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마리아의 나드 향유

사순절 조회 수 17624 추천 수 54 2007.03.25 15:05:25
성경본문 : 요한복음 12:1-8 
mms://wm-001.cafe24.com/dbia/070325.MP32007.03.25. 요 12:1-8
마리아의 나드 향유

본문설명
요한복음 기자는 오늘 벌어진 사건의 장소와 일시를 아주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이 보를 읽기만 해도 그 당시의 상황을 정확하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유월절 엿새 전의 어느 날이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유월절은 예수님이 십자가 처형을 당한 바로 그 유월절을 가리킵니다. 예수님은 유월절 절기를 지키기 위해서 지금 예루살렘으로 가는 중입니다. 예수님은 예루살렘에서 3km 정도 떨어진 베다니에 도착했습니다. 요한복음 기자는 베다니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그곳은 예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리신 라자로가 사는 고장이었다.”
베다니에서 예수님을 영접하는 만찬회가 베풀어졌습니다. 그 당시는 이미 바리사이파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유대교의 핵심 세력이 나사로 사건으로 인해 예수님을 처단해야겠다고 작당하기 시작할 때였습니다. 요한복음 11:57절에 따르면 대사제들과 바리사이파 사람들은 예수의 거처를 아는 자는 신고하라고 명령을 내렸습니다. 일종의 지명수배 명령을 내린 것이죠. 이렇듯 분위기가 험악한 그 시절에 예수님을 위한 식탁이 준비되었다는 것은 의외입니다. 집주인이 예수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본문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식탁을 마련한 주인은 나사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나사로는 예수님과 함께 식탁에 앉아 있었고, 누이 동생인 마르다는 시중을 들고 있었습니다.
그 장면을 상상해보십시오. 아름답지 않습니까? 예수님을 중심으로 마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린 ‘최후의 만찬’에 나오는 장면처럼 가까운 사람들이 식탁을 중심으로 빙 둘러앉았습니다. 가운데는 은은한 빛을 내는 등불이 켜져 있었겠지요. 유대인들이 즐겨 먹는 빵, 치즈, 양고기, 과일 같은 것들이 식탁에 놓여 있었겠지요. 거기 모인 사람들은 이 유월절에 예수님에게 무언가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예감하고 있었을 겁니다. 앞서 지적한대로 제사장과 바리사이파들의 노골적인 적개심이 이미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으니까요.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불안에 휩싸이지는 않았을 겁니다. 오히려 지금 예수님과 함께 식탁에 앉아있는 것만으로도 무한한 평화를 경험하지 않았을까요? 어둠이 깔리는 이 순간, 베다니 나사로의 집 ‘밖’은 두려움과 음모가 팽배했지만 집 ‘안’은 사랑과 평화가 가득했습니다. 제 눈에는 그렇게 보입니다.
만약 그들이 예수님과 함께 밥을 먹고 그냥 헤어지기만 했다면 이 식탁은 매우 귀한 자리이기는 했지만 이렇게 복음서에 기록되지는 않았을 겁니다. 질적으로 전혀 새로운 의미를 담은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나사로의 누이이면서 마르다의 동생인 마리아가 나드 향유 한 근을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털로 그 발을 닦아드렸습니다. 그 향기가 온 집을 진동시켰습니다. 마리아의 향유 사건은 마태복음과 마가복음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 본문이 약간씩 차이가 납니다.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은 마리아라는 이름 없이 어떤 여자가 예수님의 발이 아니라 머리에 향유를 부었다고 묘사합니다.(막 14:3 이하, 마 26:6 이하) 그래도 전체적인 틀에서는 다를 게 없습니다. 어떤 여자가 예수님에게 비싼 향유를 쏟아 부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오늘의 사건이 이 대목에서 끝났다면 매우 감동적인 장면으로만 기억될 뿐이었겠지요. 여기에 다른 또 하나의 사건이 개입됩니다. 예수님의 제자인 가리옷 사람 유다가 왜 그렇게 비싼 향유를 낭비하는가 하고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그 향유의 값인 삼백 데나리온은 그 당시 노동자들의 연봉에 해당됩니다. 지금의 화폐 가치로 최소한 2천만 원입니다. 유다의 논리는 아주 명백하고 합리적입니다. 그 돈으로 가난한 사람을 돕는 게 마땅하다는 겁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내 장례일을 위하여 하는 일이니 이 여자 일에 참견하지 마라. 가난한 사람들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지만 나는 언제나 함께 있지는 않을 것이다.”(요 12:7,8절)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에는 복음이 전파되는 곳마다 이 여자가 한 일도 알려서 사람들이 기억하게 하라는 말씀이 보충되어 있습니다. 표현에서 약간 씩 차이가 나지만 이 세 복음서의 공통적인 강조점은 이 여자의 향유 사건이 예수님의 장례를 준비한 것이며, 그것을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과 연결시키는 것은 잘못이라는 사실입니다.

