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기타 조회 수 10478 추천 수 179 2004.12.20 17:57:08
성경본문 : 요한복음 18:33-38 
2004.12.19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요 18:33-38

빌라도의 질문
예수님이 살아계시던 당시에 그가 누구인가에 대한 소문이 분분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분위기를 눈치 채신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사람들이 나(사람의 아들)를 누구라고 하는가?”하고 직접 물으실 정도였으니까 말입니다. 외형적인 부분만 생각한다면 예수님보다 훨씬 강력한 대중적인 인기를 세례 요한마저 감옥에 있을 때 제자들을 시켜 “당신은 누구신가? 우리가 기다리는 바로 그분인가?”하고 물었다고 합니다. 바로 이 질문에 기독교의 운명과 미래가 달려 있습니다. 예수님이 누구인가, 그의 정체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 말입니다. 아마 여러분의 마음에는 이미 어떤 대답이 담겨 있을 겁니다. 베드로의 신앙고백처럼 예수님은 그리스도이시며,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대답 말입니다. 이 대답은 옳습니다. 그러나 그 대답은 단지 교리문답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훨씬 많은 신앙의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 신앙의 깊이에 들어가기 위해서 늘 새롭게 생각하는 태도를 유지해야만 합니다. 이런 신앙의 심화 과정이 곧 요즘 한국교회가 자주 말하는 영성이기도 합니다. 이 말은 곧 “예수 당신은 누구인가?” 하는 질문은 오늘도 여전히 살아있다는 뜻입니다.    
놀랍게도 오늘 본문에서 로마 고위 정치인이었던 빌라도는 재판 자리에서 피고인 예수님에게 이렇게 질문합니다.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요 18:33). 당신은 누구냐 하는 질문과 다를 게 없습니다. 빌라도는 유대인의 왕이라는 게 무슨 뜻인지 모른 채, 풍문으로 들었든지 아니면 예수를 고발한 사람들에게서 직접 들었는지 모르지만 그렇게 물었습니다. 예수님에게서 정확한 대답을 듣지 못하자 빌라도는 37절에 반복해서 물었습니다. 빌라도는 유대인의 왕이라는 용어에 이 재판의 핵심이 있다고 본 것 같습니다. 두 번에 걸친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서 예수님은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않았습니다. 첫 번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그것은 네 말이냐? 아니면 나에 관해서 다른 사람이 들려 준 말을 듣고 하는 말이냐?”(34절) 하고 반문했습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왕이라고 네가 말했다.”(37절).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을 개역성서는 약간 다르게 번역했습니다. “네 말과 같이 내가 왕이니라.” 개역성서만으로 본다면 예수님이 빌라도의 질문을 긍정한 것으로 이해되지만 공동번역이 원문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참고적으로 루터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Du sagst es, ich bin ein König.” 루터의 번역은 간접 화법입니다. “내가 왕이라고 당신이 말하고 있소.” 예수님은 ‘유대인의 왕’인가 하는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서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으신 것으로 보는 게 정확한 번역일 것입니다.
예수님이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서 모호하게 대답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흡사 재판에서 자기에게 불리한 증언은 말하지 않아도 된다는 재판 원리에 따라서 예수님이 자칫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 화 당할 일을 피하기 위해서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다고 생각할 사람은 없을 겁니다. 제가 설명하지 않아도 여러분들이 이미 짐작하고 있듯이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하는 질문 자체가 모호하기 때문에, 또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에 예수님도 직접적으로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하나는 정치적인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적인 의미입니다. 어떤 의미로 말하는가에 따라서 전혀 다른 의미로 새길 수 있기 때문에 예수님은 “네가 유대인의 왕인가?” 하는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대답하지 않고 오히려 에둘러서, 소극적으로 대답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예수의 나라
