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기타 조회 수 12123 추천 수 23 2004.07.02 16:29:53
성경본문 : 고린도전서 15:1-11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고전 15:1-11

예수 사건의 딜레마
다른 종교의 가르침은 일반 사람들이 비교적 접근하기 쉽지만 기독교의 가르침은 결
정적인 부분에서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예컨대 불교는 인간에게 스스로 내면에 담겨 있
는 불성을 회복하라고 가르칩니다. 이런 교리는 그것의 옳고 그름을 둘째 치고 사람들에
게 불편하게 다가가지 않습니다. 이 세상에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며 덕을 실현함으로써
완전한 삶을 성취할 수 있다는 공자의 가르침도 역시 사람들의 생각을 불편하게 만들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가르침들은 사람들의 일반적인 경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기독교의 십자가와 부활은 사람들의 마음을 매우 불편하게 만듭
니다.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경험에 비추어볼 때 상당히 어긋나 있기 때문에 그렇
습니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기 어색한 내용을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기독교는 분명히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문제를 설명하려면 책 한
권을 써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세세한 이야기는 접어두고 그 핵심적인 내용을 부분적
으로나마 검토하겠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부처나 공자는 천수를 다 누리고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
고 인생을 마쳤습니다. 학자들의 견해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분들은 죽은 다음만
이 아니라 살아 있을 때도 역시 존경을 받았습니다. 특별한 가르침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행복하고 평화로운 삶 자체가 많은 사람들의 귀감이 될 만 합니다. 이에 반해서 예수님
은 젊은 나이에, 그것도 십자가 처형을 받고 죽었습니다. 십자가 처형은 이미 바울이 고
린도전서 1:23에서 진술하고 있듯이 "유다인들에게는 비위에 거슬리고 이방인들에게는
어리석게 보이는 일"입니다. 지금은 기독교인들이 십자가 모형을 목거리로 만들어 달고
다닐 정도이지만 원래의 십자가는 종교적인 의미와는 너무 거리가 먼, 로마 제국이 자신
들의 제국을 지키기 위해 실시한 인류 역사상 가장 비참한 처형 방식이었습니다. 민족
해방을 위해 투쟁하던 혁명가들이 십자가에 처형되었다는 점에서 유대인들에게 일말의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는 했지만 그런 극단적인 투쟁이 늘 지지 받은 것은 아닙니다. 그
런 일이 일어날 때마다 로마 제국의 억압이 심해졌기 때문에 속으로는 상당히 불편하게
생각했을 것입니다. 한편으로 로마인들은 십자가에 처형당하는 반역 죄인을 보고 당연히
어리석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로마 정권에 도전하는 것은 달걀로 바위를 치는 것처럼
아무런 의미도 없이 자기만 희생당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초기 기독교는 이런
십자가를 구원의 길로 선포해야만 했습니다. 실제로 사람들이 생각하는 구원이나 행복과
는 완전히 반대라 할 수 있는 십자가를 구원의 길로 선포한다는 것은 곧 기독교의 딜레
마였습니다.
아마 어떤 분들은 부활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이것처럼 참된 구원이
있을 수 없다고 말입니다. 기독교인이 그렇게 믿는 것은 옳고 당연합니다만 우리는 이런
기독교의 가르침을 늘 보편적인 인식의 지평에서 살펴보아야만 합니다. 만약 오늘날 어
떤 소종파 교인들이 자신들의 교주가 죽은 지 삼일만에 다시 살아났다고 주장한다면, 우
리를 포함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들을 미친 사람, 맛이 간 사람, 사이비 집단이라고 생
각할 것입니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시작될 때는 오늘처럼 과학적으로 생각하지 않았
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이 부활을 선포한다고 하더라도 거절하는 강도가 우리와 비교해서
약하다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결국은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이나 그때나 상관없이 사람이
다시 산다는 것은 그렇게 당연한 일이 아닐 뿐만 아니라 그런 소문은 대개 거짓으로 판
명되었습니다. 초기 기독교인들도 부활이 일반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사실을 충분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예수님의 부활을 전한다는 게 말처럼 간단한 게 아니었습니다.
기독교가 이런 딜레마를 벗어나기 위해서 몇 가지 다른 길로 접어들 수도 있습니다.
