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8

나를 따르라 (요 21:15-19)

부활절 조회 수 20828 추천 수 1 2013.04.14 21:57:07
설교듣기 : mms://61.111.3.15/pwkvod/dawp/dawp_0414.mp3 
성경본문 : 요한복음 21:15-19 

나를 따르라!

요한복음 21:15-19, 부활절 제3주, 4월14일

 

15 그들이 조반 먹은 후에 예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하시니 이르되 주님 그러하나이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이르시되 내 어린 양을 먹이라 하시고 16 또 두 번째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니 이르되 주님 그러하나이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이르시되 내 양을 치라 하시고 17 세 번째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니 주께서 세 번째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하시므로 베드로가 근심하여 이르되 주님 모든 것을 아시오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 양을 먹이라 18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젊어서는 스스로 띠 띠고 원하는 곳으로 다녔거니와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남이 네게 띠 띠우고 원하지 아니하는 곳으로 데려가리라 19 이 말씀을 하심은 베드로가 어떠한 죽음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것을 가리키심이러라 이 말씀을 하시고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나를 따르라 하시니

 

 

예수님의 제자들은 12명입니다. 이 사실은 막 3:13-19, 마 10:1-4, 눅 6:12-16절에 나옵니다. 복음서 기자들이 제자들을 거명할 때 반드시 베드로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가룟 유다입니다. 가룟 유다가 마지막으로 거론되는 이유는 그가 예수님을 배신했다는 데에 있습니다. 베드로가 첫 번째로 거론되는 이유는 복음서에 베드로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제자로 나온다는 데에 있습니다. 로마가톨릭교회는 베드로에게 사도의 수위권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마태복음의 이야기가 이런 주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니이다.”라고 대답한 베드로에게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하리라. 내가 천국 열쇠를 네게 주리니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며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마 16:18,19절).


베드로를 제자들 중에서 우두머리라고 보는 건 그렇게 정확한 게 아닙니다. “내 교회를 세우리니...” 하는 마태복음의 진술은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 나오지 않습니다. 이 사실을 모든 교회가 인정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복음서 기자는 베드로의 긍정적인 모습만이 부정적인 모습도 자주 언급합니다. 베드로는 예수님에게 “사탄아!” 하고 책망 받은 적도 있습니다. 예수님이 체포당하시고 재판받을 때 베드로는 세 번이나 예수님의 제자라는 사실을 부인했습니다. 베드로는 실제로 예수님을 배신한 가룟 유다보다 낫다고 볼 수 없습니다. 베드로에 대한 복음서의 이야기는 자연인 베드로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제자 전체에 대한 것입니다. 초기 기독교는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게 무엇인지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는 과정에서 열두 제자들의 이야기를 정리한 것입니다.

 

내 양을 먹이라

오늘 설교 본문인 요 21:15-19절도 그런 이야기 중의 하나입니다. 부활의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베드로의 대답입니다. “주님, 그러하나이다. 내가 주님을 사랑하는 줄 주님께서 아시나이다.” 그러자 예수님은 다시 베드로에게 말합니다. “내 양을 먹이라.” 이런 질문과 대답이 세 번이나 반복됩니다. 어떤 분들은 예수님이 세 번이나 반복해서 사랑하느냐고 물은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예수님은 신적인 차원의 사랑이라는 뜻의 ‘아가페’라는 단어로 물어봤는데, 베드로는 친구 사이의 사랑이라는 뜻의 ‘필로스’라는 단어로 대답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세 번이나 반복되는 질문에 베드로는 나중에 눈치를 채고 ‘아가페’로 대답했다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런 설명은 오해입니다. 헬라어 성경을 정확하게 보면 예수님은 아가페를 두 번, 필로스를 한번 사용해서 물었고, 베드로는 세 번 다 필로스로 대답했습니다. 여기서 아가페와 필로스의 구별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헬라 사람들은 물론 아가페, 필로스, 에로스라는 단어를 구별하긴 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사랑이 분리되는 건 아닙니다. 당시 헬라 사람들도 아가페와 필로스를 교차적으로 사용했고, 복음서 기자들도 여러 곳에서 동의어로 사용했습니다. 에로스를 일반적으로 이성 사이의 사랑이라고 해서 아가페나 필로스보다 낮추어보는 이들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마르쿠제의 <에로스와 문명>이라는 책에 의하면 에로스가 없으면 문명도 없습니다. 예술적인 열정은 다 에로스입니다. 시인의 행위도 에로스입니다. 요한복음서 기자는 예수님에 대한 베드로의 믿음을 아가페의 차원으로 올리려는 게 아니라 예수님과 제자들의 어떤 특별한 관계를 가리키는 겁니다. 그리고 그런 관계는 제자만이 아니라 모든 기독교인에게 적용됩니다. 그 특별한 관계라는 게 무엇일까요?


