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5

전심전력 귀 기울임 (신 6:1-9)

창조절 조회 수 4001 추천 수 0 2024.11.04 08:42:25
설교보기 : https://youtu.be/T8l8bCrj4p0 
성경본문 : 신명기 6:1-9 

전심전력 귀 기울임

6:1-9, 창조절 10, 2024113

 

 

제가 중학생이었을 때 국어 교과서에 실린 알퐁스 도데의 단편 소설 <마지막 수업>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독일과 국경을 맞대고 있던 프랑스 어느 마을의 초등학교 교실에서 벌어진 잔잔한 이야기입니다. 전쟁에서 진 프랑스는 앞으로 프랑스어로 수업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프랑스어로 진행된 그 날의 마지막 수업이 학생들과 마을 사람들에게 애국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신명기는 모세가 행한 마지막 수업과 비슷합니다. 모세는 출애굽과 광야 40년 생활을 끝내고 가나안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이스라엘 백성에게 두고두고 명심해야 할 가르침을 남기고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한 채 죽습니다. 그의 무덤이 어디에 있는지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고 합니다. 고대 이스라엘 역사의 중심인물인 모세가 종적도 없이 사라졌으나 그의 가르침만은 살아남았습니다. 신명기의 핵심을 뽑는다면 오늘 설교 본문인 신 6:1-9절입니다. 3절 말씀을 들어보십시오.

 

이스라엘아 듣고 삼가 그것을 행하라 그리하면 네가 복을 받고 네 조상들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허락하심 같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서 네가 크게 번성하리라.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면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에서 크게 번성할 것입니다. 이는 거꾸로 순종하지 않으면 심판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하나님 말씀에 순종하기가 어디 쉽습니까? 그래서 모세는 이를 4절 이하에서 다시 강조합니다. 강조하는 문장이 손으로 만져지는 듯하고 눈으로 보는 듯합니다. 히브리어 쉐마’(들으라.)로 시작하는 단락이라서 보통 쉐마라고 부릅니다. 경건한 유대인은 아침저녁으로 이 구절을 우리가 주기도나 사도신경을 암송하듯이 암송했습니다. 이렇게 시작합니다. ‘쉐마 이스라엘 야웨 엘로헤누(our God) 야웨 에하드(one)’ 이를 우리말 성경은 이스라엘아 들으라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유일한 여호와시니라고 번역했습니다.

임팩트가 강하게 표현된 4절은 유일신 신앙에 대한 정확한 가르침입니다. 유일신 신앙은 처음부터 분명하지는 않았습니다. 오랜 투쟁의 역사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신앙입니다. 당시 대다수 종교는 다신론이었습니다. 다신론이 세상을 설명하는 데에 훨씬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선한 신도 있고 악한 신도 있어야만 세상의 선과 악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신화와 로마신화에서 우리는 다양한 신들을 봅니다. 바벨론 신화와 이집트 신화도 마찬가지입니다. 다신론 문명권에서는 제국의 왕들도 신이 될 수 있었습니다. 제국이 유일신 신앙을 탐탁지 않게 생각한 이유는 그들의 왕이 신으로 격상될 수 없었다는 데에 있습니다. 여호와만이 유일한 신이라면 인간은 그 누구도 신이 될 수 없다는 말이 되니까요. 초기 그리스도교 당시에 로마제국은 그리스도인들이 믿는 예수님을 자기들이 믿는 여러 신 중의 하나로 인정해줄 수 있다고 타협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런 주장을 받아들였다면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큰 박해를 받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을 이어받은 초기 그리스도인들도 유일신 신앙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유일신 신앙을 포기하지 않는 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지금 모세의 마지막 설교를 듣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곧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가나안은 남으로는 이집트가 있고 북으로는 메소포타미아가 있었기에 고급스러운 문명사회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당연히 다신론 신앙이 주류였습니다. 가나안은 특히 바알과 아세라 숭배가 강했습니다. 그런 지역에 들어가서 하나님 여호와만을 믿는다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이집트에서 신앙의 자유를 찾으려고 엑소더스를 감행한 이들이 가나안 지역으로 들어간다는 건 또 하나의 모험이었으나 그래도 이집트보다는 가나안이 나았기에 모진 어려움을 감내하고 광야를 40년간 거쳐서 여기까지 왔습니다. 모세의 걱정은 한둘이 아닙니다. 부모 곁에서 신앙생활을 잘하던 자녀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로 진학할 때 부모들이 느끼는 심정과 비슷할지 모릅니다. 이 아이들이 서울에서도 여전히 그리스도교 신앙인으로 자랄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큽니다. 모세는 5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전심전력으로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고 모세는 절규하듯이 외쳤습니다. 영혼의 깊이에서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것만이 가나안에서도 이스라엘 백성들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기 때문입니다.

