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2

예배로서의 삶

기타 조회 수 19527 추천 수 107 2006.09.03 15:51:44
성경본문 : 에베소서 5:15-20 
http://wms.kehc.org/d/dabia/06.09.03.MP32006. 9.3. 엡 5:15-20
예배로서의 삶

극우와 극좌
이런 상상을 해보십시오. 예수님을 믿기만 하면 세상에서 겪어야 할 모든 삶의 조건들로부터 해방된다고 말입니다. 돈을 벌지 않아도 되고, 밥을 먹지 않아도 되고, 누구한테도 싫은 소리를 듣지 않을 수 있다고 말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마음이 늘 기쁨과 평화로 가득하게 된다는 생각도 곁들여보십시오. 만약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난다면 교회는 사람들로 터져나갈 겁니다. 그렇지만 불행하게도, 또는 다행스럽게도 그리스도인은 세상 사람들과 똑같이 이 세상의 모든 문제와 모순을 안고 살아갑니다. 어느 누구도 여기에 예외는 없습니다. 삶의 현실은 믿는 사람에게도 똑같이 아주 엄중하게 다가옵니다.
이런 엄중한 현실 앞에서 두 가지 극단적인 태도가 있습니다. 하나는 그 모든 구체적인 현실들을 완전히 부정하고, 오직 교회 안에서만 살아가는 것입니다. 그들은 모든 시간을 거의 교회나 기도원 같은 곳에 거의 모든 시간을 보냅니다. 방언, 신유 같은 신비적 현상에 모든 관심을 쏟습니다. 그들은 빈부격차가 심화되어도, 남북분단 체제가 공고해져도, 외국노동자들과 동성애자들 같은 사회 마이너리티가 인간 존엄성을 훼손당해도 아주 상관없는 것처럼 살아갑니다.
다른 하나는 현실의 어려움에 완전히 압도당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세상 사람들과 똑같은 방식으로 투쟁하고, 참여합니다. 그리스도교의 영성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완전히 사회과학적인 방식으로만 이 세상을 해석하고 그런 방식으로만 대처합니다.
이 두 극단적인 태도는 그리스도인에게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왜 바람직하지 않은지는 제가 여기서 길게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겁니다. 한 마디만 하지요. 전자에 속한 사람들의 문제는 하나님의 창조한 세상과 그 역사를 방기한다는 것이며, 후자에 속한 사람들의 문제는 그리스도교의 신앙이 무의미해진다는 것입니다. 양측 모두에게 해당되는 문제는, 이게 사실 가장 본질적인 문제인데, 그들의 영성이 심화되거나 풍요로워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전자에 속한 사람들의 영성은 삶의 리얼리티가 없기 때문에 관념적이며, 후자에 속한 사람들의 영성은 하나님으로 주어지는 은총과 단절되기 때문에 결국 허무합니다. 양측 모두 그리스도교적 영성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우리는 어떻게 삶의 현실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그리스도교적인 삶의 깊이로 들어갈 수 있는 걸까요? 앞의 이야기를 듣고 이미 여러분들은 어느 정도 방향을 잡았을 겁니다. 이 양 극단의 중간 정도 되는 길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겠지요. 그러나 그런 길이 확실하게 눈에 보이는 건 아닙니다. 그리고 모든 구체적인 삶의 문제가 극우, 극좌, 중도로 구분되는 것도 아닙니다. 성서는 그런 방식이 아니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우리의 삶에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혜
오늘 본문 말씀은 “빛의 자녀”인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가르침입니다. 그리스도인은 미련한 사람이 아니라 지혜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5절 말씀을 보십시오. “그러므로 여러분은 어떻게 처신해야 할지 깊이 생각해서 미련한 자처럼 살지 말고 지혜롭게 사십시오.”
성서기자가 깊은 생각과 지혜로움을 언급한다는 것은 그가 구체적인 세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그리스도인이 현실과 아무런 상관없이 홀로, 골방에서, 사막에서, 허공에서 고고하게 살아가도 된다면 그는 굳이 깊이 생각하거나 지혜로워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두 발을 땅에 딛고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서 함께 숨 쉬어야 하고, 함께 먹어야 하고, 신경전을 벌여야 합니다. 이 세상의 모든 문제와 투쟁하면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깊은 생각과 지혜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이 세상은 16절 말씀에 따르면 “악합니다.” 2천 년 전 사람들은 순박하기 때문에 요즘 우리에 비해서 훨씬 착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던가봅니다. 그게 바로 인간 본질입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또는 앞으로 2천년 후나 인간 세상에는 악이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성서는 인간을 악하게 만드는 원천적인 힘이 작용한다고 가르칩니다. 창세기의 타락설화는 그것을 뱀 형상으로 설명하고, 욥기서는 사탄으로 설명합니다. 성서의 이런 진술들은 우리가 저지른 잘못의 책임을 다른 데로 돌리려는 게 아니라 악의 존재론적 힘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악이 지배하는 악한 시대는 우리의 모든 걸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이 시대가 악하다.”는 성서기자의 진술을 추상적으로만 생각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이런 가르침을 막연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 인간은 죄인이야, 또는 세상은 말세야 하고 말입니다. 그렇게 생각할 뿐이지 악이 실제로 자기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는 별로 깊이 생각하지 않습니다. 더구나 그 악과 죄라는 것을 어떤 뿔 달린 괴물로 생각하기 때문에 죄의 구체성을 놓치기 쉽습니다.
여러분, 악은 괴물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아름다운 모습을 취할 때가 많습니다. 성서기자가 말하는 그 시대는 핵심적으로 로마 제국을 가리킵니다. 로마의 법, 군사, 예술이 얼마나 아름답습니까? 그 시대의 번영은 아직 이탈리아 로마 및 식민지로 삼았던 지중해 연안의 중요 도시에 그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오늘 모든 세계는 바로 이 로마 제국을 흉내 내고 있습니다. 경제, 군사 만능주의가 우리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릴 때부터 무한경쟁 체제에서 살아가는 대한민국은 이런 점에서 가장 전형적인 나라인 것 같습니다. 우리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이런 악한 시대에 자신의 영혼을 파는 사람으로 살아가는지 모릅니다. 깊이 생각하지 않고, 지혜롭지 않으면 우리는 그걸 전혀 분간할 수 없습니다. 마치 돌팔이 약장사의 그럴듯한 속임수에 속는 사람들처럼 이 시대의 요구에 눈이 먼다는 것입니다.

