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안들의 세상 살아가는 이야기. 부담없이 서로의 생각과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 되었음 합니다.

인류의 큰 스승 폴틸리히

Views 2154 Votes 0 2011.02.08 01:05:53
관련링크 :  
[인류의 스승] 폴 틸리히
 
종교간 대화·소통 역설했던 조직신학자
]
 

신은 존재·비존재 분별 넘어선 무엇
하느님 나라와 니르바나는 서로 상통
성경 속 가르침은 상징…이면 살펴야

 

폴 틸리히(Paul Tillich, 1886-1965)는 루돌프 불트만과 함께 20세기에 가장 영향력이 컸던 신학자였다.


1990년대 미국 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는 신학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신학자로 틸리히를 꼽았다.


필자의 경우도 성서 이해나 해석학 분야에서는 불트만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신학 사상에 있어서는 틸리히의 영향이 가히 절대적이라 할 수 있을 정도였다.

 

틸리히는 1886년 8월 20일 독일 동부의 조그마한 도시 스타르체델(Starzeddel)에서 보수적인 루터교 목사였던 아버지와 자유주의적이었던 어머니 사이의 첫째로 태어났다.
밑으로 두 여동생이 있었다.

 


틸리히가 네 살 때 아버지의 임지인 인구 3천명의 쉔르리스(Schonfliess)로 옮겨가 거기서 초등학교를 다니고, 열두 살 때 혼자서 퀘니스베르크(Konigsberg)로 가 한국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김나지움에 다녔다. 기숙사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성경을 읽고, 그러면서도 학교에서 가르치는 인문주의적 사상에 매료되기도 했다. 1900년 아버지가 다시 베를린으로 옮김에 따라 틸리히도 열다섯에 베를린에 있는 학교로 옮기고 3년 후 열여덟 살에 졸업했다. 그가 열일곱 살 때 어머니가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틸리히는 1904년 베를린 대학에 입학했다가 곧 튜빙겐 대학으로 옮기고, 1905~1907년에는 할레 대학에 다닌 후, 1911년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셸링(Schelling)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1912년 할레 대학에서 역시 셸링 연구로 신학 전문직 학위를 취득. 루터교 목사로 안수도 받았다.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준 사상가들은 셸링 외에 니체, 헤겔, 키르케고르, 하이데거 등이었다. 1914년 9월 결혼한데 이어 10월부터 4년간 1차 세계대전 군목으로 복무해 제1급 십자훈장도 받았다. 제대 후 1919년에서 1924년까지 베를린 대학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1924년부터 2년간 마르부르크 대학 신학교수로 있으면서 그의 ‘조직신학’ 체계의 틀을 잡았다. 그 이후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프랑크푸르트 등에서 가르쳤다. 프랑크프르트 대학에서 가르치는 동안 전국을 다니며 한 그의 강연이 나치 운동과 갈등을 빚게 됐고,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잡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 그후 라인홀드 니버의 초청으로 미국 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대학원으로 옮겼다.

 

1933년 47세의 나이에 새롭게 영어를 배우고, 그 이후 모든 저작을 영어로만 하기로 결심했다. 처음에는 영어가 서툴러 고생을 했지만, 영어로 말하거나 글을 쓸 경우 독일어보다 쉽고 부드럽게 되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1933년 종교철학을 가르치기 시작, 1955년까지 유니온 신학대학원에서 “철학적 신학 교수”로 알려졌고, 그 가까이 있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도 방문교수로 철학 강의를 할 정도로 명강을 했다.


그가 유니온에 있을 때 영어로 쓴 『프로테스탄트 시대』 등의 논문 모음집, 『흔들리
는 터전』 등의 설교 모음집, 특히 그의 대표작인 『조직신학』 제1권 등의 저작으로
크게 명성을 떨쳤다. 이에 힘입어 1953년에는 영예로운 스코틀랜드 기포드 강연 강사
로 초대되고, 1955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으로 초빙되어 강의에 구애받지 않
는 최우대 특별 교수가 되었다. 1962년까지 하버드에 있으면서 『조직신학』 제2권과
그 유명한 『신앙의 역동성』 등을 출판하였다.