우선 예수님이 왜 세 번이나 물으셨는지를 보십시오. 그냥 한 번만 물어도 문제 될 것은 없습니다. 베드로가 어린아이도 아닌데 세 번이나 반복했다는 건 좀 이상합니다.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대답할 수 있긴 하지만, 반복한다고 해서 강조되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잔소리처럼 들릴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집에서 아내나 남편에게 “당신 나 사랑해?”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혹은 부모가 자식에게, 자식이 부모에게 물을 수 있습니다. 한번 대답을 듣고도 다시 두 번이나 더 물었다면 짜증이 날만합니다. 베드로는 세 번의 질문을 듣고 근심했다고 합니다. 양심의 가책을 받았는지 모릅니다. 앞에서 짚었듯이 바로 얼마 전에 예수님과의 관계를 세 번이나 부인한 일이 있었습니다. 예수님을 사랑한다고 말을 하더라도 배교의 가능성은 열려 있다는 경고가 아니겠습니까. 부부가 아무리 사랑한다고 다짐해도 배신할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사람은 그렇게 약합니다. 그러니 베드로가 양심에 가책이 되어 근심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겁니다.


예수님은 사랑하느냐는 질문을 하신 뒤에 또 똑같이 세 번에 걸쳐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내 어린양을 먹이라.” 세 번의 경우가 조금씩 그 표현이 다르기는 합니다. 두 번째에서는 “내 양을 치라.”고 했고, 세 번째에서는 “내 양을 먹이라.”고 했습니다. 세 번의 의미는 다 똑같습니다. 제자가 된다는 것은 단지 주님을 사랑한다는 말에 머무는 게 아니라 실제로 주님의 양을 먹여야한다는 뜻입니다. 주님의 양을 먹인다는 것은 기독교 공동체를 돌보는 일입니다. 요즘 식으로 말하면 목회입니다. 제자들은 목회의 사명을 감당해야만 했습니다.


열두 사도들의 목회적 사명은 속사도들에게 이어졌고, 다시 교부들에게, 그리고 여러 교회 지도자들에게 이어졌습니다. 그런 전통은 지금까지 지속됩니다. 이들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이들 없이 교회 활동이 불가능하다는 데에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목회는 두 차원이 있습니다. 하나는 개교회의 목회입니다. 신약성서에 나오는 바울의 편지들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교회 지도자들은 개별 교회를 책임졌습니다. 예배를 인도하고, 성경을 가르쳤습니다. 교회가 사이비 이단에 의해서 혼란스러워졌을 때 바른 길로 이끄는 사람이 교회 지도자들이었습니다. 아픈 사람을 찾아가서 기도하고,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 사람을 충고하고, 서로 싸운 신자들을 화해시킵니다. 개별 교회의 신자들을 영적으로 돌보는 일이 목회입니다.


목회는 개별 교회의 문제에만 제한되지 않습니다. 에큐메니컬 차원의 일들도 많습니다. 기독교는 세계 공의회를 통해서 중요한 교리를 결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325년에 열린 니케아 공의회와 381년에 열린 콘스탄티노플 공의회가 그것입니다. 거기서 예수의 본질이 하나님과 동일하다는 ‘호모 우시오스’라는 신학용어가 결정되었고, 그것에 기초해서 삼위일체론도 기독교의 정식 교리로 결정되었습니다. 397년 카르타고 공의회에서는 우리가 지금 성경으로 사용하는 신약 27권이 정경으로 결정되었습니다. 그것이 다 목회입니다. 오는 10월30일부터 11월8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는 WCC 총회도 이런 역사적 공의회와 연결됩니다. 이런 모임을 통해서 교회는 역사와 대화하면서 온 세계에 자신의 정체성을 표명합니다. 이런 것도 모두 베드로를 향해서 주신 “내 양을 먹이라.”는 명령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나를 따르라

