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는 하나님을 선행하는 그 어떤 선험(Apriori)도 인정할 수 없다. 따라서 힐라리우스(Hilarius)의 원칙에 의하면 “실체가 말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말이 실체에 종속된다.”(Non sermoni res, sed rei sermo subjectus est.) 혹은 안셀름의 용어로 표현하면 신학적인 인식의 ratio(방법, 이성)와 necessitas(필연성, 위급)는 그의 대상의 ratio와 necessitas에 준하여 방향 잡혀야 한다. 이것의 순서가 뒤바뀔 수 없다. 물론 신학은 모든 다른 학문들처럼 하나의 인간적인 학문으로서 항상 그리고 어디서나 각 시대와 각 상황에서 전해졌고 새롭게 수용하는 통찰들, 개념들, 영상들 및 언어수단들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것들은 고대말엽, 중세기 바로크 시대, 계몽주의 시대, 관념론 시대, 혹은 낭만주의 시대에서 각각 다르게 형성되었다. 그런데 신학은 그 어느 시대 어느 상황에서도 그 어떤 일반적인 통찰법칙, 개념법칙, 그리고 언어법칙도 신학체계의 중심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구속력 있는 법칙으로 인정할 수 없다. 그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것이든, 데카르트의 것이든, 칸트의 것이든, 헤겔의 것이든, 하이데거의 것이든 간에.(102쪽)

 

     위에 고대 신학자들과 라틴어 개념들이 나와서 더 헷갈릴 것 같소. 의미는 간단하고 명백하오. 신학이 각 시대마다 다른 형태로 진술되긴 했지만 그 형태에 구속되지 않소. 그런 형태는 하나님에 대한 각 시대의 독특한 인식일 뿐이오. 그것보다 더 우선하는 것은, 그것들이 종속되어야 할 주체는 하나님의 계시오. 예컨대 해방신학이 있소. 그것은 라틴 아메리카의 상황에서 발생한 신학이었소. 소수의 부자들이 부를 독점하고 대부분의 가난한 사람들은 생존에 급급했던 상황에서 나온 신학이오. 그래서 정치적인 투쟁과 경제적인 해방을 말할 수밖에 없었소. 심지어는 마르크스의 계급투쟁까지 끌어들였소. 바르트에 의하면 이런 방식으로 신학을 끌어가면 곤란하오. 그것은 계시의 신학이 아니라 상황의 신학이 되오. 그것은 하나님에게 주도권이 있는 게 아니라 사회과학에 주도권이 주어지오. 이런 바르트의 입장에서는 자칫하면 인간의 구체적인 역사가 간과될 수 있소. 신학이 너무 관념으로 흘러서 이 세상의 삶과 무관한 것처럼 보일 수 있소. 바르트는 20세기 자유주의 신학과 21세기 히틀러 시대의 독일교회에 의해서 신학의 독립성이 훼손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다소 관념적으로 보이는 입장을 취한 것 같소.


신마적

2011.06.04 22:09:46

그러면 궁금해 지는 것이 하나 있는데요 바르트 신학과 몰트만 신학의 결정적인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을 처음 읽으려는데 몰트만 본인이 본인의 신학이 해방신학, 민중신학, 그리고 흑인신학에 깊은 영향을 준 것은 자신의 손을 떠난 것이라고 까지 표현을 했는데.....

List of Articles
No. Subject Date Views
2366 하나님의 선하심 Jun 15, 2011 2920
2365 file [2] Jun 14, 2011 3327
2364 미용사와 외과의사 [4] Jun 13, 2011 2813
2363 곡식과 가라지 Jun 11, 2011 2389
2362 대중 강연 Jun 10, 2011 2445
2361 출구 없는 방 Jun 09, 2011 3013
2360 창조의 하나님 Jun 08, 2011 2105
2359 바르트의 신학 이야기(47) Jun 07, 2011 1867
2358 바르트의 신학 이야기(46) Jun 04, 2011 2018
» 바르트의 신학 이야기(45) [1] Jun 03, 2011 1920
2356 원당일기(12) file [1] Jun 02, 2011 1763
2355 여호와를 송축하라! Jun 01, 2011 3035
2354 원당일기(11) file [3] May 31, 2011 2688
2353 원당일기(10) file [5] May 30, 2011 3084
2352 원당일기(9) file [4] May 28, 2011 1866
2351 원당일기(8) file [1] May 27, 2011 2380
2350 바르트의 신학 이야기(44) May 27, 2011 1913
2349 삶의 기초와 여호와의 복 May 25, 2011 3369
2348 바르트의 신학 이야기(43) May 24, 2011 1699
2347 노무현(5) [2] May 23, 2011 219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