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존귀와 영광을 받으실 분

성령강림절 조회 수 16584 추천 수 2 2010.09.12 21:23:39
설교듣기 : mms://wm-001.cafe24.com/dbia/2010/dawp_0912.mp3 
설교보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100912.wmv 
성경본문 : 디모데전서 1:12-17 

존귀와 영광을 받으실 분

(딤전 1:12-17)

 

    디모데전서와 후서는 일반적으로 ‘목회서신’이라고 불립니다. 바울이 젊은 목회자인 디모데에게 교회 공동체를 끌어가는 방향을 제시하고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여기에는 교회생활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디모데전서만 하더라도 기도, 감독과 집사의 자격, 신자들을 대하는 태도 등이 나옵니다. 교회 지도자들이 읽으면 배울만한 내용이 많습니다. 목회서신이라고 해서 단순히 목회 ‘노하우’만을 가르치는 건 아닙니다. 이 글을 쓴 사람의 신앙적인 실존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보편적 신앙고백인 송영이 겸해서 나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목회서신은 세 가지의 내용으로 구성됩니다. 첫째는 목회 또는 교회생활, 둘째는 신앙체험, 셋째는 송영입니다. 이것은 곧 목회, 또는 교회생활이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중심에 관한 문제라는 뜻입니다. 교회생활이 따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부단히 신앙의 근본으로부터 조명을 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오늘 설교의 본문은 이런 목회서신의 세 가지 구성 요소 중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를 거론합니다. 디모데전서를 기록한 이 사람은 이전에 복음을 박해하던 자였지만 이제는 직분을 맡은 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주의 은혜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과 사랑과 함께 넘치도록 풍성하다고 말합니다. 그 은혜는 죄인의 괴수 같은 자기를 구원하셨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이 딤전 1:12-16절의 내용입니다.

    본문은 그것으로 끝나지 않고 마지막 17절에서 특이한 내용을 곁들였습니다. 이것은 초기 그리스도교의 신앙을 압축해 놓은 송영입니다. 딤전 6:15, 16절도 비슷한 내용입니다. 딤전 6:16절을 읽어보겠습니다. “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고 가까이 가지 못할 빛에 거하시고 어떤 사람도 보지 못하였고, 또 볼 수 없는 이시니 그에게 존귀와 영원한 권능을 돌릴지어다. 아멘.” 1장과 6장 양쪽 모두 송영, 또는 영광송입니다. 하나님을 높이는 신앙고백이며, 찬송입니다. 이걸 놓치면 교회 생활이 인간적인 열정으로 뒤범벅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약의 서신들은 이런 송영을 자주 거론합니다. 골 1:15-20, 빌 2:6-11 등입니다. 지금 우리가 사도신경을 암송하듯이 그들은 이 신앙의 내용을 반복해서 확인하고 그 세계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그 내용은 오늘 우리의 신앙생활을, 더 근본적으로는 우리의 삶을 규정합니다.

 

    존귀와 영광

     딤전 1:17절 전체를 다시 읽겠습니다. 단어까지 새기면서 들어보십시오. 앞에서 읽은 딤전 6:16절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영원하신 왕 곧 썩지 아니하고 보이지 아니하고 홀로 하나이신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을지어다. 아멘.” 이 구절에서 핵심은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기를 염원한다는 사실입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이런 신앙고백을 나누면서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그들은 세계를 어떻게 경험한 것일까요? 그리스도교 신앙은 그냥 공중에 떠 있는 게 아닙니다.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 나왔습니다. 그런 삶의 자리를 놓치면 성경의 내용은 관념이 되고 맙니다. 공자 왈로 떨어집니다. 예수 그리스도 역시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분이 아닙니다. 그는 구체적인 유대교라는 자리에서 말씀을 전하셨고 활동하셨습니다. 유대교를 전제하지 않으면 예수 그리스도를 이해할 수 없습니다. 예수의 사건, 예수의 운명은 모두 유대교의 경전인 구약에 의해서 해석된 것입니다. 부활 사건까지 포함해서 그렇습니다. 유대교의 지도자들에 의해서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을 믿는 초기 그리스도교가 왜 유대교의 경전인 구약 39권을 그대로 경전으로 받아들였는지 이상하다고 생각되지 않으세요? 그것은 초기 그리스도교가 유대교의 모든 신앙을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종교적 배경은 유대교인 반면에 정치적인 배경은 로마입니다. 그리고 문화사상적인 배경은 헬라입니다. 여기서 특히 로마가 중요합니다. 예수님은 로마의 지방 장관인 빌라도에 의해서 당시 반국가사범이면서 로마 시민권이 없는 사람에게만 내리는 십자가 처형의 선고를 받았습니다. 그리스도교는 어쩔 수 없이 정치적인 종교였습니다. 그리스도교가 세속적인 차원의 정치를 했다는 뜻이 아니라 그리스도교의 메시지가 정치적인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는 뜻입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빌라도가 예수님에게 십자가 사형선고를 내렸을 까닭이 없습니다. 이것에 대해서 지금 더 이상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설교가 진행되면서 저절로 해명이 될 겁니다.