“내 양을 먹이라.”는 주님의 명령을 따르는 건 간단하지 않습니다. 아무리 목회를 잘 하려고 해도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습니다. 사도들이 직접 목회하던 초기 교회도 문제가 많았습니다. 사도의 권위가 늘 유지되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사도들을 적대적으로 대하는 사람들도 나왔습니다. 초기 기독교는 아직 모든 체계가 잡히기 전이기 때문에 서로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교회 안에서 벌어지는 문제는 어떻게라도 처리해나갈 수 있지만, 교회 밖에서 불어 닥치는 시련은 감당하기 어려웠습니다. 사도들을 비롯해서 많은 사람들이 순교를 당했습니다. 로마 체제 아래서 기독교 신앙 안에서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여러 불이익을 감수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반 신자들보다 교회 지도자들에게는 더 어려운 일들이 많았습니다. 그럴 수밖에 없습니다. 로마 황제를 비롯해서 관료들은 일벌백계로 교회 지도자들을 다스려야만 다른 사람들의 복종을 얻어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고난의 길을 갔습니다.


그 사실이 오늘 본문에 반영되었습니다. 세 번에 걸쳐서 사랑과 양에 대한 이야기가 끝난 뒤에 예수님은 베드로의 운명을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네가 젊어서는 스스로 띠 띠고 원하는 곳으로 다녔거니와 늙어서는 네 팔을 벌리리니 남이 네게 띠 띠우고 원하지 아니하는 곳으로 데려가리라.”(요 21:18) 베드로의 순교를 가리키는 말씀입니다. 요한복음 기자가 뭘 말하려는지가 분명해집니다. 예수님의 제자로 산다는 것은 단순히 교회의 목회자요 지도자로 사는 것만이 아니라 고난을, 심지어는 순교까지 각오하라는 뜻입니다. 그런 뜻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말씀이 곧 본문 마지막 구절에 언급된 “나를 따르라.”입니다. 제자가 된다는 것과 고난을 감수하는 것은 똑같은 의미입니다.


“나를 따르라.”는 이 말씀이 요한복음에는 마지막 21장에 나오지만 공관복음에는 예수님의 공생애 앞부분에 나옵니다. 예수님은 공생에 초창기에 갈릴리 해변에서 어부로 살던 베드로와 안드레 형제를 부르셨습니다. “나를 따라오라. 내가 너희를 사람을 낚은 어부가 되게 하리라.” 다른 제자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부르심에도 이미 베드로에게 주어진 제자들의 운명이 포함되어 있는 게 분명합니다.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그의 운명과 일체가 되겠다는 결단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운명은 십자가와 부활입니다. 십자가의 고난 없이 부활의 영광도 없습니다. 십자가의 고난은 피하고 부활의 영광에만 참여할 수는 없습니다.


위의 설명은 다 아는 이야기이지요? 그렇지만 실제 삶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끼지는 않으시는지요? 흔한 말로, 고난은 ‘노’이고 영광은 ‘예스’이지요?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의 제자가 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다음과 같이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나를 따르라.”는 말씀은 당시 교회를 대표하는 베드로에게 하신 것이기 때문에, 좀더 확대한다고 해도 예수님의 열두 제자나 당시 교회 지도자들에게 준 것이기 때문에 오늘의 일반 신자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입니다. 또는 이런 고난과 순교 등은 폭력적인 로마제국이 지배하던 시대에 살던 초기 기독교인들에게나 어울리는 것이지 지금처럼 자유가 보장되고 민주화된 나라에서 사는 오늘 대한민국의 기독교인들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는 주장입니다. 일리가 있는 주장입니다. 제자로 산다는 것과 고난은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실제적인 문제로 다가오지 않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저도 실감이 나지 않습니다. 저는 지금 고난과는 상관없이 살고 있으니까요. 기독교 신앙이 고난과 연결된다면 신앙생활을 포기하는 게 낫다고 생각하는 기독교인들도 있을 겁니다.