모세는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는 방법론까지 6절 이하에서 제시합니다.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하나님의 말씀을 마음에 새기는 것이고(6), 둘째는 그 말씀을 자녀에게 가르치는 것이고(7), 셋째는 말씀을 손목에 달고 미간에 붙이며 문설주와 문에 기록하는 것입니다(8-9). 한마디로 하나님의 말씀을 삶의 중심으로 삼으라는 뜻입니다. 셋째 항목이 재미있습니다. 경건한 유대인들은 말씀을 쓴 천이나 나무막대를 몸에 달고 다닙니다. 집 건물에도 성구를 적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입춘대길 건양다경(立春大吉 建陽多慶)’ 같은 한자를 써서 대문에 붙이곤 했습니다. 지금도 옛날 한옥에서 그런 풍경을 볼 수 있습니다. 매일 문을 드나들 때마다 글씨를 보면 그 사람의 영혼에 글씨의 내용이 새겨지겠지요.

모세가 이렇게 구구절절 방법론까지 제시한 이유는 하나님 말씀에 귀를 기울이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데에 있습니다. 재미있게 노는 일은 일부러 가르쳐주지 않아도 됩니다. 돈벌이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님 말씀은 돈벌이나 놀이처럼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기에 사람들이 들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들음의 문제는 하나님 말씀만을 가리키지 않습니다. 모든 생명의 근본에 대한 귀 기울임에 해당합니다. 이를 저는 오늘 설교 제목으로 삼았습니다. ‘전심전력 귀 기울임이라고요.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들을 수 없는 소리가 있습니다. 중요하지 않은 소리는 귀를 기울이지 않아도 잘 들리나 중요한 소리는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잘 들리지 않습니다. 대도시에 사는 분들은 도시의 소음으로 가을벌레 소리를 듣지 못할 겁니다. 빗소리와 호미질 소리를 들어보셨는지요. 이런 소리는 우리의 영혼을 평화롭게 만듭니다.

현대인은 개인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경청(傾聽) 능력이 크게 떨어집니다. 듣기보다는 말하려고 합니다. 말하기도 물론 필요합니다. 제대로 말하려면 먼저 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대화는 불가능합니다. 정치권을 보십시오. 말은 많으나 건질 말은 거의 없습니다. 대한민국을 어떻게 더 인간답게 만들지를 열린 마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하고 대화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정치적 목표를 이루는 데만 무게를 두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을 위해서 자신보다 다른 사람이 정치 지도자가 되는 게 낫다고 생각하고 판단할 줄 알아야 진정한 의미에서 대화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더 어려워져도 자신이 지도자가 되는 길이 있다면 그걸 선택할 정치인들이 차고 넘칠 겁니다. 권력 욕망만이 완벽하게 지배하는 대한민국 정치권을 향해서 귀 기울임의 정치를 요구하는 건 연목구어(緣木求魚)일지 모릅니다.

