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2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사순절 조회 수 868 추천 수 0 2024.03.10 21:30:45
설교보기 : https://youtu.be/FsKjZNgWV_o 
성경본문 : 에베소서 2:1-10 

죽임에서 살림으로!

2:1-10, 사순절 4, 2024310

 

 

그리스도교를 구원 종교라고 흔히들 말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세상에 구원 지향적이지 않은 종교는 없습니다. 종교만이 아니라 예술, 문학, 과학, 정치에 이르는 인간 문명 활동도 인간 구원을 지향합니다. 그런데 유독 그리스도교를 구원 종교라는 특징으로 이름 붙이는 이유는 교회가 구원 문제를 그 어떤 종교나 인간 문명과 달리 더 직접적이면서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는 데에 있습니다. ‘예수 믿고 구원받으십시오.’라는 말에 교회의 존재 이유가 있으니까요. 여기서 말하는 구원이 무엇일까요? 대충 알 것 같기도 하고, 사람에 따라서 서로 대답이 다르기도 할 겁니다.

 

죽임에서

이 문제를 오늘 설교 본문인 엡 2:1-10절은 가장 간명하게 설명합니다. 1절과 5절에 보듯이 하나님께서 죄로 죽었던 사람들을 살리셨다고 말입니다. ‘죽임에서 살림으로!’라는 표현이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구원의 요체입니다. 여기서 죽었다는 게 도대체 뭐지, 그리고 살리셨다는 뭐지, 하는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성경이 죽었다고 해서 당장 목숨이 끊어진다는 말이 아니고, 살았다고 해서 영원히 죽지 않는다는 말도 아니지 않습니까. 우선 1절을 읽어보겠습니다.

 

그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허물로 번역된 그리스어 παράπτωμα는 그리스어-영어 사전에 sin, wrong-doing으로 나오고, 죄로 번역된 그리스어 μαρτίαsin으로 나옵니다. 파라프토마는 행위로 나타난 죄라 한다면 하마르티아는 존재론적인 차원의 죄인데, 둘 다 죄라고 해도 됩니다. 허물과 죄로 죽었다는 게 무슨 뜻인지를 본문은 2절부터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우선 이 편지글의 수신자들이 에베소 교회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짚어야 합니다. 에베소는 지금의 튀르키예 중서부 항구 도시입니다. 지금이야 튀르키예에서 이스탄불이 가장 크고 유명한 도시지만, 초기 그리스도교 당시에는 에베소야말로 로마나 알렉산드리아 못지않게 잘 나가는 도시였습니다. 지금도 그리스-로마의 대단한 유적지가 그곳에 남아있습니다. 에베소에서 주류로 자리를 잡으면 세계 일등 시민이 되는 겁니다. 본문 2절은 에베소 교인들이 예수를 믿기 전에는 본래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다고 말합니다. 세상 풍조와 공중의 권세는 오늘 말로 그 시대를 이끌어가는 정신, 시대정신입니다. 좋은 거죠. 오늘날 미국의 뉴욕처럼 에베소가 추구하는 로마의 시대정신에 발을 맞춰서 살아야만 성공한 인생이 되는 거니까요. 그런데 바울은 그런 삶을 죄로 죽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3절에서 이런 사태를 더 분명하게 설명합니다.

 

전에는 우리도 다 그 가운데서 우리 육체의 욕심을 따라 지내며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을 하여 다른 이들과 같이 본질상 진노의 자녀이었더니

 

육체의 욕심이라는 표현은 매우 부도덕한 삶의 태도를 가리키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그런 것만이 아닙니다. 당시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삶의 태도 역시 여기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서 다른 사람보다 재산이 더 많고 더 많은 인기를 얻고 더 넓고 쾌적한 집에서 살고 더 많이 먹고 마시며, 인생을 더 많이 누리는 것 말입니다. 그걸 누가 나쁘다고 말하겠습니까. 요즘도 우리는 그렇게 살려고 노력합니다. 이어지는 육체와 마음의 원하는 것도 그렇습니다. 오늘날 네가 하고 싶은 대로 마음껏 즐겨라.’라는 명제가 바로 그것을 의미합니다. 에베소 사람들이 추구하던 로마의 시대정신이 바로 육체와 마음의 욕망을 따르는 삶입니다. 그들은 몰염치하거나 몰상식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때에 따라서 다른 사람을 돕기도 하고 독서도 하고 나름으로 교양도 풍부합니다. 그런데 삶의 전체 방향은 육체와 마음이 원하는 것에 쏠려있습니다. 세상이 제시하는 방식으로 자기를 성취하려는 욕망에 기울어졌습니다.