     디모데전서 기자가 말하는 ‘존귀와 영광’이 무엇인지를 생각해보십시오. 존귀는 헬라어 ‘티메’이고, 영광은 ‘독사’입니다. 둘 다 비슷한 뜻입니다. 특히 독사가 중요합니다. 영광이라는 뜻의 독사는 신구약 전체의 핵심 주제이기도 합니다. 구약 언어인 히브리어로는 ‘카봇’이라고 합니다. 그 단어는 하나님의 현현을 가리킵니다. 모세는 시내 산에서 하나님을 직접 보고 싶어 했습니다.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출 33:18) 여기서 영광이 카봇입니다. 하나님은 모세를 바위틈에 숨기시고 모세를 손으로 덮었습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영광을 볼 수 없었습니다. “네가 내 등을 볼 것이요, 얼굴은 보지 못하리라.”(출 33:23) 왜냐하면 하나님을 직접 보면 죽기 때문입니다. 영광은 바로 하나님의 임재이며, 궁극의 생명 사건입니다. 사람은 그것을 직접 볼 수가 없습니다. 초기 그리스도교는 구약의 가르침과 같은 차원에서 이 영광이 하나님께 영원무궁하도록 있기를 노래했습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하나님께 영광이 돌려지고 있다면 굳이 이런 노래를 부를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께 돌아가야 할 영광을 가로채는 세력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초기 그리스도교 당시에 영광을 차지한 세력은 로마 황제입니다. 제국으로서의 로마입니다. 이런 상황을 전제하지 않으면 그리스도교의 송영은 공허한 독백으로 떨어집니다. 그냥 허공에 대고 자기 흥에 겨워 부르는 노래에 불과합니다. 이런 경우가 사실은 오늘도 비일비재합니다. 찬송의 대상이 누구인지도 의식하지 않은 채 그냥 기분에 치우쳐서 노래를 부르고 예배를 드립니다. 로마제국의 특징은 ‘팍스 로마나’였습니다. 즉 로마의 평화입니다. 로마의 체제를 공고히 하는 일입니다. 그것을 건드리지만 않으면 당시 식민지 국가들은 편안하게 살 수 있었습니다. 로마 제국은 모든 종교에도 관용을 베풀었습니다. 그러나 로마의 평화에 조금이라도 항거하는 집단이 있으면 용서가 없었습니다. 카이저에게만 ‘주’라는 칭호를 붙였습니다. 황제는 모든 인민의 생사여탈권을 독점하고 있었습니다. 그야말로 그는 신처럼 행세했습니다. 초기 그리스도교는 여기에 항거했습니다. ‘퀴리오스’, 즉 주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뿐이라고 고백했습니다. 영광은 로마 황제가 아니라 하나님께만 돌려야 한다고 외쳤습니다.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이 영원무궁하도록 있을지어다.” 이런 고백은 혁명적입니다. 당시 시대정신을 거부하는 외침이자 찬송이었습니다. 로마 총독 빌라도에 의해서 십자가에 처형당한, 30대 초반의 한 유대인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은 바로 이런 사실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오늘 본문의 이 송영을 이런 차원에서 듣지 않으면, 다시 말씀드리지만 죽은 말, 죽은 신앙이 되고 맙니다.