 

1962년 시카고 대학으로 옮겨가 2년 동안 그 당시 시카고 대학 종교학의 대가 멀치아
 엘리아데와 공동 세미나를 이끌면서 그와 학문적 교분을 두텁게 했다. 여기서 『조직
신학』 제3권이 완성되었다. 1965년 10월 12일 저녁 시카고 대학 종교사학회에서 그
의 동료들의 요청으로 “조직 신학자를 위한 종교학의 의의”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

거기서 그는 그가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그의 조직신학에 동양 종교를 포함하여 세계
종교들의 통찰과 대화하면서 다시 쓰고 싶다는 그의 염원을 말하고, 이런 식으로 세계
종교의 맥락 속에서 쓰여지는 신학이 ‘신학의 미래를 위한 나의 희망’이라고 했다.
강연이 끝나고 오래 동안 박수가 그치지 않았다. 그러나 다음 날 새벽 4시에 심장마비
를 일으킨 그는 그 후 10일 만인 10월 22일 숨을 거두었다. 그의 유해는 미국 인디아나 주 뉴하모니에 있는 폴 틸리히 공원에 안치되었다.


조지아 하크니스는 틸리히를 두고, “미국 철학을 위해 화이트헤드가 있었다면 미국신학을 위해 틸리히가 있다.”는 말로 틸리히의 신학적 공헌을 찬양했다. 틸리히는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을 위해 재해석하는데 일생을 바친 신학자였다. 그에게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가르침은 모두 ‘상징(symbols)’이었다.

 

그의 주저인 『조직신학』 목차만 보아도 ‘타락의 상징’ ‘그리스도의 상징’ ‘십자가의 상징’ ‘천국의 상징’ 등등의 용어가 등장한다. 타락, 그리스도, 십자가, 천국 등의 개념이 그 자체로 진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상징은 “그 자체를 넘어서는 다른 무엇을 가리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런 상징적인 개념들을 대할 때 우리는 그런 것들 자체에 정신을 빼앗기지 말고, 그것들이 가리키는 그 너머에 있는 의미를 찾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불교적 용어로 하면 이런 상징들은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그는 오늘 우리가 처한 ‘상황’을 무시하고 어느 한 때 인간의 필요에 부응하여 주어진 ‘과거’의 해석 자체를 붙들고 있겠다는 미국의 근본주의적 태도나 유럽의 정통주의적 자세는 ‘과거의 정황’에서 형성된 특수 해석 자체를 절대화하려 한다는 의미에서 ‘악마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그리스도교의 메시지를 각 세대를 위해 그 때 그 때 새롭게 해석하는 이른바 ‘응답하는 신학’으로서의 신학적 소임을 망각한 신학은 신학의 역할을 방기한 것이라는 뜻이다. 틸리히의 경우 그리스도교 상징을 해석하는 틀은 주로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이었다.

 

그는 성경이나 그리스도교의 메시지에 나오는 이런 상징들을 무조건 문자적으로 받아 들이려는 것은 무의미하고 무모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경을 심각하게 읽으려면 문자적으로 읽을 수 없고, 문자적으로 읽으면 심각하게 받아들일 수가 없다.”고 하였다. 틸리히가 영향을 받은 루돌프 불트만이 ‘비신화화’라는 용어로 신화의 재해석을 강조했다면 틸리히는 그 용어가 신화를 없애야 한다는 말로 오해될 소지가 있으므로 그 대신 ‘비문자화(deliteraliz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셈이다.


신화나 상징은 호두가 깨어져야 그 속살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깨어져야’ 그 깊은 의미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틸리히에 의하면, 종교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궁극 관심(ultimate concern)’이다.

그 궁극 관심의 대상은 결국 궁극적인 것, 곧 신이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신’이라는 말도 상징이라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고 한다. 우리는 우리가 쓰는 ‘신’이라는 말 너머에 있는 궁극 실재로서의 신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그는 ‘신의 상징으로서의 신(God as the symbol of God)’이라든가 ‘신 너머에 있는 신(God beyond God, God above God)’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한다. 그는 궁극 실재로서의 신은 상징적으로 표현하지 않고는 표현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틸리히는 물론 이런 상징들을 두고 ‘겨우 상징일 뿐인가?’ 하는 말을 하면 안 된다고 한다. 종교적 상징은 우리를 궁극실재로 이끌어 주는 필요불가결의 신성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궁극실재로서의 신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틸리히는 신(God)과 신성(Godhead)을 구별한다. 신은 우리의 구체적인 일상 경험에서 이해된 대로의 신이고 신성은 언어나 상징체계 너머에서 직접적으로 경험되는 궁극 실재라고 보았다.


이런 궁극실재는 ‘하나의 존재(a being)’일 수가 없다. 궁극실재가 ‘하나의 존재’라면 우리가 아무리 ‘위대하다’ ‘전능하다’ ‘전지하다’하는 등의 현란한 수식어를 붙인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른 존재들 중의 하나(a being among others)’로서 여전히 존재의 차원에 머물 수밖에 없고, 그런 의미에서 다른 존재와 특별하게 다르다고 할 수도 없다.