주님의 뜻
그렇다면 지혜롭다는 게 무엇을 의미할까요? 지혜라는 단어 자체는 철학적인 용어입니다. 철학(philosophy)이라는 단어는 ‘필로스’(사랑)과 ‘소피아’(지혜)의 합성어입니다. 지혜를 사랑하는 게 곧 철학입니다. 성서 기자는 이런 지혜를 지금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물론 그리스도인이 그런 철학적인 의미에서의 지혜를 부정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에 매달리지는 않습니다. 세상의 지혜는 우리가 참고할 사항이지 따라야 가르침은 아닙니다. 성서는 그것보다 훨씬 궁극적인 지혜를 말합니다.
본문이 말하는 지혜는 “텔레마 투 퀴리우”(주님의 뜻)이 무엇인지 아는 것입니다. 여기서 주님은 물론 예수님을 가리킵니다. 이런 대답이 너무 진부하다고 생각할 사람들도 있겠군요. 예수 믿는 사람들은 입만 열었다 하면 “주님의 뜻” 운운하는데, 너무 일반론적이고 상투적이라고 말입니다. 옳은 이야기입니다. 오늘 우리에게 주님의 텔레마는 너무나 고정된 모범 대답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초기 그리스도인에게는 전혀 그렇지 않았습니다. 주님의 텔레마는 그들의 삶을 실제적으로 추동해가는 영적인 리얼리티였습니다.
여러분은 주님의 텔레마가 무엇인지 대충 알고 있습니다. 교회에 잘 나오고, 전도하고, 사람들과 평화롭게 사는 것이겠지요. 이게 틀린 말은 아니지만 충분한 말은 아닙니다. 충분하지 않다면 틀릴 수도 있는 말이겠지요. 이런 것들은 일종의 율법입니다. 물론 좋은 뜻의 율법입니다. 바로 여기에 그리스도교 신앙이 율법 신앙과 맞서있는 미세한 경계선이 있습니다. 율법은 옳은 삶의 기준이며 태도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모두 담아내지 못합니다. 만약 율법이 이러한 한계 안에 머물러 있다면 그것은 우리에게 좋게 작용할 것입니다. 그게 아니라 그것이 절대화하면 결국 그리스도 신앙의 본질을 훼손하게 됩니다. 옳은 것이지만 여전히 본질이 아닌 것을 움켜쥐고 있다면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주님의 뜻은 몇 가지 행동의 기준이 아니라 훨씬 근원적인 것입니다. 주님의 십자가와 부활이 단순히 우리의 삶을 개량하거나 계몽하는 게 아니라 우주론적 구원으로 끌어들이는 사건인 것처럼 말입니다. 이 말은 곧 우리가 주님의 텔레마를 명시적으로 알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서로 모순적인 주장처럼 들릴 겁니다. 우리가 명시적으로 알지 못하는 주님의 뜻을 알아야 한다고 하니까 말입니다.
아무래도 여기서 ‘모른다’는 말을 조금 설명해야겠군요. 우리는 하나님의 나라, 그 통치를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아는 게 없습니다. 생명이 완성되는 그런 세계를 완전히 유한한 세계 안에 던져진 우리가 알 수 있겠습니까? 부활을 우리가 아직 완전하게 해명할 수 없는 것도 이와 같은 이야기입니다. 중세기 때 로마 교황은 십자군 전쟁을 주님의 텔레마라고 생각했습니다. 엄청난 착각입니다. 지금도 주님의 뜻이라고 용감하게 부르짖는 분들을 보면 위태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얼 어떻게 하라는 말이냐, 당신 이야기 때문에 더 혼란스러워졌고 생각할지 모르겠군요. 그렇지 않습니다. 다음과 같은 뜻입니다. 우리가 주님의 뜻을 재단할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성령이 하십니다. 진리의 영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일을 사람들에게 알리십니다. 그래서 오늘 본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술 취하지 마십시오. 방탕한 생활이 거기에서 옵니다. 여러분은 성령을 가득히 받아야 합니다.”(18절) 영에 사로잡히는 것이 곧 주님의 뜻을 알 수 있는 길입니다. 본문이 포도주를 언급한 이유는 예배 중에 술에 취하는 이교집단의 종교의식을 비판하는 것이겠지요. 또한 성령 충만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대조입니다.

