정이 실제적으로 어땠을까요? 우리가 그곳에 있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까요? 이사야가 무슨 대답을 하는지 귀를 기울여봅시다. 우선 사 35:3,4절을 보십시오.

 

너희는 약한 손을 강하게 하며 떨리는 무릎을 굳게 하며 겁내는 자들에게 이르기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 보복하시며 갚아 주실 것이라 하나님이 오사 너희를 구하시리라.

 

이사야는 유대 백성들을 향해서 두려워하지 말라.’고 반복해서 외칩니다. 이사야가 이런 말로 격려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당시 고대 유대인들의 삶에 두려움이 숙명처럼 뿌리박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뿌리는 저 멀리 믿음의 조상이라 할 수 있는 아브라함에게까지 올라갑니다. 아브라함은 아버지 데라와 함께 메소포타미아 문명 발생지인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서 살다가 아버지가 죽은 다음에 아내 사래와 조카 롯을 데리고 하란을 떠나 가나안으로 내려옵니다. ‘고향을 떠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들었다고 성경이 말하지만 고향을 떠나 떠돌이처럼 가나안 땅에 발을 딛는 건 두려운 일입니다. 그런데다가 아브라함에는 나이 늙도록 자식이 없었습니다. 훗날 백세가 되어서 가까스로 아들을 낳았지만 그것으로 모든 두려움이 해소되는 게 아닙니다. 이삭이 중간에 죽기라도 한다면 대가 끊어지는 겁니다. 그는 어느 날 아들을 모리아 산에서 번제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듣습니다. 하나님이 이런 명령을 직접 내릴 정도로 잔인한 분이라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저는 이 명령이 생존과 미래를 극단적으로 두려워하던 아브라함이 궁여지책으로 시도한 영적인 모험이라고 생각합니다. 미래가 불확실하니 자기 자식을 신에게 바쳐서라도 확실성을 담보하려는 모험 말입니다. 고대인들은 아주 특별한 경우에, 예를 들어 자연재해가 극심하다거나 힘든 전쟁 앞에서 사람을 신에게 바치곤 했습니다. 신라 시대에 에밀레종 설화에도 자식을 바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아브라함은 모리아 산에서 자기 운명에 놓인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함으로써 믿음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구약성경이 문서로 수집되던 바벨론 포로 전후 시대에 유대인들이 경험한 두려움은 절정에 달했습니다. 기존의 모든 토대가 뒤죽박죽이 되었습니다. 하나님 신앙까지 흔들렸습니다.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믿을 수 없었습니다. 하나님보다는 바벨론의 우상이 더 우월해보였으니 어쩔 수 없는 현상입니다. 두려워하고 있는 그들을 향해서 이사야는 두려워하지 말라고 외칩니다. 유대 백성들의 반응은 가지각색이었을 겁니다. 이사야의 말에 귀를 기울인 사람도 있었을 것이며, 좋은 말이기는 하지만 별로 현실성이 없다고 생각한 사람도 있었을 것이고, ‘당신이나 하나님을 믿고 잘 살아봐. 나는 내 식대로 살 테니까.’ 하는 사람도 있었을 겁니다.


여러분은 지금 두려워하지 말라는 이사야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시는지요. 아니면 나는 지금 만사가 잘 풀리고 있으니까 두려움이고 뭐고 하나도 없다. 살만하다.’ 하면서 이사야의 말을 귓등으로 흘려보내시는지요? 각각 처한 형편에 따라서 서로 생각이 다를 겁니다. 두려워하지 말라는 말은 자신의 형편이 괜찮다고 해서 자신과 상관없는 말씀으로 흘려보낼 수 없습니다.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기 때문입니다. 그런 사람들을 외면한 채 우리가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하나님의 보복

두려워하지 않아야 할 근거가 무엇일까요? ‘두려워하지 말라.’에 이어서 본문이 이렇게 말합니다.