     이런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거나, 동의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그럴 듯하지만 뭔가 불편하게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 분들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주로 사적인 영역으로만 받아들입니다. 예수 믿는 것은 개인이 복 받아서 세상에서 잘 살고, 죽어서 천당 가는 거라고, 조금 더 나가서 도덕적으로 바르게 살면 충분하다는 신앙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생각하면, 실제적으로 자기 삶 하나 꾸려가기도 힘이 드는 세상입니다. 이런 마당에 하나님께 돌려야 할 존귀와 영광을 시대정신과 결부해서 생각한다는 것은 개인 그리스도인들에게 너무 벅찬 일이기도 하고, 막막한 일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어쩝니까? 우리는 종교적인 취미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에게 운명을 건 사람들입니다. 벅차더라도 우리는 우리와 똑같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운명을 걸었던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을 배워야 하고, 그들의 영성에 동참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에 나오는 송영의 내용을 조금 더 따라가면 우리가 왜 이런 말씀을 어색하게 생각하는지, 거기에 밀착되지 못하는지, 우리가 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 좀더 분명하게 드러날 것입니다.

 

    하나님은 어떤 분인가?

     오늘 본문의 송영은 존귀와 영광을 받아야 할 하나님의 속성을 세 가지로 설명합니다. 썩지 않으심, 보이지 않음, 유일하심이 그것입니다. 그런 속성을 지닌 분이 바로 ‘영원하신 왕’이라고 합니다. 바로 이런 속성을 지닌 분에게만 영광을 돌려야 한다고 했습니다. 당시 로마의 황제는 실제로는 이런 속성과 상관이 없었습니다. 그는 유한합니다. 죽어서 곧 썩습니다. 눈에 보입니다. 온 세상의 많은 왕 중의 하나에 불과합니다. 상대적인 존재가 하나님께 돌아가야 할 영광을 가로채려고 애를 썼습니다. 황제를 절대적인 존재로 부각시키기 위해서 많은 장치를 마련했습니다. 결국 로마제국은 식민지 인민들에게 황제를 숭배하게 했습니다. 황제숭배는 특별히 이상한 사건이 아닙니다. 당시의 시대정신입니다. 사람들은 어떤 대상을 숭배하지 않으면 허전해서 견디지 못합니다. 정치인들은 그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할 뿐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황제 숭배가 어떻게 자리하고 있는지 알만한 분들은 모두 알 겁니다. 돈과 자본이 황제입니다. 우리의 의식구조가 자본으로 완전히 세뇌되어 있습니다. 사람에 대한 판단도 오직 돈입니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지 않습니다. 동유럽의 현실사회주의 붕괴 이후로 이런 현상은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1973년에 출판되고 전 세계적으로 6백만부가 팔렸다고 하는 <모모>의 저자 미카엘 엔데는 죽기 바로 전 해인 1994년 2월6일 일본 NHK 한 피디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확실히 돈에는 신이 지닌 특질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돈은 사람을 결합시키기도 하지만 분열시키기도 합니다. 돈은 돌을 빵으로 변화시킬 수도, 빵을 돌로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돈은 기적을 일으킵니다. 돈의 증식은 불가사의한 것입니다. 게다가 돈에는 불멸이라는 성질까지 있습니다.”(녹평 114호, 41쪽) 엔데는 로마가 황제숭배로 망했듯이 현대문명도 돈 숭배로 망할 거라고 예측합니다. 성서가 지적하고 있듯이 피조물을 신으로 섬기는 것이 우상숭배입니다. 우상숭배의 결과는 파멸입니다. 그래도 여러분은 돈이 지배하는 현실에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시나오? 이건 그렇게 어려운 이야기가 아닙니다. 지금처럼 경제발전을 국가의 궁극적인 목표로 삼으면 결국 지구의 자원은 고갈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 후손들의 가난을, 더 나가서 생존의 위기를 담보로 우리가 풍요롭게 살고 있을 뿐입니다.

