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2

삶과 죽음의 경계 (눅 20:27-38

창조절 조회 수 11225 추천 수 0 2013.11.10 18:28:00
설교듣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110.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31110.wmv 
성경본문 : 누가복음 20:27-38 

삶과 죽음의 경계

눅 20:27-38, 창조절 열한번째 주일, 11월10일

 

 

27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인 중 어떤 이들이 와서 28 물어 이르되 선생님이여 모세가 우리에게 써 주기를 만일 어떤 사람의 형이 아내를 두고 자식이 없이 죽으면 그 동생이 그 아내를 취하여 형을 위하여 상속자를 세울지니라 하였나이다 29 그런데 칠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가 아내를 취하였다가 자식이 없이 죽고 30 그 둘째와 셋째가 그를 취하고 31 일곱이 다 그와 같이 자식이 없이 죽고 32 그 후에 여자도 죽었나이다 33 일곱이 다 그를 아내로 취하였으니 부활 때에 그 중에 누구의 아내가 되리이까 34 예수께서 이르시되 이 세상의 자녀들은 장가도 가고 시집도 가되 35 저 세상과 및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함을 얻기에 합당히 여김을 받은 자들은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이 없으며 36 그들은 다시 죽을 수도 없나니 이는 천사와 동등이요 부활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자녀임이라 37 죽은 자가 살아난다는 것은 모세도 가시나무 떨기에 관한 글에서 주를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시라 칭하였나니 38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라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 하시니...

 

 

윤리 도덕이나 풍습 등은 민족에 따라서 다르고 시대에 따라서 다릅니다. 오늘 우리 눈에 이상하게 보이는 고대 풍습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형사취수혼(兄死娶嫂婚)입니다. 고구려와 부여가 대표적입니다.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취하는 풍습입니다. 오늘의 관점으로 보면 황당하지만 당시에는 그게 사회를 지탱하는 풍습이었습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미망인과 어린 자녀들을 그런 방식으로라도 지켜줘야 한다는 이유가 한 가지입니다. 이슬람권의 일부다처제 역시 이런 이유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미망인이 죽은 남편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갖고 친정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형사취수혼 제도는 구약성경에도 나옵니다. 신 25:5절에 따르면 아들을 두지 않은 채 남편이 죽으면 이 여자는 다른 남자를 찾아서 재혼하지 말고 죽은 남편의 동생과 결합해야 합니다. 두 사람 사이에서 아들이 나오면 이 아이에게 죽은 아버지의 이름을 지어주어야 합니다. 고대 유대사회에서 이런 제도가 실제로 실행되었는지는 정확하게 모릅니다. 그렇게 흔한 일은 아니었겠지만 드물게라도 있긴 있었을 겁니다. 율법이 그걸 다룬 이유가 거기에 있었겠지요.