 

보라 너희 하나님이 오사 보복하시며 갚아 주실 것이라 하나님이 오사 너희를 구하시리라 하라.

 

하나님이 오신다.’는 게 두려워하지 말아야 할 근본 이유입니다. 대림절에 적절한 말씀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바벨론 포로 전후 시대에는 하나님이 부정당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대다수 유대인들은 하나님의 침묵 앞에서 좌절하고 있었습니다. 자신들의 미래에 아무런 보장이 없었습니다. 바벨론의 문명에 적응하는 것이, 그리고 신흥제국 페르시아에 빨리 적응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었습니다. 이런 와중에 이사야는 하나님이 오신다고 외쳤습니다. 당시 유대인들에게 이사야의 이 말이 들렸을까요? 선지자들은 어떻게 보면 몽상주의자들, 아무리 좋게 봐도 비현실적인 이상주의자들이었습니다. 이게 선지자와 대중 사이에 놓인 갭입니다. 선지자들은 대중들에게 비현실적으로 보이는 하나님의 현실(reality of God)을 눈여겨본 반면에 대중들은 실제 손에 잡히는 것만을 현실로 보았습니다. 선지자들의 말은 대중들에게 외면받기 좋았습니다. 실제로 외면 받은 선지자들이 고대 유대 역사에 훨씬 많았습니다. 그렇지만 유대인들은 역사 과정을 통해서 결국 선지자의 말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였습니다. 이 대목이 세계 여러 민족 중에서 유대인들의 뛰어난 점입니다.


하나님이 와서 보복하고 갚으시고 구원하신다고 이사야는 선포했습니다. 보복한다거나 원수를 갚아준다는 표현이 구약에는 자주 나옵니다. 고대인들은 그런 방식으로 역사를 경험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습니다. 비록 표현은 그렇지만 선지자들이 말하려고 하는 것은 단순히 원수 갚아주는 것이라기보다는 훨씬 근원적인 변혁에 대한 희망이자 염원이자 절규였습니다. 그것을 오늘 본문 사 35:5-9절은 묵시문학 형식으로 묘사했습니다. 5그때에 맹인의 눈이 밝을 것이며, 못 듣는 사람의 귀가 열릴 것이며...’, 6그때에 저는 자는 사슴 같이 뛸 것이며 말 못하는 자의 혀는 노래하리니 이는 광야에서 물이 솟겠고 사막에서 시내가 흐를 것임이라.’ 여기에 열거된 이들을 보십시오. 맹인, 귀 먹은 자, 저는 자, 말 못하는 자입니다. 세상에서 경쟁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사람들입니다. 앞에서 이사야가 두려워하지 말라.’ 했다고 말씀드렸는데, 여기서 열거된 이들이 바로 두려움 가운데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대표자들입니다. 이사야는 유대민족이 바벨론 포로 시대에 이런 장애인들처럼 살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바로 이 말씀을 선포하고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제국의 채찍과 당근 앞에서는 봐도 보지 못하는 거와 같고 들어도 듣지 못하는 것처럼 살아야만 했습니다. 극심한 불평등이, 겉으로는 합법적이라고 해도 실제로는 불법이 압도하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장애인처럼 행세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들에게 절실한 것은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품위를 잃지 않고 보고 듣고 말하고 가고 싶은 대로 갈 수 있는 자유입니다. 악한 권력이 더 이상 지배하지 않는 세상입니다. 하나님이 오셔서 행하실 보복이 바로 이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이런 보복이라면 저도 보복하고 싶습니다. 독일은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7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여전히 히틀러 체제에 부역한 사람을 단죄하고 있습니다. 몇 달 전에는 재판을 통해서 90세가 넘은 사람에게 실형을 선고했습니다. 너무 심하다 싶겠지만 이게 인류 정의와 평화를 위한 하나님의 보복이 아니겠습니까.

 

하나님의 보복으로 인해서 이제 사람들에게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35:10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여호와의 속량함을 받은 자들이 돌아오되 노래하며 시온에 이르러 그들의 머리 위에 영영한 희락을 띠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으리니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리로다.


