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

왜 복음인가? (롬 1:8-17)

창조절 조회 수 11247 추천 수 0 2017.10.29 20:50:41
설교듣기 : https://youtu.be/YdtRrO_LHD8 
성경본문 : 로마서 1:8-17 

왜 복음인가?

1:8-17,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주일, 20171029

 

먼저 내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너희 모든 사람에 관하여 내 하나님께 감사함은 너희 믿음이 온 세상에 전파됨이로다 9.내가 그의 아들의 복음 안에서 내 심령으로 섬기는 하나님이 나의 증인이 되시거니와 항상 내 기도에 쉬지 않고 너희를 말하며 10.어떻게 하든지 이제 하나님의 뜻 안에서 너희에게로 나아갈 좋은 길 얻기를 구하노라 11.내가 너희 보기를 간절히 원하는 것은 어떤 신령한 은사를 너희에게 나누어 주어 너희를 견고하게 하려 함이니 12.이는 곧 내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와 나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피차 안위함을 얻으려 함이라 13.형제들아 내가 여러 번 너희에게 가고자 한 것을 너희가 모르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이는 너희 중에서도 다른 이방인 중에서와 같이 열매를 맺게 하려 함이로되 지금까지 길이 막혔도다 14.헬라인이나 야만인이나 지혜 있는 자나 어리석은 자에게 다 내가 빚진 자라 15.그러므로 나는 할 수 있는 대로 로마에 있는 너희에게도 복음 전하기를 원하노라 16.내가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노니 이 복음은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됨이라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 17.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루터 시대

지금부터 500년 전인 16세기 초의 유럽은 르네상스(문예부흥) 시대입니다. 회화와 조각에서 두각을 나타낸 이들은 세 명입니다. 미켈란젤로(1475~1564)1508-1512년에 시스티나 성당 천정에 천지창조라는 제목의 그림을 그렸고, 1534-1541년에는 최후의 심판이라는 제목으로 시스티나 제단 벽화를 그렸습니다. 젊어 죽은 라파엘로(1483-1520)는 바티칸 궁 서명실 벽화 아테네 학당1509-1510년에 그렸습니다. 밀라노의 산타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에 최후의 만찬1495-1497년에 그리고, 1503-1506년에 피렌체에서 모나리자를 그리는 등, 마지막까지 다방면에서 활동하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519년에 죽었습니다. 1513-1521년에 교황으로 제직하던 사람은 메디치 가문의 레오 10세입니다. 그는 학문과 미술을 장려하고 로마를 르네상스 문화의 중심지로 만든 사람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예술적이고 사치스럽게 살았던 교황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바티칸 재정이 바닥이 나자 그는 면죄부를 팔게 했습니다. 한 마디로 16세기 초는 바티칸 궁이 최고로 잘 나가던 시절입니다.


당시 유럽의 변방에 속한 비텐베르크 교회의 사제이며 그 대학교 교수인 마틴 루터는 로마 바티칸 궁에서 명예와 권력과 부와 예술과 학문을 구가하던 이들과는 전혀 다른 문제로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영혼이 구원받을 수 있는가, 하는 문제였습니다. 대학을 졸업한 루터는 22세가 된 1505년에 그 어느 수도회보다 엄격하기로 유명한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에 들어갔습니다. 그가 어느 정도로 영혼 구원 문제에 매달렸는지는 15171031일 비텐베르크 성당 문에 붙여놓은 95개 신학논제만 보더라도 알 수 있습니다. 로마가톨릭교회가 가르치는 방식으로는 영혼의 구원을 경험할 수 없었습니다. 그들의 가르침은 허무맹랑한 거짓이었습니다. 루터가 그렇게 노골적으로 비판했다는 것은 그의 영혼이 절박했다는 뜻입니다. 95개 신학논제의 핵심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면죄부에 대한 비판이고, 다른 하나는 교황 절대권에 대한 비판입니다. 한 마디로 교황을 향한 정면 도전이었습니다. 21번째의 신학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교황의 면죄로써 인간은 모든 형벌로부터 해방되며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선전하는 면죄부 설교자들은 모두 오류에 빠져 있는 것이다.”