오늘 제3독서에도 형사취수혼 문제가 언급됩니다. 사두개인들이 예수님에게 와서 모세의 율법 운운하면서 이렇게 물었습니다. 일곱 형제가 있었는데 형사취수혼이라는 율법에 따라서 한 여자와 살다가 아무도 아들을 낳지 못하고 죽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여자도 죽었습니다. 부활 때에 이 여자는 누구의 아내가 되느냐, 하는 질문입니다. 말도 되지 않는 경우이지만 일단 상상은 할 수 있습니다. 사두개인들이 황당한 상황을 전제하고 질문하는 이유는 트집을 잡으려는 데에 있습니다. 트집을 잡으려는 사람들은 복음서에 자주 등장합니다. 오늘 본문의 바로 앞 대목(눅 20:19-26)에도 나옵니다. 서기관과 대제사장들에게 전권을 받은 사람이 예수님에게 와서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옳으냐, 옳지 않느냐 하고 질문했습니다. 일종의 함정입니다. 옳다고 대답하면 로마 정권을 인정하냐는 비판을 할 것이고, 옳지 않다고 하면 실정법을 어겼다면서 로마 정부에 고발할 것입니다. 예수님 주변에는 이렇게 트집을 잡으려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번 사두개인들의 질문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트집 잡으려는 걸 알고 계셨지만 예수님은 대답을 피하지 않습니다. 좌고우면 없이 실체적인 진실을 그대로 말하십니다. 예수님은 우선 사두개인들의 오해를 바로잡습니다. 부활의 세계에는 지금 사두개인들이 말하고 있는 결혼 제도 자체가 없다는 뜻으로 말씀하셨습니다. 따라서 그런 세계에서 이 여자가 누구의 아내가 되느냐 하는 질문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36절에서 부활의 세계를 좀더 정확하게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다시 죽을 수도 없나니 이는 천사와 동등이요 부활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자녀임이라.” 영원한 생명의 세계에 들어간 사람들에게 결혼, 부부, 가정이라는 제도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으로 사두개인들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일단 끝났다고 봐도 좋습니다. 부활의 세계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말씀하신 거니까요. 그러나 그런 대답으로 사두개인들이 만족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이 트집을 잡듯이 비틀어서 질문한 본래의 의도는 부활을 부정하려는 것이었습니다. 사두개인들은 바리새인들과 달리 부활을 믿지 않았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이 어떻게 부활을 믿지 않을 수 있냐, 하고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건 좀 복잡한 문제입니다. 구약성경에는 부활 사상이 별로 강하지 않습니다. 고대 유대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모두 스올이라는 어두움 세계로 떨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죽음 이후보다는 지금 여기서 하나님의 복을 받고 행복하게 사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부활 사상은 바벨론 포로기 이후로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문제는 오늘 기독교 안에서 반복됩니다. 하나님을 믿지만 부활을 믿지 않았던 사두개인처럼 예수님을 믿긴 하지만 부활을 믿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나름 경건한 기독교인으로 살기는 하나 부활 사상을 유치한 것으로 치부합니다. 예수님의 부활도 실제의 생명이라기보다는 예수님의 윤리적 가르침이나 사랑을 제자들이 깨닫게 된 것쯤으로 여깁니다. 민중신학 계열의 사람들이나 고도의 지성적인 사람들이 주로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들과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기독교인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부활을 죽어서 우주 어느 곳에 마련된 천당에 가는 것쯤으로 생각합니다. 그 천당을 이 세상의 복지가 최상으로 구현된 장소쯤으로 상상합니다. 양쪽 모두 치우친 생각들입니다. 한쪽은 무조건 부정하고 다른 한쪽은 무조건 긍정합니다. 양 극단에 문제가 되는 것은 부활 개념에 대한 오해입니다.


예수님은 사두개인들의 질문에 대답하면서 부활 문제를 정확하게 설명하십니다. 죽음 이후에 삶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개인들의 생각은 성경에 위배된다는 점을 본문 눅 20:37절에서 지적했습니다. 출 3:6절의 인용입니다. 이 구절은 모세의 호렙 산 경험에서 나온 말씀입니다. 모세는 불이 붙었으나 타지 않는 떨기나무 현상을 통해서 하나님을 경험했습니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고 말씀하신 후 다음과 같은 말씀을 덧붙이셨습니다.

 

나는 네 조상의 하나님이니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이니라.

 

이 구절은 파스칼이 <팡세>에서도 인용했다 해서 유명합니다. 여기에 나열된 인물들을 보십시오. 아브라함, 이삭, 야곱은 고대 이스라엘 족장들입니다. 이 구절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1)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자기를 알려주신 바로 그 하나님입니다. 철학자들의 사유에서 발현된 존재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2) 고대 이스라엘의 족장들을 지켜주신 하나님께서 그들의 후손인 이스라엘 백성들을 지켜주십니다. 3) 이런 의미를 포함하면서 오늘 본문이 말하려는 핵심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이 지금도 여전히 살아있다는 사실입니다. 38a절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라.” 만약 그들이 죽어 실제로 무(無)가 되어버렸다면 ‘아브라함의 하나님’이라는 말을 붙일 수가 없습니다.