기쁨과 즐거움을 얻고, 슬픔과 탄식이 사라진다고 했습니다. 시각 장애인이 보게 되고, 못 듣던 사람이 듣게 되는 것은 곧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이 오셔서 보복하고 갚아주실 때 일어나는 일들입니다. 정말 가슴 벅찬 일입니다. 이런 때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고, 그것과 상관없이 살아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속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나와 가족이 살아가기에도 힘든 마당에 다른 사람들의 슬픔과 탄식까지 배려하면서 살아갈 수 있냐?’ 하는 겁니다. 이해가 갑니다. 개인의 도덕적인 의지만으로 정의롭게 살아가기에는 우리의 삶이 너무 힘들기도 하고, 개인의 능력에 한계가 너무나 분명합니다. 이런 점에서 사회구조를 정의롭게 만들어가는 게 필요합니다. 사회구조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개인들의 의식이 달라져야 합니다. 사람이 최소한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가는 일에 서로 힘을 합해야 할 겁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이라면 맹인의 눈이 밝아지며 못 듣던 사람의 귀가 열린다는 이사야의 외침을 가슴 떨리는 심정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습니까.

 

메시야 예수

초기 기독교인들도 이사야 35장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하나님이 오심으로써 슬픔과 탄식이 사라진다는 말씀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오늘 제3독서인 마 11:2-11에 그 이야기가 나옵니다. 옥에 갇힌 세례 요한은 제자들을 예수에게 보내서 오실 자가 당신인지 아닌지, 당신이 메시아인지 아닌지, 당신이 바로 이사야가 35장에서 말한 것처럼 이 세상에 와서 보복하고 갚아 주고 구원하실 그 하나님인지 대답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때 예수님은 직접적인 답변을 주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간접적인 답변을 하셨습니다.

 

맹인이 보며 못 걷는 사람이 걸으며 나병환자가 깨끗함을 받으며 못 듣는 자가 들으며 죽은 자가 살아나며 가난한 자에게 복음이 전파된다 하라.’(11:5, 7:22, 참조 눅 4:18).

 

35:5절을 인용한 말씀입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에 의해서 이사야의 예언이 성취되었다고 보았습니다. 여기에 무슨 근거가 있을까요? 정말 예수가 오시는 하나님이신가요? 왜 예수가 하나님의 보복일까요? 예수가 왜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일까요? 우선 예수님은 공생애 중에 많은 장애인들을 고치거나 병든 사람을 고치신 것은 사실입니다. 심지어는 죽은 사람을 살리셨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그러나 이런 현상 자체가 복음서의 핵심은 아닙니다. 현대에 이런 일들은 의사들이 하는 업무입니다. 예수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다는 말은 예수님을 통해서 하나님이 오실 때 일어나야 할 일들이 일어났다는 뜻입니다. 그것은 전인 구원을 가리킵니다. 슬픔과 탄식이 없어지는 삶을 가리킵니다.


잘 생각해보십시오. 슬픔과 탄식은 맹인, 말 못하는 자, 다리 저는 자로 묘사된 사람들에게 해당됩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고대인들은 장애가 없고 권력이 크고 사회적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모두가 그런 사람이 되려고 애를 썼습니다. 이런 점에서 이사야의 예언은 성취되지 못했습니다.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에 돌아갔지만 문제는 여전히 그대로 남았습니다. 세상도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탄식과 슬픔도 여전했습니다. 예수는 그런 기준으로 사람과 그의 운명을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전혀 다른 기준을 제시하셨습니다. ‘임박한 하나님 나라를 향해서 돌아서는 것이 그 기준입니다. 하나님이 가까이 왔다는 사실에 영혼을 맡기는 것입니다. 그런 사람은 부자가 아니라도 괜찮습니다. 잘 생기지 않아도 좋습니다. 세리와 죄인이라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이 선포를 근거로 해서 율법을 수행함으로써가 아니라 예수님을 믿음으로써 의로워진다는 사실을 전했습니다. 이제 예수를 믿는 것이 하나님이 오신다는 사실에, 그가 보복하시고 구원하신다는 사실에 상응하는 삶의 태도가 되었습니다. 완전히 다른 삶의 태도입니다. 이 세상의 모든 억압과 자기 성취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입니다.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입니다. 슬픔과 탄식이 없어지는 삶입니다.