그리스도교 목사로서 사실은 정치권을 향해서 뭐라 할 처지도 아닙니다. 교회도 귀 기울임은 없고 일방적인 주장만 난무할 실정이니까요. 일주일 전인 1027일 오후에 서울 광화문 일대에서 ‘1027 한국교회 200만 연합예배 및 큰 기도회가 열렸습니다. 모임이 끝나고 28일 자로 공식 블로그에 인사말이 올라왔습니다. 그 인사말 마지막 단락에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이번 연합예배의 가장 강력한 중심에는 회개가 있었습니다. 회개와 성찰을 통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빛과 소금으로 세상의 희망이 되는 교회로 다시 중심을 잡을 것입니다. 더이상 대한민국에 차별금지법이 제정되거나 동성간의 결혼이 합법화 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창조의 원리를 뒤집는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회가 중심을 잡겠습니다.” 회개가 이번 집회에서 핵심이라고 하는데, 무엇을 회개한다는 것인지가 저에게는 애매하게 들렸습니다. 성 소수자의 외침에 전혀 귀를 기울이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부정하고 매도하는 대형 집회를 열면서 회개했다고 말하다니, 중세기 교회가 마녀를 사냥하던 모습과 다를 게 없습니다. 당시 교회는 마녀로 지목된 이들의 말을 전혀 듣지 않고 주변에서 퍼뜨리는 괴담 수준의 이야기를 근거로 주로 부자 미망인들을 화형에 처했습니다. 이번 집회를 주도하던 이들의 동성혼 법제화에 대한 비판도 이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대한민국의 정치권이나 교회는 왜 상대방의 말과 의견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힘으로 상대를 압도하려고만 할까요? 민족성 자체가 이런 건지, 가부장적인 가정 풍토가 이유인지, 아니면 공교육의 잘못인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다행히 우리의 형제 그리스도인들인 로마가톨릭교회는 우리처럼 거의 광기에 가까운 추태를 부리지 않았습니다. 동성애 문제에 관해서 조금 더 알고 싶은 분은 열린 복음주의자라 할 팀 켈러 목사(1950-2023)교회는 동성애자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라는 동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아보십시오.

한국교회가 성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사실은 더 근본에서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사실과 맥이 닿아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속된 표현으로 목소리 큰 놈이 이긴다는 말이 교회에서 통하는 것 같습니다. 하나님 말씀은 소란스럽지 않습니다. 엘리야는 호렙산에서 강한 바람, 지진, 불 현상이 아니라 세미한 소리’(왕상 19:12)로 하나님 말씀을 듣습니다. 하나님 말씀을 들으려면 일단 세미한 소리에 민감해야 합니다. 수십만 명이 모인 대형 집회 자리가 아니라 도서관이나 개인 서재나 작은 교회당이나 공원이나 숲으로 가야 합니다. 마틴 루터가 대형 집회를 통해서 종교개혁을 일으킨 게 아닙니다. 그는 개인의 영적 깊이로 침잠하는 수도승이었고, 작은 도시 비텐베르크 대학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교수였습니다. 조용하게 기도하고 공부하던 사람이었기에 루터는 하나님 말씀을 정확하게 들을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우리는 하나님 말씀을 들을 수 있을까요? 먼저 하나님의 말씀을 분별할 줄 아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어디서나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하니까, 심지어 신천지 같은 이단에서도 그런 말을 나름 그럴듯하게 하니까 분별할 줄 아는 은사가 우리에게 필요합니다. 우리 영혼의 귀가 밝아져야겠지요. 귀가 어두우면 소리를 분별하기 어렵습니다. 자기의 귀가 밝은지 어두운지를 아는 거 자체도 사실은 쉽지는 않습니다. 예수 당시에도 자기의 귀가 밝다고 자처하던 종교 전문가들이 많았다는 데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면 앞장서는 사람들입니다. 예수께서는 당시의 종교 엘리트들인 바리새인과 서기관을 가리켜서 격언을 인용해서 맹인이 되어 맹인을 인도하는 자로다.’(15:14)라고 일갈하셨습니다. 오늘날의 대형교회 목사나 신학대학 교수라 할 바리새인과 서기관이 맹인이라는 말씀은 정말 파격적입니다. 이런 말씀을 하게 된 계기는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예수의 제자들이 밥 먹을 때 손을 씻지 않은 것을 보고 왜 장로들의 전통을 지키지 않느냐고 트집을 잡은 사건입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단순히 율법으로만 받아들였지 그 근본 의미를 모르거나 왜곡했습니다.