이런 주장이 실질적으로 들어오지는 않고 자칫 말장난처럼 들릴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가능한 정직하게, 정확하게 어떤 것을 생각하고 말해야 합니다. 보십시오.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은 분명히 죽었습니다. 그들은 세상에 없습니다. 그들의 뼈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 모세의 이런 발언에 근거해서 부활의 정당성을 무조건 주장하기는 어렵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래도 무조건 믿으라고 윽박질러야 할지요. 아니면 이런 문제는 복잡하니까 대충 넘어가고 구제와 봉사나 열심히 하고, 또는 교회 성장에나 매달려야 할지요. 초기 기독교도 이런 문제가 곤혹스럽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겁니다. 본문의 병행구를 비교해보면 당시의 이런 형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병행구는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 나옵니다. 세 복음서를 비교해보면 거의 똑같은 내용입니다. 다만 누가는 한 가지 점에서 마태와 마가와 차이가 납니다. 마태와 마가는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산 자의 하나님이시라.’(마 22:32, 막 12:27)로 이야기가 끝납니다. 그런데 누가는 여기까지는 똑같이 말한 뒤에 38b절에서 한 마디를 덧붙입니다.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

 

마태나 마가와 달리 누가가 이 문장을 이 이야기 끝에 덧붙였다는 건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라 살아있는 자의 하나님이라는 말만으로 부활을 설득시키기 어려웠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누가가 보충한 이 문장도 그렇게 간단한 건 아닙니다. 이 문장으로 인해서 오히려 전체 내용이 더 복잡하게 느껴졌을지 모르겠습니다. 잘 보십시오. 이 문장의 번역들도 조금씩 다릅니다. 영어 현대어 번역은 ‘하나님께 연관되어 있는 한 모든 사람은 살아있습니다.’라고 했고, 루터 번역은 ‘그들은 모두 하나님을 향해서 살아있습니다.’로, 우리말 공동번역은 ‘하느님 앞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살아있는 것이다.’로 번역했습니다.


여러 번역에서 공통되는 점은 일단 ‘살아있다.’는 것입니다. 살아있다는 게 무슨 뜻인지를 잘 생각해보십시오. 이것은 거꾸로 죽었다는 게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숨 쉬고 심장이 뛰고 먹고 배설하면 일단 생리적으로 살아 있는 건 분명합니다. 그런 작용이 멈추면 죽었다고 말합니다. 중간쯤의 단계도 있습니다. 숨을 쉬고 심장이 뛰기는 하지만 뇌가 정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사자라고 부릅니다. 이런 사람을 죽은 거로 보냐, 아니냐는 여전히 논쟁 중입니다. 뇌사자를 빨리 인정해야 장기 기능이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아주 드믄 경우지만 뇌사 상태에 빠졌다가 다시 살아나는 사람도 있으니 뇌사를 함부로 결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뇌는 살아 있으나 호흡이나 심장 박동이 멈춘 사람을 기계 장치로 연명해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에도 찬반양론이 있습니다. 생리적인 차원에서 보더라도 살아있다는 게 뭐냐, 하는 질문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윤리 도덕적인 차원에서 이 질문은 더 복잡해집니다. 신체는 멀쩡하지만 정신이 죽은 거라고 볼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다른 사람을 이용하려고만 들고, 더 나가서 파괴하려고만 합니다. 이런 삶을 살아있는 거라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 심한 우울증에 빠진 사람들은 살아 있으나 거의 죽은 것 같은 상태로 살아갑니다. 오히려 죽는 게 낫다는 생각도 가능합니다. 아이들을 데리고 동반자살을 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니까요.


이 문제를 좀더 철학적인 차원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살아 있지만 죽음이 우리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닙니다. 사고로 죽는 일도 허다합니다. 불치병도 많고, 자동차 사고도 많습니다. 돌연사도 많습니다. 이렇게 살아 있는 것 자체가 요행에 가까운 일이지 모르겠습니다. 운이 좋아 늙을 때까지 산다고 하더라도 결국 모두 죽습니다. 단지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시간이라는 게 아주 짧기 때문에 일찍 죽으나 늙어 죽으나 차이가 없습니다. 지난 수요일에 있었던 특강에 루터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루터는 1546년에 죽었습니다. 그의 신학대학교 후배 교수이자 종교개혁 동지였던 멜랑히톤은 14년을 더 활동하다가 1560년에 죽었습니다. 500년이 지난 오늘 우리가 볼 때 14년 전에 죽은 루터나 후에 죽은 멜랑히톤이나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죽음은 우리의 삶에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철학적 차원에서 본다면 삶과 죽음은 동시적 사건입니다. 그래서 중세기 유럽 사람들은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즉 ‘죽음을 기억하라!’는 말을 좌우명으로 삼았습니다.