제가 지금 여러분들에게 이 문제를 시원하게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이렇게만 말씀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나를 따르라.”는 주님의 말씀을 좀더 진지하게 생각해보십시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당신들 안의 불성을 찾으시오. 해탈하시오.’라고 말하지 않고, 또는 똑똑하고 모범적인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지 않고, ‘나를 따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기독교인들에게 영적인 화두입니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는 근본적으로 종교적인 요소가 부족합니다. 종교적 위로나 힐링이나 기복이 중심이 아니었습니다. 오히려 사람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말합니다. 너를 부인하고, 재산을 팔아 가난한 사람에게 주고, 십자가를 지고, 그리고 ‘나를 따르라.’고 합니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은 예수를 따른다는 겁니다. 웬만한 결단이 아니면, 제 정신으로는 기독교 신앙생활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나를 따르라.’는 말씀의 중심을 모른 채 무조건 믿은 광신자가 되든지, 아니면 그 부르심을 하찮게 생각하는 냉소주의자가 됩니다. 둘 다 기독교 신앙의 왜곡입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다시 질문합니다. “나를 따르라.”는 말씀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저 말씀을 우리가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습니까? 왜 믿음이 없냐고 책임을 묻는 말씀은 아닙니다. 일부러라도 고난을 당해야 한다는 압박도 아닙니다. 삶의 내용은 각자가 다릅니다. 어느 한 방향으로만 강요할 수 없습니다. 이 말씀은 실제로 예수의 제자로 사느냐, 하는 엄중한 질문이자,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강력한 요청입니다. 예수님을 사랑하고 예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제자라고 한다면 예수님의 운명에 온전히 집중할 겁니다. 그분의 운명이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운명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예수님과 그분에게 일어난 일이 실제로 무엇인지 더 깊이 아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것이 주님을 따르는 첫 걸음입니다. 바쁜 일을 다 처리하고 시간이 있으면 그렇게 하실 건가요? 그러다가 우리 인생은 다 끝나고 말 겁니다. 잊지 마십시오. 오늘도 주님은 우리를 향해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를 따르라.”


profile

[레벨:19]이선영

April 15, 2013
*.82.184.162

 목사님, 얼마 전에 자전거 타고 가다가 길 가에 서 있는 할머니  한 분을 만났어요.
거기에 제비꽃이 올망졸망 피어 있더라고요.
그 전에 거기서 사진을 찍은 적이 있던 터라, 할머니에게 "제비꽃 많이 피었지요?" 했더니,
"아유, 이 새파란 것들이 여기에.." 하며 허리를 숙이시더라고요.
그걸 뒤로 하고 가던 길을 갔어요.
오늘 설교 들으면서  기독교인들은 예수 앞에 멈춰선 사람들이 아닌가 싶었어요.
고정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계속 길을 가기 위해서요.
사랑의 고백은 쉽고 계속 길을 가는 건 어렵긴 하지만요.
그래도 일단 멈추면 내 꼬라지도 좀 알게 되고,
어떤 길로 가야 할지, 계속 가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조금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멈추면 비로소 보이'거나 하는 건 아닌 거 같아요.ㅎㅎ
멈춰도 안 보이는 건 끝까지 안 보이던데요. 
두려움 없이 가야겠지요? 없다기보담 눈 감지 않고,  두 눈 똑바로 뜨기.
'실패의 길을 가자'라고, 2007년 설교에 있었는데..
 마냥 기다려 주지 않겠지요, 제비꽃도 곧 질테고요.
오늘 오랜만에 땅바닥에 내려 앉은? 설교를 들어서 뭔가 좀 아는 척, 주절주절했슴다ㅠ
곧 지고 말 제비꽃 좀 보세요! 아, 원당에 널린 게 꽃일테니 좀 식상하지요?

