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2

큰 흑암과 두려움에서 (창 15:1-12, 17-18)

사순절 조회 수 6677 추천 수 0 2025.03.16 20:41:16
설교보기 : https://youtu.be/ItzX1RGLmG4 
성경본문 : 창세기 15:1-12, 17-18 

큰 흑암과 두려움에서

15:1-12, 17-18, 사순절 2, 2025316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은 유일신교의 대표 격인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와 이슬람교에서 믿음의 조상으로 인정받는 인물입니다. 아브라함이 믿음의 조상으로 인정받는 이유는 여럿입니다. 고향인 갈대아 우르를 떠나서 약속의 땅으로 가라는 하나님의 명령을 듣고 과감하게 고향을 떠났다는 게 첫 번째 이유입니다. 더 드라마틱한 이야기는 외아들 이삭을 번제로 바치라는 여호와 하나님의 명령을 그가 그대로 순종했다는 것입니다. 고향을 떠나는 일도 쉽지 않았고, 자식을 바치는 일은 더더욱 불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은 아브라함을 미쳤다고 생각했겠지요. 아들 이삭을 바치라는 명령은 하나님께서 실제로 인신 제사를 원하신 게 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을 시험하신 것이라고, 그리고 아브라함이 그 시험을 버텨냈다는 사실을 말하려는 것이라고 성경은 말합니다.

이삭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에, 그리고 아브라함의 이름이 아직은 아브람으로 불릴 때 그는 하나님 여호와를 특별한 방식으로 경험했습니다. 그 경험이 오늘 설교의 본문입니다. 15:1절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이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환상 중에 아브람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아브람아 두려워하지 말라 나는 네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니라.

 

여호와의 말씀이 환상 중에 임했다.’라는 표현이 재미있습니다. 천사를 본 것인지, 아니면 꿈을 꾼 것인지 모르겠으나 그가 경천동지할 어떤 큰 깨달음을 얻었다는 사실만은 분명합니다. 그런 깨달음이 잘못되면 사이비 교주에게서 보듯이 망상이고, 바른 것이면 선지자들에게서 보듯이 하나님의 계시입니다. 작곡가들도 음악을 환상 중에서 듣고, 화가들도 어떤 이미지를 환상 중에서 보고, 시인들도 시적 언어를 환상 가운데서 경험합니다. 그런 경험은 저절로 되는 게 아니라 그쪽의 세계로 깊이 들어갔을 때만 주어집니다. 예술적 영감이 오랜 훈련을 통해서 주어지듯이 하나님 말씀 경험도 비슷합니다. 아브라함은 고향인 갈대아 우르를 떠날 때부터 하나님과의 관계에 밀착했던 사람이기에 이따금 하나님의 말씀을 경험할 수 있었을 겁니다.

아브람아, 두려워하지 말라.”라는 말은 곧 아브람이 두려워했다는 뜻입니다. 그가 무엇을 두려워했을지는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그는 오래전 아버지 데라와 조카 롯과 아내 사라와 함께 갈대아 우르를 떠나서 중간 기착지인 하란에 머물렀다가 아버지 데라가 세상을 뜬 뒤에 하란을 떠나서 여기 가나안 땅으로 내려왔습니다. 몇몇 곳을 거쳐서 헤브론에 자리를 잡고 상당한 재력을 쌓았습니다. 그런데 아브람에게는 자식이 없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자식이 없으면 자기의 미래도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고향을 등진 아브람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간 듯합니다. 그는 하인 중에서 신실한 엘리에셀을 상속자로 삼을 생각이었습니다. 2절에서 아브람은 이렇게 말합니다. “나는 자식이 없사오니 나의 상속자는 다메섹 사람 엘리에셀이니이다.” 아브람으로서는 가장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그는 이런 말씀을 듣습니다. “그 사람이 네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네 상속자가 되리라.” 하나님께서 아브람을 밖으로 끌고 나가서 하늘의 별을 보라고 했습니다.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별이 빛나고 있었습니다. “네 자손이 이와 같으리라.” 그러자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었고, 여호와께서는 그의 믿음을 의롭게 여기셨다고 합니다.