성경과 그리스도교 교리를 정확하게 모르면서 아는 척하는 일, 또는 아전인수로 해석하는 일은 오늘도 반복됩니다. 예를 들어서 에 대한 말씀을 생각해보십시오. ‘1027’ 대형 집회에서도 반복해서 동성애는 죄라는 사실이 언급되었습니다. 우리 머릿속에는 부도덕한 행위와 비윤리적인 행위가 죄라는 생각이 아주 분명하게 들어있습니다. 회개하라거나, 죄를 용서받았다는 말을 늘 그런 부도덕한 행위와만 연결해서 생각합니다. 그런 말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나 근본을 정확하게 짚은 게 아닙니다. 부도덕한 행위는 죄의 결과입니다.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죄는 훨씬 근본적인 차원을 말합니다. 자신을 신의 차원으로 높이려는 욕망이 바로 죄의 뿌리입니다. 그래서 신학자들은 교만과 자기 사랑을 죄의 본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예수께서는 죄 문제로 서기관들과 논쟁을 벌인 적이 있습니다. 예수께서 중풍병자에게 네 죄가 용서받았다.’(2:5)라고 말씀하셨고, 이를 신성 모독이라고 따지는 서기관들에게 나에게는 죄를 사하는 권세가 있다.’(2:10)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당시의 죄에 대한 오해와 위선을 까발리는 돌직구(直說)였습니다. 고대 유대인들에게 가난한 사람과 장애인들은 모두 죄인입니다. 그들이나 그들의 부모가 죄를 범했기에 그런 불행한 운명에 떨어졌다는 겁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들을 향해서 죄를 회개하라고 충고하고 다그쳤습니다. 예수님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세상이 죄인이라고 평가하는 삶의 운명에 떨어져도 하나님이 함께하신다면 얼마든지 생명 충만하게 살아갈 수 있다는 사실로 삶의 방향을 바꾸는 결단이 바로 회개입니다. 성경과 그리스도교 교리를 정확하게 알면 그제야 하나님의 말씀이 무엇인지가 귀에 들릴 겁니다. 그게 들리기 시작하면 전심전력 귀 기울이는 인생살이가 풍성하게 열릴 겁니다.

여러분, 다음의 제 말에 놀라지 마십시오. 아니 기대하십시오.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사람은 나무의 말을 알아듣습니다. 빗소리의 말도 알아듣고 어둠의 말도 알아듣습니다. 캄캄한 밤하늘에 촘촘히 박힌 별들과도 대화할 수 있고, 자기 어깨에 내려앉는 한 조각 햇살의 말을 알아듣습니다. 그래서 성경에 천사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사람과 대화하듯이 하나님과 대화하는 대목도 성경에 나옵니다. 하나님 경험의 깊이로 들어간 사람은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알아듣는다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한 세상 만물과의 대화가 가능하다니 얼마나 놀랍고 얼마나 기대가 됩니까? 그런 사람들이 시인이고 예술가이고 음악가이며, 영성가입니다. 그들은 주변에 사람이 없어도 외롭지 않습니다. 우리처럼 평범한 사람들도 그런 세계 안으로 얼마든지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런 마음으로 텃밭도 가꾸고 가정일도 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매이션 <귀를 기울이면>이나 <마루밑 아리에티>를 보셨는지요. 저는 최근에 둘째 딸이 추천해준 이탈리아 영화 <일 포스티노>를 보았습니다. 그 영화의 키워드는 메타포입니다. 세상 전체가 은폐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연인들의 사랑이 가을바람이나 안개나 조약돌로 표현됩니다. 그런 언어사건이 메타포입니다. 이런 사실을 아는 사람은 세상 만물의 소리에 전심전력으로 귀를 기울입니다.