젊은 루터가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가르친 과목은 시편, 로마서, 갈라디아서입니다. 성경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보다 더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바울이 기록한 롬 1:16,17절은 그로 하여금 천지가 진동할 정도의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이런 경험은 일생에 몇 번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한 번도 이런 경험을 하지 못하고 죽습니다. 공동번역으로 이 두 구절을 다시 읽겠습니다.

 

16.나는 그 복음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습니다. 복음은 먼저 유다인들에게, 그리고 이방인들에게까지 믿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구원을 가져다주시는 하느님의 능력입니다. 17.복음은 하느님께서 인간을 당신과 올바른 관계에 놓아주시는 길을 보여주십니다. 인간은 오직 믿음을 통해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 성서에도 믿음을 통해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가지게 된 사람은 살 것이다.” 하지 않았습니까?

 

복음에 대해

바울은 나는 그 복음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습니다.’고 말합니다. 그 복음은 바울이 로마에 들려서 그곳 교인들에게 전하고 싶어 한 것입니다. 복된 소식이라는 뜻의 복음(유앙겔리온)은 세상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운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이게 누구에게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지는 않습니다. 여기에 폐암이나 간암에 걸린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그에게 복음은 좋은 집을 구입했다거나 자신이나 자식이 좋은 직장에 들어간 이야기가 아니라 병이 치료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에게는 물론 복음이 아닙니다. 그런 사람은 전혀 다른 것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문제는 암에 걸렸는데도 그 사실을 모르고 다른 것에 정신을 파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복음을 복음으로 인식하려면 자신의 실존을 정확하게 파악해야만 합니다.


바울이 말하는 복음은 당시에 복음이라 자처하는 다른 두 세계와 대립합니다. 하나는 유대교이고, 다른 하나는 헬라 로마 문명입니다. 유대교는 율법을 지킴으로써 생명을 얻을 수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유대교의 율법 전통은 역사가 깊습니다. 그 내용은 주로 모세 오경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것의 압축이 십계명입니다. 십계명대로만 산다면 개인과 사회는 완전하게 될 것입니다. 문제는 아무리 율법을 강조해도 사람이 율법을 완벽하게 지킬 수가 없으며, 그걸 지킨다고 해도 생명을 얻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예수 당시에 율법은 오히려 사람들에게 무거운 짐이 되었습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 내가 너희를 쉬게 하리라.’(11:28)는 예수님의 말씀이 가리키는 짐이 바로 율법이었습니다. 율법이 짐인 이유는 율법 자체가 나쁘기 때문이 아닙니다. 사람에게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율법의 순기능은 인간이 율법 앞에서 무기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것입니다.


바울 당시의 헬라 로마 문명은 사람들에게 매혹적이었습니다. 인간의 온갖 지혜가 축적된 것이니 당연히 그렇게 보입니다. 정치, 경제, 군사, 예술, 토목, , 과학 등등, 일체의 유럽 문명이 헬라 로마 시대에 꽃을 피웠습니다. 그런 전통은 지금까지 영향을 끼칩니다. 로마에 있는 콜로세움 경기장은 오늘날 건축과 스포츠의 원형입니다. 로마의 시대정신을 가리키는 구호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로마의 평화이고 다른 하나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입니다. 이 둘은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로마가 지배하는 세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지금의 고속도로나 고속철이라 할 수 있는 도로를 닦았습니다. 모든 길은 물론 로마와의 왕래를 쉽게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지중에 연안에 모든 사람들은 헬라 로마 문명이야말로 생명을 제공하는 힘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바울은 로마 제국과 거기서 벌어지는 문명을 복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좋게 사용될 수도 있고 나쁘게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제국은 역사와 더불어서 없어집니다. 그것에 매달려 사는 사람은 제국의 몰락과 함께 자신도 몰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거대한 역사까지 거론할 필요가 없습니다. 매 순간 제국은 악을 저지를 수밖에 없습니다. 로마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다른 나라의 평화를 억압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해관계가 서로 충돌할 때는 강한 나라가 약한 나라를 파괴합니다. 로마는 자신들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십자가 처형이라는 법을 만들었습니다. 로마 체제에 저항하는 사람은 일벌백계의 차원에서 가장 잔인한 죽음인 십자가형을 내리는 겁니다. 그 법에 의해서 예수는 죽었습니다.


