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의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부담없이 서로의 생각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음 합니다.

관련링크 :  
<하나님나라와 기독교교육>이라는 책을
읽어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박화경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님 저)
그 책에서 '몰트만의 하나님나라 신학'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요점은 이것입니다.
 
지나간 20세기 한국교회 기독교교육의 흐름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대안의 기독교교육으로서
몰트만의 하나님나라 신학에 근거한
기독교교육을 제시하며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국 한국교회 기독교교육이 하나님나라를 위한
기독교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몰트만 뿐만 아니라
그 동안 '하나님나라'를 주제로 하는
신학운동을 여러 명의 신학자들이 이끌어왔지만
가장 최근에 들어서 보다 더 구체화시킨 신학자를
몰트만으로 박화경 교수님께서 소개하셨습니다.
 
몰트만 신학 같은 경우에도
지금 한국교회 내에서
평가가 극과 극인 것 같습니다.
 
당연히 보수 근본주의 신학 쪽에서는
자유주의 신학으로 보고
진보 기독교 신학 쪽에서는
보수적이면서도 비교적 진보적인 신학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박 교수님의 저서에서는
20세기 한국 기독교교육의 네 가지 주요 흐름이었던
보수적 정통주의 신학, 회심을 강조하는 부흥운동과 오순절주의 신학,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신학 모두를 포괄하면서도
그 문제점들을 넘어서는 새로운 대안의 신학으로 이야기하며
장신대 김명용 교수님 같은 분은 '통전적 신학'으로 이야기하기도 하십니다.
 
오늘날 한국교회와 세계교회에서
몰트만의 '하나님나라 신학'은 과연
어떤 노선에 서 있을까요?
 
그리고 과연 박화경 교수님이 말씀하신
기독교교육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면에서 한국교회와 세계교회를
살리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차성훈

2011.02.02 20:25:57
*.44.109.99

음. 제가 어떻다고 평가하긴 좀 그렇고, 스탠리 그렌츠와 로저 올슨이 공저한 <20세기 신학>에서 다루고 있는 부분이 비교적 정확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한번 참고해보시면 평가를 내리실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듯합니다.

NEGADETH

2011.02.03 02:00:47
*.30.9.246

Recommend
1
Not recommend
0

전 원래 인터넷에 글 안쓰는데 술 기운에 씁니다. 우선 한국교회에서는 복음주의란 말이 너무 왜곡되게 쓰여있구요 지금 한국교회의 현상황은 복음주의가 아니라 근본주의입니다. 부정적인 의미로 말이죠. 그 사람들이몰트만을 볼때 분명 자유주의 신학자라고 욕하겠지요. 하지만 사실 그는 자유주의 신학자가 아닙니다. 굳이 노선을 설정하자면 역사적으로 성서를 바라본 프론티어중하나구요 신정통주의와 가깝다면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신학을 한 단어로 말하자면 '종말론'입니다. 종말론은 근본주의 기독교에서는 다루기 꺼려왔던 주제죠. 하지만 교부 특히 어거스틴의 '신국론'을 보면 종말이 얼마나 기독교의 핵심주제인지 아실겁니다. 몰트만은 그 종말이라는 주제를 되살려서 기독교 신학의 중심에 놓고 싶어하는겁니다. '종말은 하나님의 새로운창조이다.' 가 그의 핵심명제일 것 같군요. 하나님의 첫번쨰창조가 있었다면 죄로 파괴된 그 창조를 하나님이 종말에 완성시킨다는게 그의 신학입니다. 종말이란 절대적 유토피아를 의미하며, 우리의 힘으로 성취될 수 없는 피안의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역사를 통해서 완결됀다는 점에서 차안의 것이기도 합니다. 이런 변증법적인 힘을 통해서 하나님의 나라는 이땅에 계시됩니다. 종말의 하나님의 나라가 우리의 힘을 넘어선 것이기 떄문에 우리는 종말을 기다리면서 모든것에 대해 잠정적인 태도를 취해야 합니다. 하지만 종말이 주어진 이상 우리는 현재사회제도와 주어진 모든것들에 만족할수 없고 종말이 올때까지 투쟁해야 한다는 명제도 따라나옵니다. 몰트만은 이것을 강조했는데 동시에 그가 간조했던건 피안의 하나님의 나라에대한 희망입니다. 아무리 우리가 절망속에 살아도 하나님의 나라는 그의 카이로스의 때에 임한다는 것입니다. 이 양자 즉 현재에대한 투쟁 그리고 장차 도래할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이 몰트만의 신학을 끄는 쌍두마차일 것입니다. 그점에서 즉 현재에 대한 투쟁과 미래에 대한 희망 양자의 긴장속에 몰트만 신학의 창조성이 있습니다.