예수님은 영적인 눈높이가 달랐던 빌라도의 질문에 대해서 소극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유대인의 왕’이라는 본래의 의미를 설명해보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했습니다. “내 왕국은 이 세상 것이 아니다. 만일 내 왕국이 이 세상 것이라면 내 부하들이 싸워서 나를 유대인들의 손에 넘어가지 않게 했을 것이다. 내 왕국은 결코 이 세상 것이 아니다.”(36절). 예수님은 오직 정치적인 왕만 생각하고 있던 빌라도에게 자신의 왕권이 이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이라는 점을 두 번에 걸쳐서 확인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왕이긴 한데 그의 나라는 이 세상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바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 놓여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 이 말이 그렇게 간단하게 끝나는 게 아닙니다. 예수님의 나라가 이 세상에 속하지 않았다는 말은 이 세상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 만약 예수님이 선포한 하나님의 나라 ‘바실레이아 투 데우’가 이 세상과 이원론적으로 구분된다면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처럼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라는 예수님의 기도는 무의미합니다. 간혹 어떤 분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세상과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처럼 강조하다가 결국 역사 허무주의에 빠지기도 합니다. 일종의 초월주의, 또는 순수심령주의라고도 말할 수 있는 이런 신앙은 하늘과 땅을 철저하게 나눔으로써 기독교 신앙을 공허하게 만듭니다. 물론 “내 왕국은 결코 이 세상 것이 아니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문자적으로만 본다면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많습니다만 이 말씀은 그것과 전혀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약간 신학적인 생각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나라’라는 말에서 ‘나라’는 어느 한 공간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일종의 ‘통치’를 의미합니다. 물론 성서를 문자적인 차원에서 이해하려는 극단적인 근본주의자들은 이 나라를 공간적인 의미로 받아드리겠지만 그 이외의 사람들은 하나님의 통치, 다스림, 그의 행위로 이해합니다. 오늘 본문과 연결해서 말씀드린다면 이 세상에 결코 속하지 않았다는 예수님의 나라는 이 세상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이 세상과는 다른 방식으로 통치한다는 뜻입니다.
이 세상의 통치는 인간 중심의 권력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세상의 모든 이치가 이런 권력으로 집중됩니다. 제가 여기서 현실 정치에 대해서는 말씀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것은 적나라하게 권력을 표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술, 문화, 교육도 역시 권력화 한다는 점에서 정치와 매한가지인 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종교마저도 역시 권력화한다고 생각하지 않으시나요? 나사렛 예수를 따르던 갈릴리 공동체가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밀랑칙령에 의해서 공인을 받은 이후로 점차 로마의 권력에 길들어지지 않았을까요? 우리 한국교회의 모습을 좀더 솔직하게 들여다본다면 권력적인 부분이 적지 않습니다. 대교회 지향주의는 곧 이런 권력화와 맞물려 있습니다.
이에 반해 예수님의 통치는 전혀 달랐습니다. 그의 오심이 말구유에서 이루어졌고, 그의 죽음이 십자가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그의 통치가 이 세상의 통치와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반증입니다. 또한 예수님의 가르침이 이 세상의 통치 방법과 얼마나 철저하게 다른지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명백합니다. 잔치에 초대받았을 때 늘 낮은 자리에 앉으라든지, 한 시간 일한 사람이나 열 시간 일한 사람에게 똑같이 한 데나리온을 주는 게 하나님의 뜻이라는 가르침이 그렇습니다. 예수님의 통치는 급기야 ‘원수사랑’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 유명한 산상수훈도 역시 예수님의 나라가 이 세상과 다른 통치 방식이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재림과 심판
예수님 나라의 통치가 이 세상과 다르다는 사실은 위에서 언급한 아기 예수의 말구유나 십자가, 그리고 예수님 공생애에 일어났던 모든 사건과 가르침에서만 확인되는 게 아니다. 훨씬 궁극적인 ‘차이’는 바로 예수님의 부활 사건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말구유와 십자가와 공생애 사건은 이 세상의 권력 지향적 통치를 ‘거부’하지만 부활은 이 세상의 권력 지향적 통치를 ‘무력화’합니다. 바로 이 두 가지, 즉 이 세상의 권력에 대한 거부와 그것의 무력화가 곧 예수님의 나라가 이 세상에 결코 속하지 않았다는 말씀의 핵심입니다.