저는 지금 여러분에게 삶이 허무하다는 말씀을 드리려는 게 아닙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모호하니 열정적으로 살지 말고 대충 살아도 좋다는 말씀도 아닙니다. 세상을 창조한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은 어느 누구도 자신의 삶을 무책임하게 살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사두개인들의 시비로 불거진 부활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을 여러분들에게 전하기 위해서 ‘하나님에게는 모든 사람이 살았느니라.’는 말씀을 해석하는 중입니다. 특히 ‘살아있다.’는 게 그렇게 명료하지 않다는 사실을 설명한 겁니다.


이 구절을 다시 보십시오. 영어 번역에서 살아있는 사람은 하나님께 연관된 사람들을 가리킨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다른 번역도 이런 뜻을 다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모든 사람’은 지금 이 세상에서 살아 숨 쉬는 방식으로 하나님께 관계된 사람만이 아니라 숨을 쉬지 않는 방식으로 하나님께 관계된 사람까지 포함됩니다. 숨을 쉬지 않는 방식의 생명이 무언지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일반적으로 죽음 이전의 숨 쉬는 생명 현상만을 살아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그건 어쩔 수 없습니다. 이런 생명 현상 너머를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세상살이가 오직 이런 생명 현상을 강화하고 확대하는 것에만 집중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선입견입니다. 우리 기독교인들은 생명을 전혀 새로운 차원에서 경험한 사람들입니다. 지금 여기서 이렇게 살아 숨 쉬고 있는 사람만이 아니라 무덤 속에서 잠자는 사람들까지, 아니 그를 둘러싸고 있던 모든 질료들이 해체된 사람들까지 살아있다고 말입니다. 우리 눈에 너무나 또렷한 삶과 죽음의 경계가 하나님 안에서 해체된다는 뜻입니다. 이게 부활 신앙의 요체입니다.


부활 생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라고, 저에게 요구하지 마십시오. 그럴 능력이 저에게 없습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가 해체된 생명의 세계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믿고 희망하는 것이라는 사실만 말씀드릴 수 있을 뿐이지 더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이야기는 불가능합니다. 그걸 더 구체적으로 말하는 사람은 사이비 이단의 교주일 겁니다. 예수님도 본문 36절에서 천사와 동등이요 부활의 자녀로서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이라고만 말씀하셨습니다. 장가가고 시집가는 방식으로만 생명을 이해하는 한 부활 생명을 이해할 수 없고 받아들일 수도 없습니다.


하나님 안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가 해체된다는 의미의 부활 생명에 자신의 운명을 걸고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지금 필요한 태도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우리가 경험한 생명 현상에 대한 선입견을 허무는 일입니다. 그런 훈련이 신앙공부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여기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그런 조건과 관계없는 상황을 받아들이는 것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팔복에서 예수님께서 가난한 자가 행복하다고 말씀하신 이유를 여러분이 아실 겁니다. 이런 일이 실제로는 어렵겠지요? 여러분의 영적 분량만큼 가보십시오. 거기에 다른 세계가 기다리고 있을 겁니다.


둘째, 하나님과의 연관성을 유지하고 심화하는 것입니다. 그것의 유일한 길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일치입니다. 세례는 바로 그 일치를 가리킵니다. 성만찬이 있는 예배를 통해서 일치를 죽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에서 죽는 순간까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연관성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은 살아있든지 죽었든지 모두 살아있는 겁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이 순교를 감당할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설교를 밑바탕에 놓고, 이제 제가 공동번역으로 본문 38절을 읽을 테니 들어보십시오. “이 말씀은 하느님께서 죽은 자의 하느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자의 하느님이시라는 뜻이다. 하느님 앞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살아 있는 것이다.”