향유를 붓다.
필름을 뒤로 돌려서 마리아가 향유를 들고 나오는 장면부터 다시 봅시다. 오빠와 손님들은 예수님과 더불어 식탁에 자리하고 있었고, 언니 마르다는 시중을 들고 있었습니다. 마리아도 손님들이 오기 전에는 이런 식사 준비를 도왔을 겁니다. 밥 먹는 일이 어느 정도 마무린 된 다음, 마리아는 결혼할 때 지참금으로 갖고 가기 위해서 준비해두었던 나드 향유가 든 옥합을 들고 식탁 자리에 왔습니다. 그리고 예수님 발 앞에 앉았습니다. 사람들은 그녀가 왜 저러는가 하고 궁금하게 생각했을 겁니다. 마리아가 향유를 예수님의 발에 붓고 머리털로 그 발을 닦는 걸 보고 사람들은 모두 놀랐겠지요. 도대체 저 아이가 왜 저러는가?
예수님은 마리아 남매들과 아주 각별한 사이였습니다. 나사로가 죽었을 때 예수님이 눈물을 흘릴 정도였습니다. 누가복음의 한 전승에 따르면 마리아는 언니 마르다와 함께 예수님을 극진히 따랐습니다. 특히 마리아는 영성이 매우 예민한 여자였던 것 같습니다. 예수님 일행이 그들의 집에 들렀을 때 마르다는 손님 접대로 분주한 반면에 마리아는 예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였다고 합니다.(눅 10:38 이하) 오늘 본문도 이와 비슷한 상황입니다. 마르다가 손님들의 시중을 들고 있는 그 순간에 마리아는 향유를 쏟아 부었습니다.
도대체 마리아는 무슨 생각으로 이런 일을 저질렀을까요? 예수님이 나중에 설명하셨듯이 그녀가 예수님의 장례를 미리 준비한 것일까요? 유대인들은 시체에 향유를 발랐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 처형을 당했을 때는 곧 안식일이 시작되는 시간이었기 때문에 향유를 바르지 못하고 일단 안장했다가 안식일이 지난 다음날 이른 아침에 향유를 바르려고 여러 명의 여자들이 무덤에 갔다가 예수님의 시신이 없는 걸 보고 깜짝 놀란 일이 있습니다. 지금 마리아는 미리 예수님의 죽음을 뚫어보고 그런 장례 의식을 치른다는 생각을 했을까요? 마리아가 아무 말 없이 행동만 하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그걸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마리아가 예수님과 영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걸 전제한다면 그녀가 예수님의 죽음을 예상했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당신들은 지금 이렇게 밥이나 먹으면서 즐거워하지만 예수는 곧 처형당하신다. 왜 그걸 모르나?” 이런 생각으로는 그는 일종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게 아닐는지요.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상식적으로 볼 때 나드 향유는 좀 심합니다. 예수님의 죽음과 장례라는 차원이라고 하더라도 어떻게 한 사람의 연봉에 해당되는 향유를 그 자리에 붓는다는 말인가요? 이건 낭비 아닌가요? 꼭 이래야만 되나요? 나드 향유가 아니라 따뜻한 물로 예수님의 발을 씻기기만 해도 괜찮을 건 아닐까요? 이런 행동은 누가 보더라도 별로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조금 더 냉정하게 생각한다면, 이런 행동은 신앙이라기보다는 광신처럼 보입니다.