 

믿음의 본질

우리는 믿음을 종종 오해합니다. 무조건 믿기만 하면 모든 어려움이 다 해결된다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래서 산을 옮길만한 믿음을 주시라.’라고 매달립니다. 어떤 그리스도인이 불치병에 걸렸다고 합시다. 또는 사업이 부도 직전이라고 합시다. 기도한다고 해서 이런 문제가 저절로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그리스도인은 구체적인 어려움을 해결해달라는 기도를 드릴 수 있고, 마땅히 드려야만 합니다. 예수께서도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실 때 죽음의 잔을 물리쳐 달라고 하나님께 간구했습니다. 그러나 자기의 뜻이 아니라 아버지의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했습니다. 핵심은 어떤 문제가 해결되느냐 않느냐에 있는 게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을 신뢰하느냐에 있습니다. 아브람도 후손이 하늘의 별처럼 많아진다는 사실 자체를 믿은 게 아니라 여호와를 믿었습니다. 그의 관심은 여호와 하나님이었습니다. 이게 중요합니다. 우리도 이 사실을 정확하게 인식할 때만 아브람처럼 여호와를 믿을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현대인들은 자기에게 일어나는 일에만 매달리기에 여호와를 믿기 힘듭니다. 종교 경험이 어렵다는 뜻입니다. 마치 어린아이들이 과자를 먹을 때만 엄마의 사랑을 느끼는 거와 비슷합니다. 어린아이들은 달콤한 과자에 마음을 종종 빼앗기기는 하나 실제로는 엄마만이 그에게 절대적인 존재입니다. 요즘 어른들은 끊임없이 과자만 찾는 철부지 어린아이들인지 모릅니다. 그리스도인도 실제로 여호와 하나님이 아니라 자기에게 벌어지는 일을 중심으로 교회 생활을 이어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교회 직분이 하나의 예입니다. 안수 집사, 권사, 장로가 되고 싶어 합니다. 하나님을 믿는 데에는 아무 관련성이 없는 것인데도 거기에 모든 걸 걸다시피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 문제로 시험에 들기도 합니다. 거꾸로 우리 교회에서는 나이가 든 이들을 명칭만의 권사와 장로로 부르는데도 극구 사양하기도 하고, 마지못해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아브람은 자기에게 좋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사실보다도 여호와 하나님만으로 만족해했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모든 믿음의 사람들과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활동한 모든 믿음의 사람들에게 나타난 특징이 바로 그것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믿으려면 먼저 하나님을 경험해야만 합니다. 아브람의 하나님 경험은 1절과 4절에 나오는 표현처럼 여호와의 말씀’(데바르 야웨)입니다. 말씀이 오는 일은 드물기도 하고 정말 충격적이기도 합니다. 너무 낯설어서 가능하면 피하고 싶은 경험입니다. 비유적으로 우리가 숲길을 걷는 중에 나무가 우리에게 말을 건다고 상상해 보십시오. 놀라서 넘어지겠지요. 모세는 호렙산에서 이리로 가까이 오지 말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3:5)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이어서 나는 네 조상의 하나님이니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이니라.”(3:6)라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그러자 모세는 하나님 보기를 두려워하여 얼굴을 가렸다고 합니다. 하나님 말씀을 경험하는 일은 두렵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예수 믿는 자들을 체포하러 다메섹으로 가다가 홀연히 하늘로부터 빛이 쏟아지는 걸 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소리를 들었습니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어찌하여 나를 박해하느냐?”(9:4) 사울은 땅에 엎어졌다가 일어나서 눈을 떴으나 아무것도 볼 수 없어서 사람들의 손에 끌려서 다메섹으로 들어갔다고 합니다.

