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4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대림절 조회 수 3042 추천 수 0 2023.12.17 17:56:52
설교보기 : https://youtu.be/png9gkUb58Q 
성경본문 : 이사야 61:1-4, 8-11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61:1-4, 8-11, 대림절 3, 20231217

 

 

이사야의 소명

저는 구약 선지자들의 설교를 읽을 때마다 그 강력한 메시지에 놀라기도 하고 힘을 얻기도 합니다. 유대교의 율법을 다루는 모세오경이나 역사를 다루는 전기 예언서, 또는 그들의 신앙을 문학적으로 다루는 시편이나 전도서 말씀도 은혜롭기는 하나, 선지자들의 설교인 후기 예언서 말씀이 더 강렬하게 들리는 이유는 각각 선지자들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살아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가 설교 본문으로 선택한 이사야 61장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사 61:1, 2절을 다시 들어보십시오. 바벨론 포로기 어간에 실제로 활동했던 한 선지자의 설교입니다.

 

주 여호와의 영이 내게 내리셨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으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나를 보내사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며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놓임을 선포하며 여호와의 은혜의 해와 우리 하나님의 보복의 날을 선포하여 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주 여호와의 영이 내게 내리셨고, 여호와께서 기름을 부으셨다.’라는 말은 이사야 선지자의 소명 경험을 가리킵니다. 이는 거꾸로 소명이 없으면 선지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사야는 선지자로서의 소명을, 즉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설교자로서의 사명을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짚었습니다. 1) 가난한 자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고 2) 마음 상한 자를 고치며 3) 포로 된 자에게 자유를 선포하고 4) 갇힌 자에게 놓임을 선포하며 5) 슬픈 자를 위로하는 일입니다.

여기서 거론된 이들은 삶에 지친 사람들입니다. 문장 전체 구조에서 보면 첫 번째로 거론한 가난한 자와 마지막으로 거론한 슬픈 자가 이들을 대표합니다. 마음 상한 자와 포로 된 자와 갇힌 자는 모두 가난한 자와 슬픈 자의 범주에 속합니다. 그렇습니다. 가난과 슬픔은 우리 삶을 여러 모양으로 파괴합니다. 인간의 품격을 빼앗습니다. 삶을 파괴하고 인간의 품격을 빼앗는 일은 세상을 선하게 창조하고 사람을 당신의 형상으로 지으신 하나님을 부정하는 것입니다. 이사야는 가난한 자가 자기 삶의 용기를 잃지 있도록 기쁜 소식을 전하고, 슬픈 자가 즐거움을 잃지 않도록 위로하는 것이야말로 하나님의 뜻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사야 선지자의 설교는 허공이 아니라 지금 제가 설교하듯이 구체적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 사람들은 기원전 6세기에 살았던 유대인들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기원전 587년에 발생한 예루살렘 멸망과 바벨론 유수 이후 50년 정도의 세월을 견딘 사람들입니다. 예루살렘 성전은 무너졌고, 성전 제사도 드리지 못했으며, 모든 종교적 전통도 유명무실해졌습니다. 지도층 인사들은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왔습니다. 이방 문명권 한가운데서 하나님을 믿는 그들이 설 자리는 없었습니다. 바벨론 사람들에게 온갖 수모와 모욕을 당했습니다. 시편 137편은 그 상황을 이렇게 노래합니다. “우리가 바벨론의 여러 강변 거기에 앉아서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도다 그 중의 버드나무에 우리가 우리의 수금을 걸었나니 이는 우리를 사로잡은 자가 거기서 우리에게 노래를 청하며 우리를 황폐하게 한 자가 기쁨을 청하고 자기들을 위하여 시온의 노래 중 하나를 노래하라 함이로다.”(1-3) 바벨론 사람들이 흥밋거리로 예루살렘 전통 노래를 부르라고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 요구한 겁니다. 그런 상황에서 유대인은 하나님 신앙에 회의를 느꼈습니다. 신앙을 아예 포기한 사람도 많았습니다.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지켜주지 못한 무능력한 존재이거나 유대인이 하나님의 백성이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바벨론 유수 때의 유대인들이 바로 이사야가 말하는 가난한 자이고 슬픈 자입니다. 마음이 상한 자이고 포로 된 자이고 갇힌 자입니다. 그들을 위로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었습니다.