     그런 걱정은 사회학자나 생태학자, 정치인들에게 맡기고 우리는 하나님만 잘 섬기면 된다고 소박하게, 낭만적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요. 좋습니다. 그렇다면 그 하나님을 바르게 알고 믿어야 합니다. 우상을 숭배하면서 잘 되겠지 하면 말이 안 됩니다. 오늘 본문이 우상과 참 하나님의 차이를 분명하게 말합니다.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인데, 정확하게 전달이 안 된 분들을 위해서 보충해서 설명합니다. 첫째, 하나님은 썩지 않는 분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썩는 것을 좋아합니다. 잠시 있다가 사라지는 것은 좋아합니다. 그러면서도 썩지 않는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을 합니다. 그게 말이 되나요? 둘째, 하나님은 보이지 않는 분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지금 보이는 것을 섬깁니다. 보이지 않는 것을 우습게 생각합니다. 보이는 교회에만 매달리지 보이지 않는 교회에 대해서는 아예 관심이 없습니다. 오해는 마십시오. 보이는 이 세계가 아무 것도 아니라는 말씀이 아닙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을 이원론적으로 분리하자는 것도 아닙니다. 보이는 것에 은폐되어 있는 근원을 놓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것을 놓치면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숙명적으로 황제숭배에, 즉 우상숭배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하나님은 유일하신 분이라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유일하신 하나님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많은 신을 섬기고 싶어 합니다. 이미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부터 시작해서 지금 우리 그리스도인들까지 모두 표면적으로는 유일신론자들이 하더라도 실제로는 다신론자들인지 모릅니다. 여러분의 영혼에 작용하는 힘들이 몇 개가 되는지 세어보십시오.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런 질문의 대답은 설교자가 아니라 성령이 주십니다. 여러분 각자의 삶이 너무나 고유하기 때문에 인간인 목사가 간섭할 수가 없습니다. 문제는 진리의 영인 성령이 주는 대답에 영적인 귀가 열려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귀를 여는 작업이 바로 초기 그리스도교의 신앙 문서인 성서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이 말하는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을 돌린다는 사실의 신앙적인 진정성을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거꾸로 우리가 이 세상이 온갖 것에 우리의 영혼을 팔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차려야 합니다. (성령강림절 후 열여섯 주일, 9월12일)


profile

[레벨:3]훈쓰

September 12, 2010
*.223.154.153

이제껏 돈 따라 안 살아 볼려고 분투 노력했지만, 요즈음 사방에서 욕 얻어 먹고,  마음이 너덜해져 있었는데,

 

오늘 목사님 말씀 듣고 큰 위로가 됐습니다.

 

예수를 믿는다고 하면서, 이른바 "현실은 그렇지 않다"라며  세상을 약삭바르게 사는 것만이

 

진리인 양 떠들어 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과 섞여서 살기에 진리의 영의 인도함을 바라는 자는, 사실 너무도 큰 인내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설교 끝나고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었으나 여의치 않았었는데, 지면으로라도 심심한 감사를 드립니다.

 

한 주간 평안하세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3, 2010
*.120.170.243

오진석 군이군.

세상살이가 힘들 거네.

만인에 의한 만인의 투쟁처럼

이 세상이 살벌한 경쟁의 법칙이 횡행하는 정글이 되어가고 있네.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전체적인 추세가 그렇네.

이런 시대정신에서 그리스도인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도전이자, 미혹이고, 위기이자, 기회이기도 하네.

자네가 젊어서 실감이 잘 나지 않겠지만

삶이라는 게 사실은 그렇게 대단한 거는 아니네.

조금 잘 난 것처럼 보이는 삶이나

그렇지 않은 삶이나 그 차이가 도토리키재기와 같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기독교 영성에서 풍요로워지는 것이네.

만왕의 왕이신 하나님께 영광이 임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일단 최선을 다하며 살아보세.

profile

[레벨:3]훈쓰

September 14, 2010
*.223.154.153

저 오진석군 아닌데요...임마누엘(주희 아빠) 친구...그 수련회도 갔었던....ㅋㅋ

 

어쨌든...평안하세요...ㅋ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4, 2010
*.120.170.243

앗, 미안하오.

그러면 박세훈 군이군.

이번에도 틀리면 정말 큰일인데, 음.

내가 이렇게 이름을 헷갈리는 이유는

요즘 대구샘터교회에 젊은이들이 많이 몰려 들어서, ㅋ

어쨌든... 다시 미안하네...

profile

[레벨:7]춰니

September 13, 2010
*.227.99.107

은폐된 근원을 놓치게 만드는

영혼에 작용하는 힘들에 대해서 생각해 봅니다.