* 설교듣기와 보기가 다 대구샘터교회 예배에서 온 겁니다.
듣기보다는 보기의 소리가 더 깨끗하군요.


profile

[레벨:18]르네상스

November 11, 2013
*.95.226.237

목사님, 이 건 그냥 '가볍게' 하는 이야기인데요. ㅎㅎ

저도 예전에 설교할 때 목사님처럼
설교문을 완전히 작성해서 설교를 했었습니다.

그렇게 설교를 하니까 편하고 좋긴 한데
한 가지 신경 쓰이는 게
설교문을 국어책 읽듯이 '읽을까봐' 신경이 쓰이더군요.

설교는 청중들을 향해 '말하기'를 해야 하는데
그냥 원고낭독을 하는 것이 되어 버리면
듣는 청중들이 힘들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는데
목사님처럼 숙달이 잘 되신 분들은 괜찮은데
저처럼 그런 게 잘 안 되는 사람들은 설교할 때 신경이 많이 쓰이는 편입니다. ^^
(앞으론 설교할 일이 없지만요.)

청중들 입장에서는 설교자가 원고 없이 설교하거나
메모만 가지고 설교를 하면 좋겠지만,
그리고 설교자가 원고설교를 하는 것이 듣기가 불편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고에 충실한 설교가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전에 메모설교를 해봤는데 횡설수설하다가 끝나버렸거든요. ㅎㅎ
목사님의 설교문을 읽을 때마다 역시 설교는 원고설교를 해야  하는구나
하는 것을 매번 느낍니다. 목사님께서 워낙 설교문을 잘 쓰시니까요.
설교라고 하는 것이 글쓰기가 참 중요하다는 것도 매번 느낍니다.
목사님이나 한일장신대 차정식 교수님처럼 글 잘 쓰시는 분들이 얼마나 부러운지 모릅니다.

아무튼 한국교회의 설교자들과 청중들이
설교의 형식보다는
설교의 내용에 보다 더 집중을 잘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November 11, 2013
*.94.91.64

원고를 들고 설교할 것인지,
요약문만 들고 설교할 것인지,
그것도 아니고 성경만 들고 설교할 것인지,
아무도 정답을 말할 수는 없겠지요.
각자 은사대로 하면 됩니다. 
원고 설교를 하는 경우에는 설교 준비 시간이 늘어납니다. 
내 체력이 이걸 언제까지 뒷받침 해줄지 모르겠으나 
갈 때까지는 계속 원고 설교로 갈 생각입니다. 
내가 설교문을 잘 쓰는 건 아니고, 
다만 고유한 색깔이 있다고는 할 수 있겠지요. ㅎㅎ 

profile

[레벨:18]天命

November 11, 2013
*.62.2.5

설교 말씀을 다시 새기다가 우연히 찾은 성구입니다.
이 찾은 성구에 의해 설교 말씀의 의미가 저에게 다시금 새롭게 와 닷습니다. 
 

롬 14:

7.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8.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
9.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셨으니 곧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라

profile

[레벨:100]정용섭

November 11, 2013
*.94.91.64

특히 9절 말씀이 인상적입니다.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라.'
삶과 죽음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에 의해,
성령의 능력으로 실제로 하나라는 사실을
실질적으로 깨닫을 뿐만 아니라 
온 영혼으로 받아들이는 날이
우리 모두에게 속히 오기를 바랍니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November 12, 2013
*.192.53.116

우리 기독교인들은 생명을 전혀 다른 차원에서 경험한 자들이다!

머리로만 인식되지만, 현실적으로는 도무지 실감이 나지않는, 인식과 현실사이의 너무나 큰 간극을 결국 구도의 자세로 죽기 전까지 하루하루 채워가는거겠죠?

부활은 죽음이 전제되어야만 할진데,
내가 세상에 대하여, 세상이 나에 대하여
매일 죽노라
바울의 고백이 나의 고백이 되어야하고,
또한 그죽음은 한번의 선언으로, 치열한 기도로, 비장한 결단으로가 아니요
그 분이 이모양 저모양으로 평생에 걸쳐 인도하시는
고난과 환란을 통한 내려놓기 과정이
수순이 아닌지요?