 

절대적이고 ‘조건 지워지지 않는’ 궁극실재로서의 신은 그러므로 ‘존재 자체(Being-itself)’라 하든가 ‘존재의 힘(the Power of Being)’ 혹은 ‘존재의 근거(the Ground of Being)’라 보아야 한다고 했다. 존재 자체, 혹은 존재의 바탕으로서의 신은 ‘존재와 비존재’ ‘본질과 실존’ 등의 분별을 넘어서기 때문에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상식적으로 믿고 있는 신은 결국 우상숭배 내지 미신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 셈이다.


‘존재의 근거’라는 용어는 가히 화엄에서 말하는 ‘법계(法界, dharmadha-tu)’를 연상하게 하는 말이다.

 

틸리히는 1960년 일본을 방문하여 불교 사찰을 방문하고 선불교 스님들을 대화하면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 때 받은 감명을 1961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행한 『그리스 도교와 세계종교들과의 만남(Christianity and the Encounter of the World Religins)』이라는 강연을 통해 발표하고 그 후 작은 책자로 출판했다.


여기서 그는 그리스도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나라’와 불교에서 가르치는 니르바나를 비교하고, 종교 간의 관계는 ‘개종(conversion)’이 아니라 ‘대화(dialogue)’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역설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명언으로 끝을 맺었다.

 

“모든 종교의 심층에는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잃어버리게 하는 경지가 있다. 그 경지는 종교의 특수성을 관통한 영적 자유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인간 실존의 궁극 의미를 표현한 다른 표현들 속에 나타난 영적 현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시카고에서 한 그의 마지막 강연에서도 비슷한 말을 되풀이했다. 틸리히는 신학자였지만, 이처럼 모든 종교의 심층을 뚫어보고 우리를 그리로 인도한다는 의미에서 생각하는 모든 종교인들을 위한 스승이라 하여 지나칠 것이 없으리라.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 명예교수


콰미

2011.02.08 01:09:46
*.54.206.28

작은 태클을 걸자면 20세기 최고의 신학자는 불트만이나 폴 틸리히가 아니라  칼바르트입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틸리히를  더 좋아하지만  바르트가 신학과 교회에 미친

 

영향(적어도 20세기 내에서만큼은)은   그 어느 신학자와도  비교 불가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바르트와 부룬너의 논쟁과    바르트와  틸리히 논쟁에

 

대한 글을 올려 보고 싶습니다.

닥터케이

2011.02.08 10:49:12
*.24.55.53

오강남 선생의 입장에서는 틸리히가 훨씬 더 감동적이었나 봅니다 ^^

틸리히의 신학에 대해 이야기는 이곳 저곳에서 들었지만 정식으로 그분의 책을 읽어본 적이 없어서....

혹시 틸리히 신학의 입문용으로 추천해주실만한 책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안희철

2011.02.08 23:29:24
*.1.3.7

그냥 그의 조직신학 1-3권으로 직빵 입문하시죠.:)

닥터케이

2011.02.10 14:17:07
*.24.55.53

아... 괜찮을까요? 죽 먹어야 할 사람이 바로 스테이크 먹는 격이 되는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profile

저별과 달

2011.02.08 11:24:44
*.111.236.54

그에게 있어서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가르침은 모두 ‘상징(symbols)’이었다.

톰라이트는 성경은 많은 부분이 은유로 표현 되어 있지만 거기에는 실재도 있다고 하더군요.. 

자유주의적 성경관은  세상의 악의 문제를 해결 할수가 없고

악에게 힘의 명분을 제공해 줄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칼바르트는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날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낸 자유주의 신학을 격렬하게

비난했다고 하더군요...

 

인류의 큰 스승이라..

저에게는 예수님이  인류의 큰 스승일 뿐입니다..

profile

바우로

2011.02.08 11:43:18
*.146.52.37

제 블로그와 얼굴책에 가져갑니다.

profile

바우로

2011.02.08 11:45:23
*.146.52.37

틸리히의 저작 그리스도교 사상사를 조금씩 읽는터라 아주 반갑습니다.

profile

임마누엘

2011.02.08 16:45:18
*.181.236.61

까마구 목사님.

 

갑자기 영어 나와서 '깜놀'했네요...ㅎㅎㅎㅎㅎㅎㅎㅎ;;

한글을 아주 사랑하는 임마누엘.

무위

2011.02.08 16:59:51
*.100.42.30

한글을 아주 사랑하는 임마누엘이라........., 음

저는 '임마누엘'이란 이름에 깜놀했어유......히히히.

그런데, 저 링크해 놓은 내용이 엄청 깜놀할 내용이군요.^^

 

profile

사띠아

2011.02.09 12:42:55
*.160.132.218

글을 읽어내려가면서 마하트마 간디가 떠올랐습니다.