여러분은 다음과 같은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하시나요? “귀 있는 자는 들으라.”(8:8, 4:9, 4:23) 저 말씀을 상투적인 종교 교훈으로 여기면 곤란합니다. 진리에 이르는 실체가 저 말씀에 들어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지금 당장 먹고사는 일만으로 바쁘고 힘들기에 들을 귀에 신경 쓰면서 살기 어렵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자비와 은총을 바랄 수밖에 없네요. 귀 기울여서 들을 줄 아는 영혼의 귀를 허락해달라고 말입니다. 영혼의 귀가 밝아지면 동굴 안에서 살던 사람이 동굴 밖으로 나온 것처럼 예수와 함께 죽고 그와 함께 산다는 진리의 말씀이 환한 빛으로 다가옴으로써 여러분은 자유와 안식의 세계로 들어갈 것입니다. 아멘!


profile

[레벨:10]소유와존재

November 04, 2024
*.126.156.157

교회에서 바자회를 합니다.

오늘 설교 말씀을 빗대어 말하자면 

저에게는 그것이 전심전력으로 들을 만한 가치를 발견하지 못할 일입니다.

소위 교회 생활에서 본질과 비본질이 혼합되어 있어서 

어떨 때는 너무 듣기 싫은(?) 말과 일정들도 있습니다.

여기에서 어떤 포즈를 취하는 것이 마땅할까? 하는 고민을 해봅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November 05, 2024
*.137.91.200

편안한 마음으로, 가벼운 마음으로 재미있게 어울려 지내는 것도 좋습니다.

모든 사람이 3천미터 산에 오를 수는 없으니까

체력과 산행 능력이 부족한 사람과는 5백 미터만 오르든지

그냥 평지에서 산책만 해도 괜찮아요.

8천미터까지 함께 올라가면 좋긴 하겠지요. ㅎㅎ

profile

[레벨:10]소유와존재

December 09, 2024
*.126.156.157

일반교회?에 다니니 수없는 도전?을 받습니다.

내용의 주는 섬기라는 거지요

성가대, 교사, 각종교회 행사...

목사님 말처럼 그것에 대해 편안한 마음, 가벼운 마음으로 재미있게 어울려 지내기에는 과중한 섬김의 요구와

그 섬김의 자리를 사양했을 때의 반응들이 무섭?기까지 합니다.

그리고 집요하게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시키려 합니다.

이런 고민?을 하는 제 모습이 조금 싫어지네요...

편안한 마음 가벼운 마음은 어디에 있을런지...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0, 2024
*.137.91.200

소유존재 님이 율법의 무게에 짓눌려서 신앙생활을 하고 계시군요.

마 11:28절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이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

세상살이의 짐이 아니라 교회(신앙)생활의 짐이랍니다.

그렇게 부담을 느끼면서 교회생활을 이어가는 걸 믿음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폭력을 종종 행사하는 남편이 자기를 사랑한다는 착각으로 

결혼생활을 이어가는 거와 비슷하겠네요.

제가 소유존재 님의 상황을 정확하게는 모르고 그냥 쓰신 글만 보고 드린 글이니

그냥 참고하시고, 아니라고 생각하면 잊으세요.

