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죄를 어찌할 것인가? 9월4일

기타 조회 수 10413 추천 수 26 2005.09.04 18:45:35
성경본문 : 마태복음 18:15-20 
http://wms.kehc.org/d/dabia/9.4.MP3http://wms.kehc.org/d/dabia/9.4.MP32005. 9.4.          
마 18:15-20
제목: 죄를 어찌할 것인가?

죄란 무엇인가?
요즘 한국교회 안에 ‘사형제도’ 문제로 시비가 분분합니다. 그 시비의 빌미는 한기총(한국기독교총연합회)이 먼저 제공했습니다. 그들은 사형제도가 성서에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맞서 KNCC(한국기독교협의회)는 사형제도가 기독교 정신에 위배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아마 여러분이 이들의 주장을 각각 들어보면 모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어린이 유괴 살해범은 완전하게 사회와 격리시켜야 한다는 주장에도 일리가 있고, 아무리 그렇지만 인간의 생명을 끊는다는 것은 그것 자체가 폭력이라는 주장에도 일리가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사형제도를 반대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완전히 매도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사회와 역사를 생각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진정한 대화가 불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서로 얼굴 붉히고 대립적으로 투쟁하기보다는 각자의 주장에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러운 결과를 끌어내는 게 훨씬 효과적일 것입니다.
사형문제에 관한 논의는 ‘죄’를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도대체 인간은 왜 죄를 짓는 걸까요? 아니 도대체 우리는 무엇을 죄라고 생각하나요? 인간은 원죄에 숙명적으로 물들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죄를 짓게 되는 걸까요? 아니면 우리의 의지가 박약하기 때문에 죄를 짓게 될까요? 이런 신학적이고 철학적인 차원까지 나갈 것도 없이, 그냥 우리의 일상에서 이 죄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그것에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십시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잘못을 축소시키고 남의 잘못은 확대합니다. 예컨대 부동산 투기는 사회를 병들게 하는 잘못이라고 말을 하지만 실제로 그런 기회를 적절하게 이용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교회에 다니거나 다니지 않거나 이런 문제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저는 그런 분들의 삶을 따라가고 싶지도 않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근본적으로 인격이 왜곡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왜냐하면 죄 문제는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 더 양심적으로 사는가, 또는 조금 더 윤리적으로 사는가의 차원에 속한 게 아니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이 죄는 훨씬 근원적인 문제입니다. 그것을 놓친다면 우리는 서로를 향해서 적대감만 품을 뿐이지 실제로는 죄의 결과라 할 수 있는 생명의 파괴를 막지 못합니다. 죄가 왜 법이나 사회윤리의 차원보다 훨씬 근원적인 차원인지 오늘 마태가 전한 예수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여봅시다.

죄, 혹은 죄인 앞에서
15절 말씀을 보십시오. “어떤 형제가 너에게 잘못한 일이 있거든 단 둘이 만나서 그의 잘못을 타일러 주어라. 그가 말을 들으면 너는 형제 하나를 얻는 셈이다.” 본문은 두 사람의 관계에서 벌어진 문제를 거론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에게 잘못한 일이 있습니다. 사회적인 범죄 행위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잘못입니다. 아마 어떤 분은 예수님께서 뭐 시시하게 이런 문제를 거론하실까 하고 시큰둥하게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런 것보다는 세계 평화를 파괴하는 로마의 시저가 저지르는 만행을 언급하셨어야 마땅하다고 보시나요? 요즘도 그런 논란이 많습니다. 사회정의, 국제평화 문제에 투신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도 그런 유에 속한 사람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사회정의나 세계평화보다는 더 결정적으로 중요한 문제는 자기의 구체적인 일상에 대한 우리의 태도입니다. 재미있는 예를 하나 들어볼까요? 경제정의와 지속가능한 생태보존을 위해서 투쟁하는 진보적 목사와 지성인들 중에서 어떤 사람들은 자기 집에서 매우 노골적으로 가부장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이게 인간의 한계인지 모르겠습니다. 멀리 있는 불의에 맞설 수는 있지만 자기 안에 있는 불의는 보지 못하는 것 말입니다. 오늘 성서 본문은 매우 시시한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이런 게 결정적으로 중요합니다. 어떤 형제가 나에게 잘못한 일이 생겼을 때 나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늘 본문은 네 단계로 대처 방안을 제시합니다. 첫째는 개인적으로 충고할 것이며, 둘째는 한 두 사람을 증인으로 데리고 가서 충고하고(신 19:15), 그래도 해결이 안 되면 교회에 알리고, 교회의 공식적인 충고마저 거부하면, 마지막으로 그를 이방인이나 세리처럼 여기라고 했습니다. 이 방식은 부분적으로는 구약과 연결되지만 근본적으로 그것을 뛰어넘습니다. 몇몇 증인을 내세우는 중간 단계에서 구약과 일치하지만, 그 결과에서는 전혀 다릅니다. 구약은 죄 문제를 기본적으로 이렇게 처리합니다. “그런 자는 애처롭게 여기지 말라. 목숨은 목숨으로,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손은 손으로, 발은 발로 갚아라.”(신 19:21). 그러나 오늘 본문은 이방인이나 세리처럼 여기라고(17절) 가르칩니다.
이방인과 세리처럼 여기라는 이 말씀은 해석하기가 간단하지 않습니다. 오늘 본문의 흐름으로만 본다면 이방인과 세리처럼 여긴다는 게 일종의 징벌처럼 생각됩니다. 그러나 복음서에서 이방인과 세리는 그렇게 나쁜 뜻으로만 나오지 않습니다. 예수님이 가까이 하신 사람들은 세리와 죄인들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이 본문이 말하는 이방인과 세리를 호의적인 사람들의 표본으로 볼 수는 없습니다.
본문 자체만으로 해석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것 전후의 문맥을 살펴야 합니다. 오늘 본문에 이어지는 21,22절 말씀을 보십시오. 예수님은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무자비한 종의 비유’(23-35)의 결론도 역시 형제에 대한 용서입니다. “너희가 진심으로 형제들을 서로 용서하지 않으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실 것이다.”(35절).
이런 문맥을 고려한다면 이방인과 세리처럼 여기라는 가르침은 결국 그들이 잘못을 깨닫고 그것을 인정하든 않든 상관없이 용서하라는 뜻으로 새길 수 있습니다. 이 상황을 좀 면밀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나에게 잘못한 형제가 자신의 잘못을 깨달으면 나의 형제가 되고, 깨닫지 못하면 이방인과 세리처럼 될 뿐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죄 지은 형제가 어떤 태도를 취하든, 그 결과가 어떻든지 그에 대한 나의 일관된 태도입니다. 나는 그를 용서할 따름입니다.
사형 제도를 다시 한 번 더 말씀드려도 괜찮겠지요. 사형제도가 성서에 근거한다는 한기총의 주장은 구약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른 것입니다. 죽을죄를 지었으며 죽어야 한다는 논리가 구약의 가르침입니다. 그런 사람을 죽여야만 사회가 안전하게 작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구약의 이스라엘은 가나안 사람들을 악으로 정죄하고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복음은 죄를 그렇게 폭력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용서하는 게 바로 악에 대한 예수님의 대처 방식이었습니다.

