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의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부담없이 서로의 생각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음 합니다.

비움의 영성은 가능한가?

Views 1999 Votes 0 2009.05.04 16:38:16
관련링크 :  

 


비움의 영성, 그 신기루 같은 이상(理想)


한동안 비움, 내려놓음, 비움의 영성...

이런 말들이 유행처럼 떠돌았던 기억이다. 

그만큼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비우지 못해,

신경쓰기를 멈추지 못해 고통받고 있었다는 뜻이리라 생각된다.

그 무엇도 문제가 아닌, 나 자신의 살아있음(실존) 자체가 문제라는

헤셀(아브라함 J. 헤셀)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자기 자신을 날마다 비워 종국에 무(無)로 만들수만 있다면,

몸은 여기 있되, 실상은 죽은(?)

바로 천국이 이루어지는 순간일 것이다.


왜, 비움의 영성이었는가...


비움의 영성이 주목받는 이유는 그간 우리네 신앙행태들이

채움의 영성을 지향하여 온 것에 대한 반성에서 나온 것이리라.

채움의 영성이 기복신앙과 이기주의와 쉽사리 구별되지 않을뿐더러,

채우고자 하는 노력 대비 결과가 은혜라는 하나님 개입이 없이는

딱딱 떨어지지 않는 슬픈 현실을 절감하면서, 또한

그렇지 않아도 신경쓸 것이 많아 고통받는 현대인들인데,

이제는 할 수만 있다면 ‘무신경’으로 살고 싶은 욕망이

비움의 영성으로 관심을 돌리게 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


비움의 영성, 에게 묻는 두 가지 질문.


하지만 생각해 보자.

왜 우리는 채우면 안되는가? 좋은 것은 계속 채워나가야 되지 않을까?

비움에의 영성에 취사선택은 없다.

비운다면 전부에의 비움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고, 종국에는 무(無)가

되기를 희망하는 것밖에 없다. 좋은 것과의 즐거웠던 추억도 모두 비워야

한다. 그런데, 그렇게해서 무(無)가 되었다고 가정해보자. ‘무신경’이기에

마음은 편하겠지만, 과연 내용은 어디로 가버린 것일까?


둘째는 이것이다.

비움의 영성이 과연 가능하냐는 것이다. 이 말은 조금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비움의 영성으로 살고 있는 수도사, 스님 등등 많은 분들이 할 수만 있다면

비우기를 날마다 권면하는 판국에 비움의 영성이 가능하냐는 얼토당토않은

질문이라니.



물론 많은 영성가들이 추천하는 실천방법이 있기는 하다.

호흡을 크게 쉬고,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과 감정을 판단 없이 지켜보는 것.
그리고 생각이 흘러가도록 내버려두는 것.

그런데 비움의 영성이 비롯 ‘영성’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쓰고 있기는 하지만 ‘신경안쓰기’
‘무심해지기’의 다름 이름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자꾸만 드는 것은 왜일까.


채움, 다시 정의하기


그동안 이쪽 영역(?)에서는 채움-비움의 이분법적 양자구도가 전부였다.(고 생각한다)

채움아니면 비움이였고, 비움아니면 채움이였다.

지금은 채움에서 비움으로 나아간 후 어느 정도 소강된 상태처럼 느껴지는데..

그렇게 하면서 놓쳐왔던 것이 있는데 그것은 ‘내버려둠’이였다.


그전에, 채움을 다시 정의해보자.

채움은 일단 비어있는 어떤 곳에 무엇인가를 집어넣어 충만하게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채움을 이렇게 정의내려보면 어떨까?


‘나 자신의 존재를 당위라는 칼로 도려내어 분열시키는 모든 일련의 행동들’로 말이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내버려두지 아니하고, 끊임없이 ‘되어져야 할 나’로 공격하여 존재를

분열시키는 것을 채움이라고 한다면...? 아니 채움의 숨겨진 의도라고 한다면..?

그렇다면,

그동안 우리가 해왔던 ‘비움’또한 이름만 달랐고, 방향만 반대였지, 실제는 ‘채움’이였지
않았을까.
 


채움과 비움을 넘어, 내버려둠으로.


기복신앙에 빠지지도 않고 소박하게 하나님을 알고자 노력하며 책을 읽고, 설교를 듣고,

강의를 찾아 들으며 살아가는 괜찮은 신앙인들이라고 하더라도 비움의 영성 앞에는

이유없이 주눅들며 할말이 없어지는 모습들을 보며, 실은 일련의 신앙적 노력들이 존재의

분열을 어떻게든지 메우고자 하는 발버둥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는지. 아니 오히려 존재로서

잘 살아가고 있는 자기 자신을 분열시키는 activity들은 아니였는지.