대림절의 기쁨과 평화와 설렘이 넘치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157962
1085 대림절 충만한 '의로움의 열매' (빌 1:3-11) 2024-12-08 439
1084 대림절 "내가 종일 주를 기다리나이다." (시 25:1-10) [2] 2024-12-03 705
1083 창조절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 (요 18:33-38) 2024-11-24 1313
1082 창조절 성소에 들어갈 담력 (히 10:11-14, 19-25) [3] 2024-11-17 2109
1081 창조절 영혼이 갈급한 사람 (막 12:38-44) [2] 2024-11-10 2977
» 창조절 전심전력 귀 기울임 (신 6:1-9) [4] 2024-11-04 4001
1079 창조절 시각 장애인 바디매오 이야기 (막 10:46-52) 2024-10-27 5492
1078 창조절 세계의 비밀이신 하나님 (욥 38:1-7) 2024-10-20 7534
1077 창조절 십계명 '너머' (막 10:17-22) [4] 2024-10-13 8039
1076 창조절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히 1:1-4, 2:5-10) [4] 2024-10-07 8059
1075 창조절 지옥 이야기 (막 9:38-48) [2] 2024-09-29 8189
1074 창조절 하늘의 지혜 (약 3:13-18) [2] 2024-09-23 8472
1073 창조절 의로움의 원천 (사 50:4-9a) [5] 2024-09-15 8328
1072 창조절 무엇이 '놀라운 일'인가? (막 7:31-37) [2] 2024-09-08 8509
1071 창조절 생명의 길 (신 4:1-2, 6-9) 2024-09-02 8516
1070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말씀 (요 6:60-69) 2024-08-25 8328
1069 성령강림절 성령 충만의 길 (엡 5:15-20) [4] 2024-08-18 8464
1068 성령강림절 영혼의 깊이 (시 130:1-8) [2] 2024-08-11 8603
1067 성령강림절 생명의 양식 (요 6:24-35) 2024-08-05 8685
1066 성령강림절 그리스도의 사랑과 하나님의 충만하심 (엡 3:14-21) 2024-07-28 8415
1065 성령강림절 메시아 대망 (렘 23:1-6) 2024-07-21 8858
1064 성령강림절 선지자 '너머' (막 6:14-29) [2] 2024-07-14 8856
1063 성령강림절 제자들의 축귀 능력 (막 6:1-13) [2] 2024-07-08 8806
1062 성령강림절 공평한 세상을 향하여! (고후 8:7-15) 2024-06-30 8817
1061 성령강림절 "그는 누군가?" (막 4:35-41) [2] 2024-06-23 9049
1060 성령강림절 사람의 외모와 중심 (삼상 16:1-13) 2024-06-16 8919
1059 성령강림절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 (고후 4:13-5:1) [4] 2024-06-09 9287
1058 성령강림절 안식일 문제 (막 2:23-3:6) [2] 2024-06-03 10424
1057 성령강림절 이사야의 '충만' 경험 (사 6:1-8) [2] 2024-05-26 11234
1056 성령강림절 파라클레토스 (요 16:4-15) [2] 2024-05-19 11687
1055 부활절 믿음과 영생 (요 3:1-15) 2024-05-13 11266
1054 부활절 믿음과 사랑 (요일 5:1-6) 2024-05-05 11168
1053 부활절 상호내주의 신비 (요 15:1-8) [4] 2024-04-28 13514
1052 부활절 부족함 없는 삶, 가능한가? (시 23:1-6) 2024-04-21 14457
1051 부활절 죽은 자 가운데서 (눅 24:36b-48) [2] 2024-04-14 14122
1050 부활절 생명의 로고스 (요일 1:1-10) [5] 2024-04-08 14710
1049 부활절 예수 부활의 첫 증인들 (막 16:1-8) [4] 2024-03-31 14159
1048 사순절 향유를 손에 든 여자 (막 14:1-11) [4] 2024-03-24 14777
1047 사순절 새 언약의 날 (렘 31:31-34) [2] 2024-03-17 14488
1046 사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6] 2024-03-10 14571
1045 사순절 십자가의 길과 하나님의 능력 (고전 1:18-25) [2] 2024-03-04 14637
1044 사순절 예수 승천과 하나님 우편 (벧전 3:18-22) [9] 2024-02-18 14849
1043 주현절 예수의 변모 사건 (막 9:2-9) [5] 2024-02-11 14688
1042 주현절 여호와를 믿고 기다리는 사람 (사 40:21-31) [6] 2024-02-05 14866
1041 주현절 예수의 배타적 권위 (막 1:21-28) [4] 2024-01-28 14959
1040 주현절 부름-버림-따름 (막 1:14-20) [2] 2024-01-21 14750
1039 주현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2] 2024-01-14 14948
1038 주현절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세례 (행 19:1-7) [5] 2024-01-07 14965
1037 성탄절 만물의 찬양 (시 148:1-14) [2] 2023-12-31 15710
1036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2] 2023-12-24 17657
1035 대림절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2] 2023-12-17 18255
1034 대림절 하나님의 날: 새 하늘과 새 땅 (벧후 3:8-13) [2] 2023-12-10 18421
