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 리더십에 반(反, 또는 叛)하다.
 
<’반하다’는 말을 혹시 오해할지 몰라 한자를 덧붙입니다. 이 때의 ‘반’은 反, 또는 叛 입니다.>
 
5. 노자가 기가 막혀!
 
지난해 10월, 흥미로운 기사 하나가 눈에 띄어 갈무리를 해 놓은 적이 있다.
 
<삼성 사장단이 연말 인사철을 앞두고 리더십 공부를 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31일 열린 삼성수요사장단 회의에는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가 ‘노자에게 배우는 리더십’을 주제로
무위(無爲·자연법칙에 따라 행위하고 인위적인 작위를 하지 않음)의 개념을 적용한 리더십에 대해 설명했다. 최 교수는 올 6월에도 삼성수요사장단 회의에서 ‘노자에게 배우는 경영의 지혜’를 강연한 적이 있다.> (조선일보, 2012. 10. 31)
 
드디어 노자를 리더십 주창자의 반열에 올린 학자의 주장이 나왔구나, 하는 놀라움에 이 기사를 스크랩해 놓았는데, 조선일보의 기사에서는 최교수가 노자를 주제로 하여 6월과 10월 두번 강의를 했다고만 했을 뿐, 그 내용에 대하여는 아무 말이 없어서, 그저 강의의 제목으로만 내용을 유추할 뿐, 그 이상의 생각은 하지 못하고 리더십과 경영의 지혜라는 별개의 강의인줄 알았다.
물론 그런 강의의 제목만으로도 충분하게 의아했었다. 왜냐면 최교수의 책-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 <인간이 그리는 무늬> – 에서는 그런 조짐을 읽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두 책에서 최교수는 노자를 리더십과 연결시키는 발언을 한 적이 없고, 더군다나 경영의 지혜를 언급한 적이 없었으니, 이를 어떻게 이해 해야 할지?
 
그로부터 몇 달 후, 다른 신문에서 이 강의에 대하여 더욱 흥미로운 사실을 전하고 있다.
 
<사장단회의의 강사와 강의 주제는 삼성이 현재 어떤 것을 고민하는지 엿볼 수 있는 바로미터다. 2012년 한 해 동안 이뤄진 44차례의 회의를 주제별로 구분하면 경영 관련이 11차례로 가장 많았고, 국제사회 이해에 대한 강의가 9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중국은 4차례나 주제로 다뤄지면서 삼성이 가장 많이 연구하는 지역으로 꼽혔다. 소통(4차례), 리더십(4차례) 등도 삼성이 깊이 고민하는 주제였다. 노자, 한비자, 역사, 한시 등 인문학 강의도 종종 눈에 띈다. 통섭, 융합, 창조적 파괴가 경영의 최고 화두가 된 덕분이다. 서강대 최진석 교수는 5월과 10월 ‘노자에게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 노자에게 배우는 리더십’이라는 사실상 똑같은 주제로 앙코르 강연을 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한겨례, 2013.04.11)
 
내가 궁금했던 것 - '노자에게서 배우는 리더십'과 '노자에게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가 어떻게 다를까 – 에 대한 답이 거기 있었다. 최교수는 제목만 달리 했을 뿐, 같은 내용을 강의했다는 것, 그러니 ‘노자에게 배우는 리더십’이라는 강의와 ‘노자에게서 배우는 경영의 지혜‘’라는 강의가 사실상 똑 같은 것이라는 사실! 그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결국 최교수는 ‘리더십’이 바로 ‘경영의 지혜’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경영의 지혜라는 무엇일까?
다름 아니라, 인력관리 및 조직관리이다. 조직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인력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인력관리와 조직관리의 요체가 무엇인가? 바로 효율이다. 다시 말하면 투입 대 산출의 관계에서 그 생산성을 극대화 시킨다는 것, 그게 바로 경영의 지혜이다.
그리고 그런 것을 어떻게 이끌어가는가, 하는 물음에 대답하는 것이 요즈음 각광받고
있는 소위 리더십이다.
 
그런데 언제 노자가 그런 언급을 했던가? 아니 노자의 어떤 발언이 ‘경영의 지혜’로 분류할 만한 것이 있었던가? 대체 최교수는 노자의 어떤 발언을 리더십으로, 경영의 지혜로 분류하는 만행(?)을 저질렀을까? 노자가 이를 알면 기가 막혀 할 것이다. 노자가 그저 기가 막혀!!!!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