부닥칠 그 삶이 소망이 되고 기대가 되고
감사의 제목이 되어야할진데
여전히 두려움, 때론 암담함이 더 큼은
아직도 멀었기때문인가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November 12, 2013
*.94.91.64

부스러기님,
현실적으로 실감이 가지 않는다는 솔직한 말씀을 해주시니, 고맙습니다.
그런 말을 들어야만 저도 전달하는 방법을 새로 찾을 수 있으니까요.
실감이 가지 않는다고 한 저 문장말입니다.
그건 바로 하나님을 가리키는 거거든요.
하나님은 우리와 질적으로 다른 차원의 힘이시거든요.
부스러기님은 하나님도 실감이 가지 않을 거 같습니다.
혹시 하나님은 실감이 가시는지요.
하나님은 이름을 붙일 수 없을 정도로 우리와 이질적인 분이랍니다.
그런 이질적인 분이 친근하게 느껴지면
비로소 기독교 영성 안에 들어갔다고 말하는 거지요. ㅎㅎ 
이런 말도 좀 이상하지요?
그래도 부스러기 님은 일단 방향을 잘 잡고 있으시니
시간이 지나면서 실감이 더 잘 느껴질 겁니다.
힘을 냅시다.

profile

[레벨:13]진인택

April 10, 2014
*.44.68.212

예전부터 전 죽음과 삶을 동전의 양면에 위치한 두 부분이라 생각해 왔습니다. 그 경계가 한없이 가까이 와도 , 아무리 얇아져도 , 존재를 알 수 없을 만큼 서로가 밀착을 하여도 허물수 없는 분리벽이라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부활의 요체를 또 새로운 시각으로 보면서 삶과 죽음의 경계가 없어지면서 전체적으로 하나로 되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부활의 의미를 조금씩 알고나니 많은 의문들이 풀립니다. 더 주님께 가까이 갈 수 있는 능력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모자라는 글 관심가지고 늘 읽어 주신점 크게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매일마다 목사님께서  매주 하신 귀한말씀을  아무것도 하는 일없이 읽어가기만해서 죄송합니다.

매일 쉬지않고 글을 올린다는게 너무 튀는 모습이거나 눈치 없는 행위로 보이는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1년가까이 쉬었다가 다시 목사님 말씀을 읽어보니 내가 정말 가치있는 뭔가를 그냥 지나친 실수를 저지른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읽고 쓰고 하다보니 매일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전 매일 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하루도 쉬지않고 몇년째 쓴 일기장이 쌓여 있습니다.  다비아에 글을 올리는 것도 그렇게 일기를 매일쓰듯이 다짐을 하고 쓰기로 하자.  그렇다보니 하루중에서 항상 신경을 쓰게 되었습니다.  몇 주 달아서 쓰다보니 내가 언제 부터인가 실례를 범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보채는 아이꼴이 아닌가...  그냥 읽고 내가 감동만 받으면 되는데 일일이 올려서 점검해달라고 하는 매달리는 부담을 준것같아 죄송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0, 2014
*.94.91.64

ㅎㅎ 부담 같은 거 느낄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배울 때는 상대가 부담이 되어도

진도 나가야 합니다.

자기 생각을 글로 정리한다는 건 굉장히 중요한 공부 방법입니다.