가난한 사람
아마 초기 기독교에서도 마리아의 행동이 옳은가 아닌가 하는 논란이 분분했을 겁니다. 같은 사건을 보도하고 있는 각각의 복음서가 서로 다른 뉘앙스를 보인다는 게 이에 대한 증거입니다. 마가복음에 따르면 마리아의 이런 행동을 본 몇몇 사람들이 분개하면서 “왜 향유를 이렇게 낭비하는가?” 하고 했으며, 마태복음에 따르면 제자들이 똑같은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런 반응은 초기 기독교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가장 늦게 기록된 요한복음은 이렇게 불만을 토로한 사람을 가리옷 유다로 지칭합니다. 더구나 요한복음 기자는 개인적인 코멘트를 답니다. 그 돈으로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게 좋다고 투덜거리는 유다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게 아니라 돈에 욕심이 난 것이라고 말입니다. 요한복음 기자는 초기 기독교 안에서 논란이 된 이 문제를 이런 방식으로 해결했습니다. 구제와 향유사건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말입니다.
실제로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은 초기 기독교에서도 매우 중요했습니다. 사도행전에 따르면 과부와 고아를 돕는 일은 말씀을 선포하는 일에 못지않을 정도로 중요했습니다. 지난 기독교 역사는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을 교회가 감당해야 할 본질적인 사명으로 인식했습니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사람들이 최소한의 인간적인 품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서로 돕는 일을 신앙의 차원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가 이번에 북한 쌀 보내기 운동에 함께 참여했는데, 이것은 단순히 동정심이 아니라 신앙의 본질에 속합니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재정을 내부가 아니라 외부로 과감하게 돌려야 합니다.

예수의 장례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에 매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목숨을 걸지는 않았습니다. 그것보다 훨씬 중요한 신앙의 차원이 있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았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이렇게 기억했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너희와 함께 있겠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고 말입니다. 무슨 말입니까? 표면적으로만 본다면 예수님이 일주일 후에 십자가 처형을 당한다는 뜻이겠지요. 예수님의 장례를 준비하는 일은 한 번밖에 없지만 가난한 사람을 돕는 계속된다고 말입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유일회적인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해야겠지요.
조금 더 근본적으로 생각하면 이 문제는 신앙과 휴머니즘의 관계에 대한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은 휴머니즘입니다. 각박한 세상살이에서 기독교가 휴머니즘을 발휘한다면 아마 세상이 교회를 새롭게 볼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독교 역사는 이런 부분을 중요하게 실천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신앙은 휴머니즘과는 다릅니다. 정확하게 말해서, 신앙은 휴머니즘을 당연히 포함하고 있지만 휴머니즘에 머물러 있지는 않습니다. 이게 바로 기독교가 이 세상의 휴머니즘과 대립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기독교 내부에서 벌어지는 신앙과 윤리의 긴장을 가리키기도 합니다.
이 문제를 조금 더 진지하게 생각해 봅시다. 기독교 신앙은 기본적으로 우리의 휴머니즘으로 이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 세상을 개량해서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게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오늘 중대형 교회들이 복지회관을 짓거나 그런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계획하고 진행하지만 그것은 교회의 업무 중에서 본질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런 노력으로 우리는 조금 더 잘 사는 세상을 만들 수 있는지는 몰라도 근본적이고 질적인 변화를 이루어낼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가난하던 70,8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풍요로운 오늘이 더 행복하다고 생각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의 노력으로는 그런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모든 중심을 놓습니다. 왜냐하면 인간과 세상의 구원은 우리의 노력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와 통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바르면 우리는 의롭다는 인정을 받고,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 방식으로 하나님은 이 세상에 당신의 뜻을 이루고 계십니다.  
오해는 마십시오.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이 무의미하다는 게 결코 아닙니다. 그런 일들은 우리가 끊임없이 실행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런 일만으로 인간과 사회가 구원받으리라는 생각은 착각입니다. 이 세상이 아무리 풍요로워져도, 모든 가정이 연봉 1억 원을 받는다고 해도 우리의 형편이 조금 나아지고 조금 편리할 뿐이지 참된 기쁨과 평화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자유, 기쁨, 평화,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랑은 이런 것과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우리에게 주어집니다.
이런 점에서 마리아가 나드 향유를 예수님의 몸에 부은 것은 자신의 전체 존재를 주님에게 맡긴 것입니다. 사람들의 눈에는 낭비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녀의 행동은 궁극적인 사랑의 경험에서 일어난 것입니다. 얄팍한 휴머니즘의 가면을 쓰고 마리아의 향유 사건을 매도한 유다를 향해서 예수님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여자 일에 참견하지 마라.” 이 말씀은 곧 초기 기독교인들의 신앙고백이기도 합니다. 그들은 예수 사건만이, 즉 그의 십자가와 부활만이 참된 구원의 실체라는 사실을 믿었습니다. 마리아처럼 우리도 우리의 전체 존재를 예수님에게 맡긴 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profile