이 두 가지는 그 성격이 좀 다릅니다. 이 세상의 권력을 거부하는 것은 이 세상에서 성공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예수님이 십자가형을 당하셨듯이 세상의 강한 힘 앞에서 허물어지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부활은 이 세상의 권력이 어찌 해볼 수 없는 다른 차원의 생명 사건이기 때문에 궁극적인 승리입니다. 앞의 사건은 우리가 최선을 기울여 이루어가야 할 삶의 태도이지만 뒤의 사건은 하나님의 개입으로만 가능한 사건입니다. 기독교인들은 이렇게 역사 안에서 그 권력을 거부하는 몸짓으로 살아가면서, 더 본질적으로는 하나님이 개입을 기다린다는 점에서 이 세상 사람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요즘 우리 기독교는 대강절로 지키고 있습니다. 2천년 전 예수 사건에, 특히 예수님의 부활에 개입했던 바로 그 하나님이 다시 우리 인간의 역사에 개입한다는 사실을 새기는 절기입니다. 이 하나님의 개입이라는 게 도대체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님의 재림이 무엇을 의미할까요?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린다는 건 하나님의 전혀 다른 생명의 통치를 기다린다는 뜻입니다. 여러분들이 예수님의 가르침이 이 세상의 가르침과 다르다는 것은 대충 이해할 수 있지만 예수님의 재림을 통한 전혀 다른 통치가 무엇인지 이해하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런 통치는 은폐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방식으로 그 통치가 실행된다는 말씀입니다. 그것이 바로 생명의 비밀이며, 종말의 비밀입니다.
유대교 신학자인 마틴 부버가 기독교 신학자들 앞에서 이런 말을 했다고 합니다. 예수가 메시아라는 사실을 증명하려면 예수 이후의 이 세상이 무언가 달라지는 게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상하게 이 세상은 예수 이전이나 이후나 아무런 변화도 없다. 여전히 무죄한 사람들이 고난을 받고 폭력과 증오가 지배하고, 삶의 무의미가 우리를 감싸고 있다. 메시아가 왔다는 증거가 하나도 없는데 어떻게 예수를 메시아로 믿으라는 말인가? 부버의 논리는 정당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아직도 메시아를 기다린다고 합니다. 그들은 이 세상을 확실하게 하나님의 나라고 변화시킬 수 있는 그런 메시아를, 그런 ‘유대인의 왕’을 기다린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유대교 신학자의 질문에 대해서 그들이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대답을 할 수 있습니까? 어쩌면 그들에게 믿음이 없다거나 성령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그런 대답으로 그들을 설득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대답해야만 합니다. 예수님은 은폐의 방식으로 이 세계와 역사를 통치하신다고 말입니다. 우리가 모르는 방식으로 예수님은 자신의 나라를 확장시키고 있으며, 결국 종말에 우리가 예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이 생명의 세계를 완성시키십니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 신앙이 기다리는 종말론적 생명의 세계는 일종의 신비 사건입니다. 사실 우리가 기다리는 예수님의 재림만이 아니라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도 역시 신비이고, 우리의 현재 생명도 신비라는 점에서 예수님을 통해서 우리가 얻게 될 궁극적 생명이 은폐되어 있다는 말은 그렇게 이상한 게 아닙니다.
이렇게 은폐의 방식으로 생명을 완성시키러 예수님이 2천 년 전에 오셨으며, 다시 오신다는 의미에서 본다면 예수님이 ‘유대인의 왕’이라는 말은 옳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외형적 삶의 조건을, 그런 복지를 향상시키는 분 정도로 생각한다면 ‘유대인의 왕’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분에게는 그런 능력은 별로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궁극적으로는 그런 것들을 통해서 우리의 생명이 완성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2천년 전 예수님이 오실 때 동방 박사들이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를 수소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오고 있습니다(마2:2). 이제 마지막 빌라도 앞에서 재판을 받는 예수님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하는 질문을 받습니다. 과연 예수님은 우리에게 누구이십니까? 여러분들은 예수님이 여러분들에게 어떤 왕이기를 희망하고 있습니까? 참된 ‘유대인의 왕’인 예수님은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의 생명을 완성시키기 위해서 오십니다. 이런 대강절의 신앙 안에 있는 여러분, 그 간절한 기다림의 끈을 놓치지 말고 기쁨으로 살아가십시오.

