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의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부담없이 서로의 생각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음 합니다.
관련링크 : |
---|
악의 평범성 - "그 행위를 하는데 비열한 동기가 없었고 악행이라는 의식도 없었다."
자신이 맡은 임무에 성실했고 생활에 근명했으며
수용소의 유대인들에게는 안락사에 가까운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도록 도왔고
총살보다 가스질식이 그들의 옷을 재활용하거나 처리하기에도 효율적이었다..는
아이히만이라는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합리주의자를 자처하는 여러분들
균형감있는 사고를 지향한다는 아카데믹한 분들
그 분들에게 이 이야기가 들릴까요?
----------------------------------------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
나치의 유대인 학살 … "악은 평범한데서도 나온다"
◆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
독일에서 출생, 성장. 한때 하이데거의 연인으로, 또 야스퍼스의 제자로 지내며 철학을 공부했다.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던 1933년 독일을 떠나 프랑스로, 1941년에는 미국으로 망명했다.
1951년에 『전체주의의 기원』을 통해 정치사상가로서 명성을 얻게 되고, 이후 『인간의 조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 『혁명론』 등 여러 저작을 남겼다.
이중 유대인 학살의 핵심 책임자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 보고서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1963)은 이른바 ‘악의 평범성’ 개념으로 인해 숱한 논쟁을 낳는다.
◆ 칼 아돌프 아이히만(Adolf Eichmann, 1906~1962)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 핵심 책임자다. 그의 지휘로 유럽 전역에서 잡혀와 강제수용소에서 희생된 유대인 수는 약 600만명.
아이히만은 독일 패전 후 1960년 5월까지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근교에서 가족과 함께 숨어 살다가 이스라엘 비밀경찰에게 체포돼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고, 1962년 5월 31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나치의 유대인 학살에 대해 반대하고 저항했던 독일인들도 적지 않았다.
많은 지식인들이 해외로 망명했지만,어떤 사람들은 국내에서 나치의 명령을 거부하고 죽음을 택하기도 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친위대로 징집됐다가 이를 거부해 사형을 당한 청년들의 편지도 남아있다.
이들은 처형당하기 전날 가족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에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 두 사람은 그런 끔직한 일로 우리의 양심에 부끄러운 짓을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죽는 것이 낫습니다." 그들은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었기에 죽음을 선택했다.
반면 아이히만의 옳고 그름은 뒤집혀져 있었다.
그에게는 유대인을 학살하라는 상부의 명령을 충실히 따르는 일이야말로 옳은 일이었다.
그는 600만명의 유대인을 죽음으로 몰고 가면서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못했다.
"그 행위를 하는 데 비열한 동기가 없었고 또 악행이라는 의식도 없었다"고,그는 재판정에서 주장했다.
그래서 자신은 무죄라고 했다.
재판 내내 아이히만은 '기소장이 적시하는 범죄와 관련해 자신은 무죄'라는 주장을 폈지만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기소장은 그가 고의로 행동했다는 것뿐만 아니라 비열한 동기를 갖고 있었고 또 자신이 저지른 행동이 범죄라는 사실을 전적으로 인지한 상태에서 행동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이 명령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그런 일을 했다면 분명 양심의 가책을 받았을 것이라고 시인했다.
그런데 그가 했던 '명령받은 일'이란 것이 결국 수백만명의 사람들을 치밀한 계획 하에 죽이는 것이었다.
재판에 참여한 여섯명의 정신과 의사들은 그를 '정상'으로 판정했다.
의사 가운데 한명은 "아이히만은 나보다 더 정상"이라고 탄식했다고 한다.
의사들은 아이히만이 정상일 뿐만 아니라 매우 바람직한 성품을 가졌다고 판정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한나 아렌트에게서 들어보자.
아렌트는 '정신상태가 정상일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기까지 하다고 판정받은' 아이히만이 어떻게 그런 악행을 저지를 수 있었는가를 설명했다.
그 핵심은 '생각 없음(thoughtlessness)'이다.
◆원문읽기
자신의 개인적인 발전을 도모하는 데 각별히 근면한 것을 제외하고는 그는 어떠한 동기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근면성 자체는 결코 범죄적인 것이 아니다.
그는 상관을 죽여 그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살인을 범하려 하지도 않았다.
이 문제를 흔히 하는 말로 하면 그는 단지 자기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결코 깨닫지 못한 것이다.
(중략)그는 어리석지도 않았다.
그로 하여금 그 시대의 엄청난 범죄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게 한 것은 (결코 어리석음과 동일한 것이 아닌) '순전히 생각 없음'(sheer thoughtlessness)이었다.
▶해설=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스스로의 개인적인 발전에 몰두해 산다.
아이히만은 나치 전체주의 체제를 돌리는 톱니바퀴 중 하나의 '톱니'에 불과했다.
그런 점에서 아이히만은 우리와 다를 바 없이 정상적이며 평범했다.
유대인들에게서 엄청난 반감을 불러온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이라는 아렌트의 표현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 기초해 있었다.
나치즘의 이데올로기가 아닌 자신의 언어로 현실을 말하고 생각하지 못하고,자신의 판단력에 기초해 현실을 판단하지 못하는 무능의 평범함이었던 것이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뼈아프게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역시 아이히만처럼 평범하지 않느냐고 말이다.
아렌트의 표현처럼 "우리 안에 아이히만이 살고 있지 않느냐"고 말이다.
아이히만의 범죄는 의무와 복종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나치에 맹종했던 것에서 잘 드러난다.
*+*+*+*+*+*+*+*+*+*+*+*+
위엣 글은 제가 잘 들어가는 카페 게시판에서 따온 것입니다...
인간 본질에 대한 탐구 같은 거창한 거 말고 그냥 사람들을 겪어 보면, 기질의 특성상 사람이 날카롭거나 둥글둥글하거나 한 차이는 있지만, 정말 "악한" 인간은 없더라구요...
그런데 이 세상에 악은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이고, 그 악을 드러내는 것은 또한 "인간" 이구요...
그리고 그 악이란 것도 별거는 아니구요...
"생각 없음"과 "맹목성" 이야말로 악을 진정한 악이 되도록 만드는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그 '생각없는 자'는 도구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