글쓰기는 논리적 사유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평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918
652 성령강림절 마리아의 좋은 선택 (눅 10:38-42) [15] 2016-07-17 15175
65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8041
650 성령강림절 이스라엘의 선지자 '너머' [16] 2016-07-03 6542
649 성령강림절 예수 따름의 위급성 (눅 9:51-62) [9] 2016-06-26 9937
648 성령강림절 귀신 이야기 (눅 8:26-39) [43] 2016-06-19 11978
647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37] 2016-06-13 8272
646 성령강림절 울지 말고, 일어나라! (눅 7:11-17) [16] 2016-06-05 14544
645 성령강림절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 (왕상 18:20-39) [20] 2016-05-29 9994
644 성령강림절 성령, 진리의 영 (요 16:12-15) [11] 2016-05-22 11585
643 성령강림절 교회는 성령공동체다 (행 2:1-21) [10] 2016-05-15 12178
642 부활절 "속히 오리라." (계 22:12-14, 16-17, 20-21) [16] 2016-05-08 9939
641 부활절 바울과 루디아 (행 16:9-15) [9] 2016-05-01 13970
640 부활절 '서로' 사랑하라. (요 13:31-35) [15] 2016-04-24 15199
639 부활절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사실에 대한 증거 (요 10:22-30) [13] 2016-04-17 6692
638 부활절 죽임 당한 어린 양 (계 5:11-14) [9] 2016-04-10 7789
637 부활절 부활의 증인이란? (행 5:27-32) [9] 2016-04-03 7767
636 부활절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 (고전 15:19-26) [7] 2016-03-27 12308
635 사순절 예수 죽다! (눅 23:26-49) file [7] 2016-03-21 9088
634 사순절 마리아를 가만 두라! (요 12:1-8) [16] 2016-03-13 12886
633 사순절 하나님과 화목하라! (고후 5:16-21) [15] 2016-03-06 9220
632 사순절 유예된 심판 (눅 13:1-9) [6] 2016-02-28 9552
631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3] 2016-02-21 7371
630 사순절 하나님 여호와를 경배하라! (신 26:1-11) [6] 2016-02-14 7783
629 주현절 변모의 예수, 하나님의 아들 (눅 9:28-36) [3] 2016-02-07 8520
628 주현절 사랑, 하나님의 존재 방식 [9] 2016-01-31 7976
627 주현절 종말의 능력과 현실 (눅 4:14-21) [5] 2016-01-24 5952
626 주현절 하나님이 기뻐하시리라! (사 62:1-5) file [18] 2016-01-17 9537
625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눅 3:15-17, 21-22) [4] 2016-01-10 8287
624 성탄절 하나님 찬양과 하나님의 축복 (엡 1:3-14) file [6] 2016-01-03 9559
623 성탄절 기독교인 완전 (골 3:12-17) file [5] 2015-12-27 9861
622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 (사 52:7-10) file [4] 2015-12-25 10398
621 대림절 마리아 찬송 (눅 1:46-55) file [8] 2015-12-20 9643
620 대림절 기뻐하고 노래하라! (습 3:14-20) file [10] 2015-12-13 10652
619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file [7] 2015-12-06 8820
618 대림절 예수께서 오실 때에 (살전 3:9-13) [9] 2015-11-29 9971
617 창조절 알파와 오메가 (계 1:4-8) [12] 2015-11-22 9056
616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질문 (막 13:1-8) [8] 2015-11-15 7174
615 창조절 서기관과 과부 (막 12:38-44) [14] 2015-11-08 11139
614 창조절 쉐마 이스라엘! (신 6:1-9) [4] 2015-11-01 15582
613 창조절 믿음-구원-열림-따름 (막 10:46-52) [6] 2015-10-25 9201
612 창조절 예수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다 (히 5:1-10) [8] 2015-10-18 8263
611 창조절 '예수 따름'의 문제 (막 10:17-31) [8] 2015-10-11 10655
610 창조절 욥의 운명, 욥의 믿음 (욥 1:1, 2:1-10) [14] 2015-10-04 10921
609 창조절 신앙과 소금 (막 9:38-50) [6] 2015-09-27 12511
608 창조절 고난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11:18-20) [12] 2015-09-20 8223
607 창조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막 8:27-38) [8] 2015-09-14 10050
606 창조절 행위와 믿음 (약 2:1-10, 14-17) [4] 2015-09-06 7760
605 성령강림절 법과 은총 (신 4:1-2, 6-9) [15] 2015-08-30 5668
604 성령강림절 갈곳 없는 사람들 (요 6:56-69) [15] 2015-08-23 8885
603 성령강림절 성령 가득한 삶 (엡 5:15-20) [10] 2015-08-16 10733