profile

profile

[레벨:11]권현주

December 20, 2004
*.235.147.161

예수님이 이 현실에 개입하시는
은폐와 신비의 방식,
궁극적 지향인, 생명의 완성을 향한 도정...

예수님의 존재를 살아있는 감각으로 느끼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영적인 삶...

존재의 우울한 구름속을 걸어가면서
이 약속을 외우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기쁨이 다시 되게하는 것은...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21, 2004
*.235.145.20

권 선생,
고구마 마을(?)은 잘 다녀오셨는지.
평생 가부장적 한국의 질서 안에서 인문학적 감수성을 갖고
전투적으로 살아오신 분이
이제 기독교의 영성으로 새롭게 자리를 잡아가느라
생각이 많으신 것 같군요.
그 두 세계가 완전히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조화를 이루는 것도 아닙니다.
부분적으로 다르기도 하고 같기도 하겠지요.
기독교적인 영성으로 이 세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더 나아가 적극적인 '앙가주망'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낭만도 아니고 타협도 아니고 분노도 아니고,
또는 그 모든 것을 포함할 수도 있기도 한
어떤 독특한 힘을 경험하고 그것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예수의 부활과 재림으로 해명되고 있는 그런 기독교적 영성은
물론 독특하기도 하지만 보편적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런 차이를 정확하게 포착하는 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그런 게 있다는 사실 조차도 별로 생각하지 않지요.
단지 교리문답에 머물러 있거나 비현실적인 것에 치우쳐 있습니다.
그런 영성을 어렴풋이 감지하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하더라도
구도자적인 공부를 수행해나가기 힘들끼 때문에
대개는 주변에 머물고 맙니다.
아마 매주 설교를 하고 신학생들에게 신학을 강의하는 나 자신도
이렇게 주변에서 서성거리는 사람에 불과합니다.
다만 그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투철하게 인식하고 있을 뿐입니다.
기회가 오면 영의 정수에 참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면 기대를 갖고
천천히 살아가는 것이죠.
이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425
551 창조절 욥의 운명, 욥의 믿음 (욥 1:1, 2:1-10) [14] 2015-10-04 10901
550 성령강림절 지혜와 평화 [9] 2009-10-05 10872
549 기타 생명 상실의 두려움을 넘어서 [2] 2009-01-01 10834
548 대림절 하나님이 오신다 (사 35:1-10) [7] 2016-12-11 10827
547 성령강림절 우리는 하나다! [9] 2007-08-12 10826
546 부활절 회개, 세례, 성령 (행 2:36-41) [8] 2014-05-04 10795
545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783
544 부활절 저 분은 주님이십니다! [8] 2007-04-22 10779
543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770
542 기타 믿음의 토대, 1월15일 [3] [1] 2006-01-15 10763
541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752
540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739
539 기타 약속과 순종의 상호성, 6월5일 [1] [2] 2005-06-05 10733
538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728
537 주현절 가난한 사람들 [9] 2009-01-25 10721
536 성령강림절 성령 가득한 삶 (엡 5:15-20) [10] 2015-08-16 10716
535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709
534 기타 민중의 소리와 하나님의 통치 [2] 2006-06-25 10699
533 기타 삶과 행위, 7월3일 2005-07-04 10694
532 기타 영에 속한 사람, 5월15일 [3] 2005-05-17 10694
531 창조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살전 4:13-18) [8] 2014-11-09 10692
530 성령강림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4] 2018-06-03 10668
529 성령강림절 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 (골 3:1-11) [10] 2013-08-04 10659
528 창조절 '예수 따름'의 문제 (막 10:17-31) [8] 2015-10-11 10639
527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608
526 성령강림절 일상의 종말론적 지평 [10] 2007-10-07 10604
525 성령강림절 전적으로 새로운 세상! [4] 2007-11-25 10593
524 성령강림절 말씀을 수호하라! [9] 2007-10-28 10590
523 주현절 상을 받는다는 것 (고전 3:1-9) [8] 2017-02-13 10589
522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마 21:23-32) [6] 2014-09-28 10586
521 대림절 기뻐하고 노래하라! (습 3:14-20) file [10] 2015-12-13 10583
520 주현절 법과 자유 (마 5:13-20) [18] 2014-02-09 10583
519 성령강림절 '달리다굼' 말씀하시다 (막 5:21-24, 35-43) [10] 2015-06-28 10567
518 대림절 그는 목자시다 (사 40:1-11) [2] 2014-12-08 10558
517 대림절 물 세례와 불 세례 (마 3:1-12) [5] 2016-12-04 10543
516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538
515 기타 숨어있는 평화의 왕 [7] 2006-04-09 10525
514 기타 새 하늘과 새 땅 12월4일 [1] 2005-12-04 10525
513 창조절 예수는 머릿돌이다 (마 21:33-46) [6] 2014-10-06 10516
512 창조절 죽음 이후에 대한 질문 (눅 20:27-38) [26] 2016-11-06 10492