 

깊은 잠

오늘 본문은 아브람의 하나님 경험을 12절에서 종교 문학적인 방식으로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해 질 때에 아브람에게 깊은 잠이 임하고 큰 흑암과 두려움이 그에게 임하였더니

 

아브람이 깊은 잠에 빠져들었다는 말은 실제로 잠들었다기보다는 그의 일상적인 정신활동과 감각 활동이 멈추었다는 뜻이겠지요. 하나님 경험은 이처럼 깊은 잠이라는 은유로 말할 수밖에 없는 특별한 현상입니다. 일상에서는 여러 가지 계산서가 생각납니다. 복잡한 인간관계로 골치가 아픕니다. 남편 걱정, 자식 걱정으로 정신이 없습니다. 거기에 머물러 있는 한 하나님 경험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거꾸로 하나님을 경험하면 깊은 잠에 빠져들 듯이 우리의 일상적 시시비비와 자기 걱정이 사라집니다. 자기의 실존을 초월하는 경험입니다. 사람들은 가끔 독서삼매에 빠진다고 말합니다. 그 순간에는 책 내용만 생각납니다. 우리에게 하나님 경험이 드문 이유는 깊은 잠에 떨어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너무 정신이 말짱해서, 정확히 말하면 우리 정신이 자기와 세상일로 너무 혼란스러워서 하나님 말씀이 들어올 수 없는 겁니다.

깊은 잠에 빠진 아브람에게 큰 흑암과 두려움이 찾아왔다고 합니다. <새번역> 성경은 깊은 어둠과 공포가 그를 짓눌렀다.”라고 번역했습니다. 모두가 피하고 싶은 경험입니다. 사람들은 가능한 한 밝음과 즐거움만 느끼고 싶습니다. 그런데요. 하나님 경험은 흑암과 두려움입니다. 깊은 어둠과 공포입니다. 이를 종교학에서는 누미노제(Numinose)라고 합니다. 루돌프 오토가 처음 사용한 단어인데, 거룩한 두려움으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창조자 하나님의 거룩함 앞에 섰을 때 피조물의 한계를 절감하는, 아주 특별하고 낯선 느낌입니다. 독일 중부 도시 쾰른에는 독일에서 가장 큰 고딕식 대성당이 있습니다. 방문객이 하나도 없는 어느 날 혼자 그 성당에 들어가 자리에 앉았는데, 갑자기 웅장한 파이프 오르간 소리가 들린다고 합시다. 거기서 오는 전율이 바로 누미노제입니다. 어떤 산악인이 혼자 8,850미터 에베레스트 정상에 올랐고 합시다. 아무도 없습니다. 위로는 하늘만 보이고 아래로는 만년설로 뒤덮인 산 능선만 보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작은 존재인지를 절감하면서 큰 두려움에 휩싸일 겁니다. 한 가지 예만 더 들겠습니다. 여기 어떤 젊은이가 친구들과 함께 춤추는 야간 업소에 놀러 갔습니다. 저는 한 번도 그런 곳에 가본 적이 없어서 정확하게는 몸으로 실감하지는 못하지만, 영화에서는 보았기에 대충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 젊은이가 갑자기 그런 흥겨운 분위기에서 내가 누구지?’라는 질문에 휩싸였습니다. 여기서 이렇게 술 마시고 춤추면서 흥겨워하는 자신이 너무 낯설었습니다. 많은 사람이 거기 모였으나 그는 철저하게 혼자라는 사실을 절감했습니다. 그 완벽한 고독에서 느끼는 정감이 곧 누미노제입니다. 오늘 본문이 말하는 큰 흑암과 두려움입니다. 이런 경험 없이 하나님 경험은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반론을 펼칠 것입니다. ‘나는 본래 종교적인 인간이 아니라 세속적인 인간이다. 그러니 거룩한 두려움이나 큰 흑감 같은 거 생각하기 싫다. 그런 걸 생각하기보다는 그렇지 않아도 고달프면서도 짧고 짧은 인생이니까 실컷 즐기면서 살다가 죽겠다.’ 이렇게 산다는데 누가 옆에서 말릴 수 있겠습니까. 제가 보기에 그렇게 사는 건 다른 동물도 다 하는 겁니다. 순간에 묶여서 사는 겁니다. 그들에게는 지금 당장 즐겁고 재미있는 게 최고입니다. 동물이라면 그렇게 사는 게 마땅하나 인간은 그렇게 살 수가 없습니다. 인간만이 순간이 아니라 역사를 생각합니다. 인간만이 자기의 실존을 뚫어봅니다. 인간만이 주변 세계와 자신의 관계를 의식합니다. 그래서 인간만이 언어를 구사합니다. 저는 지금 동물은 수준이 낮고 인간만 높다는 걸 말하는 게 아닙니다. 누구의 수준이 높고 낮은가의 문제가 아니라 동물과 인간은 다르다는 사실을 말하는 겁니다. 우리도 동물이 분명하지만, 동물과는 다른 동물입니다. 인간만이 자기가 어머니 뱃속에서 배아 상태에서 시작했다는 사실과 자기가 죽는다는 사실을 평생 의식하면서 삽니다. 자기가 완전히 소멸할 미래를 내다봅니다. 그래서 인간만이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리고, 악기를 연주하고, 작곡합니다. 인간만이 함께 모여 예배하고, 때로는 출가 수도승의 길을 갑니다. 그럴 때만 인간의 인간다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만 내면의 세계가 풍성해지기 때문입니다. 일상을 제대로 생명 충만하게 누릴 수 있고, 영혼의 자유를 경험합니다. 오늘 21세기 현대인의 내면적 삶은 자기들이 원하듯이 실제로 풍성해지고 있을까요, 아니면 먹을거리와 짝짓기에만 숙명적으로 묶여서 사는 동물처럼 단조로워지는 건 아닐까요?