바울은 이렇게 사는 사람들을 가리켜서 본질상 진노의 자녀라고 일갈합니다. 바울의 이런 말을 당시 에베소 사람들이 들으면 정신 나간 소리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각자 열심히 노력해서 사회 상층부에 올라가서 윤택하게 게 왜 문제냐 하고 말입니다. 오늘 대한민국 사회에서 잘 나가는 사람들을 진노의 자녀라고 말하면 사람들이 인정하겠습니까? 바울은 왜 이런 극단적인 표현을 쓰면서 에베소의 시대정신을 매도하는 건가요? 그에게는 세상에 대한 열등감이 있는 걸까요? 잘 나가는 세상 사람들이 부러운 걸까요?

본질상 진노의 자녀라는 표현에서 본질상은 그리스어 φύσει(퓌세이)의 번역입니다. 영어 성경은 by nature(자연에 의해서)로 번역했습니다. 육체와 마음이 원하는 것에 따라서 사는 것은 자연스러운 겁니다. 인간의 이기적인 생각과 행동은 자연적입니다. 사람은 저절로(by nature)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합니다. 웬만해서는 그걸 거슬려서 살기는 힘듭니다. 예를 들어서 여기 대학의 정년 보장 교수와 시간 강사가 있다고 합시다. 시간 강사의 처우는 열악합니다. 처우를 끌어올리려면 정년 보장 교수의 연봉을 줄여야 합니다. 정년 보장 교수들은 연봉을 10% 줄여도 먹고 사는 데 아무 지장이 없으나 그런 상황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그게 인간의 본성입니다. 이렇게 육체와 마음의 본성대로 사는 사람을 가리켜서 바울은 진노의 자녀라고, 즉 인생이 파탄에 이를 수밖에 없다고 말한 겁니다. 바울의 이런 진단이 옳은가요?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육체와 마음의 본성 자체가 잘못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우리는 음식을 맛있게 먹어야 합니다. 식욕은 자연스러운 겁니다. 예수께서는 골방에 틀어박혀서 기도하고 성경만 읽은 게 아니라 사람들과 함께 어울려서 먹고 마시면서 지내셨습니다. 성적 욕망도 마찬가지입니다. 성경은 육체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식욕과 성욕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서 어긋나는 게 아닙니다. 문제는 육체적 욕망을 삶의 절대적인 목표로 삼아 다른 사람의 삶을 파괴하는 데까지 이른다는 것입니다. 성폭행 등등이 하나의 예입니다. 물질적인 욕심으로 사람을 도구화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됩니다. 개인도 망가지고 사회도 망가집니다. 진노의 자녀가 되는 겁니다.

인간 세상이 적자생존이라는 진화의 메커니즘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그런 방식으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니까 인생이 즐겁고 행복하더라, 요즘처럼 누릴 게 많은 시절에 진노는 무슨 진노냐, 하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저는 그들을 설득할 자신이 없습니다. 에베소의 시대정신에 빠진 사람들을 바울도 설득하지 못했을 겁니다. 시대정신에 푹 빠지면 다른 말이 들어오지 않는 법입니다. 예를 들어서 자본주의 체제 깊숙이 떨어져서 돈에 인생을 거는 사람에게 재물과 하나님을 겸해서 섬길 수 없다거나 부자가 하늘나라에 들어가는 일은 낙타가 바늘귀로 들어가기보다 더 어렵다는 예수님 말씀을 이해시킬 수 없습니다. 한두 사람이 정신적으로 병들어서 그렇다기보다는 바울 당시 에베소의 시대정신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 시대 전체가 병든 겁니다. 그걸 가리켜서 바울은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라고 했습니다. 죽은 사람은 몸에 송곳이나 불이 닿아도 깨닫지 못하듯이 영혼이 죽으면 영혼의 병 증상을 느낄 수 없습니다.

 

살림으로!