1033 대림절 깨어있음이란? (막 13:24-37) [2] 2023-12-04 18687
1032 창조절 교회는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다! (엡 1:15-23) [2] 2023-11-26 14831
1031 창조절 은혜를 갈망하는 시인 (시 123:1-4) [4] 2023-11-19 15244
1030 창조절 외면당한 사람들 (마 25:1-13) [5] 2023-11-12 15721
1029 창조절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의 역설 (마 23:1-12) [2] 2023-11-07 15288
1028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마 22:41-46) [7] 2023-10-29 15152
1027 창조절 재림신앙 (살전 1:1-10) [4] 2023-10-22 15353
1026 창조절 금송아지 이야기 (출 32:1-14) 2023-10-15 15279
1025 창조절 모퉁이 머릿돌이신 예수 (마 21:33-46) 2023-10-09 14870
1024 창조절 과정으로서의 구원 (빌 2:1-13) 2023-10-01 15081
1023 창조절 하나님의 선하심 앞에서 (마 20:1-16) [2] 2023-09-24 15175
1022 창조절 홍해 이야기 (출 14:21-31) 2023-09-17 15278
1021 창조절 도반 공동체 (마 18:15-20) [4] 2023-09-10 14947
1020 창조절 '악' 앞에서 (롬 12:14-21) [4] 2023-09-04 15402
1019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2023-08-27 14912
101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큰 믿음 (마 15:21-28) [6] 2023-08-20 15183
101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롬 9:1-5) [2] 2023-08-08 15788
1016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에 관한 말씀 (마 13:31-33, 44-50) [2] 2023-07-30 15421
1015 성령강림절 여기 계신 하나님 (창 28:10-19a) [4] 2023-07-23 15752
1014 성령강림절 생명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1-11) 2023-07-16 15280
1013 성령강림절 영혼의 안식 (마 11:16-19, 25-30) [4] 2023-07-09 15246
1012 성령강림절 인신 제사의 유혹 (창 22:1-14) 2023-07-03 14880
1011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4] 2023-06-25 15137
1010 성령강림절 성령과 하나님 사랑 (롬 5:1-8) 2023-06-18 14965
1009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소명 경험 (창 12:1-9) [2] 2023-06-11 15191
1008 성령강림절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 (마 28:16-20) [6] 2023-06-05 15113
1007 성령강림절 평화-파송-성령-사죄 (요 20:19-23) [2] 2023-05-28 15242
1006 부활절 가난한 자의 하나님 (시 68:1-10) [4] 2023-05-21 15500
1005 부활절 "살아있음" (요 14:15-21) [2] 2023-05-14 15272
1004 부활절 어둠에서 빛으로! (벧전 2:2-10) [5] 2023-05-08 15367
1003 부활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벧전 2:18-25) 2023-04-30 14930
1002 부활절 눈이 밝아진 두 제자 (눅 24:28-35) [7] 2023-04-23 15338
1001 부활절 믿음의 깊이 (요 20:24-31) 2023-04-16 15423
1000 부활절 감추어짐과 나타남 (골 3:1-4) [7] 2023-04-09 15786
999 사순절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 (사 50:4-9a) 2023-04-02 15344
998 사순절 하나님의 영 (롬 8:6-11) [4] 2023-03-26 15383
997 사순절 바리새인의 '죄' 문제 (요 9:35-41) 2023-03-19 15477
996 사순절 '르비딤' 광야에서 (출 17:1-7) [6] 2023-03-12 16659
995 사순절 믿음과 영생 (요 3:1-7) [2] 2023-03-05 15746
994 사순절 생명 왕권 (롬 5:12-19) 2023-02-26 15327
993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마 17:1-8) [4] 2023-02-19 15833
992 주현절 양자택일 (신 30:15-20) [3] 2023-02-12 15815
991 주현절 천국 윤리 (마 5:13-20) [4] 2023-02-06 15869
990 주현절 삶의 무게 (미 6:1-8) [4] 2023-01-29 17181
989 주현절 가버나움 사람 (마 4:12-23) [4] 2023-01-22 16662
988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4] 2023-01-15 16026
987 주현절 여호와께 예배하라! (시 29:1-11) [2] 2023-01-09 16127
986 성탄절 나사렛 사람 (마 2:13-23) [4] 2023-01-01 1738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