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예배 공동체!

Views 6566 Votes 2 2009.01.08 17:48:27
||0||0주일 예배 공동체!

교회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 다양한 대답이 가능하지만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꼽는다면 당연히 ‘주일 예배 공동체’라 할 수 있다. 교회에 다니는 것이 곧 예배드리러 다니는 것과 동일시되고 있긴 하지만 그것은 다만 들은풍월뿐이고, 실제로는 예배 공동체라는 정체성을 놓치고 있다. 예배가 청중들의 종교적 만족감이나 볼거리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다는 근본적인 문제는 접어둔다고 하더라도 교회가 각종 행사의 과부하에 걸려 있다는 사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예배보다는 교회의 여러 행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오늘 한국교회의 개혁은 그 무엇보다도 바로 이 주일 예배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게 시급한 게 아닐까 생각된다. 이게 무슨 말인지 세 단어의 개념을 따라가면서 살펴보자.

주일

원래 예배는 주일인 일요일에 드리는 주일공동예배를 가리킨다. 유대인들의 경우로 본다면 안식일인 토요일이다. 물론 초기 기독교는 유대인들과 똑같이 안식일을 지키다가 로마 문화권에 깊숙이 들어오면서 일요일을 거룩한 날로 지키기 시작했다. 안식교회는 지금도 토요일을 예배드리는 날로 지킨다.
안식일로 지키는가, 주일을 지키는가 하는 것이 여기서 관건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안식일 개념과 주일 개념이 기독교 전통에서 하나로 어우러져서 이뤄낸 그것의 새로운 의미를 아는 것이다. 안식일은 창조신앙과 출애굽신앙에 근거한 ‘쉼’을 말하며, 주일은 예수님의 부활 신앙에 근거한 ‘참 생명’을 말한다. 이 양자가 서로 다른 역사적 전통이 있긴 하지만 다른 게 아니라 하나이다. 쉼은 인간의 모든 억압적 삶의 질서로부터 해방된다는 것이며, 참 생명은 잠정적이고 제한적인, 그리고 죄와 죽음으로 얼룩진 이 세상으로부터 해방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주일을 지킨다는 것은 생명의 잔치를 벌인다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생명의 잔치를 벌이신 하나님의 초청에 응한다는 것이다. 잔치에 와서도 돈을 벌 생각을 하거나 일 할 생각을 한다면 얼마나 어리석은가. 이 날 우리는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해방과 자유를 경험하며, 그것을 통해서 생명을 경험한다. 그런 의미에서 주일은 바로 복된 소식, 즉 복음이다.
오늘날 성수주일이라는 이름으로 주일이 오히려 억압과 속박의 날로 자리를 잡아가는지도 모른다. 어느 정도 교회에 열정을 갖고 있는 신자들은 주일 하루 종일 많은 일을 요구받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스트레스도 제법 받는다.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각종 모임과 사건에 휘말린다. 쉼이 없다. 그렇게 종일 시달려도 그게 은혜가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그럴 수도 있다. 어머니가 여러 자식들을 위해서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한 시도 쉬지 않으면서 일을 해도 행복한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그것도 한 두 번이지, 평생을 그렇게 산다면 결코 행복한 인생이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 교회 공동체는 가족과는 다르다. 어떤 신자에게 주일이 부담으로 다가온다면 그건 분명히 해방과 자유과 생명을 통해서 참된 쉼을 경험해야 할 주일을 바르게 지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오늘 한국 기독교인들에게는 종교적인 ‘쉼’이 필요하다. 그런데 대개는 자신이 그렇게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다. 이건 임상 치료가 필요한 종교적 마조히즘 현상에 가깝다.  