 

가난한 자와 슬픈 자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은 무엇일까요? 세상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지 모릅니다. 가난은 성실하게 살지 않은 탓이 크니까 지금부터라도 더 노력해서 가난에서 벗어나거나 부자가 되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지금 자본주의는 우리를 계속해서 그렇게 살라고 다그칩니다. 더 일하라고, 더 노력하라고, 남에게 경쟁에서 뒤떨어지지 말라고, 수단 방법 가리지 말고 승리해야 한다고, 수능 1점이 인생을 결정한다고 말입니다. 가난 문제는 개인의 노력으로 해결되기도 하나 아무리 노력해도 해결되지 않기도 합니다. 이사야 설교의 배경인 바벨론 유수와 그 직후 상황은 어떻게 해도 극복할 수 없었습니다. 마치 한반도가 해방 이후 남북으로 분단된 것처럼, 그리고 장애인으로 태어나거나 나중에 장애인이 된 사람은 아무리 노력해도 그 상황을 극복할 수 없듯이 말입니다.

이사야가 가난한 자에게 전하겠다는 좋은 소식은 무엇인가요? 대답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가난으로 인해서 인간다운 삶의 품위가 손상되지 않는 세상이 온다는 소식이 그것입니다. 삶의 품위도 객관적인 지표로 말할 수는 없습니다. 연봉 1억 원으로도 삶의 품위를 지킬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고, 3천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실질적인 문제는 사회에 내재한 상대적인 박탈감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젊은 사람들은 이런 상대적인 박탈감을 극도로 두려워합니다. 서울에 소재한 명문대학교에 들어가지 못하면 사회에서 도태된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젊었을 때 평생 먹고살 만한 돈을 장만하지 못하면 인생 망쪼라는 생각도 합니다. 복된 소식을 듣지 못하고 사니까 늘 두렵고 불안합니다. 그런 상태에서 어떻게 남녀가 사랑하겠으며 결혼하겠으며 아이를 낳겠습니까.

본문이 말하는 가난한 자는 우리말 성경 각주에서 보듯이 겸비한 자를 가리키기도 합니다. KJVעֲנָוִ֗ים(아나윔)이라는 히브리어를 meek(온순한 사람들)이라고 번역했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대개 온순합니다. 그렇지 않은 예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렇습니다. 세계의 가난한 나라 사람들과 부자 나라 사람들을 비교해보십시오. 우리나라 사람이 온순한지 네팔 사람이 온순한지 비교해보십시오. 가난한 사람은 의지할 대상이 없어서 온순할 수밖에 없습니다. 온순한 사람들에게 기쁜 소식은 온순한 성품으로도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온다는 소식이 아닐까요?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전혀 다릅니다. 착하면 안 되지, 손해 보면 안 되지, 정신 똑바로 차리고 제 몫을 챙겨야지, 하는 주장이 대세입니다. 이런 세상에서 온순한 사람은 버텨낼 수가 없습니다.