 

타는 횃불

오늘 설교 본문은 창 15:12절에서 몇 절을 뛰어넘어서 17-18절로 갑니다. 아브람이 큰 흑암과 두려움에 휩싸였을 때 어떤 특별한 현상이 다시 일어났다는 겁니다. 17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연기가 나는 화로가 보이며 타는 횃불이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더라.” 아브람이 준비한 암소와 암염소와 숫양과 산비둘기와 집비둘기 새끼(15:9)가 번제(燔祭)로 바쳐지는 장면입니다. 고대인들에게 하나님은 종종 불로 나타납니다. 앞에서 짚었던 모세의 호렙산 이야기에 불이 나오고,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의 성령 강림 사건에도 불길이 나옵니다. 18절은 여호와께서 아브함과 더불어 언약을 세워 이르시되라고 했습니다. 언약의 내용은 가나안 땅을 아브람의 자손에게 주겠다는 것입니다. 땅 문제는 늘 예민합니다. 땅이 돈벌이의 수단이 되었기에 땅을 주겠다는 약속은 곧 부자가 되게 하겠다는 것으로 들립니다. 그게 아닙니다. 하나님이야말로 생명의 근본이고 토대라는 뜻입니다. 아브람은 가나안 땅을 믿은 게 아니라 하나님을 믿었습니다. 큰 흑암과 두려움에서 그는 이제 하나님을 통해서 자신의 미래를 확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큰 흑암과 두려움을 경험한 사람만이 하나님이 행하시는 생명의 약속을 믿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십자가에 처형당한 예수님을 그리스도이며 하나님의 아들로 믿습니다. 이게 정말 얼마나 놀라운 믿음인지를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아브람에게 하나님의 말씀이 임했을 때 두려워했고, 큰 흑암과 두려움에 빠져들었다고 했던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은 경악스러운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예수 당신에게도 감당하기 어려운 사건이었고, 제자들에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인류 역사에서 벌어진 가장 큰 흑암이고 가장 큰 두려움입니다. 이와 달리 오늘 그리스도인은 십자가를 통한 구원을 사탕처럼 달콤하게 여깁니다. 예수께서 우리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처형당했기에 죄 많은 우리가 구원받을 수 있게 되었으니 얼마나 감사하냐고 말입니다. 아닙니다. 먼저 큰 흑암과 두려움 안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하나님의 아들마저 죽이는 세상이라니, 의로운 자가 억울하게 죽는 세상이라니 우리가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예수와 함께 죽어야 한다니, 이걸 어떻게 감당할 수 있나요. 큰 흑암과 두려움을 직면하면 이제 구원의 빛이 보일 겁니다. 어중간하면 죽도 밥도 아닙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용감하게 흑암과 두려움에 맞서 봅시다. 여전히 실감이 나지 않으시나요? 박테리아가 기다리는 무덤에 홀로 묻히거나 뜨거운 불길이 기다리는 화장터 화로 안으로 홀로 들어가는 여러분의 미래를 상상해 보십시오. 그 끔찍한 공포의 순간에도 우리의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여러분과 함께하신다는 약속을 잊지 마십시오.