찬양과 감사
우리는 주님의 뜻을 아는 지혜로운 삶이 성령과 연결된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나의 주관적인 판단이 아니라 영에게 의존한다는 의미입니다. 흡사 시인들이 언어의 존재론적 힘에 사로잡히듯이 그리스도인들은 영의 힘에 사로잡힌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성령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며, 성령에게 순종하는 것입니다. 음악공부는 소리가 내 영혼을 울릴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처럼 그리스도교 신앙은 궁극적으로 성령이 내 영혼을 울리게 내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성서는 성령을 가득히 받아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런데 우리는 성령이 주도적으로 활동하도록 준비하는 일을 잘 하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기가 앞장 서는 것에 익숙해져있기 때문입니다. 말로는 주님의 뜻을 따른다거나 성령에게 귀를 기울인다고 하면서도 실제로는 자기의 뜻, 자기의 의도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힘을 주면 힘을 줄수록 이 세상은 망가지기만 합니다. 오늘의 문명이 지구를 얼마나 위태롭게 하는지는 이미 잘 드러난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일을 자기가 하겠다고 사명감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많을수록 교회는 자기 업적에 취하고 맙니다.
성령을 가득히 받는다는 게 무엇인지 오늘 본문 19,20절이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성시와 찬송가와 영가를 모두 같이 부르십시오. 그리고 진정한 마음으로 노래 불러 주님을 찬양하십시오. 또 모든 일에 언제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드리십시오.” 이 말씀이 어떻게 들렸습니까? 오늘 우리가 함께 드리는 예배에 대한 묘사입니다. 찬양과 기도와 감사가 바로 성령을 가득하게 받은 사람의 삶이고, 거꾸로 성령을 가득하게 받는 길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세 가지가 언급되었습니다. 첫째, 믿는 사람들이 함께 찬송가를 불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의 진정한 일치가 여기서 경험될 것입니다. 둘째,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다. 인간과 모든 생명체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셋째, 예수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이는 곧 우리의 삶을 하나님이 책임지신다는 신뢰를 가리킵니다. 이런 사실을 담고 있는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성령 안에 거하게 되고, 주님의 뜻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예배는 바로 성령 사건이며, 생명 사건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런 예배는 단순히 예배 시간만이 아니라 우리 그리스도인 삶 전체를 관통해야 합니다. 가정, 학교, 노동 현장, 투병의 현장 등등, 우리의 일상이 바로 예배가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살아가는 사람에게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성령이 우리 영혼을 사로잡습니다. 그리고 무엇이 주님의 뜻인지 가르쳐주십니다. 이런 예배의 신비가 여러분의 일상에서 살아나기를 바랍니다.
profile