크기변환_SNC03955.jpg

 
첨부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5, 2013
*.94.91.80

이선영 선생,
저렇게 땅바닥에 붙어서
빛나고 있는 제비꽃 말이오.
누가 봐주던 않든
그냥 저렇게 존재하고 있었군.
저게 자유겠지.
세계와 담을 쌓고 망상에 떨어지는 고립이 아니라
태양, 땅, 물, 벌레 등과 소통하는 열린 자유겠지.
어제 설교는 나 스스로도 감당하기 어려운 내용이었소.
과연 나는 예수를 따르고 있는 제자인가가 불안하다는 거요.
설교를 듣는 사람들이 그런 불안을 함께 공유했다면
설교자의 역할을 다 한 게 아닐까, 하고 자위할 뿐이오.
제비꽃의 영성으로 오늘 하루도 평화롭게 살아보시오.
내일 일은 내일 걱정하고...
 

profile

[레벨:14]Lucia

April 15, 2013
*.62.105.196

다 아는건데 실제 삶과 거리가 먼 얘기이지 않냐는 목사님의 질문에
멈췄습니다. 얼마전에 "중국십자가고난" 영상을 봤는데
그들처럼 예수를 따르다 겪는 고난이 뭔지도 모르구요.
근본적인 질문으로 돌아가게 하신 지금,,
다급해진 맘이 드는건 자신이 무지하다는데에
공부를 해야겠습니다.고맙습니다 목사님~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5, 2013
*.94.91.80

루치아 님,
'다급해진 맘'이 무언지
저에게 생생하게 와 닿는군요. 
영적인 절박성, 
생명 완성의 때에 대한 긴장감,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강렬한 희망 등등이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대개는 매너리즘에 빠지든지
또는 노이로제 현상 비슷한 것에 빠지거든요.
예수 운명과 하나가 되어가는 과정이
우리 기독교인들의 삶이겠지요.
이런 과정을 혼자가 아니라 함께 가는 신앙적 도반 관계가
바로 교회 공동체가 아닐는지요.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12]삼송

April 15, 2013
*.176.158.81

목사님^^예수님을 따르라 라는 말씀이 각자 삶의 처한 환경 맡겨진 일에 따라
완전히 틀린 것입니까? 예수님을 전하고 착하게 살고 검소하게 살고 생명을
소중하게 여기고 하는 그런 일과도 거리가 있는 내용입니까?
예수님을 위한 고난이 뭔지요? 잘 잡히지 않습니다.
말씀전하다가  죽는 것 이상의 무엇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구체적으로 말씀안해주시니까 제 영성이 목사님 설교를 따라가다 질문만 생깁니다.
일반적인 강대상에서 행해지는 설교는 순종하라 전도하라 헌신하라 이런 것들로 채워지고 그런 일들이
예수님을 따르는 것으로 일반화 되는데요 목사님 설교 말씀을 들으면 예전부터
답을 구체적으로 제시 하시지 않으시고 생각을 하게 하시니 늘 고민하고 질문하게 됩니다.
예수님께만 집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무엇이 필요할까요?
성경이 말하는 내용들이 2000년의 시공간을 초월해서 다가오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와
더불어 성령님의 인도하심을 구할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열심히 있는 기도 봉사 구제 그런 것들도 채워져도 때로는 공허하던데요 아무튼 어렵습니다 목사님!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5, 2013
*.94.91.80

예, 삼송 님, 나도 답답합니다.
2천년전 요한공동체로부터 전해진 저 말씀을
전혀 다른 상황에서 살고 있는 청중들에게 전한다는 게 말입니다.
설교는 기본적으로 성서텍스트의 해석으로부터 시작됩니다.
해석은 신의 언어를 인간의 언어로 번역하는 작업이라서
근본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완벽한 해석은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그렇다고 해서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거구요.
성령께 의지하면서 알려주신 것만큼 해석하는 겁니다.
예수를 따르는 것은 각자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비근한 예로 요즘 어떤 기독교인들은
차별금지법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어떤 이들은 방관하거나, 또는 찬성합니다.
누가 예수님을 바르게 따르는 것일까요?
기독교인 중에 기업가도 있고 노동자도 있습니다.
노사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 게
예수의 제자가 되는 최선일까요?
결혼 해야 할까요?
하지 않아도 될까요? ㅎㅎ
사람마다 모양이 다르고 분량이 다르고,
즉 은사가 다 다릅니다.
그들에게 똑같은 걸 강요하면 곤란합니다.
모두 마더 데레사처럼 살라고 하면 곤란한 거지요.
중요한 건 예수님을 따른다는 사실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겁니다.
받아들이기만 하고 행동은 없어도 되느냐, 하고 질문하고 싶지요?
실제로 예수님을 따른다는 사실을
자신의 신앙적 실존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어떻게 행동할지 성령께서 인도하실 겁니다.
그 인도를 경험하지 못했다면
그는 아직 예수님의 제자가 아닌 거지요.
제가 보기에 이 모든 것의 첫 걸음은
예수님과 그분에게 일어난 일에 집중하는 겁니다.
마치 복식호흡을 하는 사람들이
숨쉬기에 집중하는 것처럼이요.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5]BigMan