십자가와 부활의 사실성보다는 그것의 도덕적, 실존적 의미를 강조하는 게 하나의 길입
니다. 자기 희생적으로 사는 것이나 절망에서 희망을 안고 사는 게 바로 십자가와 부활
의 의미라고 말입니다. 이런 선택은 아마 교양과 지성을 삶의 토대로 삼는 사람들에게
그런 대로 그럴듯하게 받아들여질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무조건 교리적인 차원이나 주
술적인 차원에서 강요하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핵심이 담고 있는 딜레마를 이런 방식으
로 해결해 하는 게 잘하는 일일까요? 기독교의 역사는 그런 비겁한 방식을 선택하지 않
았습니다. 비록 그 시대의 사람들이 받아들이기 불편한 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 때문
에 자신들의 복음을 변질시키거나 왜곡시키지 않았습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본문에도
바울의 이런 태도가 엿보입니다.

부활의 현실성(reality)
고린도전서 15장은 신약성서의 부활 전승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대목인데, 오늘 우
리가 읽은 1-11절은 부활의 역사적 현실성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3-5절 말씀을 읽어봅시
다. "나는 내가 전해 받은 가장 중요한 것을 여러분에게 전해 드렸습니다. 그것은 그리
스도께서 성서에 기록된 대로 우리의 죄 때문에 죽으셨다는 것과 무덤에 묻히셨다는 것
과 성서에 기록된 대로 사흘만에 다시 살아나셨다는 것과 그 후 여러 사람에게 나타나셨
다는 사실입니다."
"내가 전해 받은 가장 중요한 것"이라는 바울의 표현에 따르면 이미 초기 공동체 안
에 이런 내용이 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전승의 내용이 곧 그리
스도의 죽음, 무덤에 묻힘, 다시 살아나심, 사람들에게 나타나심입니다. 이 구절 중에서
'성서에 기록된 대로'는 그렇게 중요한 진술은 아닙니다. 대개의 신학자들이 동의하고
있듯이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성서를 해석함으로써 부활에 대한 확신을 얻은 게 아니라
부활에 대한 사실적 경험이 우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들도 받아들이기 힘든 부활
경험이 먼저 있었고, 그 뒤로 이제 그 안에 머물러 있던 초기 증인들에게 차츰 구약성서
가 눈에 보이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십자가와 부활만 언급하지 않고 '무덤에 묻히
셨다'는 언급이 포함된 이유는 그 사건의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하려는 것입니다. 예수가
가사(假死)상태에 빠졌다가 정신을 차린 게 아니라 완전히 죽었다고 말입니다.
부활의 그리스도가 여러 사람에게 나타났다는 전승을 바울은 자신의 입장에서 훨씬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부활하신 그리스도가 먼저는 베드로에게,
다음에는 열 두 사도에게, 오백 명이 넘는 교우에게, 그 뒤로 예수님의 동생인 야고보에
게, 그리고 마지막으로 바울 자신에게 나타나셨다고 합니다. 이런 부활한 주님의 현현
보도는 예수의 부활 보도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논리적이지는 않습니다. 예컨대 부활한
주님이 열 두 사도에게 나타났다는 언급이 그렇습니다. 이미 가룟 유다는 공동체에서 제
외된 사람이기 때문에 열 한 사도라고 해야 맞습니다. 오백 명이 넘는 교우들에게 부활
한 그리스도가 나타났다는 언급이 어떤 사실에 기초하고 있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사도
행전(1:15)이 보도하듯이 성령을 받은 120명의 교인들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볼 수는 있
습니다. 예수님의 동생인 야고보에 대한 이야기는 복음서에 등장하지 않지만 바울이 그
를 사도로 생각했을지도 모릅니다. 부활한 그리스도에 대한 자신의 경험은 그 유명한 다
메섹 도상의 회심 사건을 가리킵니다. 그런데 바울이 회심할 때는 이미 부활한 그리스도
의 승천 이후이기 때문에 베드로의 경험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울은
아마 부활하신 예수님이 40일 동안 이 세상에 계시면서 현현하신 사건과 성령의 임재 사
건을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바울이 이런 일련의 증언을 통해서 전하려는 메시지는 예수 부활이 얼마나 확실한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직접 목도한 증인들이 한 두 사람이 아닐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직접 체험했기 때문에 더 이상 확실한 것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11절에 이렇게 전하고 있습니다. "내가 전하든지 다른 사도들이 전하든지 우리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전하고 있으며 여러분은 그것을 믿었습니다."