슬픈 자에게 위로는 무엇일까요? 여기서 슬픈 자는 단순히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게 아닙니다. KJVmourn(애도하다)로 번역했습니다. 자기 신세를 슬퍼할 수도 있으나 근본에는 옳지 못한 세력에 의해서 벌어지는 불행에 대한 애도이고 분노이며 연대입니다. 5장에 나오는 팔복에 해당하는 사람입니다. 심령이 가난한 자, 애통해하는 자, 온유한 자,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 등등입니다. 그들의 영혼은 슬픔과 타자를 향한 연민으로 가득합니다. 이사야가 말씀을 선포하던 당시 유대인들의 영혼이 바로 그랬습니다. 바벨론 포로로 살던 유대인 중의 일부가 우여곡절 끝에 예루살렘으로 귀환했으나 그곳에서의 현실 역시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여전히 힘들었습니다. 예루살렘은 50년 동안 버려진 땅이었습니다. 오늘 본문 3a절에 묘사되었듯이 그들은 무릇 시온에서 슬퍼하는 자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이사야는 영혼이 슬픈 이들을 어떻게 위로한다는 것일까요? ‘은혜의 해를 선포한다고 했습니다. 은혜롭다는 말로 번역된 히브리어 רָצוֹן֙(라소운)받아들여질 수 있다.’라는 뜻도 됩니다. 그래서 KJVthe acceptable year of the LORD라고 번역했습니다.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는 것이 바로 은혜로운 일이라는 뜻입니다. 은혜의 해는 구약의 안식년과 희년 전통에 속합니다. 안식년은 7년마다 돌아오는 해이고, 희년은 7년이 7번 지나간 다음 해를 가리킵니다. 안식년과 희년이 오면 모든 왜곡된 질서가 본래의 질서로 회복됩니다. 종으로 팔린 사람이 종에서 풀려납니다. 흉년에 판 땅이 다시 주인에게 돌아갑니다. 안식년과 희년은 안식일 전통에 뿌리를 둡니다. 안식일은 일상을 멈추고 하나님의 창조와 출애굽을 찬양하는 날입니다. 안식일과 안식년과 희년 전통은 인간에 의해서 무너졌던 정의와 평화가 갱신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근본에 담고 있습니다. 인간다움이 회복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높은 산이 낮아지고, 골짜기는 매워져야 합니다. 우리가 은혜를 경험하는 때이며,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는 때입니다. 이런 예언자적 상상력 없이 거칠고 비루하며 슬프기 짝이 없는 이 현실을 우리가 어떻게 버텨낼 수 있겠습니까.

이사야 선지자의 말에 따르면 은혜의 해는 동시에 보복의 날이기도 합니다. 하나님께서 보복하시다니, 표현이 너무 거칠게 들립니다. 시편에도 원수를 갚아달라는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하나님이 사람처럼 원수를 갚는 건 아닙니다.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 은혜의 해가 하나님께 받아들여지는 때라면, 보복의 날은 하나님께 거부당하는 때입니다. 하나님은 악행을 자행하는 자들을 거부함으로써 보복하신다는 뜻입니다. 8절을 보십시오.

 

무릇 나 여호와는 정의를 사랑하며 불의의 강탈을 미워하여 성실히 그들에게 갚아 주고 그들과 영원한 언약을 맺을 것이라.

 

여기서 여호와께서 영원한 언약을 맺는 대상은 가난한 자이며 슬퍼하는 자입니다. 불의에 의해서 강탈당하는 자입니다. 여호와께서는 강탈하는 자를 일일이 상대해서 혼내시는 게 아닙니다. 사람들은 그러기를 바라나 하나님은 다릅니다. 사랑하는 자들을 더 사랑하는 방식으로 불의의 강탈을 제어하십니다. 비유적으로 이렇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동네 아이에게 얻어맞았습니다. 때린 아이를 찾아가서 시시비비를 따지고 다시는 그렇게 못하도록 다짐을 받는 방법이 있겠지요.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자기 아이를 더 진실하고 뜨겁게 사랑하는 겁니다. 이런 사랑을 경험한 아이라면 얻어맞은 것도 내면에서 극복할 뿐 아니라 앞으로 자라면서 자기 문제는 자기가 알아서 해결할 수 있겠지요. 하나님께서 원수를 갚는 방법은 후자에 가깝습니다. 자기의 백성들과 영원한 언약을 맺으므로 그 백성들이 두려움 없이 고난을 대면하게 하십니다. 그래서 10절에서 이사야는 다음과 같이 외칠 수 있었습니다.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며 내 영혼이 나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하리니

 

오늘은 대림절 셋째 주일입니다. 대림절이야말로 크게 기뻐하며 즐거워하는 절기입니다. 그래서 주님을 찬양하고(Laudate Dominum) 싶어집니다. 하나님의 영원한 약속 자체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기다리는 절기이기 때문입니다.