April 16, 2013
*.151.167.184

정목사님. 매주일 설교를 잠시 들려서 후딱 말씀만 읽고 나가지만.. 늘 귀한 말씀 주심에 감사합니다.
이번 본문에 나오는 아가페와 필레오, 아르니온(어린양)과 프로바톤(양), 보스코와 포이마이노, 또한 오이다와 기노스코가 섞여 쓰인 것에 대해서 의미를 두지 않으셔서 오히려 이해하기에 편해졌음을.. 또한 감사드려요.
예수를 따름도.. 예수의 제자로 살아간다는 것도.. 참 어려운 길입니다. 무엇보다 나 자신의 의 쌓기가 죽음이란 걸 인식해야 하겠죠? 두려움보다는 얻게된 생명에 더 천착해서 살고싶은데..  이곳에 오는 저와 같은 객도 같은길을 함께 가는 도반으로 여겨주시는것 같아 멀리 떨어져 있지만 함께 한 공동체에 있다 느껴집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6, 2013
*.94.91.80

빅맨 님,
그렇습니다.
예수의 제자라는 사실을 영적인 실존으로 받아들이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도반입니다.
달려갈 길을 다 달려갈 때까지
서로 격려하며 갔으면 합니다.
주님의 평화가...
profile

[레벨:13]진인택

March 06, 2014
*.220.104.49

목사님 바쁜일 처리하다가 1년 가까이 다비아에서 멀어졌었습니다. 심지어 오랫만에 들어 올 땐 ID , P/W가 생각이 안날때 당황했습니다. 어디 적어 놓은 것도 아니고. 그래도 어찌 어찌 기억해서 겨우 다시 들어왔습니다. 넓은 밭에 보물을 묻어 놓고서도 딴 데 눈돌리다 다시 돌아와서 헤멘 꼴이 었습니다.

각자가 주님께 순종하라는 의미가 조금은 이해가 안되었지만 순종과 고난은 친구들 같습니다. 지금이 초기 로마시대는 아니더라도 내가 십자가를 지는 것도 만만치가 않고 남에게 그걸 권하는 일은 더 쉽지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십자가고난이 무엇으로 어디로 연결되는지 알고 있습니다. 조금씩은 고난도 길이요 새생명 부활과 어떤 사거리에서 만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 내공이 좀 더 쌓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06, 2014
*.94.91.64

그렇군요.

그래도 잊지 않고 다비아를 찾아주셨군요.

상투적인 표현이기는 하나

하나님을 바르게 믿는 사람에게는

고난마저 은총이라는 사실이

언젠가 분명하게 깨닫게 되는 날이 옵니다.