profile

[레벨:1]똑소리

September 04, 2006
*.144.20.6

예배 중에 술에 취하는 이교집단의 종교의식을 비판했다는 대목이 새롭군요.
그 정도로 초기 기독교 예배 분위기가 심각했나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04, 2006
*.150.14.172

똑소리 님,
별로 중요하지 않은 걸 짚어셨네요.
초기 기독교 예배 분위기가 심각했다기보다는
그럴 위험성에 대한 미연의 방지책이라고 보아야겠지요.
아직 리터지가 확립되지 못한 시기이구요,
더구나 초창기의 열광주의적 분위기가 여전히 남아있을 때니까
한 마디 콤멘트를 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profile

[레벨:1]박상열

September 05, 2006
*.114.22.38

어느샌가 부터,
찬송가가 부르기 싫어지고
입 모양만 맞추고 있는것 같습니다.
하나님을 찬양하는 마음은 있는데,
같이 찬양을 부르는건 예전 같지 않군요.(찬송가 리듬에 질려버렸나 봅니다)
신앙 적으로 위기가 될 수 있는 건가요?
'사람과 사람의 진정한 일치'도 중요한데...흠..
profile

[레벨:100]정용섭

September 05, 2006
*.150.14.17

박상열 님,
찬송가 부르기가 진부해졌다는 건 솔직한 말이군요.
일단 우리가 사용하는 찬송가들이
그리스도교 영성을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문제도 있습니다.
18-19세기 영미 부흥찬송가들이 대부분이죠.
새로 나올 찬송가는 괜찮을는지 모르겠네요.
찬송가 부르기의 진부성은 찬송가 그것만이 아니라
개신교 신자들이 리터지 영성을 잘 모른다는 것도 한 이유입니다.
그게 좀 훈련이 필요하거든요.
흡사 클래식을 감상하기 위해서 전이해가 필요하듯이 말이죠.
우리가 찬송가 부르기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가사와 곡조에 말이죠.
나도 찬송가 부를 때 간혹 다른 생각을 할 때가 있어요.
어떤 신자가 찬송가를 건성으로 부르는 모습이 보이면
왜 저럴까 하는 생각도 해요.
어떤 때는 찬송가를 부르면서 설교 할 내용이 생각날 때도 있어요.
이런 건 모두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것들이죠.
그런 걸 모두 신앙의 위기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물론 그렇지 않다면 좋겠지요.
같은 목소리도 찬송가를 부를 때
어떤 초월적인 경험이 따라오는 게 가장 좋을 텐에요....
profile