온전한 구원은 종말에 일어날 사건이라는데,

그 종말이 내일이 될는지 오늘이 될는지 모르는 상황에서

무엇 더 할 것 없이, 변할 것도 없이. 나 자신의 현존재 그 자체가 구원의 유일한 조건이라는데.

채움이란 이름으로, 또 비움이란 이름으로 자기 자신을 ‘해야 한다’로 분열시키고, 그 분열을
메우려고 좇아가는 것은 또 얼마나 시간 낭비일까.

차라리 한 자락 작은 귀퉁이 ‘존재’의 영역이 있다면 그 안에 살며시 들어가 당당히 종말을

기다릴 일이다. 고로 자기 자신을 비우려고 귀찮게 하지 말자.


profile

유니스

2009.05.04 17:45:32
*.104.195.97

찬선님~
재미있는 글을 써주셨군요.
저같은 속물은 '비움'은 생각도 하지않고 지내는 편이고,
'채움'은 역부족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ㅎㅎ
중간에 '내버려둠'이라고 언급을 하셨는데
오히려 이쪽으로 비중을 두는 편입니다.
내버려두면 시간이, 환경이, 내면이...뜻밖의 다른 결과를 불러오거든요.

재미로 말씀드리면, 제가 저희 엄니한테 농담으로
만약에 결혼할 사람을 데리고 오면 일단 무조건 반대해달라고...
그래야 뭔가 고난과 역경을 이기는 맛이 있고, 사랑도 땐땐해지고...ㅋㅋㅋ
저희 엄니는 한심하다는 눈으로 바라보십니다만.
이건 무슨 소리인가하면 '내버려둠'을 하지 말라는 거지요.
내버려두면 안일해지고 탈색이 되니깐...
그래서 반대로 내버려두면 비워지기도 채워지기도 할 거 같아요.
제가 뭔 소리를 하는건지..^^
'내버려둠'은 결국 타율성을 띠게 되는지라
영성 운운하기에는 부족하겠지만
무책임하고 무관심한 것을 타고나지않은 사람이
'내버려둠'을 실행하는 것은 쉽지않습니다~~~

박찬선

2009.05.04 20:50:15
*.177.106.54

'실행'으로서의 내버려둠은 아니라는 점은 임마누엘님 댓글에 적었고요.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기 자신을 확장하려한다는 정목사님의 말씀을 생각해보면,
언제나 의미있는 영성은 '비움의 영성'일 뿐, 채움은 날마다 실행하고 있는 것이기에
채움의 영성은 사실 없는 말이겠지요.
결혼할 '사람'을 반대해야지, 결혼할 사람 '데리고 오는 것'을 반대하시면 안되는데 ㅋㅋ
profile

임마누엘

2009.05.04 17:57:11
*.10.141.173

찬선님^^
비움의 영성이 불가능한것이라면..
내버려둠의 영성 또한 불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내버려둔다 것 자체가 비움의 일부가 아닐까 싶네요
실존에 대한 두려움을 내버려 둔다는것 자체가 엄청난 비움이 아닐까 싶네요..ㅋㅋㅋ

찬선님과 만나서 이런 이야기 하고 하면 재밌을텐데..ㅋㅋ
profile

클라라

2009.05.04 18:03:28
*.216.132.150

아이고.. 컴터 앞에 앉아 있으니 임마누엘님 들어 오시는 것 훤히 보이네요^^
주희 많이많이 컷지요? 이제 말도 하려나?^^
날도 따시어졌으니, 한번 오시구랴..
주희네 식구들  넘 보고 싶수..
profile

임마누엘

2009.05.04 18:25:15
*.10.141.173

ㅋㅋㅋ
라라님 오랜만이지요?ㅋ
주희는 천재가 아닌지...말은 아직 안한답니다..ㅋㅋ
사실 지난주에 가보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지요..
주희가 지하철 타는걸 엄청나게 싫어해서 지난주엔 교회도 못갔습니다..ㅋ

저도 어서 좀 자유롭게 다니고 싶은데..이녀석이 까탈스럽네요..ㅋ

박찬선

2009.05.04 20:36:29
*.177.106.54

맞는 말씀입니다. 정당한 지적이에요.
비움과 내버려둠은 내용적인 측면에서 크게 차이가 없지요.
더군다나 비'우기' , 내버려'두기'에서 보듯이 두 단어 모두
행위를 그 밑바탕에 깔고 있습니다.
운명을 같이 한다는 것이겠지요.