길을 가봅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68249
648 성령강림절 귀신 이야기 (눅 8:26-39) [43] 2016-06-19 11925
647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37] 2016-06-13 8219
646 성령강림절 울지 말고, 일어나라! (눅 7:11-17) [16] 2016-06-05 14457
645 성령강림절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 (왕상 18:20-39) [20] 2016-05-29 9924
644 성령강림절 성령, 진리의 영 (요 16:12-15) [11] 2016-05-22 11526
643 성령강림절 교회는 성령공동체다 (행 2:1-21) [10] 2016-05-15 12145
642 부활절 "속히 오리라." (계 22:12-14, 16-17, 20-21) [16] 2016-05-08 9909
641 부활절 바울과 루디아 (행 16:9-15) [9] 2016-05-01 13916
640 부활절 '서로' 사랑하라. (요 13:31-35) [15] 2016-04-24 15135
639 부활절 예수가 그리스도라는 사실에 대한 증거 (요 10:22-30) [13] 2016-04-17 6634
638 부활절 죽임 당한 어린 양 (계 5:11-14) [9] 2016-04-10 7743
637 부활절 부활의 증인이란? (행 5:27-32) [9] 2016-04-03 7708
636 부활절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 (고전 15:19-26) [7] 2016-03-27 12241
635 사순절 예수 죽다! (눅 23:26-49) file [7] 2016-03-21 9036
634 사순절 마리아를 가만 두라! (요 12:1-8) [16] 2016-03-13 12841
633 사순절 하나님과 화목하라! (고후 5:16-21) [15] 2016-03-06 9147
632 사순절 유예된 심판 (눅 13:1-9) [6] 2016-02-28 9516
631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3] 2016-02-21 7300
630 사순절 하나님 여호와를 경배하라! (신 26:1-11) [6] 2016-02-14 7736
629 주현절 변모의 예수, 하나님의 아들 (눅 9:28-36) [3] 2016-02-07 8490
628 주현절 사랑, 하나님의 존재 방식 [9] 2016-01-31 7905
627 주현절 종말의 능력과 현실 (눅 4:14-21) [5] 2016-01-24 5923
626 주현절 하나님이 기뻐하시리라! (사 62:1-5) file [18] 2016-01-17 9466
625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눅 3:15-17, 21-22) [4] 2016-01-10 8256
624 성탄절 하나님 찬양과 하나님의 축복 (엡 1:3-14) file [6] 2016-01-03 9416
623 성탄절 기독교인 완전 (골 3:12-17) file [5] 2015-12-27 9717
622 성탄절 하나님의 위로 (사 52:7-10) file [4] 2015-12-25 10252
621 대림절 마리아 찬송 (눅 1:46-55) file [8] 2015-12-20 9357
620 대림절 기뻐하고 노래하라! (습 3:14-20) file [10] 2015-12-13 10386
619 대림절 하나님의 구원을 보리라! (눅 3:1-6) file [7] 2015-12-06 8452
618 대림절 예수께서 오실 때에 (살전 3:9-13) [9] 2015-11-29 9719
617 창조절 알파와 오메가 (계 1:4-8) [12] 2015-11-22 8999
616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질문 (막 13:1-8) [8] 2015-11-15 7145
615 창조절 서기관과 과부 (막 12:38-44) [14] 2015-11-08 11061
614 창조절 쉐마 이스라엘! (신 6:1-9) [4] 2015-11-01 15512
613 창조절 믿음-구원-열림-따름 (막 10:46-52) [6] 2015-10-25 9175
612 창조절 예수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다 (히 5:1-10) [8] 2015-10-18 8224
611 창조절 '예수 따름'의 문제 (막 10:17-31) [8] 2015-10-11 10602
610 창조절 욥의 운명, 욥의 믿음 (욥 1:1, 2:1-10) [14] 2015-10-04 10854
609 창조절 신앙과 소금 (막 9:38-50) [6] 2015-09-27 12439
608 창조절 고난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11:18-20) [12] 2015-09-20 8196
607 창조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막 8:27-38) [8] 2015-09-14 9996
606 창조절 행위와 믿음 (약 2:1-10, 14-17) [4] 2015-09-06 7718
605 성령강림절 법과 은총 (신 4:1-2, 6-9) [15] 2015-08-30 5638
604 성령강림절 갈곳 없는 사람들 (요 6:56-69) [15] 2015-08-23 8850
603 성령강림절 성령 가득한 삶 (엡 5:15-20) [10] 2015-08-16 10693
602 성령강림절 하늘의 양식 (요 6:35, 41-51) [8] 2015-08-10 7829
601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 6:24:35) file [15] 2015-08-02 8048
600 성령강림절 예수와 표적 이야기 (요 6:1-15) [12] 2015-07-26 11568
599 성령강림절 다윗과 예루살렘 성전 [10] 2015-07-19 8626