511 성령강림절 하나님도 생각을 바꾸시는가? [5] 2007-09-23 10489
510 기타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신가? 4월24일 2005-04-24 10488
509 기타 요셉의 침묵, 8월7일 [1] 2005-08-07 10483
508 기타 희망의 눈, 2005. 8.15. [1] [1] 2005-08-14 10481
»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478
506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459
505 기타 야곱의 두려움, 7월17일 [4] 2005-07-17 10423
504 창조절 하나님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신다! (빌 4:4-9) [9] 2016-11-20 10407
503 부활절 사랑함이 사랑받음이다. (요 14:15-21) [14] 2014-05-25 10404
502 주현절 하나님은 생명이다! (신 30:15-20) [5] 2014-02-16 10402
501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눅 23:33-43) [4] 2013-11-24 10398
500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398
499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360
498 부활절 예수 부활 이후 (요 20:19-29) [8] 2014-04-27 10358
497 기타 생존과 번성의 토대, 5월1일 [4] 2005-05-01 10358
496 기타 총체적 구원의 길, 7월10일 [2] 2005-07-10 10352
495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 (사 52:7-10) file [4] 2015-12-25 10348
494 대림절 초림과 재림 사이에서 (살전 5:16-24) [6] 2014-12-14 10303
493 기타 죄를 어찌할 것인가? 9월4일 [1] 2005-09-04 10303
492 성령강림절 예수는 불이다! (눅 12:49-56) [18] 2016-08-15 10278
491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 [8] 2008-08-17 10267
490 사순절 하나님을 향한 '선한 양심'의 간구 (벧전 3:18-22) [14] 2018-02-18 10219
489 기타 가족공동체를 넘어서, 5월8일 [2] 2005-05-08 10216
488 기타 카리스마 공동체, 8월21일 [1] 2005-08-21 10210
487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 (고전 1:1-9) [3] 2014-01-19 10207
486 부활절 승천과 재림 사이에서 (행 1:8-14) [2] 2014-06-02 10201
485 기타 삼위일체의 신앙, 5월22일 [2] [2] 2005-05-22 10144
484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135
483 대림절 "은혜를 받은 자여!" (눅 1:26-38) [2] 2020-12-20 10131
482 성령강림절 요셉과 그 형제들 (창 37:1-4, 12-28) 2017-08-13 10129
481 기타 하나님의 영광의 신비, 3월13일 [1] 2005-03-13 10112
480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099
479 성령강림절 만나 전승에 관해서 [9] 2008-09-14 10099
478 성령강림절 그날의 평화 공동체 [9] 2009-08-17 10089
477 창조절 함께하시는 여호와 하나님 (수 3:7-17) [2] 2020-11-01 10072
476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요일 5:1-6) [6] 2015-05-10 10035
475 창조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막 8:27-38) [8] 2015-09-14 10035
474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015
473 성령강림절 성령과 은사 (고전 12:4-13) [8] 2014-06-08 10008
472 기타 부활의 증인 공동체, 4월3일 [1] 2005-04-04 10006
471 부활절 못 보고 믿는 자의 복 (요 20:19-31) [8] 2015-04-12 10002
470 창조절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롬 13:8-14) [3] 2014-09-07 10001
469 기타 자유를 향한 부르심 [4] 2006-04-23 9995
468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5] 2017-06-25 9992
467 성령강림절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 (왕상 18:20-39) [20] 2016-05-29 9975
466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9972
465 창조절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신 8:7-18) [6] 2014-11-16 9967
464 사순절 표적과 지혜를 넘어서! (고전 1:18-25) [8] 2018-03-04 9964
463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9942
462 기타 신앙의 현실과 삶의 현실, 4월17일 [2] [2] 2005-04-18 9942
461 부활절 "속히 오리라." (계 22:12-14, 16-17, 20-21) [16] 2016-05-08 9929
460 성령강림절 믿음의 길 (히 11:1-3, 8-16) [19] 2016-08-07 9923
459 주현절 변형 (마 17:1-9) 2017-02-26 9921
458 성령강림절 예수 따름의 위급성 (눅 9:51-62) [9] 2016-06-26 9911
457 대림절 예수께서 오실 때에 (살전 3:9-13) [9] 2015-11-29 9896
456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9889
455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눅 17:11-19) [10] 2017-11-19 9868
454 사순절 약속의 하나님 (창 9:8-17) [2] 2015-02-22 9867
453 주현절 하늘이 열리는 것을 보리라 (요 1:43-51) [4] 2018-01-15 9861
452 성령강림절 여호와를 찬양하라! (렘 20:7-13) [2] 2014-06-22 985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