 

그 힘들의 중심에 '나'가 있었습니다.

'내'가 모든 것을 은폐시키는 장본인 이었습니다.

 

다시 깨닫게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생명의 근원에 다가갈 용기를 성령께 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3, 2010
*.120.170.243

춰니 님,

정확하게 짚으셨네요.

'나'가 그렇게 강하답니다.

신처럼 대접받고 싶어한답니다.

'나'를 강화하는 것은

그것이 세상의 처세술이든,

종교적 만족이든,

세속적인 명예심이든

결국 생명 자체를 파괴합니다.

우리가 말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고 하면서

실제로는 '나'의 영광을 추구할 때도 많구요.

종교적인 우월감과

목회적인 성취감이 그렇게 작용합니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것은

'나'를 무화할 때만 가능한 건데요.

나의 무화가 쉽지 않으니까 영광을 돌리기도 힘든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나'를 만족시켜주는 황제숭배, 우상숭배 등으로 빠져드는 거지요.

어떻게 여기서 해방될 수 있을까요?

죽기 전에 이것이 가능할까요?

다른 것은 접어두고

일단 예수 그리스도를 바르게 아는 게 최선입니다.

좋은 한 주간 보내세요.

profile

[레벨:18]눈꽃

September 13, 2010
*.112.18.49

춰니님에게 주신 답글에 저의 마음이 뜨거워집니다

 

나를 무화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할까요?

접어두고~

일단 예수 그리스도를 바르게 아는 게 최선입니다(이부분에서 포도나무 비유 요15장1~8를 생각합니다

제가 잊지말자! 하고 소중히 간직하는 말씀입니다)

참으로 명쾌한 답을 주시니 감사 ^ ^*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4, 2010
*.120.170.243

답글을 다는 사이에 눈꽃 님이 들어오셨군요.

눈꽃 님은 뭐 내가 말하기도 전에

벌써 이심전심으로 뭔가 감을 잡고 있으신 분이에요.

이게 나이를 먹으면서 서로 통하는 어떤 것이 있다는 의미겠지요.

하여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행하신 하나님의 구원통치 안으로

가능한대로 깊이 들어가보도록 합시다.

그것이 우리의 영혼을 불사를 수 있도록 말입니다.

행복한 가을 밤을 보내세요.

profile

[레벨:6]방랑자

September 14, 2010
*.109.153.14

요즘들어 가끔 혼자 아무생각없이 있다가 문득 문득 죽음에 대해 생각합니다

지금 이대로 갑자기 세상을 떠난다는 걸 가정하고는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무엇인지

생각해 보곤 하죠

역시 가족이 제일 먼저 밟히긴 하는데 그걸 제껴놓고 생각하니 글쎄요 특별히 큰 미련도 없고

그냥 가도 될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거기서 더 생각이 깊어지면 죽음 이후의 불확실성, 절대고독과 같은 불안한 마음땜에

좀 더 확실해 질때까지 일단은 더 살고 싶은 욕망(?)에 다시 사로잡히긴 하지만....

지금도 세상의 어떤 즐거움을 쫓는 나를 발견하기도 하고, 아직 해보지 못한 것도 많고

하고 싶은 일도 있는 속물이지만 그것에 얽매이거나 매달려 살고 싶진 않습니다

할수 있다면 늘 영적 긴장감을 잃지 않으면서 그동안 너무나 몰랐던 기독교의 진리에 대해

좀 더 알수 있길 바라구요(요즘 부분적으로나마 뭔가 잡힐 듯 말듯 참 아슬아슬 하답니다)

특별히 자꾸 삶의 허무함에 빠지려는 마음으로부터 하나님께, 하나님의 나라(영원)에

흡수된다는 사실에 한걸음씩 다가가길 소망해봅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4, 2010
*.120.170.243

방랑자 님,

'뭔가 잡힐 듯 말듯...'이 중요합니다.

그 상태는 아마 죽을 때까지 지속될 거에요.

그래야만 합니다.

그게 영적 긴장감이에요.

그런 긴장감에서만 실제로 하나님께 관심이 갑니다.