바울은 유대교 권력에 의해서 배척당하고 로마 총독에 의해서 십자가에 달린 예수에 관한 이야기야말로 참된 복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당당히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무슨 근거가 있는 것일까요? 광신자의 허튼소리였을까요? 몽상가의 비현실적인 독백일까요? 주류로부터 주변부로 밀려난 자의 자기변명일까요? 예수 이야기가 왜 복음일까요?

 

뒤나미스 데우

바울이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복음은 모든 믿는 자를 구원하는 하나님의 능력’(뒤나미스 데우)입니다. 하나님의 구원 능력이 바로 복음이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구원 능력을 돈, 권력, 업적, 소유 등에서 찾습니다. 그런 것들이 우리의 호기심을 끄는 건 분명합니다. 이런 것과 비교할 때 복음은 초라합니다. 앞에서 복음과 대립하는 세력이 유대교와 헬라 로마 권력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런 것을 생명의 능력, 즉 구원 능력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예수의 운명은 하나님의 능력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무능력의 표본입니다. 바울은 당시의 그런 상황을 고전 1:22-24에서 정확하게 피력했습니다. ‘유대인은 표적을 구하고 헬라인은 지혜를 찾으나 우리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전하니 유대인에게는 거리끼는 것이요 이방인에게는 미련한 것이로되 오직 부르심을 받은 자들에게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니라.’


솔직하게 우리의 삶과 세상을 봅시다. 예수 믿는다고 밥이 나옵니까, 떡이 나옵니까? 밥과 떡에 관계되는 힘들은 예수 믿는 거와 상관없이 작동됩니다. 예수의 운명에 대한 이야기인 복음이 하나님의 구원 능력이라는 말을 이해하려면 생각을 완전히 돌려야 합니다. 케제만(E. Käsemann)은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복음은 ... 전적으로 종말론적인 하나님 능력의 현현이다.’(국제성서주석, 로마서)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능력을 받아들여야만 예수 이야기가 복음이라는 바울의 주장에 설득력이 있는 겁니다. 개인의 한 평생을 생각해보십시오. 죽을 때 행복한 게 좋을까요, 아니면 살아있을 때 행복한 게 좋을까요? 두 가지 중에서 선택하라고 한다면 대다수 사람들은 당연히 행복하게 죽는 걸 원할 겁니다.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능력은 우리의 생명을 마지막에, 즉 궁극적인 차원에서 완성한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종말이라는 말이 너무 거리가 멀어서 실감나지 않는다는 데에 있습니다. 지금 여기서 먹고 살기도 바쁘고 골치 아프고, 그리고 여기서 재미있게 사는 것만 해도 충분하기에 종말 운운은 비현실적이라는 겁니다. 생각이 깊은 사람들, 영혼의 눈이 밝은 사람들은 그걸 일상적으로 실감합니다. 죽음이 바로 앞에 들이닥쳤다는 사실을 리얼하게 경험합니다. 그 죽음의 순간에 하나님이 우리의 생명을 하나님의 고유한 능력으로 완성하신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이야말로 복음의 능력에 사로잡힌 사람입니다. 그제야 그 완성된 삶을 지금 여기서 선취의 방식으로 누리며 살 수 있습니다.

 

디카이오수네 데우

바울이 복음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두 번째 이유는 17a절이 가리키고 있듯이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디카이오수네 데우)가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의 의()라는 말을 명심하십시오. 따지고 보면 인간의 모든 삶은 의를 얻기 위한 것입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도 우등생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으려는 데에 있습니다. 연봉도 그 사람이 세상으로부터 인정받는다는 척도입니다. 심지어 교회의 크기도 목사가 인정받는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인정받으면 자신이 뭔가를 이뤘다는 만족감을 느낍니다. 복음에 하나님의 의가 나타났다는 바울의 말은 그런 것과 다릅니다. 공동번역 성경이 잘 번역해놓은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관계가 바르게 되었다는 뜻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바르게 된다는 것은 곧 생명을 얻는다는 뜻입니다.