[레벨:1]박상열

September 06, 2006
*.114.22.38

정용섭목사님 코멘트 감사합니다.^^
찬송가 가사와 찬양 부르기에
꾸준히 집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044
352 부활절 평화의 복음, 부활의 능력 [4] 2007-04-08 12935
351 주현절 예수의 축귀 능력 (눅 9:37-43) [8] [2] 2013-02-10 12948
350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믿음 (마 15:21-28) [7] 2017-08-20 12948
349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3006
348 성령강림절 승리주의를 넘어 생명으로 [20] 2009-07-20 13016
347 주현절 시몬의 하나님 경험 [21] 2007-02-04 13020
346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3031
345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040
344 부활절 빈 무덤과 예수 부활 (요 20:1-18) [10] 2014-04-20 13041
343 사순절 축제의 능력 [5] 2010-03-15 13046
342 주현절 주는 영이시다 [3] 2010-02-15 13053
341 성탄절 솔깃한 말, 터무니없는 말 [7] 2006-12-31 13069
340 창조절 광야에서 만나를 만나다 (출 16:2-15) [4] 2014-09-21 13069
339 성령강림절 예레미야의 소명 (렘 1:4-10) [9] 2016-08-21 13107
338 대림절 마지막 ‘때’ [11] 2008-12-01 13113
337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127
336 성탄절 나사렛 사람 예수 (마 2:13-23) [6] 2017-01-01 13143
335 기타 하나님 나라의 감춤과 드러남, 2월12일 [3] 2006-02-12 13145
334 부활절 몸의 부활 (눅 24:36-48) [12] 2015-04-19 13154
333 성령강림절 인자가 오리라! (눅 12:35-40) [5] 2013-08-12 13163
332 성령강림절 율법과 사랑 [9] 2008-08-31 13192
331 기타 살아계신 주님 [5] 2006-04-16 13209
330 부활절 영광과 찬송을 받으실 분 [4] [1] 2010-04-18 13225
329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얼굴 [8] 2008-07-27 13260
328 성령강림절 예수와 유령 사이에서 [9] 2008-08-03 13264
327 주현절 캄캄한 땅을 비추는 빛 [4] 2008-01-27 13265
326 창조절 바디매오의 구원 이야기 (막 10:46-52) [4] 2018-10-28 13266
325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이다 (요 10:22-30) [8] 2013-04-22 13271
324 대림절 메시아 질문 (마 11:2-11) [17] 2013-12-15 13286
323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17] 2013-06-16 13291
322 기타 믿음의 실체 [6] 2006-03-12 13295
321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309
320 주현절 하늘이 열리다! [5] 2008-01-13 13333
319 부활절 죽음을 무너뜨리리라! [7] 2009-04-13 13335
318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마 16:21-28) [7] 2014-08-31 13361
317 성령강림절 나의 자랑 예수의 십자가 [13] 2007-07-15 13363
316 창조절 심판의 하나님 (출 12:1-14) [12] 2011-09-05 13377
315 기타 해방과 자유 [2] 2006-03-05 13381
314 기타 하나님의 자녀, 4월30일 [1] 2006-04-30 13383
313 성령강림절 믿는 자는 성전이다 [13] 2009-08-03 13425
312 성령강림절 명분과 현실 사이에서 [14] 2011-07-10 13429
311 성령강림절 영과 구원 file [9] 2010-10-24 13467
310 기타 야훼 찬양! (욜 2:21-27) [3] 2006-11-19 13504
309 사순절 실패의 길을 가자! [9] 2007-03-04 13529
308 성령강림절 생명의 날 [17] 2009-06-15 13559
307 창조절 예레미야의 눈물 (렘 8:18-9:1) [8] 2013-09-22 13568
306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574
305 성령강림절 에서와 야곱 이야기 (창 25:19-34) [4] 2020-07-12 13584