그 관심이 깊어지면서

긴장감에서 깊은 신뢰로 나갑니다.

허무에 대해서 말씀하셨군요.

그런 경험은 하나님 경험에 이르는 길목이기도 합니다.

하나님의 창조 행위는 절대 무로부터 시작된 거구요.

종말 이후 새 하늘과 새 땅은

지금의 삶이 무로 되는 거에요.

그리고 질적으로 새로운 생명으로 돌입하는 거지요.

우리는 지금 이 땅에서

허무와 열정 사이에서 오락가락합니다.

그게 대립적인 것 같지만

사실은 비슷한 거에요.

허무하기 때문에 더 매달리는 거지요.

허무와 열정을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듭니다.

그냥 안고 살면서

'잡힐 듯 말듯'한 그 세계로 녹아들어야겠지요.

신학공부가 이런 작업에서 큰 도움을 줄 겁니다.

자, 영적인 진도를 나가봅시다.

profile

[레벨:17]바우로

September 14, 2010
*.62.24.93

기독교 전례의일부인 대영광송이 우리가 영광을 돌려야 할 분은 로마제국이 아닌, 삼위일체 하느님 한 분이시라는 신앙고백이었군요. 대영광송을 더욱 진지하게 불러봐야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4, 2010
*.120.170.243

바우로 군이 다니는 성공회 미사에

언제 기회가 되면 나도 한번 참석해보고 싶소.

자, 우리 대영광송을 불러봅시다.

profile

[레벨:13]눈사람

September 15, 2010
*.179.74.207

'모모'의 판매량이 6백부가 아니라 6백만부이겠지요?^^

 

하나님께 최대한 집중하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사는데

목사님의 "여러분의 영혼에 작용하는 힘들이 몇 개가 되는지 세어보십시오. "

라는 말에 마음이 너무 찔렸습니다.

 

제가 알게 모르게

저의 마음에 자리하고 있는 우상이 얼마나 많은지도

다시금 알게 됩니다.

 

자기 마음하나 어찌하지 못하는 연약한 저를

성령께서 도우셔서

강하고 담대하게 능히 이겨내어

오직 하나님께만 존귀와 영광을 온전히 올려드릴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5, 2010
*.120.170.243

앗, '만'이 빠졌네요.

6백만부가 맞습니다.

고쳐놓겠습니다.

오늘 수요일 성경공부의 제목이

"하나님을 송축하라!"였습니다.

시편 103편이 텍스트였구요.

시편은 참으로 끈질기게 하나님에 대한 찬양을 요구하네요.

삶이 우리 못지 않게,

아니 우리보다 더 힘들었을 텐데도

그들의 영적 시간은 하나님의 영광에 가 닿아 있었다는 뜻입니다.

오늘 그들의 고백은 우리에게 도전입니다.

우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게 무엇인지를

새롭게, 새롭게 질문해야겠지요.

주의 은총이 함께 하시기를...

profile

[레벨:18]天命

September 15, 2010
*.62.0.136

“주의 영광을 내게 보이소서.”(출 32:18)

     본문은 출 33:18임을 발견했습니다.  그 다음 출 32:23도 33:23로 정정 요합니다.

 

 "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 주심, 감사드립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6, 2010
*.120.170.243

jclee 님,

성경구절 오자 지적, 고맙습니다.

내 눈과 마음과 손가락이 따로 놀았습니다.

고쳐 놓겠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놀랍지요?

오토가 말하는 '누미노제' 경험이랍니다.

우리의 말도 필요 없는,

그러나 말하지 않으면 안 될 경험,

그래서 영광송을 불러야겠지요.

profile

[레벨:7]춰니

September 16, 2010
*.227.99.107

목사님~

성서마당에 있는 글들 퍼가도 될까요?

나누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서요...^^

출처는 꼭 기재하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6, 2010
*.120.170.243

춰니 님,

필요하신대로 제 글을 마음대로 퍼가세요.

좋은 하루!

 

profile

[레벨:2]주님의평화

September 17, 2010
*.215.155.235

가끔 정목사님의 비평을 읽으면서 여러가지 생각을 많이 해보게 됩니다.

좋은 글들을 열린 공간에 올려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흥미로와 하실듯 해서 선물로 드리고 갑니다.