[레벨:3]수우

March 25, 2007
*.9.84.43

목사님 설교가 반복되었군요. 본문은 요한복음인데 설교 는 지난주 것이 올라 왔어요
다시 확인 해 보십시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25, 2007
*.150.14.182

수우 님,
고쳤는데, 이제 됐나요?
요즘 <설교듣기> 올리는 데
스트레스를(ㅎㅎ) 받고 있습니다.
잘 안 돼요.
힘들게 올리기는 하는데,
실수를 반복하네요.
설교듣기를 확인해야 하는데,
무슨 일인지 1초 정도 '버퍼링'이 되다가
그냥 끝나버립니다.
어쨌든지 내 컴으로는 지금 설교듣기가
안 됩니다.
천천히 컴퓨터 공부를 해야겠지요.

profile

[레벨:3]수우

March 25, 2007
*.9.89.223

네. 이제 정상 입니다.
profile

[레벨:1]아직초짜

March 25, 2007
*.144.20.28

지금 마리아는 미리 예수님의 죽음을 뚫어보고 그런 장례 의식을 치른다는 생각을 했을까요? 마리아가 아무 말 없이 행동만 하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그걸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마리아가 예수님과 영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걸 전제한다면 그녀가 예수님의 죽음을 예상했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당신들은 지금 이렇게 밥이나 먹으면서 즐거"지금 마리아는 미리 예수님의 죽음을 뚫어보고 그런 장례 의식을 치른다는 생각을 했을까요? 마리아가 아무 말 없이 행동만 하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그걸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마리아가 예수님과 영적으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는 걸 전제한다면 그녀가 예수님의 죽음을 예상했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당신들은 지금 이렇게 밥이나 먹으면서 즐거워하지만 예수는 곧 처형당하신다. 왜 그걸 모르나?” 이런 생각으로는 그는 일종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게 아닐는지요."

위의 부분에서 예수님과 평소 깊은 관계를 거론하면서 마리아가 영적인 사람이었을거라는 신학적 상상은 설교자로서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렇지만 그녀의 향유를 붓는 행위를 예수의 죽음을 예상하고 보여주는 일종의 퍼포먼서 형태로 설교를 진행시키는 건 설교자로서 접근방법이 신선하긴 하지만 목사님의 평소 복음서를 해석하는 시각과는 좀 달라보입니다. 적어도 제 눈에는요. 물론"우리는 그걸 정확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라는 단서를 붙이긴했지만 평소 목사님의 신학대로라면 그 누구도 예수님의 죽음을 예상한 사람은 없어야 옳은게 아닌가하는 게 제 생각입니다. 그 이유는 메시야로서 예수의 죽음은 당시 제자들을 비롯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숨겨진 것이어야 하니까요. 바울도 예수의 죽음을 그런 방식으로 이해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오늘 설교본문을 마리아가 예수님의 죽음을 예상하고 이런 액션을 취하고 있다는 식으로 밀고 나가는 건 왜 이 부분에서는 평소의 정목사님답지 않게 신학적으로 철저하지 못하게 느껴질까 하는 생각이 좀 듭니다. 그렇다고해서 제가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으면서 이런 주장을 펼치니까 공연히 트집잡는것처럼 보일수도 있겠군요. 그렇지만 저는 목사님의 설교를 폄하할 생각도, 트집잡을 생각도 없구요. 대신 이 한편의 설교를 읽으면서 저는 목사님께 이 설교 한편을 위해서 참으로 많은 땀과 시간을 투자했다는 걸 마음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목사님이 설교한편에 쏟아부은 수고에 비하면 제 눈에 보이는 자잘한 해석학적 불일치는 구우일모에 지나지 않습니다. 설교에서 그런 작은 모순들은 언제나 생길 수 있는데도 저 자신이 그런 부분과 직면할때마다 궁금증이 여지없이 발동되거든요. 그래서 저는 지금 목사님께 성가시게 신학적이며 해석학적 질문을 드리는 것입니다. 오해는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이런 질문을 드리면 "초짜님의 지적은 오늘의 설교에서 그리 중요한게 아니예요"라는 식으로 한방 먹일까 걱정이 좀 되네요. 실제로 목사님이 답해 주실때 그런 적이 좀 있긴 하죠. 그런 대답을 할 때마다 속으로 묻고 싶은 부분이 있긴 했지만 성깔부리는 것 같아서 넘어가긴 했지만요. 아무튼 트집 비스무리한 질문을 하고 있긴 하지만 목사님의 설교에서 은혜를 많이 받았습니다. 오늘 저도 교회에서 영적으로 충전하지 못한 부분을 목사님의 설교를 통해서 충전이 되었거든요.