루터는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는 인정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인간의 고상한 행위가 아니라 오직 믿음(Sola Fide)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인간의 삶과 선한 행위를 부정하는 게 아닙니다. 의미 있는 실제의 삶은 사라지고 말로만 믿는다고 하거나 종교적인 자기도취에 빠지는 값싼 믿음을 정당화하는 게 아닙니다. 하나님의 의는 사람의 노력으로 생산해낼 수 있는 게 아니라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오직 믿음뿐이라는 뜻입니다. 공기를 마시기 위해서 착한 일을 해야만 하는 게 아닌 거와 같습니다. 그냥 들이마시면 되는 것처럼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들이기만 하면 됩니다. 이 사실을 깨달았을 때 루터의 영혼은 자유로워질 수 있었고, 평화와 안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전혀 새로운 생명의 길을 찾은 것입니다.


예수 믿지 않아도 영혼의 자유를, 평화와 안식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타종교인들도 우리와 동일한 확신 가운데서 살아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예술가들이나 시인들도 그렇게 말할 겁니다. ‘자연인이라는 티브이 프로그램에 나오는 사람들은 자연에서 그런 경험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교사들은 학생들을 잘 가르치는 것으로 만족할 수 있습니다. 저는 그런 삶들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예수 경험은 그런 것들과 질적으로 다릅니다. 예수 그리스도에게 하나님의 의가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관계가 새로워졌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이런 경험이 세상 사람들의 경험과 어떻게 다른지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그 문제는 설교자의 설교만 듣고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가장 궁극적인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성령이 깨닫게 해주기를 간구하는 게 좋습니다.


그래도 저는 설교자로서 최대한 설명을 해야겠기에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제가 종종 즐기는 테니스를 예로 들겠습니다. 테니스를 즐기려면 일정한 실력을 쌓아야 합니다. 한번 실력을 쌓았다고 해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실력에는 실제로 몸의 기술만이 아니라 마음도 포함됩니다. 테니스의 깊이로 들어갈수록 테니스가 제공하는 즐거움을 더 풍부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기독교 신앙도 그와 같습니다. 예수의 가르침과 그의 운명에 깊이 들어가면 갈수록 하나님과의 관계가 더 풍성해집니다. 다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존재의 기쁨을 느낍니다. 밭에 묻힌 보물을 발견한 기쁨입니다. 루터는 믿음을 통해서 하나님의 의를 얻는다는 로마서의 가르침에서 자신의 전체 존재가 새로워지고 가벼워지는 걸 경험했습니다. 그게 바로 복음의 능력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루터가 평생 전혀 흔들림 없이 살았다고 생각하면 곤란합니다. 그도 우리와 똑같이 삶의 과정에서 신앙이 흔들렸습니다. 흔들리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다만 루터는 방향을 분명하게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초인간적인 의지로 당시 로마가톨릭 교황과 투쟁할 수 있었습니다. 1521년 보름스(Worms)에서 개최된 제국의회에서 재판을 받았습니다. 그의 최후 변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서의 증거에 의해서나 아니면 분명한 이성에 의해서 저를 설복시키지 않는다면, -교황과 공의회는 종종 오류를 범했으며 스스로 모순에 빠진 적이 많았기 때문인데- 저는 제가 인용한 성경의 가르침을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제 양심은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 있기에 저는 아무 것도 철회할 수 없으며 또한 철회하지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양심에 역행하는 것은 저에게 안전하지도 않고 옳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저는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 제가 서 있습니다. 하나님이 저를 도와주시기를 빕니다. 아멘.