미국성공회의 의장 주교인 캐서린 쇼리의 설교문 2편 입니다. 번역은 주낙현 신부님께서 하셨고, 원문과 설교동영상도 있는것으로 압니다. 


http://viamedia.or.kr/2010/06/16/921

http://viamedia.or.kr/2006/11/04/111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17, 2010
*.120.170.243

주님의 평화 님,

안녕하세요?

다비아를 좋게 봐 주시는 군요.

고맙습니다.

위 링크로 주신 선물도 감사드립니다.

좋은 추석을 맞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670
451 창조절 그리스도교 윤리의 근거 (마 18:21-35) [6] 2011-09-11 12663
450 창조절 심판의 하나님 (출 12:1-14) [12] 2011-09-05 13369
449 성령강림절 종말과 생명 완성 (마 16:21-28) [16] 2011-08-29 14704
448 성령강림절 건지시는 하나님 (출 2:1-10) [14] [1] 2011-08-22 15766
447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에 관한 이야기 [10] 2011-08-15 16466
446 성령강림절 구원의 차별성과 보편성 [20] 2011-08-07 13901
445 성령강림절 다리 저는 야곱 [10] 2011-07-31 14492
444 성령강림절 천국, 질적인 변화의 세계 [18] 2011-07-24 17521
443 성령강림절 악을 대하는 태도 [20] 2011-07-18 14003
442 성령강림절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14] 2011-07-10 13418
44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8] 2011-07-04 15955
440 성령강림절 아들을 바쳐라! [17] 2011-06-26 14245
439 기타 세례를 베풀라 [8] [2] 2011-06-20 11636
438 성령강림절 성령을 받으라! (요 20:19-23) [13] 2011-06-12 24678
437 부활절 하나님의 영광이 답이다 (벧전 5:6-11) [15] 2011-06-07 14782
436 부활절 부활은 심판이다 [12] 2011-05-29 13846
435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이다! [12] 2011-05-22 19012
434 부활절 예수의 기이한 빛 (베드로전서 2:1-10) [16] 2011-05-16 20135
433 부활절 눈이 밝아진 그들 [11] 2011-05-08 15975
432 부활절 부활의 증인 공동체 [17] 2011-05-01 22504
431 부활절 막달라 마리아와 부활의 주 [17] 2011-04-24 19681
430 사순절 “나는 아니지요?” [23] 2011-04-18 18098
429 사순절 여호와를 알리라! [16] 2011-04-11 17120
428 사순절 빛의 자녀, 빛의 열매 [25] 2011-04-03 23416
427 사순절 여호와를 시험하지 말라! [18] 2011-03-27 19963
426 사순절 하나님의 약속을 기억하라! [13] 2011-03-21 19095
425 사순절 생명의 왕국 [5] 2011-03-13 15901
424 주현절 메시아는 비밀이다 (마 17:1-9) [17] 2011-03-07 16713
423 주현절 영적 자유의 토대 [22] 2011-02-27 16984
422 주현절 원수사랑, 가능한가? [16] 2011-02-22 18862
421 주현절 하나님이 생명이다 [10] 2011-02-15 17144
420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23] 2011-02-06 17310
419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지혜다 [3] 2011-01-30 20805
418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7] 2011-01-23 16773
417 주현절 하나님의 ‘선택의 신비’ [10] 2011-01-17 18344
416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24] 2011-01-09 18808
415 성탄절 그리스도 찬양 [11] 2011-01-02 15872
414 성탄절 은총의 깊이로! [14] 2010-12-26 23646
413 성탄절 영광과 평화의 노래 2010-12-26 21734
412 대림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file [8] 2010-12-20 19120
411 대림절 "당신은 메시아인가?" file [10] 2010-12-12 16124
410 대림절 소망의 하나님, 우리의 소망 file [5] 2010-12-06 21913
409 대림절 인자가 오리라 file [8] 2010-11-28 18270
408 성령강림절 정의와 공의의 하나님 file [12] 2010-11-22 21782
407 성령강림절 새로운 창조의 하나님 file [9] 2010-11-14 13776
406 성령강림절 죽음, 삶, 하나님 file [13] 2010-11-07 14072
405 성령강림절 믿음과 구원 file [4] 2010-10-31 21064