부활신앙을 통한 구원
기독교 신앙은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전한 사도들의 증언이 진리라는 전제에
서만 가능합니다. 이는 곧 예수님이 우리에게 직접 말씀하시는 게 아니라 사도들의 신앙
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말씀하신다는 뜻입니다. 간혹 예수님을 직접 경험한다는 사람들
이 있기는 하지만, 또한 그런 가능성을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도들
의 신앙 경험이 예수님과 우리 사이를 매개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인용한 11절 말씀도
그렇지만 1절 말씀도 역시 이런 배경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형제 여러분, 전에 내가 전
해 준 복음을 여러분의 마음 속에 되새겨 주려고 합니다. 이 복음은 여러분이 이미 받아
들였고 또 여러분의 믿음의 기초가 되어 있습니다."
이런 사도의 신앙은 곧 십자가와 부활에 대한 것인데, 핵심적으로는 부활입니다. 십
자가도 역시 기독교 신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인입니다만 부활이 훨씬 중요한 요체입
니다. 십자가가 뿌리라고 한다면 부활은 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뿌리가 없다면 꽃도 없
다는 점에서 십자가가 필수적이지만 목표는 곧 꽃을 피우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역시
부활이 우선한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나 어떤 것이 우선하는가, 하는 논의는 별 의미가
없습니다. 성서 기자들이 증언하고 있는 대로 우리가 따라가면서 배우기만 하면 충분합
니다. 오늘 본문의 중심 주제는 부활입니다. 이 부활 신앙을 통해서 기독교인이 구원받
는 사실을 바울은 증언하고 있습니다.
2절 말씀을 보십시오. "그러므로 여러분이 헛되이 믿는다면 몰라도 그렇지 않고 내
가 전해 준 복음 그대로 굳게 지켜 나간다면 여러분은 이 복음으로 구원을 받게 될 것입
니다." 바울이 말하는 복음은 그 이후의 구절에서 자세하게 설명되고 있듯이 곧 예수님
의 부활입니다. 우리는 곧 예수님의 부활을 사실로 믿으면 구원받습니다.
그런데 사도들은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요? 특히 바울은 무슨 근거에서 예수
님의 부활 사건을 믿으면 구원받는다고 주장하는 걸까요? 이에 대한 대답을 찾으려면 15
장 전체를 읽고 상당히 복잡한 사유 과정을 거쳐야만 합니다만, 오늘 우리는 거기까지
나가지 않겠습니다. 다만 한 대목만 확인하면 충분합니다. 예수님의 부활은 모든 생명의
완성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사도들은 자신들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방식으로 죽
음을 깨뜨리시고 새로운 생명으로 나타나신 그리스도를 경험했습니다. 그것이 얼마나 확
실한 것인지는 위에서 살펴본 대로 부활하신 예수님의 현현을 경험한 사도들을 비롯해서
여러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예수님이 실제로 부활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증명할 수는 없습니다.
성서의 부활 보도 역시 그것을 증명하려는 것이 아니며, 오늘 바울의 진술도 역시 그런
증명의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사도들은 그것을 생생하게 체험했을 뿐입니다. 그 체험을
두서 없이 증언하고 있을 뿐입니다. 바로 이 자리가 신앙의 비약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논리적 증명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니라 모든 것을 신뢰하는 신앙이 필요하다는 말씀입니
다. 사실 기독교 신앙에서 합리적 인식과 무조건적인 믿음 사이에는 늘 긴장이 따라 다
닙니다. 한편으로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해석하고 인식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철저하게 믿어야만 합니다. 기독교 신앙의 이 두 측면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으로
쏠려버리면 병들게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적당하게 이성을 중심으로 인식하고 적당하게
믿음에 따라서 행동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오히려 반대로 철저하게 합리적이고 철저하게
신앙적이어야 합니다. 지성적인 사람들은 이런 것을 인간의 인식론에 대한 훼손이라고
생각하지 모르겠습니다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신앙적 비약이라는 말은 "믿을 만 하지 못하지만 그냥 믿는 게 아니라 아직 명증하
게 해명할만한 준비가 못되었지만 믿을 만 하기 때문에 믿는 것"입니다. 인간이 '존재의
신비' 앞에 정직하게 선다면 이런 말을 무시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예수의 부활 사건을
아직 우리가 과학적인 방식으로 완벽하게 해명하지 못했을 뿐이지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
고 말할 근거는 하나도 없습니다. 더구나 과학 실증주의라는 것의 토대가 얼마나 허약한
가 하는 점을 안다면 그런 기준만을 잣대로 예수 부활 사건을 외면하지 않을 것입니다.

