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를 운전하는 남편과 오순도순 살아간다.
언니는 이름처럼 맑고 순하다. 그리고 부지런하고 알뜰하다.
순희 언니 같은 이웃을 만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참으로 큰 행운이다.
이 동네 바로 앞집에서 태어난 언니는 열 네 살에 집을 떠나
이른 나이에 결혼을 하고 딸 둘을 출가 시킨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와 친정집 바로 뒤에 지금 살고 있는 집을 지었다.
미나리 광이였던 늪지가 이렇게 이쁜 집터가 됬다며 동네 사람들이 감탄할 정도로
언니는 집을 꽃들과 나무로 아기자기하게 가꾸어 놓았다.
몇년 후, 그 옆에 우리가 집을 짓게 되어 순희 언니네랑 이웃이 되었다.
나보다 두 살 위여서 언니라고 부르기로 했다.
“ 나는 가방끈이 짧아유…”
그 때 언니는 이렇게 말했다. 그 말이 참 편안하고 친근했다.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린 계기이기도 했다.
가방 끈이 짧은지는 몰라도 순희 언니는 누구보다도 존재감이 있다.
타고 난 정성스러움으로 주변을 챙기기 때문이다.
언니에겐 진심과 정성이 배어있다. 꽃과 동물, 사람 모두에게 그렇다.
순희 언니의 한결같음, 따뜻함, 정성스러움을 가슴 깊이 좋아한다.
언니는 꽃을 좋아한다. 씨가 떨어져 제멋대로 자란 꽃 한 송이도 함부로 뽑아내거나 꺾지 않는다.
정성스럽게, 아주 정성스럽게 꽃과 나무를 다룬다. 그래서인지 다 죽어가던 화초들도
언니의 손을 거치면 싱싱하게 살아난다. 가히 신의 손이다.
외지에서 온 이들에겐 간혹 동네 사람들의 텃세도 심하다는데
우리는 언니부부의 도움과 배려를 얼마나 많이 받고 사는지 모른다.
순희 언니로부터 꽃나무 이름들과, 나무를 전지하는 법 등을 배웠고,
마늘 심는 시기와 콩 순을 잘라주는 법을 배웠다.
그 뿐이랴, 제철마다 나누어 주는 상추씨며, 고추 모종이며..,
언니네 블루베리와 앵두는 아예 같이 따 먹는다.
때로 반찬이 마땅치 않을 때면 언니는 말린 고사리나 취나물을,
혹은 손질한 머위 나물을 가져다 준다. 필요할 때 적재적소를 기가 막히게 알고 채워 준다.
순희 언니는 허세가 없고 실속이 있다. 언니의 그런 면이 나는 좋다.
그리고 무리한 욕심을 부리지 않고 분수대로 산다.
얼마나 더 잘 먹고 살 것이냐고, 너무 돈 벌려고 무리하지 말라고, 남편에게 당부한단다.
라면을 끓여 먹어도 배 속 편한 게 최고 아니냐고.
순희 언니의 목소리가 하이 소프라노로 올라가고 웃음소리가 커지면 술이 한 잔 들어간 거다.
빨개진 얼굴로 한껏 목소리를 높일 때 보면 문득 사랑스럽다.
순희 언니 부부 같은 이웃이 없었더라면 우리가 이 동네에 이렇게 잘 정착할 수 있었을까 싶다.
우리가 며칠 씩 집을 비우게 되면 보라와 닭들을 보살펴주고
순희 언니네가 집을 비우면 내가 또 그렇게 한다.
지구촌 모든 이들이 우리처럼 이렇게 오순도순 살아간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세상일까.
멀리 있는 형제보다 가까운 이웃이라고, 이제 순희 언니네와 우리는 말 그대로 이웃 사촌이다.
진심으로 서로를 걱정해주고 잘 되길 바라는 찐 이웃 말이다.
요즘 언니의 어깨가 많이 아파 걱정이다.
모쪼록 언니의 어깨에 쌓인 석회가 말끔히 녹아내려 아프지 않길 진심으로 바란다.


그림과 글이 정확하게 일치하네요.
이웃 언니 이름이 그 흔하디 흔한 '순희'군요. ㅎㅎ
글을 읽다보니 순희 씨의 순전함이 그대로 전달됩니다.
웃겨 님은 어디를 가나 사람을 잘 사귀시네요.
부럽습니다.
혹시 기회가 되면 저도 순희 씨를 한번 보고 싶다더라
하는 말을 전해주세요.
요즘 밤 공기가 왜 이리 감미로운지, 놀랄 지경입니다.
평화가...
사라졌던 그림이 다시 보이니까 참 반갑네요.
늘 좋은 글과 그림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