profile

[레벨:30]모모

March 17, 2025
*.134.194.227

아브람과 그 자손에게 땅을 주겠다는 약속이 하나님이야말로 생명의 근본이고 토대라는 뜻이라는 말씀이 무슨 뜻인지 알듯말듯 잘 모르겠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7, 2025
*.151.73.227

우리가 사는 데는 의식주가 필요합니다.

더 중요한 건 두 발을 딛고 살아갈 땅입니다.

그외에도 물도 필요하고 공기도 필요하고 사랑하는 사람도 옆에 있어야 합니다.

넓은 땅과 별처럼 많은 후손을 주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은

그분이 우리 삶의 토대라는 사실을 의미합니다.

어린아이에게 옷도 있어야 하고 밥도 있어야 하고 장난감도 있어야 하나

더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엄마와 아빠인 것처럼 말입니다.

그래서 예수께서는 무엇을 먹고 마시고 입을까 걱정하지 말고 

하나님 나라와 의를 구하라고 말씀하셨지요.


profile

[레벨:34]우디

March 17, 2025
*.49.16.210

설교본문(창15)에서 아브람은 큰 흑암과 두려움으로 누미노제의 경험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늘의 별과 같은 자손의 약속을 받습니다.

그 표현도 강렬하고 스펙터클합니다.


누미노제에 이어 그후 창21에서 백세의 나이에 아들 이삭을 낳는 기적을 경험합니다.


그후 창22에서 아브라함은 생존에 대한 극심한 불안과 함께 인신(아들 이삭)제사의 유혹에 빠져듭니다.

(http://dabia.net/xe/sermon/1075789   2023년7월2일 설교)


저의 인간이해가 여전히 좁고 얕은 탓인지, 그 당시 세계관을 잘 모르는 탓인지,  이게 참 이해가 안됩니다.

창15의 하나님 경험, 창21의 기적적 노산 경험을 하고도 창22에서 인신제사의 유혹에 빠진다는 것이요.


그렇다면......

과연 창15의 실제경험이 그렇게 위와같이 표현할만큼 뚜렷했던 것일까 의심스럽습니다.

주변사람들과는 다른 신상을 가지고,

선한 창조주, 역사의 주인으로서의 신을 믿으려는 영혼의 자유를 찾아 고향을 떠났지만,

불안했고, 인신제사의 유혹까지 느꼈던 이유는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아 늘 흔들렸고, 

하나님 경험도 짙은 안개 속의 희미한 불빛 같았기 때문이었을 것 같아요.


위대하고 흔들림 없는 믿음을 가져서 믿음의 조상이 아니라

참신은 창조주이고 역사의 주인이고 선한 신일 것이라는 하나님 상을 가지고

힘들었지만, 잃지 않고 지켜낸 시조격으로서의 믿음의 조상 아닐까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7, 2025
*.151.73.227

질문이 여러 개처럼 보이기도 하고, 한 개인 것도 같고, 없는 것도 같습니다. ㅎㅎ

일단, 아브라함 서사는 한 인물의 인생 여정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게 아니라 

고대 이스라엘 백성의 하나님 경험과 고백을 에피소드 형식으로 나열한 겁니다.

그래서 아브라함과 이삭에게서 '아내를 누이라고 속이는' 똑같은 이야기가 반복되기도 합니다.

15장, 21장, 22장을 굳이 연속적으로 읽을 필요는 없어요.

15장의 충격적인 경험이 있었는데도 22장의 인신제사 유혹을 받는다는 게 전혀 이상하지 않아요.

하나님 경험은 깊어질수록 더 불안해진답니다.