예배

우리는 주일에 교회에 모여서 예배를 드린다. 그냥 모여서 밥 먹고, 수다 떨고, 친교 나누는 것으로 충분히 쉴 수 있는데, 왜 하필이면 예배인가? 안식, 쉼, 자유, 해방, 생명 등등, 이런 것과 예배는 무슨 상관이 있는가?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지 않으면 우리의 영혼이 살아나지 못하는가? 우리의 평소 삶 자체가 예배로 드려지는 게 바람직한 게 아닌가? 옳은 말이다. 우리가 예배를 드리지 않는다고 해서 구원에서 멀어지는 것도 아니고, 불행한 일을 당하는 것도 아니고, 궁극적으로 하나님이 섭섭해 하시는 것도 아니다.
우리가 주일에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는 이유는 그것이 우리가 하나님과의 일치에서 가장 종교적 의미가 깊은 사건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해방과 자유과 생명을 종교적 상징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 예배이다. 그 내적인 원리는 계시와 응답이다. 예배에서 하나님은 인류 구원을 계시하고, 인간은 그것을 찬양한다. 이런 점에서 예배는 우주 역사가 재현되는 축소판과 같다. 창조와 종말이 계시되고, 우리는 거기서 생명의 진수를 경험한다. 전체 인류 역사와 우주 역사를 종교적 상징으로 표현해내고 있는 예배에서 우리는 기독교 신학의 가장 핵심적인 원리인 계시와 응답을 통한 우주의 역사를 경험할 수 있다. 우리가 이를 어찌 마다하거나 소홀할 수 있으랴?
이런 점에서 예배는 예전적이어야 한다. 자유롭게 드리는 예배가 아니라 2천년 기독교 역사에서 전승되어온 예전 안에서 예배를 드린다는 말이다. 예전은 우리 개신교회와 근본적으로 다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이라거나 너무 형식적이어서 성령의 감동이 따르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기독교 영성을 몰라도 한참이나 모르는 사람이다.
우리가 예전에 따라서 예배를 드린다는 것은 최소한 두 가지 차원에서 중요한다. 첫째, 예전은 바로 위에서 언급한 계시와 응답이라는 신학적 근거에서 볼 때 가장 모범적인 예배가 갖추어야 할 틀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합창단이 노래를 부를 때 기분이 좋다고 해서 악보와 상관없이 마음대로 부를 수 없는 것과 같다. 합창단원은 오히려 자기감정을 억제하고 악보에 충실함으로써 원래 작곡자가 경험했던 그 음악의 세계를 바르게 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예전예배는 이처럼 개인들의 종교적 열정보다는 2천년 기독교 역사의 영성에 의존하는 예배이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예배가 하나의 방식으로만 드려져야 한다는 말은 아니다.
둘째, 예전 예배를 통해서 우리는 현재의 신앙적 실존에 떨어지지 않고 2천년의 기독교의 역사, 그리고 이후의 역사에 동참하는 것이다. 사도신경을 함께 읽는다는 것은 이 신앙고백에 참여했던 지난 역사의 모든 기독교인들과 영적으로 하나가 된다는 의미이다.

공동체

예배를 집에서 혼자 드려도 큰 문제가 없는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이 문제는 여기서 길게 말하지 않겠다. 혼자 드리는 예배는 예배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마틴 루터의 가르침처럼 우리는 모두 제사장들이기에 얼마든지 하나님께 제사(예배)를 드릴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더불어 존재하기 때문에 예배도 더불어서 드릴 때 바른 예배가 될 수 있다. 만약 혼자서 예배를 드린다면 어떻게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으며, 어떻게 말씀을 전달받을 수 있겠는가? 착각하지 말아야 할 사실이 있다. 예배는 고도의 영적 묵상이나 기도와는 다르다. 예배는 더불어서 궁극적인 생명의 주인이신 그분의 계시를 듣고 거기에 공동으로 응답하는 사건이다. 이런 말이 너무 원론적이어서 실질적으로 들리지 않는 분들도 있겠지만 공동의 예배에 실제로 참여한 분들은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이 말을 인정할 것이다.
우리는 예배에서 더불어 기도하고 찬송하고 성만찬에 참여하고 말씀을 읽고, 그 설명을 전달받는다. 더불어서 예배드리는 그 공간 안에 소리, 글자, 물질, 색깔, 느낌 등등이 살아 있다. 다른 이들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함께 찬송을 부른다는 것은 놀라운 영적 경험이다. 이런 것을 혼자서는 경험할 수 없다. 하나의 공간에서 ‘너’와 더불어 하나님의 창조와 생명구원과 완성의 소리를 듣고 찬양한다는 것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생명 경험이다.

교회의 본질은 바로 이런 ‘주일 예배 공동체’에 놓여 있다. 그 이외의 일들은 오직 이 한 가지 사실을 위해서만 요청된다. 이런 기독교 영성의 중심을 모르기에 우리는 그 이외의 것들을 찾느라 우리의 삶을 소진하고 있는 게 아닐는지 모르겠다. 이제라도 물을 찾는 목마른 사람처럼 우리 모두 주일예배에 우리의 영성을 집중시켜보자.  

profile

달팽이

2009.01.10 06:14:28

그동안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예배에 대한 정체성을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해 주시는 감사합니다.
예전부터 고민하고 있던 부분이었는데...