목사님께는 좀 죄송하지만 저의 신앙적, 신학적 호기심과 궁금증을 거리낌없이 배설하며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게 얼마나 행복한지 몰라요. 그런점에서 정목사님을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비아의 생명이 제가 죽을때까지는 지속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늘 하면서 살아갑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25, 2007
*.150.14.53

초짜 님의 마지막 멘트 때문에 내 마음이 약해져서
친절하게 답을 주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착하지요?
간단하게 대답해도 되겠군요.
나는 마리아가 예수님의 메시아로서의 죽음을 예상했다고 말하지 않았어요.
그냥 평소에 가깝게 지내던 예수의 죽음을,
즉 한 자연인으로서의 죽음을
어느 정도 예감한 게 아닐까 하는 말만 했어요.
그런 예감은 마리아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할 수 있는 거지요.
나는 초짜 님이 알고 있듯이
그 당시 어떤 사람도 예수님의 메시아 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걸 암시하는 구절이 복음서에 나오지만 그건 후대의 기억과 해석이지요.
대답이 됐지요?
질문은 비장한 반면에
대답은 너무 담백하군요.
혹시 내 설교텍스트나 내 대답에 모순이 있으면
다시 지적해 주세요.
좋은 한 주간이...
(그건 그렇고,
초짜 님은 무얼 물어 본 다음에
대답을 주면
마음에 안 들어도 고맙다는 말을 해야하는데,
그거 안 할 때가 제법 많네요. ㅎㅎ
십자가 사건의 은폐와 노출 건에 대한 것도 그렇고,
앞서 몇번 그런 적이 있던 것 같은데,
습관인지,
아니면 그 문제에 너무 빠져버린 탓인지.....
그렇다고 섭하다는 말은 아니고.
혹시 내 기억이 잘못된 것일지도....)
profile

[레벨:1]아직초짜

March 26, 2007
*.144.20.28

<모순>이란 표현은 객관적인 의미라기 보다
순전히 제 주관이었습니다.
그런 모순을 안느꼈다면 제가 질문을 할 수 없었겠지요.
그런데 목사님은 다 좋으신데
좋은 답을 주시면서 가끔씩
그 속에 가시를 하나씩 옵션으로 끼어서 주시는군요.
나만 성깔 있는 줄 알았는데
역시 선생님의 it(용서하세요)도 만만치않군요.
차이가 있다면 제껀 좀 거친데 반해 목사님껀 훨씬 세련되었군요.
어떤 식당은 음식맛은 일품인데 가끔씩 주방장 매너가
엉망인 경우 있죠? 그러면 결국 식당 이미지 다 배리죠.ㅋㅋ
좀 이기적인 발언인지 모르지만
어떨땐 손님이 말도 안되는 깡짜를 부리더라도
주인은 식당 이미지때문에라도 모른체 넘어가주어야 좋은 사람이라고요...
제가 좀 못 됐죠!^^
아, 참
목사님의 마지막 대글을 잊어버릴뻔 했군요.
대글에 깊은 감사, 높은 감사, 넓은 감사드립니다.
충고 깊이 새겨 듣겠습니다.
충성!
profile

[레벨:11]양만재

March 26, 2007
*.234.4.76

목사님
안녕하세요 영국 더럼에 양만재 집사님
영국 교회 가기전에 목사님 설교를 읽고 갔는데
오는 더럼시 St.Oswald에서도 요한 복음 12장1-8절까지를 읽고서 담임목사가 아닌
Licensed Reader인 나이드신 여자분이 설교를 하였습니다. 아마 라이센 스리더는
교회에서 성경을 전문적으로 낭독하는 직분인 듯 한데 잘 모르겠습니다.