예수께서는 십자가에서 '왜 나를 버리시나요?'라고 절규했다지 않습니까.

 

profile

[레벨:11]소유와존재

March 17, 2025
*.126.156.157

내 삶에서 찾아오는 흑암과 두려움의 경험이 뭔가 거창한(?) 것일까요?

스치듯 지나가는 외로움, 재미없음, 무료함.... 이런 것들에 두려움을 더 느끼고 있는 건 아닌지...

돌아보면 성서가 말하는 그런 대단한 흑암과 두려움에 사로잡힌 경험은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죽음을 직면해야 할까요? 십자가에 처형당한 예수 그리스도를 직면해야 할까요?

아니면 흑암과 두려움을 제가 직면하지 않고 피하고 있는 걸까요?

한번씩 솔직하게 저 자신을 뒤돌아 볼때 정말 유치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발견하고서는 놀라게 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7, 2025
*.151.73.227

ㅎㅎ 피한다는 게 정확한 자기 성찰일 겁니다.

현대 문명은 우리로 '가벼움의 극치'를 살게 한답니다.

'왜 有는 존재하고, 無는 없는가?'와 같은 질문을 거들떠보지 않게 됩니다.

교회생활도 거의 종교적 엔터테인먼트 수준에서 진행되고요.

신자들이 그런 데에만 호응하고 있으니 

생각 있는 목사들도 '성서의 놀라운 세계'(바르트)를 말할 수 없겠지요.

profile

[레벨:30]모모

April 16, 2025
*.134.194.227

하나님은 왜 이스라엘 백성을 출애굽 후에 광야에 머무르게 하시지 않고 굳이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게 하셨을까요?
광야에 머무르는 게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신뢰하는 데에 훨씬 나았을 건데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April 17, 2025
*.45.99.73

글쎄 말입니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들이 가나안에 자리를 잡은 뒤에 생각해보니까

광야를 머물리 않고 지나가는 게 하나님의 뜻이었다는 결론이 났겠지요.

가나안은 그 지역에서 농사도 짓고 양도 키울 수 있는,

찾아보기 어려운 장소랍니다.

초승달 모양이라는 말도 있어요.