한결 더 예배에 대한 분명한 의미와 예배를 어떻게 드려야 할지 중심을 잡을 수 있을 수 같습니다.
오직 창조주 하나님과, 예수그리스도, 생명의 영인 성령님께 집중할 수 있는 예배를 통하여
영원에서 영원까지 잇대어 있는 하나님의 역사에 참여하며,
안식과 평화와 쉼을 통해 매일 주님의 구원의 통치를 찬양하는 예배자로 서야 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profile

푸른숲

2009.01.10 15:09:16

목사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관례적이 아니라~ 진심으로 소망하는 바입니다.
너무나도 오랫만에 이곳을 방문했습니다.
올때마다 오랫만이라는 단어를 쓰기에 부끄럽지만..
이렇게 와서 신선하고 도전적인 말씀들을 마음으로 가져가는 놀라운 체험들이 있기에~
저는 설레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방문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늘 또한 이렇게 평소 늘 고민하고 변비와도 같은 문제들을 시원하게 뚫어주시니..
참으로 이것은 성령의 인도함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
주일 예배에 대한 회의적인 허다한 무리들이 제 주변에서 저를 고통스럽게 하는 이 시점에
간략하지만 깊은 내용을 담고 있는 "주일 예배 공동체" 또 한가지의 신학적 인식을 하는 중입니다.

늘 주의 종이라는 거룩한 단어를 붙여주시는 교회 공동체의 틀 속에서 있기에
이 주일 예배라는 것이 저에겐 고민 거리였습니다.
이미 잘 아시다시피 많은 교회들이 주일 1,2,3부 예배와 오후 예배 혹은 저녁예배 또는 대다수 찬양예배라는 이름으로 많은 회중들을 중복 참여시키는데에 혈안이 되어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특별히 어려워하는 계층은 청년들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일 아침부터 교회학교 봉사, 주일 예배, 찬양예배 찬양팀으로, 청년공동체 예배 혹은 집회 등으로 새벽부터 교회에 시달리다(?)가는 스스로를 바라보며 왜 예배를 아침에도 드리고 오후 저녁 모두 드려야 합니까? 우리는 주일 하루 한번만 드려야 하지 않습니까? 라는 질문으로 제게 다가 올 때에 저는 할 말을 잃어버립니다.
실제적으로 많은 교우들이 주일 1,2,3부 중의 한 번의 예배로 주일 예배를 드리고 가정으로 돌아갑니다. 반면 청년들은 아침 일찍부터 일부는 새벽부터 저녁까지 교회에서 쉴 틈없이 모든 공적 예배 공적 모임에 참여하고 주일 하루를 마감합니다.
이렇게 수고한 이들이 제게와 힘듭니다. 피곤합니다. 이 방법 외에는 없습니까? 이렇게 하는 우리의 신앙생활이 옳은 것입니까? 성경적 맞습니까? 라는 물음에
저는 전통적으로(?) 해주는 답변 외에는 해 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일 예배에서 참된 해방과 자유를 누리고, 복된 소식을 접한 교우들은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고자 준비되어지는 시간이 되어야 할텐데..
그렇지 못한 현실에서 제 자신은 딜레마와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솔직히 통곡할 지경이라고 해도 부족한 표현입니다.
이런 질문들을 속 시원히 풀어주는 1단계 작업이 오늘 이 신학단상을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앞으로 이부분을 더 깊게 알고 싶습니다.
목사님~ 관련 서적들을 추천해주시면 오늘 이 글로 시작된 고민해소가 더 풍성한 즐거움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또한 제 주변의 주님의 귀한 양들을 위로하고 권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전임 전도사 사역에 헌신하다보니 이런 정보와 책에 대한 열정들이 점점 힘을 잃어 가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제 가까이에서 도움을 주시던 멘토와 같은 한 목사님께서..
"인문학이든 신학공부든 목회에서 공부를 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단 하루라도 책을 보지 않고 공부를 하지 않는 다면 목회자 자격이 없다. 시간 없어 공부 못한다는 것을 핑계에 불과하다. 공부할 자신이 없거든 지금이라도 목회자 포기하고 다른 길로 가라."라는 말씀으로 저에게 권면해주셨습니다.
무섭기도 하지만 진리라고 해도 될 만큼의 말씀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더 연구하고 몰두하려 합니다.