당신이 말하는 것은 신앙의 세계에서만 타당하지 실제 삶에서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 삶의 능력입니다. 여러분들이 실질적으로 느끼면 좋겠다는 뜻으로 저를 예로 들겠습니다. 저는 평생 작은 교회서만 목회를 했습니다. 교회의 크기로 목사의 능력을 평가한다면 저는 수준이 떨어지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저는 다른 기준으로 목회를 했습니다. 그것은 가까이 임한 하나님 나라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목사로 산다는 사실 자체에 천착했습니다. 교회의 크기가 저에게 별로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저의 목회생활에서는 슬픔과 탄식이 없습니다. 아쉬움이 없습니다. 기쁨과 즐거움이 가득합니다. 하나님 나라의 능력을 실제 목회에서 경험하는 것입니다. 이럴 때 목사의 자유가 보장됩니다. 이게 단순히 목회에만 해당되는 게 아니라 우리의 삶 전체에 해당됩니다. 여기서 관건은 하나님이 오신다는 사실을, 그리고 예수가 바로 이미 오신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자신이 얼마나 절실하게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입니다.


profile

[레벨:21]주안

December 13, 2016
*.69.199.48

저는 지난 1년 다비아와 함께 행복했습니다~^^

하나님은 이미 오셔서 기쁨으로 채워주셨습니다.

늘 감사의 찬송을 부르게 하셧습니다

처음과 같이 이제와 영원히 함께하시는 주님을 찬양합니다.

찬송가 '황무지가 장미꽃 같이 피는 것을 볼 때에~~거룩한 길 다니리'를

불러봅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3, 2016
*.164.153.48

내 기억이 맞는다면

위르겐 몰트만의 저서 중에

<오시는 하나님>이 있을 겁니다.

그 희망이 없이 우리가 이 세상을 버텨내기는 어렵습니다.



profile

[레벨:8]쌀알

December 16, 2016
*.99.243.81

이사도 하고 안구건조증이 심하다는 핑계로 한동안 다비아에 안들어오다가 오랜만에 들어와서 설교를 읽었습니다.

밤중이라 파일로 안듣고 텍스트로 후딱 읽었습니다.

역시 좋네요ㅠ

다시 매일마다 다비아에 출석해야겠어요.

저는 두바이에서 Ras Al Khaimah(라스알카이마) 라는 곳으로 이사왔어요.

여기도 UAE의 7개 토소국 중에 한 곳이에요.(아랍에미레이트가 7개의 토소국들이 하나의 나라로 연합된지 올해로 45년이 됐지요.)

한국으로 치면 목사님처럼 시골에 사는건데 두바이보다 훨씬 조용하고 좋네요^^

작은 텃밭에 씨앗들도 많이 심었는데 다음에 새싹이 올라온 사진도 올려볼게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6, 2016
*.164.153.48

쌀알 님의 설명을 들어도

두바이의 환경이 어떤지는 감이 오지 않습니다.

시골이라 하더라도 우리처럼 산, 들, 시내가 있는 건 아니겠지요.

제 머리에는 그곳은 어디나 사막처럼 남아 있어요.

어쨌든지 텃밭도 가꿀 수 있다 하니 기대가 됩니다.

2016년 남은 시간 동안 늘 기쁨이 넘치시기를...

profile

[레벨:3]은비직유

December 16, 2016
*.94.122.63

안녕하세요? 목사님. 박원관입니다.