영혼의 건강을 위해서는 광야가 더 좋겠으나

사람은 조금이라도 편하게 먹고 살아야 하니까 

선택하기가 쉽지 않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112 성령강림절 구원의 능력인 하나님의 사랑 (롬 5:1-5) update 2025-06-15 127
1111 성령강림절 종의 영 vs 자녀의 영 (롬 8:14-17) [5] 2025-06-08 616
1110 부활절 예수께 드러난 하나님의 사랑 (요 17:20-26) 2025-06-02 505
1109 부활절 바울의 거룩한 비전 (행 16:9-15) 2025-05-25 575
1108 부활절 여호와를 찬양하라 '할렐루야'! (시 148:1-14) 2025-05-18 794
1107 부활절 예수의 아버지 (요 10:22-30) 2025-05-11 780
1106 부활절 예수 '따름'이 답이다! (요 21:15-19) 2025-05-05 1484
1105 부활절 '생명'을 얻는다는 사실에 관해서 (요 20:19-31) [2] 2025-04-27 1790
1104 부활절 부활은 죽음의 죽음이다! (고전 15:19-26) [2] 2025-04-20 1820
1103 사순절 나사렛 예수의 십자가 처형 (눅 23:1-49) [2] 2025-04-13 2198
1102 사순절 택함 받은 증거 (사 43:16-21) 2025-04-07 2055
1101 사순절 "하나님과 화해하십시오!" (고후 5:16-21) 2025-03-30 2543
1100 사순절 하나님은 심판하시나? (눅 13:1-9) [2] 2025-03-23 5157
» 사순절 큰 흑암과 두려움에서 (창 15:1-12, 17-18) [8] 2025-03-16 6677
1098 사순절 믿음이 구원이다! (롬 10:8b-13) 2025-03-10 5319
1097 주현절 오직 예수! (눅 9:28-36) [1] 2025-03-02 6678
1096 주현절 "나는 부활을 믿습니다." (고전 15:35-38, 42-50) 2025-02-23 6654
1095 주현절 복과 화의 역설 (눅 6:17-26) [2] 2025-02-16 6458
1094 주현절 생명의 그루터기 (사 6:9-13) 2025-02-09 6381
1093 주현절 나사렛 사람들 (눅 4:21-30) [2] 2025-02-03 6929
1092 주현절 기쁨의 근원 (느 8:1-3, 5-6, 8-10) [2] 2025-01-26 7397
1091 주현절 혼례와 포도주 이야기 (요 2:1-11) [2] 2025-01-19 6704
1090 주현절 세례와 성령 (행 8:14-17) [2] 2025-01-12 6935
1089 성탄절 성육신의 신비 (요 1:10-18) 2025-01-06 7908
1088 성탄절 하나님이 선택하신 사람 (골 3:12-17) [2] 2024-12-29 8654
1087 대림절 미래의 통치자 (미 5:2-5a) [2] 2024-12-22 10127
1086 대림절 성령과 불 세례 (눅 3:7-18) [5] 2024-12-15 10362
1085 대림절 충만한 '의로움의 열매' (빌 1:3-11) 2024-12-08 10658
1084 대림절 "내가 종일 주를 기다리나이다." (시 25:1-10) [2] 2024-12-03 11686
1083 창조절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 (요 18:33-38) 2024-11-24 11676
1082 창조절 성소에 들어갈 담력 (히 10:11-14, 19-25) [3] 2024-11-17 11192
1081 창조절 영혼이 갈급한 사람 (막 12:38-44) [2] 2024-11-10 11730
1080 창조절 전심전력 귀 기울임 (신 6:1-9) [4] 2024-11-04 12929
1079 창조절 시각 장애인 바디매오 이야기 (막 10:46-52) 2024-10-27 13678
1078 창조절 세계의 비밀이신 하나님 (욥 38:1-7) 2024-10-20 16212
1077 창조절 십계명 '너머' (막 10:17-22) [4] 2024-10-13 16052
1076 창조절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히 1:1-4, 2:5-10) [4] 2024-10-07 16351
1075 창조절 지옥 이야기 (막 9:38-48) [2] 2024-09-29 16246
1074 창조절 하늘의 지혜 (약 3:13-18) [2] 2024-09-23 16049
1073 창조절 의로움의 원천 (사 50:4-9a) [5] 2024-09-15 16505
1072 창조절 무엇이 '놀라운 일'인가? (막 7:31-37) [2] 2024-09-08 16822
1071 창조절 생명의 길 (신 4:1-2, 6-9) 2024-09-02 16943
1070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말씀 (요 6:60-69) 2024-08-25 17322
1069 성령강림절 성령 충만의 길 (엡 5:15-20) [4] 2024-08-18 16330
1068 성령강림절 영혼의 깊이 (시 130:1-8) [2] 2024-08-11 16927
1067 성령강림절 생명의 양식 (요 6:24-35) 2024-08-05 16584
1066 성령강림절 그리스도의 사랑과 하나님의 충만하심 (엡 3:14-21) 2024-07-28 16233
1065 성령강림절 메시아 대망 (렘 23:1-6) 2024-07-21 17249
1064 성령강림절 선지자 '너머' (막 6:14-29) [2] 2024-07-14 16926
1063 성령강림절 제자들의 축귀 능력 (막 6:1-13) [2] 2024-07-08 17140
1062 성령강림절 공평한 세상을 향하여! (고후 8:7-15) 2024-06-30 17040
1061 성령강림절 "그는 누군가?" (막 4:35-41) [2] 2024-06-23 17407
1060 성령강림절 사람의 외모와 중심 (삼상 16:1-13) 2024-06-16 16868