 

이사야 설교의 성취

누가복음 4:16절 이하에 오늘 우리가 읽은 이사야 선지자의 설교가 인용되었습니다. 예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면서 고향 나사렛에 들렀습니다. 안식일이 되자 회당에 들어갔습니다. 회당에서 예수께서는 성경을 읽으시고 설교했습니다. 고향 사람들이 예수님을 랍비로 인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예수께서 읽으신 성경이 바로 사 61:1절 이하입니다. “주의 성령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가난한 자에게 복음을 전하게 하시려고 주의 은혜의 해를 전파하게 하려 하심이라.” 이 말씀을 읽으신 다음에 예수께서는 이 글이 오늘 너희 귀에 응하였느니라.”(4:21)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설교가 조금 더 이어지자 고향 사람들은 화가 나서 예수님을 동네 밖으로 쫓아냈다고 합니다. 그냥 추방하는 정도가 아니라 낭떠러지 밑으로 밀어버리려고 했습니다. 그들이 볼 때 예수님은 자기들이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는 사이비였습니다. 그런 사이비와 엮이는 건 신상에 해롭습니다. 발걸음 못하게 쫓아내야겠지요.

그들의 생각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닙니다. 은혜와 해와 보복의 날, 그리고 하나님의 영원한 언약이라는 이사야 선지자의 설교는 고대 유대 역사에서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예수 당시는 상황이 더 나빴습니다. 로마가 파송한 총독은 예루살렘과 유대 지역을 완벽하게 통제했습니다. 바벨론 유수 시대 못지않았습니다. 약간만 저항의 조짐이 있으면 로마는 일벌백계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십자가 처형이 그 본보기입니다. 예수 이전에도 십자가로 죽은 유대인들이 많았습니다. 그 어디에도 하나님의 구원이 보이지 않는 그 상황에서 이사야의 예언이 자기에서 성취되었다는 예수의 주장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습니까. 망발도 이런 망발이 없었습니다.

나사렛 회당에 모인 고향 사람들만이 아니라 당시 유대교 고위 성직자들도 예수 말씀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안식일을 위해서 사람이 있는 게 아니라 사람을 위해서 안식일이 있다는 예수 말씀을 그들은 율법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예수께서는 하늘나라가, 곧 하나님 나라가 이미 가까이 왔다고 말씀하셨으나 그들은 그 증거를 대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증거는 기적과 표적과 유대의 정치적인 독립이겠지요. 지금도 그런 요구에 묶여 있는 그리스도인들이 있습니다. 억울한 일을 당했는데, 먹고 사는 문제로 고달픈데, 몸과 마음이 아픈데 어떻게 하나님 앞에서 기쁘고 즐겁게 사냐고 말입니다. 저는 그런 말을 이해할 수는 있으나 동의하기는 어렵습니다. 그것은 유대인들이 예수께 요구하던 것들이었기 때문입니다.

내가 여호와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며 내 영혼이 나의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즐거워한다.’라는 이사야 선지자의 외침은 인생살이에서 모든 일이 우리가 원하는 대로 잘 풀리는 데서 나오는 게 아닙니다. 하나님의 언약 자체에서 나옵니다. 하나님 말씀을 경험하는 데서 나옵니다. 하나님과의 일치에서 나옵니다. 유대인들은 이사야의 설교를 오해했으나 예수께서는 정확하게 이해했습니다. 예수 말씀 중에서 한 가지만 예로 들겠습니다. 예수께서는 솔로몬이 누리는 모든 영광과 화려함도 들의 백합화만 같지 못하다.’(6:29)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하늘나라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습니다. 솔로몬의 럭셔리한 인생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이 사실을 정말 뼈저리게 실감한다면 공연한 것으로 염려하지 않습니다. 염려를 내려놓으면 기뻐하고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예수는 초라한 말구유에서 태어났고 무자비한 십자가에서 처형당했습니다. 우리는 바로 그를 임마누엘’, 즉 하나님이 함께하시는 분이라고 믿는 사람들입니다. 이보다 더 기쁘고 더 위로되는 이야기가 어디 있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이사야의 설교는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성취되었으니 대림절과 이어지는 성탄절 동안 각종 염려를 내려놓고 온전히 기뻐하며 즐거워하십시오


profile

[레벨:9]소유와존재

December 18, 2023
*.254.11.100

설교를 통해 느낀점을 부족하지만 그냥 써내려가봤습니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보이는 현실성 예수 그리스도

그가 이해한 하나님의 나라는 찐 하나님의 나라다.

죽기 전에 정말 저렇게 한 번 맘껏 살아보고 싶다.

솔로몬의 럭셔리한 인생에 흔들리지 않는,

예수님만으로 기뻐하고 즐거워할 충분함을 누리고 싶다.