땅과 하늘
여러분은 예수님의 이런 처방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과연 이런 방식으로 이 세상에 폭력이 종식되고 진정한 평화가 실현될까요? 기독교의 이런 용서 행위, 궁극적으로 원수 사랑이라는 이런 행위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닐까요? 이런 ‘나이브’ 한 방식 때문에 오히려 이 세상에 악이 준동하는 게 아닐까요?
예수님은 순진하기 때문에 죄 지은 형제를 무조건 용서하라고 말씀하신 게 아닙니다. 예수님은 인간의 죄를 훨씬 심층적인 세계에 뿌리를 둔 세력으로 보셨습니다. 그 심층으로부터 접근하지 않는 한 인간의 죄와 악은 결코 극복될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18절에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분명히 말한다. 너희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도 매여 있을 것이며, 땅에서 풀면 하늘에도 풀려 있을 것이다.” 즉 땅의 문제는 하늘과 직결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어서 19,20절 말씀을 보십시오. “내가 다시 말한다. 너희 중에 두 사람이 이 세상에서 마음을 모아 구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는 무슨 일이든 다 들어 주실 것이다. 단 두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무슨 일’은 곧 교회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송사문제(고전 6:1)를 의미합니다. 기도하면 이런 송사 문제가 해결된다는 게 무슨 뜻일까요? 이는 곧 옳고 그름의 판단은 하나님에 의해서 판단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현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금 복잡한 이야기가 이어졌습니다. 이 말씀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얽히고설킨 문제는 어떤 율법적 규정을 적용하는 데서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구체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풀어나가야 합니다. 왜냐하면 앞에서 한번 언급했듯이 이 땅에서 벌어지는 그 모든 것의 뿌리는 하늘, 즉 하나님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래도 죄의 뿌리가 하늘에 있다는 말을 좀 더 설명해야겠습니다. 예수님은 그냥 마음이 착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잘못을 용서해야 한다고 말씀하신 게 아니라는 사실은 앞에서 제가 지적했습니다. 그것을 다시 기억하시면서 설명을 들으십시오. 우리가 사람들의 죄를 용서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일곱 번씩 일흔 번이라도 용서해야 할 이유는 인간은 늘 그렇게 잘못을 저지르며 살아가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죄는 우리의 실존이라는 말씀입니다.
기독교가 인간에게 원죄에 물들어 있다고 가르치는 이유도 역시 여기에 있습니다.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 먹음으로서 이 세상에 죽음이 들어왔고, 그의 죄가 후손들에게 유전된다는 이 원죄 개념은 인간의 실존에 내재하고 있는 그 죄의 깊이를 성찰한 데서 나온 결과입니다. 저는 여기서 인간이 얼마나 악한지, 얼마나 죄의 경향성에 쉽게 노출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거론하지 않겠습니다. 사회에서 벌어지는 권모술수, 인간의 이기심, 파렴치한 행위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우리는 그런 겉으로 드러나는 행위만 볼 것이 아니라 그것의 뿌리를 볼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은 실제로 파렴치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비교적 교양이 있다고 자부하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작용하는 그런 악한 힘입니다. 저도 여전히 자기중심적이고, 나를 성취하기 위해서 교묘하게 자기를 합리화할 때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제가 죄 숙명주의를 옳다고 생각하는 게 아닙니다. 인간이 근원적으로 부패했기 때문에 아무리 노력해도 죄를 범할 수밖에 없다는 식으로, 그래서 결국 죄의식 가운데서 불안하게 살아야 한다는 말을 하려는 것도 아닙니다. 또한 모두가 죄의 뿌리를 갖고 있으니까 다른 사람의 잘못에 대해서 입 벙긋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씀도 아닙니다. 우리는 가능한대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새로운 지평을 구체화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 건 그것대로 구체적인 대안들을 찾아나가야 하겠지만 이 문제의 근본을 훼손시키지는 말아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땅에서 푸는 기도
우리가 무슨 일이 있어도 훼손시키지 말아야 할 근원은 하나님과의 관계에 놓여 있습니다. 죄를 범하는 사람들도 하나님과의 관계가 핵심이고, 그것에 대처해나가야 할 당사자들에게도 역시 하나님과의 관계가 핵심입니다. 죄를 짓는다는 건 구체적으로 이웃을 향한 것이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을 향한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의 실정법에 위반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생명을 파괴하는 행위는 결국 죄입니다. 이런 잘못의 피해를 받는 우리가 그들을 향해서 구체적으로 책임을 지울 수 있겠지만 그런다고 해서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나님만 죄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사람의 속을 인간이 어떻게 판단할 수 있습니까? 그 죄의 여파가 어디까지 이를는지 인간이 어떻게 판단하겠습니까? 이런 점에서 죄의 판단과 징벌은 곧 하나님의 몫입니다.
그래서 바울도 원수 갚는 일은 하나님의 손에 맡기는 게(롬 12:19) 옳다고 말한 것 같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정도 안에서 충고할 수 있으며, 그것이 받아들여지든지 않든지 상관없이 용서해야 합니다. 그러나 오해하지 마십시오. 모든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악을 그냥 모른 척 하고 묻어두라는 말씀은 아닙니다. 오늘 본문을 따른다고 하더라도, 사람들 앞에서 밝힐 건 밝혀야 합니다. 그리고 용서하십시오. 그게 땅에서 우리가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그리고 그를 이방인처럼, 세리처럼 여기십시오. 그것이 용서하는 길입니다. 그런 용서가 안 된다면 기도하십시오. 두 세 사람이 함께 기도하면 용서할 수 있는 마음을 하나님께서 허락하실 겁니다.

