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없이 이런 질문을 올려서 조금 그러하긴 한데, 요즘들어 간혹 떠오르는 생각이라 한번 오픈해봅니다.

 

보수적인 기독교 (복음주의든 근본주의든)에서 구원론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대속의 죽음을 통한 원죄와 자범죄로부터의 구원" 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것 같은데, 실제 역사적 예수가 행한 사역들에 대해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이런 구도에 대한 의문이 자꾸 듭니다.

 

물론 바울이 서신서에서 그토록 죄로부터의 해방에 대해 역설한것은 사실이지만, 복음서를 살펴보면 예수께서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언급이 거의 없으신 것 같습니다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가요??). 이것은 마커스 보그가 예수의 의미라는 책에서 "예수께서 과연 자신의 죽음을 대속적 사역으로 확신하였을까?" 하는 질문을 던진것과도 일부 비슷한 맥락이기도 합니다. 비록 초대교회의 고백은 예수의 죽음을 대속적 사역으로 이해하였지만, 과연 그것이 액면 그대로 구원론의 본질이냐는 질문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원죄" 라는 것도, 단순히 아담의 자손이므로 아담의 죄를 전가받았다고 이해하기 보다는 인간이라는 본질 자체가 썩어 없어질 수 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 대한 고대인들의 사변적 설명이 아니었던가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죄가 있어서 하나님과 친해지지 못하는게 아니라 본질적 한계로 인해 하나님께 다가갈 수 없는 것이라 생각한다면, 또한 그리스도의 사역은 이러한 인간과 하나님의 만날 수 없는 본질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바르트의 표현을 빌리자면 "원과 직선이 만나는 접점"과 같은 역할) 하신 것이라 생각한다면 지나친 자유주의적 해석일까요? 좀 더 직설적으로 질문한다면 구원론의 개념을 "죄로부터의 구원"이 아니라 "인간세상으로부터 하나님의 나라로의 초대"로 해석하면 너무 나이브한 것인가요?

 

계란을 비유로 제 생각을 설명해본다면, 닭이 방금 낳은 따끈한 계란은 생명의 씨앗을 잉태하고는 있지만 그냥 놔두면 결국은 썩어버리고 말 존재입니다. 이러한 썩어 없어지는 본질을 고대인들은 "원죄"라고 표현한 것이고, 썩을 운명의 계란에 따뜻한 열을 가해주어 병아리라는 새로운 생명으로 탈바꿈하게 만드는 과정을 "구원"이라고 표현한다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