설교 내용은 마리아가 돈보다 예수님에 향한 열정적인 사랑을 강조하는 것 같았습니다.
말씀 가운데 passion을 여러번 강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제 영어가 부족하여(?)...
다행히 정 목사님의 말씀을 읽고 가서 그런지 이해하기 쉬웠던 것 같습니다.
기독교인은 휴머니즘을 넘어 예수님에게 삶을 맡겨야 한다는 말씀에 깊은 감명을 받았지요.
한국 교회가 휴머니즘조차 망각하기도 하고 우리가 예수님에게 삶을 맡겨야 하다는 뜻을
자신의 삶의 주체적 자각을 잊어 버리고 그저 모든 것을 하나님 혹은 예수님에게
맡기기만 하고 주어진 현실을 외면하면서 자신 책임 있는 삶을 망각하는 즉 흔히 말하는 자유에서 도피하려 삶도 있는 듯 합니다. 흔히 속빈 설교를 하는 목사님들이 오직 주님에게 삶을 타겨라고 외치는 것 같습니다.
그런 삶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많이 설명 하지 않고 그것이 모든 삶의 만병통치약인양 역설하는 듯 해서요.

여하튼 자신의 존재를 주님에게 맡기는 것이 무엇인지를 다시한번 생각 해는 주일이 었습니다. 쉬운 듯하지만
아주 어려운 삶이 아닌가 싶습니다. 늘 세상 기준으로 혹은 내 기준으로 살면서도 주님의 뜻 인양 합리화하고 그것으로부터 위로 받으려는 경우가 허다 하기에 그말씀에 기쁨도 주지만 어려움도 있음을 느꼈습니다.

목사님 건강 하세요
샬롬!!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March 26, 2007
*.150.83.54

베다니에 있는 문둥이 시몬의 집에서 있었던 이 사건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큽니다(막 14:3). 저는 이 곳의 이 일을 교회 생활에 대한 예표로 해석합니다.

교회는 나사로(문둥이: 죄인된 우리의 상징)와 같은 죄인인 우리가 부활 생명에 의해 산출된 곳어야 합니다. 나사로는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으니 그에게는 부활 생명이 있고, 죄인이었다가 부활 생명에 의해 살아난 사람들이 모인 곳, 즉 그의 집은 교회가 아닐까요.

교회 생활은 주님의 임재 안에서 잔치를 누리는 생활입니다. 교히는 안식하고 잔치를 누리는 장소여야 한다. 그리고 주님의 임재 안에서 잔치를 누리는교회에는 세 가지가 분명히 있어야 합니다.
1. 나사로와 같이 부활 생명에 대한 살아 있는 간증, 곧 생명의 간증이 있어야 한다.
2. 마르다와 같이 주님을 위한 근면한 섬김과 봉사가 있어야 한다.
3. 마리아와 같이 주님께 쏟아 부어진 절대적인 사랑이 있어야 한다.

비록 잔치는 문둥이 시몬의 집에서 마련되었지만 모든 일은 마리아와 나르다와 나사로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 비록 교회는 주님께서 죽은 자들을 소생시키고 거듭나게 하는 곳이요, 문둥이를 정결케 하는 곳이지만 교회 안에서의 봉사는 문둥이들이 하지 않는다. 이것이 시몬의 집이지만 시몬을 언급하지 않고 시몬이 봉사에 참여하지 않은 사실의 이면에 있는 것이 혹시 아닐까요?

교회 안에서 우리는 주님께 대한 간증과 주님께 대한 근면한 봉사와 주님께 대한 절대적인 사랑의 헌신이 있어야 한다. 주님은 우리의 모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모든 것을 다 드려 주님께 대한 간증과 주님께 대한 근면한 봉사와 주님께 대한 절대적인 사랑의 헌신을 드려도 부족한 주님의 우리에 대한 사랑을 찬양합니다.
profile

[레벨:0]truth

March 26, 2007
*.26.44.188

목사님 흔들리고 괴롭던 맘 치유해 주시는 말씀들 감사드립니다.
브니엘남님
주님께 대한 근면한 봉사와 주님께 대한 절대적인 사랑의 헌신을 드려도 부족한 주님의 우리에 대한 사랑을
찬양합니다. -아멘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27, 2007
*.150.14.158

양만재 님,
반갑습니다.
공부와 논문 진행은 순조롭습니까?
소기의 공부를 빨리 마치시고
지역사회에서 놓은 일꾼이 되기를 바랍니다.
기회가 되면 우리 함께 손을 잡고 일해봅시다.
주의 은총이.
아, 위의 글쓰신 내용 중에서
휴머니즘과 신앙의 관계는 정말 미묘합니다.
자칫하면 탈역사주의로 흐를 수도 있겠지요.
profile