598 성령강림절 세례 요한의 죽음 (막 6:14-29) [10] 2015-07-13 19459
597 성령강림절 은혜의 자족성 (고후 12:2-10) [13] 2015-07-05 8742
596 성령강림절 '달리다굼' 말씀하시다 (막 5:21-24, 35-43) [10] 2015-06-28 10538
595 성령강림절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 (삼상 17:32-49) [8] 2015-06-21 21370
594 성령강림절 씨 비유 (막 4:26-34) [13] 2015-06-15 11697
593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6] 2015-06-07 7211
592 성령강림절 상투스 상투스 상투스 (사 6:1-8) [10] 2015-05-31 7078
591 성령강림절 성령의 도우심(롬 8:22-27) [14] 2015-05-24 10900
590 부활절 사도의 직무 (행 1:15-17, 21-26) [12] 2015-05-17 6781
589 부활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이다 (요일 5:1-6) [6] 2015-05-10 10001
588 부활절 예수는 참 포도나무다 (요 15:1-8) [8] 2015-05-03 12324
587 부활절 믿음과 사랑의 계명 (요일 3:16-24) [5] 2015-04-26 9196
586 부활절 몸의 부활 (눅 24:36-48) [12] 2015-04-19 12970
585 부활절 못 보고 믿는 자의 복 (요 20:19-31) [8] 2015-04-12 9844
584 부활절 "내가 주를 보았다!" (요 20:1-18) [8] 2015-04-05 6902
583 사순절 고난의 그리스도 (사 50:4-9) [8] 2015-03-29 8291
582 사순절 하나님의 영광, 그리스도의 영광 [4] 2015-03-22 7460
581 사순절 믿음의 능력 (요 3:14-21) [14] 2015-03-15 9655
580 사순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25) [10] 2015-03-08 8514
579 사순절 생명과 존재의 근원 (롬 4:13-25) [7] 2015-03-02 7333
578 사순절 약속의 하나님 (창 9:8-17) [2] 2015-02-22 9830
577 주현절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 (막 9:2-9) [4] 2015-02-15 8333
576 주현절 복음에 참여한다는 것 (고전 9:16-23) [4] 2015-02-08 11759
575 주현절 악령과 예수 (막 1:21-28) [2] 2015-02-02 8645
574 주현절 만물의 무상 앞에서 (고전 7:29-31) [12] 2015-01-25 8989
573 주현절 나다나엘의 신앙 너머 (요 1:43-51) 2015-01-18 9631
572 주현절 태초에 ... (창 1:1-5) [7] 2015-01-11 8784
571 성탄절 말씀이 육신이 되어 ... (요 1:10-18) [4] 2015-01-04 14216
570 성탄절 하나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 (갈 4:4-7) [7] 2014-12-28 11544
569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11] 2014-12-22 11726
568 대림절 초림과 재림 사이에서 (살전 5:16-24) [6] 2014-12-14 10097
567 대림절 그는 목자시다 (사 40:1-11) [2] 2014-12-08 10422
566 대림절 그 날과 그 때 (막 13:24-37) [8] 2014-11-30 14694
565 창조절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다 (엡 1:15-23) [4] 2014-11-23 16791
564 창조절 네 하나님 여호와를 기억하라! (신 8:7-18) [6] 2014-11-16 9933
563 창조절 "주께서 강림하실 때까지" (살전 4:13-18) [8] 2014-11-09 10632
562 창조절 끝까지 견디는 자 (마 24:1-14) [5] 2014-11-03 10874
561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을 넘어 (마 22:34-46) [2] 2014-10-26 12205
560 창조절 교회는 성찬 공동체다 (막 14:22-25, 고전 11:23-26) [7] 2014-10-19 7260
559 창조절 예수는 머릿돌이다 (마 21:33-46) [6] 2014-10-06 10485
558 창조절 믿음이 구원이다 (마 21:23-32) [6] 2014-09-28 10556
557 창조절 광야에서 만나를 만나다 (출 16:2-15) [4] 2014-09-21 13014
556 창조절 용서는 가능한가? (마 18:21-35) [24] 2014-09-15 14356
555 창조절 육신의 일을 도모하지 말라 (롬 13:8-14) [3] 2014-09-07 9944
55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일과 사람의 일 (마 16:21-28) [7] 2014-08-31 13300
553 성령강림절 모세와 예수 (출 1:8-2:10) [7] 2014-08-24 8881
552 성령강림절 불순종의 역설 (롬 11:1-2a, 29-32) [17] 2014-08-17 7646
551 성령강림절 믿음과 의심 사이에서 (마 14:22-33) [18] 2014-08-10 14745
550 성령강림절 이스라엘과 브니엘 (창 32:22-31) [12] 2014-08-04 11172
549 성령강림절 바울의 영적 확신 (롬 8:26-39) [6] 2014-07-28 9284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