아직도

구원을 도의 경지쯤, 심판을 뒤집어 엎음 정도로 그려지는데


그 보복과 구원을 이미 오신 하나님이 보여 주셨다 생각하니

종말이 오히려 기다려지네요.


하지만  지금 여기서 구원을 누리지 못하면

왜 창조하셨을까 하는 무식은 여전합니다.


목사님 글, 늘 감사히 잘 읽고 있습니다. 건강하십시오. 꾸벅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6, 2016
*.164.153.48

이게 누구요?

박원관이라, 오랜만에 불러보는 이름이네요.

가족들도 다 잘 있겠지요?

종말과 지금 현재는 궁극적으로 하나의 사건이에요.

하나님이 오셔서 새롭게 일으키는 생명의 세계를 실제로 믿는 사람은

지금 여기서 이미 그런 하나님의 사건 속으로 들어간 겁니다.

말이 좀 이상하지요?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연대기적인 시간 개념을 넘어서서

창조와 종말이 하나님 안에서 동시적이라는 시간 개념으로 들어가야

이런 성서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어요.

그게 복잡하게 생각되면

그냥 지금 믿음으로 기쁨과 평화를 누리면

그게 종말 완성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끔이라도 이렇게 안부를 전하세요.


profile

[레벨:16]맑은그늘

December 20, 2016
*.212.139.114

설교영상링크입니다.