내 인생은 나름 열심히 살았기에 아주 작지만 내 의도와는 달리(?)

저절로 높아지는 자리를 향해 가고 있음을 본다.

높은 자리를 누려도 된다고 주변이 그렇게 세팅되어져 감을 느낀다. 정말 작지만...

이렇게 작은 것에도 어깨에 힘이 들어가려는 내 모습을 보며

이사야의 외침이 그것을 정확하게 이해하신 예수님의 말씀이 가슴을 스친다..."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December 18, 2023
*.157.223.40

소유존재 님의 대글을 읽으면서 제 마음이 따뜻해지는 걸 느겼습니다.

솔직하면서도 그리스도교 영성의 중심을 잘 찾아가고 있군요.

죽기 전에 완전한 답은 얻을 수 없고 가까이 가는 게 최선이니까 

한 우물(그리스도교)만 판다는 심정으로 달려가보세요. 

대림절과 성탄절 절기, 즐거움과 기쁨이 넘치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3113
1054 기타 무엇을 기다리는가? [3] [2] 2004-06-14 20201
1053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357
1052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611
1051 기타 하나님을 알자 [4] 2004-06-30 18384
1050 기타 낯섬의 출처 2004-06-30 12914
1049 기타 수군대는 사람들 2004-06-30 14164
1048 기타 숨겨진 미래를 기다림 2004-06-30 12256
1047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478
1046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704
1045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582
1044 기타 세계, 계시, 하나님 (겔 39:25-29) [1] 2004-07-02 11624
1043 기타 종교와 철학을 넘어서 (고전 1:22-25) 2004-07-02 10787
1042 기타 예수의 권위 (막 1:21~28), 2003.6.1 2004-07-02 13729
1041 기타 언어의 한계와 존재론적 능력 (행 2:1-13) [8] 2004-07-02 10852
1040 기타 삶의 중심 2004-07-02 13272
1039 기타 용서의 능력 [1] 2004-07-02 17918
1038 기타 영적인 인식론 [2] [1] 2004-07-02 12928
1037 기타 두려움을 넘어서 [3] [2] 2004-07-02 11860
1036 기타 차별이 없으신 하나님 [1] 2004-07-02 12597
1035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473
1034 기타 평화와 두려움 [1] 2004-07-02 14198
1033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5101
1032 기타 낡은 것과 새것 (고후 5:16-21) [2] 2004-07-02 18734
1031 기타 이스라엘의 고집 [1] 2004-07-02 13880
1030 기타 자유로움의 세계로! [2] [1] 2004-07-02 12814
1029 기타 비뚤게 보기와 바로 보기 [1] [1] 2004-07-02 12617
1028 기타 하나님의 나라와 영의 나라 [4] [1] 2004-07-02 13166
1027 기타 생명을 얻는 길 [1] [1] 2004-07-02 13452
1026 기타 야곱의 하나님 체험 [1] [1] 2004-07-02 12304
1025 기타 종말론적인 삶 (벧전 4:1-11) [1] 2004-07-02 12068
1024 기타 은폐와 노출 [3] 2004-07-02 11785
1023 기타 부자 이야기 [2] 2004-07-02 14105
1022 기타 흔들리지 않는 터전 [1] 2004-07-02 11799
1021 기타 자기 의와 은총 [1] 2004-07-02 11702
1020 기타 언어의 집 [1] 2004-07-02 9509
1019 기타 내면적 삶이란? [1] [1] 2004-07-02 9504
1018 기타 삶으로서의 예배 [1] 2004-07-02 9981
1017 기타 말의 구원론적 능력 [1] 2004-07-02 12170
1016 기타 불평을 넘어서 존재의 기쁨으로 [1] 2004-07-02 9685
1015 기타 주님의 재림과 생명의 완성 [1] 2004-07-02 9684
1014 기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3] 2004-07-02 10571
1013 기타 세례요한의 질문 [1] 2004-07-02 13947
1012 기타 이사야의 구원신탁 2004-07-02 11645
1011 성탄절 마리아의 노래 (눅 1:46-56) [1] 2004-07-02 12574