 

그가 이렇게 담대할 수 있었던 데에는 하나님의 능력과 하나님의 의인 복음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복음의 능력을 알고 있는 여러분과 저도 참된 믿음만 있다면 이 세상을 담대하게 살아갈 수 있고, 마땅히 그래야만 합니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 은혜

November 01, 2017
*.62.162.58

온 세상을 뒤덮고 있는,
항거할수 없는 거대한 자본주의 위력에
너나없이 온 영혼이 팔려있는, 
그래서 소유로써만 삶을, 생명을 실감하게 세뇌시키는 그 죄와 죽음의 힘에서 해방된 자가 바로 우리라고...
매주마다 목사님의 설교를 통해 나의 정체성을 확인받고 있지만,
신앙의 연조가 쌓여가도 신앙의 민낯은
여전히 차지도 덥지도 않은,
성경에도 없는 회색빛 철옹성은 요지부동이니
루터가 전율하고야만 롬1:17절을 수십번을 묵상해도 늘 그저 덤덤할수 밖에요

치열한 적자생존의 이 거대한 자본주의 체제에서 날마다 자기를 부인하며, 타협 않으며 (성경 구절대로라면 스스로를 속이지 않으며 ) 올곧게 사는게 진정 가능할까요?
흡사 폭주 기관차 같은 일상에서
도사연양 한 발을 빼고,
가난하고 애통한 심령을 줄곧 견지하며 사는게 가능할까요?
그래서 루터가 로마서 그 구절을 만날 즈음에,
그 영혼에 채워진 구원의 갈급함의 임계량을
우리 생전에 채우게 되는 날이 올까요?
로마서 이 구절 앞에서 경천동지의 전율과 감격을 경험할수 있는 날이 올까요?

갖은 신앙적 열심으로 들은 풍월은 많지만,
속사람은 변하지 않은채 머리만 잔뜩 비대해진
가분수 신자들만 양산해낼뿐,
근엄한척 서로 표정관리하며 '무늬만 거룩한'
성극을 연출해가고 있는건 아닐까요?

입술을 깨물게 되는 도전보단
자괴감과 절망만 밀려오는 말씀이군요

자신의 무능과 한계에 뼛속깊이 더 절망케
하시고
그 절망이 자아가 처절히 깨어지는 깊은 절망의 심연으로
떨어뜨려주시길 구하는 것 말고는
다른 기도제목이 없을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November 02, 2017
*.182.156.221

아무리 애를 써도 신앙의 진도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 걸음 같다는 부스러기 님의 호소는

영적으로 깨어있다는 증거입니다.

바울, 어거스틴, 루터, 웨슬리 같은 큰 회심 경험조차도

사실은 제자리 걸음이라는 불편한 사태를 전제하는 것이니

너무 낙심하지 말고 푯대를 향해서 가봅시다.

꾸준히 가다보면 어느 사이에 신앙적으로 자랐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겁니다.

단 여러가지 차원에서의 자기성찰을 포기하지 않는 한.

profile

[레벨:13]하늘연어

December 11, 2017
*.128.178.37

오늘 다시 한 번 그 날을 추억하면서 말씀을 묵상해 봤습니다.

저는 영적 고뇌를 하면서도 목사님의 말씀 속에 있으면 기쁘고, 행복합니다.


말씀 앞에 떨림과 두려움이 없을리야마는, 생명에 대한 분별과 통찰의 영안(^^;;)이

열리는 기쁨이 있고, 궁극의 목적인 하나님이 계시므로 행복을 느낍니다.


부스러기님은 들음의 결과물로서 나 자신의 삶이 어느 단계에 와 있어야 기뻐하실까 생각해 봅니다.

깊은 고뇌에서 좀 자유함을 가지시면 어떨지....(하루 밤을 같이 보낸 룸메이트로서 감히....^^)


물은 빠져도 콩나물은 자라 듯이 저는 다비아를 방문할 때마다 기쁨으로 고뇌를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저 자신의 한계를 굳이 변명하고 싶지는 않아요.... 숨 막히거든요.ㅎ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1, 2017
*.182.156.230

대림절의 기쁨이 하늘연어 님에게 더 충만하기를 바랍니다.

profile

[레벨:18]부스러기은혜

December 11, 2017
*.62.173.98

그 날 그 밤이
남녀간의 하룻밤이었다면
만리장성을 쌓았을 하룻밤이었죠?
ㅎㅎ

자책과 자괴감으로부터
자유함을 가지라....는 조언을 주셨군요
글을 접하고는 짠....했답니다
감사합니다

구원의 궁극이 죄와 죽음으로부터의 자유요
영혼의 자유일진데
무력한 자신에 대해 더 처절히 절망하고 싶지요
절망의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는게 구원에 이르는 지름길이 아닌가 싶어서요
ㅎㅎ

영적인 도반들이 다비아에 있어서
덜 외롭습니다
profile

[레벨:29]최용우

December 28, 2017
*.62.42.226

이 설교를 마음에 담고 있었습니다.