https://youtu.be/NZE3Kjwa0U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952
752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6923
751 성령강림절 다윗과 임마누엘 (삼하 5:1-5, 9-10) [8] 2018-07-09 6985
750 성령강림절 연보도 은혜다! (고후 8:7-15) [6] 2018-07-01 6518
749 성령강림절 두려움의 대상 (막 4:35-41) [4] 2018-06-24 11713
748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와 씨 비유 (막 4:26-34) [5] 2018-06-17 6728
747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10] 2018-06-11 5544
746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705
745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175
744 성령강림절 성령이 도우시리라! (롬 8:22-27) [4] 2018-05-20 5890
743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7041
742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729
741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339
740 부활절 믿음과 사랑 (요일 3:16-24) 2018-04-22 5673
739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8051
738 부활절 오래된 미래 (행 4:32-35) [4] 2018-04-09 9151
737 부활절 예수의 빈 무덤과 막달라 마리아 (요 20:1-18) [8] 2018-04-01 9731
736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470
735 사순절 예수의 영광과 영원한 생명 (요 12:20-33) [4] 2018-03-18 6703
734 사순절 원망에서 생명으로! (민 21:4-9) 2018-03-11 11892
733 사순절 표적과 지혜를 넘어서! (고전 1:18-25) [8] 2018-03-04 9985
732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405
731 사순절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 (벧전 3:18-22) [14] 2018-02-18 10260
730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351
729 주현절 예수의 회당 전도 (막 1:29-39) [13] 2018-02-04 9673
728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막 1:21-28) [4] 2018-01-28 5901
727 주현절 하나님의 회심 (욘 3:1-5, 10) [6] 2018-01-21 6534
726 주현절 하늘이 열리는 것을 보리라 (요 1:43-51) [4] 2018-01-15 9872
725 주현절 회개 세례와 성령 세례 (행 19:1-7) [6] 2018-01-07 8772
724 성탄절 종의 삶과 아들의 삶 (갈 4:4-7) [9] 2018-01-01 8802
723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7823
722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8156
721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3] 2017-12-11 16118
720 대림절 "깨어 있으라!" (막 13:24-37 [5] 2017-12-03 11100
719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9] 2017-11-26 6798
718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눅 17:11-19) [10] 2017-11-19 9891
717 창조절 언약을 통한 생명 경험 (수 24:19-25) [12] 2017-11-12 6639
716 창조절 낮춤과 높임의 역설 (마 23:1-12) [14] 2017-11-05 12678
715 창조절 왜 복음인가? (롬 1:8-17) [7] 2017-10-29 11261
714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641
713 창조절 청함 받은 자와 택함 받은 자 (마 22:1-14) [7] 2017-10-16 11396
712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263
711 창조절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출 17:1-7) [4] 2017-10-01 12393
710 창조절 그리스도의 복음에 합당한 삶 (빌 1:21-30) [7] 2017-09-24 8892
709 창조절 용서의 능력과 기술 (마 18:21-35) [2] 2017-09-17 8820
708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229
707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7864
706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515
705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믿음 (마 15:21-28) [7] 2017-08-20 12948
704 성령강림절 요셉과 그 형제들 (창 37:1-4, 12-28) 2017-08-13 10158
703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085
702 성령강림절 어두운 심연으로부터의 해방 (롬 8:26-39) [2] 2017-07-30 5023
701 성령강림절 종말과 오늘 사이에서 (마 13:24-30, 36-43) [2] 2017-07-23 5690
700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6917
699 성령강림절 예수만이 안식이다 (마 11:16-19, 25-30) [5] 2017-07-10 9303
698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173
697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5] 2017-06-25 10016
696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441
695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846
694 성령강림절 교회와 성령 충만 (행 2:1-13) [11] 2017-06-04 11313
693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782
692 부활절 믿음과 희망 (벧전 3:13-22) [4] 2017-05-21 12527
691 부활절 순교 영성 (행 7:55-60) [3] 2017-05-14 5874
690 부활절 생명의 깊이 (요 10:1-10) [4] 2017-05-07 5368
689 부활절 눈이 열리다! (눅 24:13-34) [4] 2017-04-30 9862
688 부활절 "우리는 부활의 증인들이다." (행 2:22-32) [2] 2017-04-23 6504
687 부활절 생명의 은폐와 탈은폐 (골 3:1-4) [7] 2017-04-16 6697
686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6960
685 사순절 에스겔의 마른 뼈 환상 (겔 37:1-14) 2017-04-02 26083
684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221
683 사순절 하나님과의 평화가 답이다 (롬 5:1-11) [5] 2017-03-19 9708
682 사순절 심판과 구원 (요 3:1-17) [7] 2017-03-13 9451
681 사순절 죄의 본질 (창 2:15-17, 3:1-7) [1] 2017-03-05 8677
680 주현절 변형 (마 17:1-9) 2017-02-26 9944
679 주현절 완전한 사람 (마 5:38-48) [2] 2017-02-19 8851
678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616
677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811
676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441
675 주현절 "회개하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4] 2017-01-22 11456
674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281
673 주현절 나사렛 예수와 죄용서 (행 10:34-43) [6] 2017-01-09 8790
672 성탄절 나사렛 사람 예수 (마 2:13-23) [6] 2017-01-01 13134
671 성탄절 태초의 말씀 (요 1:1-14) [5] 2016-12-25 14145
670 대림절 복음 (롬 1:1-7) [12] 2016-12-18 14048
»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895
668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645
667 대림절 주의 날을 준비하라. (마 24:36-44) [11] 2016-11-27 15529
666 창조절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신다! (빌 4:4-9) [9] 2016-11-20 10421
665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270
664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518
663 창조절 삭개오 이야기 (눅 19:1-10) [14] 2016-10-30 22923
662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11] 2016-10-23 11485
661 창조절 눈물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8:18-9:1) [9] 2016-09-18 12631
660 창조절 하나님의 기쁨 (눅 15:1-10) [21] 2016-09-11 16535
659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328
658 성령강림절 천국식탁 이야기 (눅 14:1, 7-14) [22] 2016-08-28 14306
657 성령강림절 예레미야의 소명 (렘 1:4-10) [9] 2016-08-21 13104
656 성령강림절 예수는 불이다! (눅 12:49-56) [18] 2016-08-15 10293
655 성령강림절 믿음의 길 (히 11:1-3, 8-16) [19] 2016-08-07 9942
654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130
653 성령강림절 "이렇게 기도하라!" (눅 11:1-13) [28] 2016-07-24 1215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