이답변으로 부족하다면 의문점을 얘기해 주십시오 대답해 드리겠습니다.

profile

바우로

2011.02.03 16:49:56
*.62.24.93

한 형제가 내게 전화를 걸어왔습니다. 판사로 일하고 있다는 그는 몇년 전에 간으로 심하게 고생한 이래로 몸과 생명 더 나아가서 생태계에 과심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 그가 처음 읽은 신학책이 위르겐 몰트만의 창조안에 계신 하느님(위 르겐 몰트만,김균진,한국신학연구소)이었는데, 내게 전화한 것은 그 때문이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이 그 책을 이상한 신학자의 괴이한 문서로 본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자신의 생각을 적어 보낼테니 그것이 이단인지, 아니면 적어도 위험스러운 것은 아닌지 판단해달라고 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새악과 말이 정통 기독교가 아닌지 자기 스스로 검열했고, 주변에서도 의혹의 눈초리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나는 간단히 몇 가지를 말해주었습니다.
" 몰트만에 대한 호불호나 찬반이 서로 다를 수 있고, 그래서 거세게 비판할 수 있으나, 단선적으로 이단이냐, 아니냐, 자유주의 신학이냐, 아니냐는 논의는 적절하지 않은 잣대이다. 그는 살아있는 현대신학자중 독일에서는 판넨베르크(Wolfhart Pannnenberg), 융엘(Eberhard Jungel)등과 함께 뛰어난 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니 몰트만을 비판할 수는 있으나 당신의 생각이 그의 책에 확고하게 의지하고 있다면 이단은 결코 아니며, 그 점에 대해 논쟁은 할 수 있을지언정 위험하지 않다."고 말해주었습니다.(하박국 고통을 노래하다./김기현 지음/복있는 사람)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 몰트만의 신학은 어떤 노선입니까? [3] 르네상스 Feb 02, 2011 1839
4972 도도아빠와 역사적예수. [4] 웃음 Feb 01, 2011 1399
4971 <가장 위대한 기도: 주기도문의 혁명적인 메시지> 목... 흰구름 Feb 01, 2011 1149
4970 원전수주... [2] 정성훈 Jan 31, 2011 1257
4969 해적 [3] 정용섭 Jan 31, 2011 1104
4968 오늘/ 구상의 시를 음미하며... 달팽이 Jan 31, 2011 2840
4967 소들의 눈물 [1] 저별과 달 Jan 31, 2011 1126
4966 드라마 아이디어 - 하지원, 최불암 주연의 <내 인생... [2] 르네상스 Jan 30, 2011 1171
4965 화산재를 보다 file [2] 저별과 달 Jan 30, 2011 1330
4964 예수 그리스도는 오늘 나에게 무엇인가? 에덴나라 Jan 30, 2011 1099
4963 C목사 사건을 반면교사로 짚어 본 참 그리스도인 되... 진 예수만 Jan 29, 2011 1493
4962 십자가에 대하여 (민영진박사님께) [1] 콰미 Jan 29, 2011 1842
4961 제 설교 한 편 올립니다 [1] 르네상스 Jan 28, 2011 1339
4960 중동, 북아프리카는 민주화 혁명의 시기인듯합니다. [1] 병훈 Jan 27, 2011 1558
4959 [소개] (대안을 추구하며 시작한) 새로운敎會 진 예수만 Jan 27, 2011 2650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