종교개혁 500주년의 해가 가기 전에 들꽃편지를 한번 더 만들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이 설교문을 사용햐야겠습니다.

사용을 허락해 주신다면 들꽃편지 독자들이 종교개혁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해 볼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28, 2017
*.182.156.80

저에게 꼬박꼬박 보내주시는 <들꽃편지>를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

미소도 짓고 박수도 치고 무릎을 치기도 하면서요.

들꽃편지 고마운 마음으로 1월 중에 제가

세종시나 대전 부근에서 점심 한번 사겠습니다.

제 설교와 글은 제 것이 아니니

허락이고 뭐고도 없이 그냥 필요한 대로 쓰세요.

저야 고맙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9579
851 성령강림절 성령 공동체의 길 (고전 12:4-13) [2] 2020-05-31 4559
850 부활절 영광과 영생 (요 17:1-11) [4] 2020-05-24 5342
849 부활절 사랑과 계명 (요 14:15-21) 2020-05-17 5972
848 부활절 어두운 데서 기이한 빛으로! (벧전 2:2-10) [4] 2020-05-10 5023
847 부활절 성찬 예배 공동체 (행 2:42-47) [2] 2020-05-03 4073
846 부활절 눈이 밝아진 제자들 (눅 24:13-35) [2] 2020-04-26 6453
845 부활절 예수의 손과 옆구리 (요 20:19-29) [2] 2020-04-19 8812
844 부활절 "위의 것을 찾으라!" (골 3:1-4) [2] 2020-04-12 8714
843 사순절 주의 손과 주의 얼굴 (시 31:9-16) [6] 2020-04-05 5612
842 사순절 여호와의 손과 영 (겔 37:1-14) [2] 2020-03-29 5296
841 사순절 예수는 심판 주다! (요 9:35-41) [2] 2020-03-22 6726
840 사순절 생존의 위기 앞에서 (출 17:1-7) 2020-03-15 6238
839 사순절 영생과 예수 (요 3:1-17) 2020-03-08 5327
838 사순절 의와 생명 (롬 5:12-19) [2] 2020-03-01 5593
837 주현절 영광스러운 미래의 생명 (마 17:1-9) 2020-02-23 4066
836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115
835 주현절 십자가에 못 박힌 이 (고전 2:1-12) [8] 2020-02-10 5739
834 주현절 가난한 사람과 하늘나라 (마 5:1-12) 2020-02-02 9519
833 주현절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마 4:12-23 [2] 2020-01-26 5189
832 주현절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7] 2020-01-19 4821
831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6962
830 성탄절 하나님을 본 사람 (요 1:10-18) 2020-01-05 6523
829 성탄절 환난에 동참하시는 하나님 (사 63:7-9) [2] 2019-12-29 5585
828 성탄절 영광과 찬송 (눅 2:8-20) 2019-12-25 9623
827 대림절 예수와 임마누엘 (마 1:18-25) [5] 2019-12-22 9333
826 대림절 "파루시아" (약 5:7-10) [5] 2019-12-16 6391
825 대림절 알곡과 쭉정이 (마 3:1-12) [6] 2019-12-08 11924
824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655
823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789
822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6903
821 창조절 두려워 말라! (학 1:15-2:9) 2019-11-10 5555
820 창조절 누가 잃어버린 자인가? (눅 19:1-10) [9] 2019-11-03 10792
819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641
818 창조절 갈급한 영혼 (눅 18:1-8) [8] 2019-10-20 9959
817 창조절 말다툼과 진리의 말씀 (딤후 2:8-15) [2] 2019-10-14 5819
816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093
815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112
814 창조절 양자택일 (눅 16:1-13) 2019-09-22 5305
813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245
812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6891
811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784
810 성령강림절 안식, 해방, 연민 (눅 13:10-17) [6] 2019-08-25 4928
809 성령강림절 "정의" (사 5:1-7) [6] 2019-08-18 5141
808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091
807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759
806 성령강림절 살아계신 하나님 (호 1:2-10) [4] 2019-07-28 4893
805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166