생명의 힘
부활 신앙을 통해서 우리가 구원받는다는 게 사실이라고 한다면 결국 예수의 부활이
야말로 바울이 표현하고 있는 대로 '믿음의 기초'이며 복음의 초석입니다. 기독교 신앙
의 모든 내용이 곧 여기에 토대를 놓는다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
다. "기독교는 부활 종교이다."
아마 대개의 기독교인들은 이런 말을 잘 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예수님의 부활을
믿고 있으며, 결국 우리도 부활할 것이라고 말입니다. 좋습니다. 그런 신앙을 꾸준히 유
지시켜나가야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지금 우리의 삶이 예수님의 부활과 얼마나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가 하는 점도 생각해야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은 철저하게 생
명 파괴적이고 자기 중심적이면서 말로만 예수님의 부활을 믿는다고 한다면 그것은 신앙
이 아니라 속임수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안타깝지만 이런 일들이 우리에게 자주 일어납
니다. 부활이 단지 죽은 교리로만 작용할 뿐이지 현재 우리의 삶의 능력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일 말입니다.
간단히 우리의 일상에서 이런 문제를 생각해봅시다. 적지 않은 기독교인들이 매일의
삶에 억압당하고 있을 것입니다. 자기에게 무슨 일이 일어날까 염려하면서 노심초사합니
다. 나쁜 일이 일어날까 염려하기도 하지만, 혹시 좋은 일이 일어나지 않나 하는 기대
때문에 마음이 자리를 잡지 못합니다. 이렇게 살아가는 자기 자신을 예수 그리스도의 부
활 안에서 되돌아보십시오. 참된 생명의 완성인 그리스도의 부활을 우리가 참되게 믿는
다면 우리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 세상을 살아갈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인간적 한계에서 순식간에 해방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다만 부활의 영이 우리를 지배하
는 것만큼 우리의 인간적인 수고로 인한 상처와 혼돈을 사라질 것이며, 대신 우리의 구
체적인 삶에서 생명의 에너지가 솟아날 것입니다. 생명의 에너지는 곧 사랑의 능력으로
승화함으로써 우리 주변을 생명 현상으로 바꿔나갈 것입니다. 흡사 봄이 오자 죽은 듯이
보였던 나무에 꽃이 피고 잎이 피듯이 말입니다. 이게 곧 기독교가 가르치는 부활 신앙
이며, 복음의 기초입니다. 금년 부활절을 맞는 우리 모두에게 이런 생명의 힘이 가득하
기를 바랍니다.  <2004.4.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783
1053 부활절 상호내주의 신비 (요 15:1-8) update 2024-04-28 149
1052 부활절 부족함 없는 삶, 가능한가? (시 23:1-6) 2024-04-21 478
1051 부활절 죽은 자 가운데서 (눅 24:36b-48) [2] 2024-04-14 550
1050 부활절 생명의 로고스 (요일 1:1-10) [2] 2024-04-08 581
1049 부활절 예수 부활의 첫 증인들 (막 16:1-8) [4] 2024-03-31 691
1048 사순절 향유를 손에 든 여자 (막 14:1-11) [4] 2024-03-24 819
1047 사순절 새 언약의 날 (렘 31:31-34) [2] 2024-03-17 723
1046 사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6] 2024-03-10 959
1045 사순절 십자가의 길과 하나님의 능력 (고전 1:18-25) [2] 2024-03-04 1000
1044 사순절 예수 승천과 하나님 우편 (벧전 3:18-22) [9] 2024-02-18 1321
1043 주현절 예수의 변모 사건 (막 9:2-9) [5] 2024-02-11 1053
1042 주현절 여호와를 믿고 기다리는 사람 (사 40:21-31) [6] 2024-02-05 1092
1041 주현절 예수의 배타적 권위 (막 1:21-28) [4] 2024-01-28 1003
1040 주현절 부름-버림-따름 (막 1:14-20) [2] 2024-01-21 1057
1039 주현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2] 2024-01-14 1096
1038 주현절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세례 (행 19:1-7) [5] 2024-01-07 1101
1037 성탄절 만물의 찬양 (시 148:1-14) [2] 2023-12-31 1275
1036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2] 2023-12-24 2241