[레벨:11]양만재

March 28, 2007
*.234.4.76

정목사님
고맙습니다.
논문은 계획에 따라 그런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격려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 일꾼이 되기 위해서 열심히 배워가지고 돌아가려 합니다.
목사님이 진행하는 인문학적 성서읽는 모임에도 참석하구요
그리고 서울에서 열리는 다비아 책 출판 잔치도 멀리서 축하합니다.
런던에 계시는 신목사님이 참석하지 못해 아쉽고요
한국에 있었으면 가거나 책을 사 볼 수 있을 텐데...
더욱 아쉬운 것은 올때 '속빈 설교' 1편은 읽고 왔는데
2편 그리고 다비아의 책들을 여기서 읽지 못하는 것도 큰 아쉬움이라 할 수 있겠지요.
여름 방학때 한국 가는 학생이 있으니 그때 부탁하여 구입해야 겠습니다.

늘 건강 하셔야 합니다.
더럼 대학 기숙사 골방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666
451 창조절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 (마 18:21-35) [6] 2011-09-11 12663
450 창조절 심판의 하나님 (출 12:1-14) [12] 2011-09-05 13368
449 성령강림절 종말과 생명 완성 (마 16:21-28) [16] 2011-08-29 14704
448 성령강림절 건지시는 하나님 (출 2:1-10) [14] [1] 2011-08-22 15766
447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에 관한 이야기 [10] 2011-08-15 16466
446 성령강림절 구원의 차별성과 보편성 [20] 2011-08-07 13901
445 성령강림절 다리 저는 야곱 [10] 2011-07-31 14491
444 성령강림절 천국, 질적인 변화의 세계 [18] 2011-07-24 17521
443 성령강림절 악을 대하는 태도 [20] 2011-07-18 14002
442 성령강림절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14] 2011-07-10 13418
44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8] 2011-07-04 15955
440 성령강림절 아들을 바쳐라! [17] 2011-06-26 14245
439 기타 세례를 베풀라 [8] [2] 2011-06-20 11635
438 성령강림절 성령을 받으라! (요 20:19-23) [13] 2011-06-12 24677
437 부활절 하나님의 영광이 답이다 (벧전 5:6-11) [15] 2011-06-07 14782
436 부활절 부활은 심판이다 [12] 2011-05-29 13846
435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이다! [12] 2011-05-22 19012
434 부활절 예수의 기이한 빛 (베드로전서 2:1-10) [16] 2011-05-16 20134
433 부활절 눈이 밝아진 그들 [11] 2011-05-08 15974
432 부활절 부활의 증인 공동체 [17] 2011-05-01 22502
431 부활절 막달라 마리아와 부활의 주 [17] 2011-04-24 19679
430 사순절 “나는 아니지요?” [23] 2011-04-18 18097
429 사순절 여호와를 알리라! [16] 2011-04-11 17119
428 사순절 빛의 자녀, 빛의 열매 [25] 2011-04-03 23415
427 사순절 여호와를 시험하지 말라! [18] 2011-03-27 19961
426 사순절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라! [13] 2011-03-21 19093
425 사순절 생명의 왕국 [5] 2011-03-13 15901
424 주현절 메시아는 비밀이다 (마 17:1-9) [17] 2011-03-07 16713
423 주현절 영적 자유의 토대 [22] 2011-02-27 16984
422 주현절 원수사랑, 가능한가? [16] 2011-02-22 18861
421 주현절 하나님이 생명이다 [10] 2011-02-15 17144
420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23] 2011-02-06 17309
419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지혜다 [3] 2011-01-30 20801
418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7] 2011-01-23 16771
417 주현절 하나님의 ‘선택의 신비’ [10] 2011-01-17 18344
416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24] 2011-01-09 18807
415 성탄절 그리스도 찬양 [11] 2011-01-02 15872
414 성탄절 은총의 깊이로! [14] 2010-12-26 23646
413 성탄절 영광과 평화의 노래 2010-12-26 21733
412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file [8] 2010-12-20 19118
411 대림절 "당신은 메시아인가?" file [10] 2010-12-12 16123
410 대림절 소망의 하나님, 우리의 소망 file [5] 2010-12-06 21911
409 대림절 인자가 오리라 file [8] 2010-11-28 18269
408 성령강림절 정의와 공의의 하나님 file [12] 2010-11-22 21781