602 성령강림절 하늘의 양식 (요 6:35, 41-51) [8] 2015-08-10 7890
601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 6:24:35) file [15] 2015-08-02 8087
600 성령강림절 예수와 표적 이야기 (요 6:1-15) [12] 2015-07-26 11632
599 성령강림절 다윗과 예루살렘 성전 [10] 2015-07-19 8666
598 성령강림절 세례 요한의 죽음 (막 6:14-29) [10] 2015-07-13 19502
597 성령강림절 은혜의 자족성 (고후 12:2-10) [13] 2015-07-05 8791
596 성령강림절 '달리다굼' 말씀하시다 (막 5:21-24, 35-43) [10] 2015-06-28 10583
595 성령강림절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 (삼상 17:32-49) [8] 2015-06-21 21444
594 성령강림절 씨 비유 (막 4:26-34) [13] 2015-06-15 11748
593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6] 2015-06-07 7254
592 성령강림절 상투스 상투스 상투스 (사 6:1-8) [10] 2015-05-31 7110
591 성령강림절 성령의 도우심(롬 8:22-27) [14] 2015-05-24 10953
590 부활절 사도의 직무 (행 1:15-17, 21-26) [12] 2015-05-17 6831
589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요일 5:1-6) [6] 2015-05-10 10048
588 부활절 예수는 참 포도나무다 (요 15:1-8) [8] 2015-05-03 12424
587 부활절 믿음과 사랑의 계명 (요일 3:16-24) [5] 2015-04-26 9285
586 부활절 몸의 부활 (눅 24:36-48) [12] 2015-04-19 13146
585 부활절 못 보고 믿는 자의 복 (요 20:19-31) [8] 2015-04-12 10019
584 부활절 "내가 주를 보았다!" (요 20:1-18) [8] 2015-04-05 6991
583 사순절 고난의 그리스도 (사 50:4-9) [8] 2015-03-29 8340
582 사순절 하나님의 영광, 그리스도의 영광 [4] 2015-03-22 7504
581 사순절 믿음의 능력 (요 3:14-21) [14] 2015-03-15 9705
580 사순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25) [10] 2015-03-08 8553
579 사순절 생명과 존재의 근원 (롬 4:13-25) [7] 2015-03-02 7372
578 사순절 약속의 하나님 (창 9:8-17) [2] 2015-02-22 9887
577 주현절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 (막 9:2-9) [4] 2015-02-15 8364
576 주현절 복음에 참여한다는 것 (고전 9:16-23) [4] 2015-02-08 11808
575 주현절 악령과 예수 (막 1:21-28) [2] 2015-02-02 8689
574 주현절 만물의 무상 앞에서 (고전 7:29-31) [12] 2015-01-25 9053
573 주현절 나다나엘의 신앙 너머 (요 1:43-51) 2015-01-18 9677
572 주현절 태초에 ... (창 1:1-5) [7] 2015-01-11 8830
571 성탄절 말씀이 육신이 되어 ... (요 1:10-18) [4] 2015-01-04 14350
570 성탄절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 (갈 4:4-7) [7] 2014-12-28 11648
569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11] 2014-12-22 11905
568 대림절 초림과 재림 사이에서 (살전 5:16-24) [6] 2014-12-14 10399
567 대림절 그는 목자시다 (사 40:1-11) [2] 2014-12-08 10645
566 대림절 그 날과 그 때 (막 13:24-37) [8] 2014-11-30 15093
565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4] 2014-11-23 16971
564 창조절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신 8:7-18) [6] 2014-11-16 9990
563 창조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살전 4:13-18) [8] 2014-11-09 10710
562 창조절 끝까지 견디는 자 (마 24:1-14) [5] 2014-11-03 10924
561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을 넘어 (마 22:34-46) [2] 2014-10-26 12255
560 창조절 교회는 성찬 공동체다 (막 14:22-25, 고전 11:23-26) [7] 2014-10-19 7298
559 창조절 예수는 머릿돌이다 (마 21:33-46) [6] 2014-10-06 10534
558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마 21:23-32) [6] 2014-09-28 10603
557 창조절 광야에서 만나를 만나다 (출 16:2-15) [4] 2014-09-21 13058
556 창조절 용서는 가능한가? (마 18:21-35) [24] 2014-09-15 14408
555 창조절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롬 13:8-14) [3] 2014-09-07 10021
55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마 16:21-28) [7] 2014-08-31 13354
553 성령강림절 모세와 예수 (출 1:8-2:10) [7] 2014-08-24 8921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