1035 대림절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2] 2023-12-17 2431
1034 대림절 하나님의 날: 새 하늘과 새 땅 (벧후 3:8-13) [2] 2023-12-10 2418
1033 대림절 깨어있음이란? (막 13:24-37) [2] 2023-12-04 2707
1032 창조절 교회는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다! (엡 1:15-23) [2] 2023-11-26 1245
1031 창조절 은혜를 갈망하는 시인 (시 123:1-4) [2] 2023-11-19 1294
1030 창조절 외면당한 사람들 (마 25:1-13) [5] 2023-11-12 1410
1029 창조절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의 역설 (마 23:1-12) 2023-11-07 1149
1028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마 22:41-46) [7] 2023-10-29 1444
1027 창조절 재림신앙 (살전 1:1-10) [4] 2023-10-22 1397
1026 창조절 금송아지 이야기 (출 32:1-14) 2023-10-15 1287
1025 창조절 모퉁이 머릿돌이신 예수 (마 21:33-46) 2023-10-09 1235
1024 창조절 과정으로서의 구원 (빌 2:1-13) 2023-10-01 1280
1023 창조절 하나님의 선하심 앞에서 (마 20:1-16) [2] 2023-09-24 1398
1022 창조절 홍해 이야기 (출 14:21-31) 2023-09-17 1393
1021 창조절 도반 공동체 (마 18:15-20) [4] 2023-09-10 1338
1020 창조절 '악' 앞에서 (롬 12:14-21) [4] 2023-09-04 1518
1019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2023-08-27 1273
101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큰 믿음 (마 15:21-28) [6] 2023-08-20 1637
101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롬 9:1-5) [2] 2023-08-08 1835
1016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에 관한 말씀 (마 13:31-33, 44-50) [2] 2023-07-30 1775
1015 성령강림절 여기 계신 하나님 (창 28:10-19a) [4] 2023-07-23 1885
1014 성령강림절 생명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1-11) 2023-07-16 1424
1013 성령강림절 영혼의 안식 (마 11:16-19, 25-30) [4] 2023-07-09 1709
1012 성령강림절 인신 제사의 유혹 (창 22:1~14) 2023-07-03 1395
1011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4] 2023-06-25 1887
1010 성령강림절 성령과 하나님 사랑 (롬 5:1~8) 2023-06-18 1553
1009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소명 경험 (창 12:1~9) [2] 2023-06-11 1706
1008 성령강림절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 (마 28:16~20) [6] 2023-06-05 1656
1007 성령강림절 평화-파송-성령-사죄 (요 20:19~23) [2] 2023-05-28 1578
1006 부활절 가난한 자의 하나님 (시 68:1~10) [4] 2023-05-21 1880
1005 부활절 "살아있음" (요 14:15~21) [2] 2023-05-14 1692
1004 부활절 어둠에서 빛으로! (벧전 2:2~10) [5] 2023-05-08 1975
1003 부활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벧전 2:18~25) 2023-04-30 1465
1002 부활절 눈이 밝아진 두 제자 (눅 24:28~35) [7] 2023-04-23 1902
1001 부활절 믿음의 깊이 (요 20:24~31) 2023-04-16 2324
1000 부활절 감추어짐과 나타남 (골 3:1~4) [7] 2023-04-09 2515
999 사순절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 (사 50:4~9a) 2023-04-02 2027
998 사순절 하나님의 영 (롬 8:6~11) [4] 2023-03-26 1971
997 사순절 바리새인의 '죄' 문제 (요 9:35~41) 2023-03-19 1982