404 성령강림절 영과 구원 file [9] 2010-10-24 13460
403 성령강림절 기도와 믿음 file [20] 2010-10-19 22400
402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라 file [6] 2010-10-10 16698
401 성령강림절 믿음과 종됨의 관계 file [18] 2010-10-04 19076
400 성령강림절 하나님은 누구인가? file [8] 2010-09-26 19127
399 성령강림절 우리의 주인은 한 분이다! file [5] 2010-09-20 14849
» 성령강림절 존귀와 영광을 받으실 분 [20] 2010-09-12 16584
397 성령강림절 토기장이 하나님 [11] 2010-09-06 26542
396 성령강림절 안식일과 해방 [10] 2010-08-22 17141
395 성령강림절 주는 우리의 평화! [19] [1] 2010-08-16 15779
394 성령강림절 영원한 본향 하늘나라 [8] 2010-08-09 19507
393 성령강림절 생명과 소유 [8] 2010-08-02 15429
392 성령강림절 음란한 여자와 결혼한 호세아 [21] [1] 2010-07-25 34691
391 성령강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누군가? [16] 2010-07-19 18322
390 성령강림절 이웃에 대한 질문 [16] [2] 2010-07-11 17135
389 성령강림절 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인가? [8] [1] 2010-07-05 26599
388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17] 2010-06-27 24414
387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하라 [10] 2010-06-21 14306
386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신앙 [19] 2010-06-13 15704
385 성령강림절 한 말씀만 하소서 [17] 2010-06-07 18771
384 성령강림절 지혜의 영, 창조의 영 [7] 2010-05-30 16336
383 성령강림절 성령경험과 구원경험 [2] 2010-05-23 14488
382 부활절 그리스도의 영광과 교회 일치 [3] 2010-05-17 12444
381 부활절 하나님의 이름은 거룩하다 [12] [3] 2010-05-09 14260
380 부활절 창조의 위기와 구원 [10] 2010-05-03 15793
379 부활절 예수의 정체에 대한 질문 [27] [2] 2010-04-25 16755
378 부활절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분 [4] [1] 2010-04-18 13218
377 부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14] 2010-04-11 14003
376 부활절 새 창조와 새 생명 [4] 2010-04-05 14331
375 사순절 하나님을 찬양하는 이유 [11] 2010-03-29 20403
374 사순절 그리스도에 대한 인식과 믿음 [27] 2010-03-22 19114
373 사순절 축제의 능력 [5] 2010-03-15 13032
372 사순절 우리의 생각과 다른 하나님 [2] 2010-03-08 20501
371 사순절 아브람의 거룩한 두려움 [8] 2010-03-01 14632
370 사순절 하나님의 의와 사람의 의 [8] 2010-02-22 27895
369 주현절 주는 영이시다 [3] 2010-02-15 13045
368 주현절 거룩한 생명의 씨 [10] 2010-02-08 16100
367 주현절 온전한 것과 부분적인 것 [15] 2010-02-01 15351
366 주현절 교회 일치의 신비 [11] 2010-01-25 15615
365 주현절 하나님의 은폐, 하나님의 침묵 [17] 2010-01-18 18864
364 주현절 성령 임재와 마술 [21] 2010-01-11 18177
363 성탄절 하나님이 하나님 되는 때 [21] 2010-01-04 15948
362 기타 세겜의 약속을 기억하라 [9] [1] 2010-01-01 17930
361 성탄절 “요셉의 아들이 아니냐?” [23] 2009-12-28 23588
360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와 구속 2009-12-25 16707
359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몸’ [8] 2009-12-21 15462
358 대림절 성령 세례와 심판 [36] 2009-12-14 20645
357 대림절 주의 날과 십일조 [49] 2009-12-07 19877
356 대림절 그 날이 임하리라! [17] 2009-11-30 16005
355 성령강림절 구름기둥과 불기둥 [25] 2009-11-23 30082
354 성령강림절 여호와의 이름을 찬송하라! [22] [1] 2009-11-16 12519
353 성령강림절 신앙경험은 새롭게 '봄'이다 [18] 2009-11-09 16956
352 성령강림절 복음의 능력, 믿음의 능력 [10] 2009-11-02 2171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