304 창조절 헛되고 무익한 것 (렘 2:4-13) [16] 2013-09-01 13593
303 기타 거룩한 두려움, 7월9일 2006-07-09 13627
302 성령강림절 악령으로부터의 해방 (눅 8:26-39) [15] 2013-06-24 13665
301 기타 사도 바울의 자유 [2] 2006-02-05 13720
300 부활절 하나님의 정의로운 심판 (벧전 2:18-25) [17] 2008-04-13 13722
299 대림절 임마누엘은 예수다 (사 7:10-16) [8] 2013-12-22 13737
298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748
297 사순절 구원의 신비와 선한 일 [11] 2009-03-23 13771
296 성령강림절 새로운 창조의 하나님 file [9] 2010-11-14 13782
295 기타 사랑의 계명과 기쁨 [1] 2006-05-21 13793
294 성탄절 시험받은 예수 그리스도 (히 2:10-18) [14] 2013-12-29 13803
293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것 [9] 2008-08-24 13806
292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821
291 부활절 믿음은 가능한가? [30] 2007-05-06 13829
290 부활절 부활은 심판이다 [12] 2011-05-29 13859
289 사순절 구원의 현실 [9] 2008-03-02 13865
288 부활절 이방인에게도 세례를! [22] 2009-05-18 13868
287 기타 율법의 길, 복음의 길 [1] 2006-10-29 13896
286 성령강림절 구원의 차별성과 보편성 [20] 2011-08-07 13912
285 기타 현재의 고난과 미래의 영광 2006-06-11 13913
284 주현절 성령과 세례에 대한 질문 [6] 2009-01-13 13947
283 부활절 복된 믿음 [29] 2009-04-20 13961
282 창조절 하나님 앞에서 '옳음'의 문제 (눅 18:9-14) [8] 2013-10-27 13967
281 부활절 바울과 루디아 (행 16:9-15) [9] 2016-05-01 13976
280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3983
279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4000
278 부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14] 2010-04-11 14016
277 성령강림절 악을 대하는 태도 [20] 2011-07-18 14016
276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4063
275 대림절 복음 (롬 1:1-7) [12] 2016-12-18 14065
274 성령강림절 죽음, 삶, 하나님 file [13] 2010-11-07 14080
273 성령강림절 복음을 위한 진리 싸움 (갈 1:1-10) [9] 2013-06-02 14084
272 성령강림절 말의 주체, 말의 능력 [10] 2009-08-24 14133
271 기타 그 날과 그 시간, 11월6일 2005-11-06 14138
270 성탄절 태초의 말씀 (요 1:1-14) [5] 2016-12-25 14153
269 성령강림절 성령이 함께 하십니다! [8] 2007-05-27 14182
268 성탄절 성육신의 신비 (요 1:1-14) [12] 2013-12-25 14188
267 부활절 보이지 않는 현실성 [19] 2008-03-30 14211
266 대림절 희망의 하나님 [8] 2007-12-09 14228
265 대림절 희망의 하나님 (롬 15:4-13) [10] 2013-12-08 14262
264 성령강림절 아들을 바쳐라! [17] 2011-06-26 14263
263 부활절 하나님의 이름은 거룩하다 [12] [3] 2010-05-09 14270
262 성령강림절 성령을 통한 하나님의 사랑 (롬 5:1-5) [8] 2013-05-26 14275
261 성령강림절 천국식탁 이야기 (눅 14:1, 7-14) [22] 2016-08-28 14312
260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하라 [10] 2010-06-21 14321
259 성령강림절 혼합주의 신앙을 혁파하라! [13] 2007-11-04 14342
258 부활절 새 창조와 새 생명 [4] 2010-04-05 14343
257 사순절 영적 긴장감 [18] 2007-03-11 14365
256 성탄절 말씀이 육신이 되어 ... (요 1:10-18) [4] 2015-01-04 14368
255 주현절 예수와 귀신 [44] 2009-02-09 14378
254 대림절 그 날이 오면... [4] 2006-12-17 14416
253 창조절 용서는 가능한가? (마 18:21-35) [24] 2014-09-15 1441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