1010 기타 삶의 지혜를 넘어서 [1] 2004-07-02 10939
1009 기타 기쁨과 사랑의 역학관계 [1] 2004-07-02 10300
1008 기타 자유를 향한 길에 서서 [1] 2004-07-02 11093
1007 기타 사울의 어리석음 [1] 2004-07-02 12450
1006 기타 막힘에서 열림으로! 2004-07-02 12425
1005 기타 구름 타고 오십니다. 2004-07-02 11549
1004 기타 야훼의 진노와 모세의 기도 [1] 2004-07-02 11729
1003 기타 예수님을 먹다 [1] 2004-07-02 13290
1002 기타 땅을 묵혀라! 2004-07-02 11455
1001 기타 마술과 신앙 2004-07-02 10942
1000 기타 세계의 토대 2004-07-02 12314
999 기타 야훼의 자기 증거 2004-07-02 11574
998 기타 운명과 자유 2004-07-02 10624
997 기타 본질의 변질 2004-07-02 10668
996 기타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2004-07-02 12245
995 기타 묵시와 현실 사이에서 2004-07-02 10215
994 기타 노동하는 인간(1) 2004-07-02 9713
993 기타 열린 삶, 닫힌 삶 2004-07-02 10213
992 기타 영광의 경험 [3] 2004-07-02 9555
991 기타 노동하는 인간(2) [2] 2004-07-02 9187
990 기타 무엇이 진실한 예배인가? [1] 2004-07-02 9924
989 기타 수행으로서의 신앙생활 [1] [1] 2004-07-02 8806
988 기타 돌무더기에 얽힌 사연 [1] 2004-07-02 9845
987 기타 메시아적 행위와 교회 [1] 2004-07-02 9563
986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653
985 기타 하나님에게 이르는 길 [1] 2004-07-05 9505
984 기타 엘리야의 하나님 야훼여! [1] 2004-07-11 9793
983 기타 다가온 하나님의 나라 2004-07-18 9813
982 기타 믿음과 사랑의 뿌리, 7월25일 2004-07-25 9531
981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790
980 기타 기도란 무엇인가? (8월8일) [2] 2004-08-08 12995
979 기타 모세의 소명, 2004.8.15. 2004-08-16 9873
978 기타 생존의 길로서의 순종 2004-08-22 9561
977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664
976 기타 시나이 산에서 시온 산으로! 9월5일 [3] [2] 2004-09-06 9609
975 기타 왜 헛것을 보는가? 9월12일 [2] [2] 2004-09-13 9375
974 기타 제자의 길, 9월19일 [1] [1] 2004-09-20 10099
973 기타 초대교회의 송영, (9월26일) [3] [1] 2004-09-26 9469
972 기타 예레미야의 역사의식, (10월3일) [2] [1] 2004-10-04 9528
971 기타 밥, 10월10일 [2] [1] 2004-10-10 9528
970 기타 제자도의 본질, 10월17일 [1] 2004-10-17 10338
969 기타 기다림의 이중성, 10월24일 [1] 2004-10-24 9847
968 기타 공간, 울림, 하나님, 10월31일 [1] 2004-10-31 9546
967 기타 자유로워지는 길, 11월7일 [1] 2004-11-07 9476
966 기타 만나 이후, 11월14일 [1] 2004-11-14 9534
965 기타 앎의 영적인 차원, 11월21일 [1] [2] 2004-11-21 9275
964 기타 새로운 세상, 11월28일 [1] [1] 2004-11-29 9600
963 기타 예수의 길, 요한의 길, 12월5일 [1] 2004-12-05 11300
962 기타 기쁨에서 평화까지, 12월12일 [1] 2004-12-13 9133
961 기타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12월19일 [2] [1] 2004-12-20 10694
960 기타 절대 긍정, 12월26일 [1] [1] 2004-12-26 9781
959 기타 찬양의 이유, 1월2일 [1] [1] 2005-01-02 12828
958 기타 야훼 하나님의 종, 1월9일 [1] [1] 2005-01-10 9639
957 기타 세례 요한의 증언, 1월16일 [1] [1] 2005-01-17 13175
956 기타 말의 한계, 1월23일 [2] [2] 2005-01-23 9775
955 기타 일상의 영성 안에서, 1월30일 [1] 2005-01-30 11226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