제가 쓴 글에서 '내버려둠'이 뜻하는 것은,
내버려'두기' 즉, '내버려둠'의 영성으로 나아가자는 작위(作爲)적인
그 무엇이라기 보다
오히려 '견딤'에 가까울 것 같아요.
견딤 또한 견'디기'처럼 내버려'두기' 또는 비'우기'와 같은 운명에 처할
가능성이 있지만,
견딤의 영성으로 '나아가자'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부(不)작위로서의 견딤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성경읽는것 좋다. 기도하는 것 좋다. 교회가는 것 좋다.
예배드리는 것 좋다. 다 좋지만
좇기듯이, 마치 그렇게 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아서 하는
것은 존재의 분열을 강화시키는 것 아니면 결코 메워지지
않을 분열을 메우려는 억지라는 측면에서 차라리 신앙적인
노력을 하지 말고 종말을 기다리자는 그런 뜻도 있겠네요.^^

첫날처럼

2009.05.05 00:01:19
*.206.172.155

완전히 비운다는 것... 찬선 님 말씀마따나 거의 불가능한 일일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실제로 "자기 비움" 내지는 "자기 부정" 을 실제적으로 훈련하는 어떤 기독교 단체에서는 실제 "자아의 죽음" 이라는 것 가까이 다가가는 순간... 극심한 고통을 느끼거나 미쳐버리는 경우가 종종 보고가 되었다고 해요...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소승불교의 맥을 따라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원초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어떤 종교단체도 부처님이 깨달은 "無我" 를 가장 큰 진리의 경지로 파악하고는 수행을 통한 "脫我" 를 시도하다가 완전히 겁에 질리거나 길을 잃어버려서 그만 잘못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건 마치 누에고치가 자신을 보호하던 고치를 벗고 나비가 되어가는 필요한 과정 중에서 순리를 거스르고 때가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 고치를 그냥 떼어 내다가 나비가 되기는 커녕 그냥 죽어버리는 경우와 같은 것 같아요...

인간이 절대자가 아닌 이상 자기 비움에 있어서도 절대자의 섭리에 의존적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말하자면 누에고치가 나비가 되는 것은 이미 정해진 사실이지만, 시간성 속에서의 성숙이라는 과정을 통해서만 그 것을 벗고 언젠가 나비가 될 수 있으니까요...       

박찬선

2009.05.06 13:20:34
*.109.153.226

그렇군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비움이든, 채움이든, 경험이든 관계성에 딸려 나오는 것임을
생각해 본다면 무작정 비우는 것이 만사가 아니라 왜 비우려고
하느냐에 대한 대답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자기 비움이 절대자의 섭리에 의존적이라는 말씀 또한 비움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절대자와의 관계가 우선이라는 말로 이해해도 될
것 같고요.

첫날처럼

2009.05.06 15:31:13
*.54.79.126

찬선 님께서 더 정확히 말씀하신 거 같애요... 절대자와의 관계의 우선성...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라크리매

2009.05.07 07:56:53
*.138.56.59

관심가운데... 내.버.려.둠은 참으로 이상적인 것
세월이 더하면서 채울 것보단 버려야 할것이 더 많다는 것을 알게되고
시간이 가면 갈수록 아는 것보단 모르는 것이 더많다는 것만 깨닫게 된다네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 비움의 영성은 가능한가? [10] 박찬선 May 04, 2009 1999
3772 봄 운동회 “5월엔 광합성을!” 최종 공지 홀로서기 May 04, 2009 970
3771 태평양시대 님의 최근 글에 대하여 [4] 신완식 May 03, 2009 1273
3770 즐거운 석가탄신일!! [12] 달팽이 May 02, 2009 1860
3769 민영진 목사님 책에 관하여 [17] 콰미 Apr 30, 2009 2194
3768 오늘 자 신문의 탑 타이틀이랍니다~ [9] 이길용 Apr 30, 2009 1567
3767 돼지까지도 .... [3] 평민 Apr 30, 2009 1411
3766 '시와그림'의 변명 ,,,ㅠㅠ [25] 시와그림 Apr 30, 2009 1877
3765 아래아한글에서 헬라어를 쉽게 입력하는 방법을 알았... 바우로 Apr 30, 2009 12357
3764 노무현 요트의 진실... [8] 첫날처럼 Apr 29, 2009 7052
3763 몰트만박사님께서 한국에 오신다네요.. [3] 정성훈 Apr 29, 2009 1646
3762 신자유주의에서의 해방영성(강연원고) file [1] 솔가든 Apr 28, 2009 1748
3761 기꼬? 첫 인도 off [16] 사띠아 Apr 26, 2009 1742
3760 희한한 오해 file [10] breeze Apr 26, 2009 2139
3759 헬리콥터로 산에 올라가면.. ㅎㅎ file [25] 모래알 Apr 25, 2009 1801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