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모데전후서 공부 제7, 2014116, 저녁 7:00-8:30

고난에 대해 본문: 딤후 1(1-18)

 

1. 딤후 1장 구조

1) 인사(1,2)/ 2) 디모데의 외가(3-7)/ 3) 복음과 고난(8-14)/ 4) 인물 평(15-18)

 

2. 바울의 고난

1) 육체적인 지병/ 2) 선교 과정에서의 박해/ 3) 예루살렘 유대기독교와의 갈등- 바울은 본문 12절에서 고난을 받되 부끄러워하지 않는다.’고 한다.

 

3. 욥 이야기

1) 동방의 의인이었던 욥은 저주 상태로 떨어진다.

2) 친구들이 욥을 충고한다. 죄를 회개하고 다시 복을 받아라. 당시 지혜문서 전통이다.

3) 욥은 고난과 죄의 관련성을 부정한다.

4) 결론: 고난, 악의 문제는 우리의 인식을 뛰어넘는다.

 

4. 예수의 십자가 이야기

1) 고전 1:23- 십자가의 죽음은 유대인에게 거리끼는 것, 이방인에게 미련한 것이다.

2) 예수는 십자가에서 하나님으로부터의 유기를 토로했다. 고독, 의심, 시험을 감당함.

3) 기독교는 예수의 십자가를 구원의 길로 경험했다. 인간의 죄가 폭로되었을 뿐만 아니라 부활을 통해서 그 죄가 극복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theologia crucis, theologia gloriae

 

5. 신정론(神正論) 문제

1) 하나님이 사랑이며 동시에 전능한 분이라고 한다면 이 세상의 악과 고난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세월호로 인한 참척의 고통은 누구의 책임인가? 박완서 <한 말씀만 하소서>

2) 전통적 대답- 첫째, 인간을 더 성숙한 상태로 이끌기 위해서 내리는 시험이라는 주장. 둘째, 타락한 천사가 악을 행한다는 주장. 이것은 충분하지 못한 대답이다.

3) 신학적인 대답 시도- 첫째, 욥의 경우처럼 하나님만이 그 대답을 줄 수 있다는 입장. 둘째, 십자가 신학의 차원에서 하나님이 그 고난의 현장에 현재한다는 입장. 셋째, 부활신학의 관점에서 절대적인 무의미성에서 새로운 시작을 행하실 수 있다는 입장. 넷째, 종말론적 관점에서 종말의 빛에서 오늘의 모든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 다섯째, 윤리적 관점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고난과 악에 저항해야 한다는 입장.

4) 하인리히 오트 <신학해제>- “신정론 질문은 나와 남이 겪는 고난의 근원과 근거를 묻고, 나와 남이 당하는 악의 근원과 근거를 묻는다. ... 이 질문은 도리어 신학적인 한계질문이다. ... 신정론 질문은 신학 안에 자리하는 것이 아니라 신학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서 있다.”

5) C.S. 루이스 <고통의 문제>- ‘한편으로는 세상의 고통을 인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그와 아주 다른 근거에서 하나님의 선함을 확신하는 우리가 어떻게 그 선과 고통을 모순되지 않게 이해할 수 있느냐 하는 것...’

6) K. 바르트 <복음주의 신학입문>- 하나님의 NoYes의 껍데기다. 이 껍데기는 파멸되고 하나님의 Yes가 터져 나올 것이다. 이런 희망에서 고난과 악을 참고 견딜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