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공부(40)

조회 수 1627 추천 수 0 2014.05.24 22:26:08

국악찬송

 

예배의 부름 뒤에 회중들은 일어나서 찬송을 부르고, 일어선 상태에서 공동기도와 사죄기도, 평화의 인사까지 진행된다. 그리고 자리에 앉아 찬송을 부른다. 우리는 이때 국악찬송가를 부른다. 국악찬송은 향린교회에서 발행한 <국악 찬송가>에서 선곡한다.

 

주일공동예배 시간에 국악 찬송가를 부르는 것에 대한 생각은 서로 다를 것이다. 국악찬송가를 부르지 않는다고 해서 진정한 예배가 아니라고 할 수 없으며, 국악찬송가를 부른다고 해서 전통적인 예배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없다. 우리가 국악 찬송가를 부르는 이유는 단순하다. 예배의 한 대목만이라도 한민족의 정서를 담아내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기독교의 토착화와 연관된다. 신앙과 예배의 본질은 그대로 고수하되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은 해당 민족의 문화에 맞도록 바꾸자는 주장이 토착화 논의이다. 이런 논의는 주로 제 3세계 신학계에서 표출되었다. 어떤 화가는 흑인 예수나 한복을 입은 예수를 그림으로 그리기도 했고, 어떤 분은 예수 일대기를 창으로 불렀다. 목사 가운도 한복으로 바꾸려는 시도가 있었다. 제 1세계 신학계에서는 폴 틸리히의 <문화의 신학>이 이를 대변한다고 보면 된다. 그는 기독교 복음을 본질과 문화로 구분했다. 본질은 몸이고, 형태는 옷과 같다. 몸은 변할 수 없지만 옷은 변할 수 있으며, 변해야 한다.

 

그런데 국악찬송이 모두 허용될 수는 없다. 가사와 가락이 신앙적인 품격을 갖춘 찬송가로 제한되어야 한다. 우리의 민요가락에 가사만 기독교적인 것으로 채워도 곤란하다.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판단은 신학자나 목사가 할 수 없다.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꿰뚫고 있으면서 음악의 조예가 깊은 전문가들의 몫이다. 한국교회가 범교파적으로 가칭 <국악찬송가 연구 및 보급 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구성하는 게 좋을 듯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3405 목사공부(63) 2014-06-20 1394
3404 목사공부(62) 2014-06-19 1481
3403 목사공부(61) [2] 2014-06-18 1807
3402 목사공부(60) [4] 2014-06-17 1867
3401 목사공부(59) [2] 2014-06-16 1901
3400 목사공부(58) 2014-06-14 1539
3399 목사공부(57) 2014-06-13 1459
3398 목사공부(56) 2014-06-12 1418
3397 목사공부(55) [4] 2014-06-11 1799
3396 목사공부(54) 2014-06-10 1428
3395 목사공부(53) 2014-06-09 1890
3394 목사공부(52) 2014-06-07 1653
3393 목사공부(51) [2] 2014-06-06 1897
3392 목사공부(50) 2014-06-05 1559
3391 목사공부(49) 2014-06-04 1622
3390 목사공부(48) 2014-06-03 1466
3389 목사공부(47) 2014-06-02 1509
3388 목사공부(46) [4] 2014-05-31 2099
3387 목사공부(45) [2] 2014-05-30 1752
3386 목사공부(44) [1] 2014-05-29 178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