804 성령강림절 아들과 죄 용서 (골 1:3-14) [6] 2019-07-15 9686
803 성령강림절 예수의 제자 파송 (눅 10:1-11) [2] 2019-07-07 6524
802 성령강림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2, 6-14) [7] 2019-06-30 5101
801 성령강림절 축귀 능력자 예수 (눅 8:26-39) [6] 2019-06-23 10776
800 성령강림절 지혜의 근원 (잠 8:1-4, 22-31) [4] 2019-06-16 6607
799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378
798 부활절 바울과 실라, 빌립보 감옥에서 (행 16:16-34) [4] 2019-06-02 15908
797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526
796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275
795 부활절 '그리스도'에 대한 질문 (요 10:22-30) [5] 2019-05-13 4525
794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7834
793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7032
792 부활절 창조의 능력, 부활의 능력 (사 65:17-25) [2] 2019-04-21 5873
791 사순절 제자도의 위기 (눅 22:24-34) [4] 2019-04-14 5991
790 사순절 마리아와 가룟 유다 (요 12:1-8) [4] 2019-04-07 5815
789 사순절 하나님과의 화해 (고후 5:16-21) [5] 2019-03-31 6242
788 사순절 백척간두의 실존 (눅 13:1-9) [6] 2019-03-24 5427
787 사순절 흑암과 두려움 가운데서 (창 15:1-12, 17-18) [5] 2019-03-17 5774
786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6938
785 주현절 "빛으로 변화되리라!" (눅 9:28-36) [2] 2019-03-03 5722
784 주현절 하나님, 역사, 삶 [4] 2019-02-24 5334
783 주현절 복과 화 (눅 6:17-26) [4] 2019-02-17 10754
782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510
781 주현절 게네사렛 어부들 이야기 [6] 2019-02-03 6692
780 주현절 구원의 현실화 (눅 4:14-21) [9] 2019-01-27 10716
779 주현절 은사의 다양성과 성령의 동일성 (고전 12:1-11) [6] 2019-01-21 6427
778 주현절 창조주 여호와! (사 43:1-7) [6] 2019-01-13 5493
777 주현절 별을 따라온 사람들 (마 2:1-12) [11] 2019-01-06 9330
776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6810
775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6739
774 대림절 '노래하라!' (습 3:14-20) [2] 2018-12-16 8733
773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2018-12-10 8814
772 대림절 예수 강림! (살전 3:9-13) [6] 2018-12-02 8422
771 창조절 예수는 왕이시다! (요 18:33-37) 2018-11-25 5233
770 창조절 기도하라, 감사하라! (딤전 2:1-7) [5] 2018-11-18 9852
769 창조절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막 12:38-44) [6] 2018-11-12 16450
768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565
767 창조절 바디매오의 구원 이야기 (막 10:46-52) [4] 2018-10-28 13209
766 창조절 만물의 시원성에 대한 질문 (욥 38:1-7) [20] 2018-10-21 6294
765 창조절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 (히 4:12-16) [4] 2018-10-15 6270
764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107
763 창조절 만나와 메추라기 이야기 (민 11:4-15) [6] 2018-09-30 12743
762 창조절 사소한 것들과의 생명 관계 (막 9:30-37) [4] 2018-09-24 5828
761 창조절 종의 노래 Ⅲ (사 50:4-9) [2] 2018-09-16 5458
760 창조절 '힐링'의 원천 (막 7:24-37) [2] 2018-09-10 6289
759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160
758 성령강림절 예수는 누군가? (요 6:60-69) [6] 2018-08-26 5569
75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095
756 성령강림절 기독교 윤리와 하나님 사랑 (엡 4:25-5:2) [4] 2018-08-13 6419
755 성령강림절 예수는 생명 충만이다! (요 6:24-35) [2] 2018-08-05 6228
754 성령강림절 예수는 왕인가? (요 6:1-15) [8] 2018-07-29 6190
753 성령강림절 예수의 치유 능력 (막 6:30-34, 53-56) [6] 2018-07-22 5386
752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690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