이 주제에 대한 관련 서적들이 있다면 추천해주십시오.
꼭 구해서 읽고 제가 속한 교회 공동체에게 많은 좋은 것을 주고 싶습니다.
저 자신을 성장시키고 싶기도 하구요 ^^

감사합니다.
늘 신선한 도전을 주시는 목사님을 알게 하신 하나님께 영광입니다!
profile

정용섭

2009.01.10 19:03:35

달팽이 님,
그렇지요.
교향악단이 오직 브람스의 음악에 집중해서 연주하듯이
우리는 예배의 모든 요소를 삼위일체 하나님에게만 집중시켜야 합니다.
그게 쉽지는 않지요.
교향악단도 청중을 의식하고
또는 자신의 연주실력을 드러내고 싶은 생각이 들면서
브람스의 음악 자체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듯이
우리의 예배에세도 그런 비슷한 일들이 일어난답니다.
정명훈의 지휘 모습을 봤어요?
음악과 하나가 되어 있더군요.
거기서 오는 희열 때문에 악보를 암기해야 한다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겠지요.
오직 하나님을 향해서만, 가 봅시다.
profile

정용섭

2009.01.10 19:06:13

유영재 전도사,
반갑소이다.
교회 안에서 단지 기능인으로 떨어지지 않고
늘 신학적으로 고민하는 모습이 보기에 좋소이다.
긴 호흡으로 이 길을 가 봅시다.
하나님의 신비가 드러나는 예배,
그 예배의 연장인 삶,
이런 공동체를 향해서 가 봅시다.
금년 한해 즐거운 일이 많기를 바라겠소.
결혼도 축하하고.
profile

바우로

2009.01.14 00:48:04

올려주신 글을 잘 읽었습니다. 예배에 대한 글을 읽으며 대다수 한국교회가 개인적인 종교적 감정을 만족시키기 위한 열광적 예배와 주관적인 종교경험(방언,예언 등)에 대한 확신과 관심에 비해, 교회력과 일정한 예배양식에 따른 예전적 예배를 통해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삼위일체 하느님의 자기 계시와 임재에 집중하는 공동체적인 경험에는 소홀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행히 루터교회, 가톨릭, 정교회, 성공회처럼 예전적 예배를 강조하는 교회들이 있지만요.

시드니

2009.01.23 16:55:06

정말 주옥 같은 글입니다. 저는 하나님 찬양하고 싶지, 목사님 찬양하고 싶지 않은데....
어쩌자고 이런 글을.... 예배에 대해서 머리 속이 환해 지는 것 같은 깨달음이 옵니다.
소녀들이 연예인이 나타나면 꺄악~ 하는 것, 이런게 예배군요.

하나님이시다~ 꺄~~~악~~~~ (게시와 찬양)

오영숙

2009.02.02 14:37:31

시드니님의 기발한 해석에 한 표!!!
List of Articles
No. Subject Date Views
180 예수의 재림 [12] Mar 26, 2009 10965
179 예수는 (나에게) 누군가? [1] Mar 21, 2009 9197
178 예배와 사도신경 Mar 21, 2009 15516
177 예배에 집중하기(7) [1] Mar 21, 2009 5026
176 예배에 집중하기(6) [3] Mar 14, 2009 4787
175 예배에 집중하기(5) [4] Mar 13, 2009 4871
174 예배에 집중하기 (4) [1] Mar 12, 2009 4648
173 예배에 집중하기 (3) [2] Mar 11, 2009 4944
172 예배에 집중하기(2) [2] Mar 07, 2009 5378
171 예배에 집중하기(1) [1] Mar 07, 2009 5593
170 영적인 삶 Mar 07, 2009 4912
169 영적인 사람 Feb 07, 2009 7610
168 영의 스트레칭 [1] Feb 07, 2009 4672
167 영성과 열정 [3] Feb 07, 2009 6917
166 역사적 예수 [2] Feb 07, 2009 5031
165 예수의 십자가는 필연인가, 우연인가? file [23] Jan 26, 2009 13168
164 [신학단상] 출간을 위한 준비 [11] Aug 21, 2008 6969
» 주일 예배 공동체! [7] Jan 08, 2009 6566
162 십자가 신앙 [6] Nov 15, 2008 8683
161 십일조 헌금(1) [8] Nov 15, 2008 908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