996 사순절 '르비딤' 광야에서 (출 17:1~7) [6] 2023-03-12 3027
995 사순절 믿음과 영생 (요 3:1~7) [2] 2023-03-05 2402
994 사순절 생명 왕권 (롬 5:12~19) 2023-02-26 2333
993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마 17:1~8) [4] 2023-02-19 2828
992 주현절 양자택일 (신 30:15~20) [3] 2023-02-12 2714
991 주현절 천국 윤리 (마 5:13~20) [4] 2023-02-06 2569
990 주현절 삶의 무게 (미 6:1~8) [4] 2023-01-29 3579
989 주현절 가버나움 사람 (마 4:12~23) [4] 2023-01-22 2630
988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4] 2023-01-15 2695
987 주현절 여호와께 예배하라! (시 29:1~11) [2] 2023-01-09 2661
986 성탄절 나사렛 사람 (마 2:13~23) [4] 2023-01-01 3416
985 성탄절 큰 기쁨의 좋은 소식 (눅 2:1~14) [7] 2022-12-25 3357
984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종 (마 11:2~11) [3] 2022-12-22 3387
983 대림절 구원의 징표 (마 11:2~11) [1] 2022-12-11 4577
982 대림절 여호와를 아는 지식 (사 11:1~10) [3] 2022-12-05 4194
981 대림절 잠듦과 깨어 있음 (마 24:36~44) [2] 2022-11-27 4608
980 창조절 기쁨 충만, 가능한가? (빌 4:4~9) [2] 2022-11-21 3102
979 창조절 마지막에 관한 이야기 (눅 21:10~19) 2022-11-14 2721
978 창조절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선하심 (시 145:1~5, 17~21) 2022-11-07 2682
977 창조절 부르심에 합당한 사람 (살후 1:1~4, 11~12) [2] 2022-10-31 3360
976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4] 2022-10-24 2769
975 창조절 기도의 신비와 능력 (눅 18:1~8) 2022-10-17 4244
974 창조절 하나님께 영광=예수께 영광! (눅17:11~19) [8] 2022-10-11 3380
973 창조절 은혜의 시원적 깊이 (딤후 2:1~11) 2022-10-03 2904
972 창조절 한 부자와 거지 나사로 (눅 16:19~31) 2022-09-26 3700
971 창조절 하나님과 사람 '사이' (딤전 2:1~7) 2022-09-19 3387
970 창조절 하나님을 모르는 하나님의 백성 (렘 4:11~12, 22~28) [1] 2022-09-12 3600
969 창조절 왜 예수 제자인가? (눅 14:25~35) 2022-09-05 3520
968 성령강림절 복된 삶의 역설 (눅 7:1, 7~14) [6] 2022-08-29 4021
967 성령강림절 흔들리지 않는 나라 (히 12:18~29) [4] 2022-08-22 3722
966 성령강림절 포도원 노래꾼 (사 5:1~7) [4] 2022-08-15 2589
965 성령강림절 준비된 삶이란? (눅 12:32~40) [5] 2022-08-08 3833
96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과 거룩하심 (호 11:1~11) [6] 2022-08-01 3718
963 성령강림절 성령을 주시리 (눅 11:1~13) [6] 2022-07-25 4745
962 성령강림절 ‘말씀’이 없는 시대 (암 8:1~12) 2022-07-17 4331
961 성령강림절 아들의 나라 (골 1:1~14) 2022-07-11 2968
960 성령강림절 하늘에 기록된 이름 (눅 10:1~11, 16~20) [2] 2022-07-03 3575
959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의 미래 지향성 (눅 9:57~62) [2] 2022-06-26 2827
958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산 호렙에서 (왕상 19:1~4, 8~15a) [2] 2022-06-20 3539
957 성령강림절 성령이여, 오소서! (요 16:12~15) [2] 2022-06-12 3638
956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양자의 영 (롬 8:14~17) [4] 2022-06-05 4917
955 부활절 의로운 자의 기쁨 (시 97:1~12) [2] 2022-05-29 4121
954 부활절 루디아와 빌립보 교회 (행 16:9~15) [4] 2022-05-22 4698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