profi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623
1053 기타 무엇을 기다리는가? [3] [2] 2004-06-14 20077
1052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285
1051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522
1050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8268
1049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836
1048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4082
1047 기타 숨겨진 미래를 기다림 2004-06-30 12182
1046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402
1045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631
1044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491
1043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553
1042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696
1041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662
1040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768
1039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209
1038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843
1037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853
1036 기타 두려움을 넘어서 [3] [2] 2004-07-02 11789
1035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521
1034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390
1033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4119
1032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5040
1031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617
1030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816
1029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743
1028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539
1027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3096
1026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384
1025 기타 야곱의 하나님 체험 [1] [1] 2004-07-02 12227
1024 기타 종말론적인 삶 (벧전 4:1-11) [1] 2004-07-02 12001
1023 기타 은폐와 노출 [3] 2004-07-02 11714
1022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4041
1021 기타 흔들리지 않는 터전 [1] 2004-07-02 11729
1020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615
1019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437
1018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421
1017 기타 삶으로서의 예배 [1] 2004-07-02 9918
1016 기타 말의 구원론적 능력 [1] 2004-07-02 12089
1015 기타 불평을 넘어서 존재의 기쁨으로 [1] 2004-07-02 9616
1014 기타 주님의 재림과 생명의 완성 [1] 2004-07-02 9611
1013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504
1012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884
1011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586
1010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503
1009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876
1008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221
1007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1032
1006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381
1005 기타 막힘에서 열림으로! 2004-07-02 12371
1004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479
1003 기타 야훼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 [1] 2004-07-02 11651
1002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3169
1001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381
1000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859
999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242
998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492
997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535
996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589
995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2167
994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138
993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631
992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10117
991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457
990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9098
989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849
988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710
987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776
986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477
985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554
984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420
983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698
982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743
981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441
980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696
979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925
978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805
977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481
976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569
975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519
974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278
973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10010
972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389
971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447
970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420
969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259
968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760
967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454
966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398
965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449
964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176
963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512
962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222
961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9043
960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605
959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704
958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750
957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566
956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112
955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702
954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140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