407 성령강림절 새로운 창조의 하나님 file [9] 2010-11-14 13776
406 성령강림절 죽음, 삶, 하나님 file [13] 2010-11-07 14071
405 성령강림절 믿음과 구원 file [4] 2010-10-31 21064
404 성령강림절 영과 구원 file [9] 2010-10-24 13459
403 성령강림절 기도와 믿음 file [20] 2010-10-19 22400
402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file [6] 2010-10-10 16698
401 성령강림절 믿음과 종됨의 관계 file [18] 2010-10-04 19075
400 성령강림절 하나님은 누구인가? file [8] 2010-09-26 19125
399 성령강림절 우리의 주인은 한 분이다! file [5] 2010-09-20 14848
398 성령강림절 존귀와 영광을 받으실 분 [20] 2010-09-12 16582
397 성령강림절 토기장이 하나님 [11] 2010-09-06 26542
396 성령강림절 안식일과 해방 [10] 2010-08-22 17141
395 성령강림절 주는 우리의 평화! [19] [1] 2010-08-16 15779
394 성령강림절 영원한 본향 하늘나라 [8] 2010-08-09 19507
393 성령강림절 생명과 소유 [8] 2010-08-02 15429
392 성령강림절 음란한 여자와 결혼한 호세아 [21] [1] 2010-07-25 34690
391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누군가? [16] 2010-07-19 18320
390 성령강림절 이웃에 대한 질문 [16] [2] 2010-07-11 17135
389 성령강림절 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인가? [8] [1] 2010-07-05 26599
388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17] 2010-06-27 24413
387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하라 [10] 2010-06-21 14306
386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신앙 [19] 2010-06-13 15704
385 성령강림절 한 말씀만 하소서 [17] 2010-06-07 18771
384 성령강림절 지혜의 영, 창조의 영 [7] 2010-05-30 16335
383 성령강림절 성령경험과 구원경험 [2] 2010-05-23 14488
382 부활절 그리스도의 영광과 교회 일치 [3] 2010-05-17 12444
381 부활절 하나님의 이름은 거룩하다 [12] [3] 2010-05-09 14258
380 부활절 창조의 위기와 구원 [10] 2010-05-03 15792
379 부활절 예수의 정체에 대한 질문 [27] [2] 2010-04-25 16754
378 부활절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분 [4] [1] 2010-04-18 13218
377 부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14] 2010-04-11 14003
376 부활절 새 창조와 새 생명 [4] 2010-04-05 14330
375 사순절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 [11] 2010-03-29 20402
374 사순절 그리스도에 대한 인식과 믿음 [27] 2010-03-22 19113
373 사순절 축제의 능력 [5] 2010-03-15 13031
372 사순절 우리의 생각과 다른 하나님 [2] 2010-03-08 20500
371 사순절 아브람의 거룩한 두려움 [8] 2010-03-01 14631
370 사순절 하나님의 의와 사람의 의 [8] 2010-02-22 27895
369 주현절 주는 영이시다 [3] 2010-02-15 13044
368 주현절 거룩한 생명의 씨 [10] 2010-02-08 16100
367 주현절 온전한 것과 부분적인 것 [15] 2010-02-01 15350
366 주현절 교회 일치의 신비 [11] 2010-01-25 15613
365 주현절 하나님의 은폐, 하나님의 침묵 [17] 2010-01-18 18864
364 주현절 성령 임재와 마술 [21] 2010-01-11 18177
363 성탄절 하나님이 하나님 되는 때 [21] 2010-01-04 15946
362 기타 세겜의 약속을 기억하라 [9] [1] 2010-01-01 17927
361 성탄절 “요셉의 아들이 아니냐?” [23] 2009-12-28 23587
360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와 구속 2009-12-25 16706
359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몸’ [8] 2009-12-21 15461
358 대림절 성령 세례와 심판 [36] 2009-12-14 20645
357 대림절 주의 날과 십일조 [49] 2009-12-07 19876
356 대림절 그 날이 임하리라! [17] 2009-11-30 16005
355 성령강림절 구름기둥과 불기둥 [25] 2009-11-23 30080
354 성령강림절 여호와의 이름을 찬송하라! [22] [1] 2009-11-16 12519
353 성령강림절 신앙경험은 새롭게 '봄'이다 [18] 2009-11-09 16956
352 성령강림절 복음의 능력, 믿음의 능력 [10] 2009-11-02 21717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