폴 틸리히의 아들이 그의 세미나에서 밝힌

자기 부모의 그리 원만하지 못했던 부부관계,

특히 아버지의 바람끼와

어린 시절 어른들의 손길을 타서 생긴 것으로 보이는

정신병적인 질투에 사로잡힌 어머니의 잦은 과도한 반응등의 내용은

아무리 훌륭한 신학자요 영성가도

벨트아래 물건에 대해서 자신할 수 없는 한 사람의 연약한 인간임을

그대로 나타내어 주는 군요. 


그런 연약한 인간을 통해서도

위대한 일을 이루어 가시는 주님의 인내와 사랑의 풍성함을 인하여 감사합니다.


까마귀

2011.02.10 08:33:21
*.100.42.30

제가 얼핏얼핏 읽은 내용이 잘못 읽은 내용은아니네요.

영어 고수님께서 리뷰해 주시니 다행입니다.

사실, 신학자평론 책을 보면, 더 리얼하게 거의 선데이서울 수준으로까지 얘기하더라구요.

 

벨트 아래 물건

재미있네요.

 

"그런 연약한 인간을 통해서도
위대한 일을 이루어 가시는 주님의 인내와 사랑의 풍성함을 인하여 감사합니다."

 

이 어머어마한 신앙고백 대단하십니다.

사실 저도 이런 느낌으로 과연 그러한가 생각하면서 약간은 찜찜했었는데

그걸 뛰어넘어시네요. 과연 인도기독교인, buddistic christina의 영성 대단하십니다.

부디스틱 영어 맞나요? 틀린 것 같은데요.

어느 책에서 한국기독교인은 유교적 기독교인이라 그러더라구요.

 

저도 어린 딸을 키우는 입장에서

따님이 취직도 하시고 좋으시겠습니다. 결혼도 좋은분만나 하셔야겠네요.

늘 건강하십시오. 아침에 반가웠습니다.

 

광토

2011.02.08 16:59:37
*.244.221.1

저로선 그놈의 "존재"라는 전문용어 - 개념을 모르는 -  때문에 도통 이해가 안되더군요..ㅠ

profile

웃음

2011.02.09 11:34:34
*.155.235.162

기독교사상 2011년 1월호 "이 사람의 서가, 그리고 삶" 에 김경재교수가 소개되었습니다.

 

"김경제 교수는 일흔의 나이에 이르고 보니 기독교 전체가 보인다며 이렇게 기독교전체를 폭넓게 안내한 사람은 바로 폴 틸리히라고 했다. ..... 전 세속사회와 종교 양쪽을 다 봐야 된다는 생각에 폴 틸리히가 좋더라고요. 내가 칼 바르트를 벗어 날 수 있었던 것도 폴 틸리히 때문이에요."

 

 

profile

김영진

2011.02.09 18:50:40
*.203.200.174

콰미님... 잘 읽었어요...^^

틸리히를 좋아하는 지라 반갑네요..

건강하세요. 

콰미

2011.02.10 23:28:50
*.32.124.7

 폴틸리히  한인물 하잖습니까?   역시 문화신학자라  뭇 여성들의 사랑을 듬뿍 받으셨군요.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5003 부부 [2] 달팽이 Feb 10, 2011 1170
5002 [참고] *모니터 를 조절해 보세요 ~ file [7] 김영진 Feb 10, 2011 2717
5001 성격 [9] 낙타 Feb 10, 2011 1469
5000 (시) 새의 초상을 그리려면 [1] paul Feb 10, 2011 1593
4999 사회학적 성서읽기... 웃음 Feb 10, 2011 2384
4998 아이들 책 드립니다. [1] 유목민 Feb 10, 2011 1017
4997 도희 소식입니다 ^^ file [8] 도도아빠 Feb 10, 2011 6225
4996 엘리사는 왜 어린아이들을 죽였는가? [5] 웃음 Feb 09, 2011 14165
4995 성공회 기도서 자료를 올립니다. file [1] 새하늘 Feb 09, 2011 10074
4994 철학 스터디 관련해서 의견을 듣습니다. [6] NEGADETH Feb 09, 2011 1727
4993 '아멘' [1] 도도아빠 Feb 08, 2011 1140
4992 이집트 크리스찬들의 인간사슬 file [13] 유니스 Feb 08, 2011 7594
4991 정말 예수님이 곧 하나님인가요? [9] 저별과 달 Feb 08, 2011 1745
4990 예전학 공부하는 감리교회 목사님의 누리집에 정용섭... 바우로 Feb 08, 2011 1827
» 인류의 큰 스승 폴틸리히 [16] 콰미 Feb 08, 2011 2154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