1059 성령강림절 하늘에 있는 영원한 집 (고후 4:13-5:1) [4] 2024-06-09 17619
1058 성령강림절 안식일 문제 (막 2:23-3:6) [2] 2024-06-03 20831
1057 성령강림절 이사야의 '충만' 경험 (사 6:1-8) [2] 2024-05-26 22825
1056 성령강림절 파라클레토스 (요 16:4-15) [2] 2024-05-19 22638
1055 부활절 믿음과 영생 (요 3:1-15) 2024-05-13 21520
1054 부활절 믿음과 사랑 (요일 5:1-6) 2024-05-05 21143
1053 부활절 상호내주의 신비 (요 15:1-8) [4] 2024-04-28 24506
1052 부활절 부족함 없는 삶, 가능한가? (시 23:1-6) 2024-04-21 27375
1051 부활절 죽은 자 가운데서 (눅 24:36b-48) [2] 2024-04-14 26473
1050 부활절 생명의 로고스 (요일 1:1-10) [5] 2024-04-08 27857
1049 부활절 예수 부활의 첫 증인들 (막 16:1-8) [4] 2024-03-31 24552
1048 사순절 향유를 손에 든 여자 (막 14:1-11) [4] 2024-03-24 24618
1047 사순절 새 언약의 날 (렘 31:31-34) [2] 2024-03-17 24021
1046 사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6] 2024-03-10 24585
1045 사순절 십자가의 길과 하나님의 능력 (고전 1:18-25) [2] 2024-03-04 24148
1044 사순절 예수 승천과 하나님 우편 (벧전 3:18-22) [9] 2024-02-18 25866
1043 주현절 예수의 변모 사건 (막 9:2-9) [5] 2024-02-11 24483
1042 주현절 여호와를 믿고 기다리는 사람 (사 40:21-31) [6] 2024-02-05 24040
1041 주현절 예수의 배타적 권위 (막 1:21-28) [4] 2024-01-28 25594
1040 주현절 부름-버림-따름 (막 1:14-20) [2] 2024-01-21 25440
1039 주현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2] 2024-01-14 25338
1038 주현절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세례 (행 19:1-7) [5] 2024-01-07 25059
1037 성탄절 만물의 찬양 (시 148:1-14) [2] 2023-12-31 27122
1036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2] 2023-12-24 31283
1035 대림절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2] 2023-12-17 31159
1034 대림절 하나님의 날: 새 하늘과 새 땅 (벧후 3:8-13) [2] 2023-12-10 30937
1033 대림절 깨어있음이란? (막 13:24-37) [2] 2023-12-04 31012
1032 창조절 교회는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다! (엡 1:15-23) [2] 2023-11-26 25187
1031 창조절 은혜를 갈망하는 시인 (시 123:1-4) [4] 2023-11-19 25086
1030 창조절 외면당한 사람들 (마 25:1-13) [5] 2023-11-12 25952
1029 창조절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의 역설 (마 23:1-12) [2] 2023-11-07 25412
1028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마 22:41-46) [7] 2023-10-29 24905
1027 창조절 재림신앙 (살전 1:1-10) [4] 2023-10-22 24973
1026 창조절 금송아지 이야기 (출 32:1-14) 2023-10-15 24944
1025 창조절 모퉁이 머릿돌이신 예수 (마 21:33-46) 2023-10-09 26403
1024 창조절 과정으로서의 구원 (빌 2:1-13) 2023-10-01 27505
1023 창조절 하나님의 선하심 앞에서 (마 20:1-16) [2] 2023-09-24 25504
1022 창조절 홍해 이야기 (출 14:21-31) 2023-09-17 25258
1021 창조절 도반 공동체 (마 18:15-20) [4] 2023-09-10 26092
1020 창조절 '악' 앞에서 (롬 12:14-21) [4] 2023-09-04 25290
1019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2023-08-27 27208
101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큰 믿음 (마 15:21-28) [6] 2023-08-20 26216
101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롬 9:1-5) [2] 2023-08-08 25993
1016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에 관한 말씀 (마 13:31-33, 44-50) [2] 2023-07-30 27546
1015 성령강림절 여기 계신 하나님 (창 28:10-19a) [4] 2023-07-23 25942
1014 성령강림절 생명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1-11) 2023-07-16 27211
1013 성령강림절 영혼의 안식 (마 11:16-19, 25-30) [4] 2023-07-09 26142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