바울은 1절에 이어서 5절에서 하나님께서 허물로 죽었던 우리를 살리셨다고 말합니다. 에베소의 시대정신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뜻입니다. 그들이 이전에는 철저하게 로마 정신과 가치에 따라서, 즉 자기를 성취하는 데만 몰두해서 살았는데 이제는 그런 삶에서 벗어났습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리스도와 함께살리셨다고 말합니다. 그리스도를 알게 되니까 죽임에서 살림으로 옮겨진 것입니다. 짙은 선글라스를 끼고 세상을 보던 사람이 선글라스를 벗으니 세상이 새롭게 보이는 것처럼 에베소 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에베소의 시대정신이 가리키는 삶과 다른 새로운 삶을 보게 되었습니다. 삶의 방향이 완전히 달라진 겁니다. 이를 가리켜서 바울은 죽었던 우리가 살아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바울은 이를 6절에서 부연해서 설명합니다.

 

또 함께 일으키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함께 하늘에 앉히시니

 

우리말 <개역개정>은 그리스어 성경의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하지 못합니다. 그리스어 성경과 KJV과 루터 성경을 종합해서 다시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를 살리셔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늘의 영역에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를 앉히셨습니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하늘의 영역이라는 말이 어떻게 들립니까? 하늘의 영역은 에베소라는 땅의 영역과 대립합니다. 에베소의 영역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자기를 중심에 두고 육체와 마음이 원하는 대로 살게 하는 곳이지만, 하늘의 영역은 자기를 넘어서 하나님과의 친교를 나누는 방식으로 살게 하는 곳입니다. 그 하늘의 영역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새롭게 열린 하나님의 사랑을 가리킵니다.

일상적인 비유를 한 가지 들면 이렇습니다. 테니스 동호회 모임에서 게임을 할 때 어떤 사람은 자기의 실력이 뛰어나다는 사실에만 집중합니다. 상대방을 실력으로 제압하려고 합니다. 승패에 일희일비합니다. 어떤 사람은 테니스라는 운동 자체에 집중합니다. 거친 호흡을 몰아쉬면서 구장에서 뛰고, 라켓과 공이 만나는 그 순간의 느낌에 집중합니다. 자기의 실력을 내세우지 않습니다. 승패에 연연하지 않고 오직 테니스 운동과 친교에만 마음을 둡니다. 에베소 교인들은 이제 로마 문명을 대표하는 에베소의 질서가 아니라, 로마법에 따라서 십자가에 처형당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 나라의 질서로 옮겨졌습니다. 이게 바로 죽임에서 살림으로 운명이 달라진 에베소 교인들의 영적인 실존입니다.

잘 들으십시오. 에베소의 질서로부터 하나님 나라의 질서로 옮겨졌다는 것을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덕스럽고 교양 있게 행동하는 것 정도의 변화로 보면 안 됩니다. 여러분이 교양 있게 행동하려고 해도 잠시는 모르나 오래 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아실 겁니다. 무늬의 변화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친교에서 일어나는 존재의 변화만이 우리를 참된 의미에서 새롭게 하고 우리를 살립니다. 이런 존재의 변화를 가리켜서 8절이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너희는 그 은혜에 의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았으니 이것은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

 

바울은 분명하게 말합니다. 죽임에서 살림으로의 변화는 하나님의 은혜이고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말입니다. 우리 삶의 겉모양인 행위가 아니라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믿는 데서 온다고 말입니다. 그래서 신약성경은 반복해서 믿으라거나 은혜를 받으라고 강조합니다. 믿음과 은혜라는 말이 현실에서 별로 절실하게 느껴지지 않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제가 종종 예로 들지만, 시인들은 자기가 시를 쓴다고 말하지 않고 시가 자기에게 온다고 말합니다. 작곡자들도 그렇고 화가도 그렇습니다. 궁극적인 세계는 선물로 주어지는 것입니다. 그런 차원을 잘 모르는 사람은 자기가 잘나서 뭔가를 이루었다고 말합니다.

여기 벤처 기업가가 기발한 아이템으로 대박을 터뜨렸다고 합시다. 그가 다른 기업가보다 뛰어난 점이 있어서 그럴 수도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주변 환경이 그걸 가능하게 한 것입니다. 국제 경제 흐름이나 국내외 정세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사실은 교회 목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과 역사와 인간 삶의 깊이를 아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자기의 성공을 선물로 여길 겁니다. 그게 바로 바울이 말하는 은혜입니다. 선물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서로 베풀고 나누려고 하겠지요. 믿음과 은혜를 깊이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은 그냥 자기가 잘났다는 사실에 도취할 뿐입니다.

이 대목에서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관점이 있습니다. 죽임에서 살림으로 나아온 사람은 그 사실이 너무 은혜롭고 감사하고, 소중하면서 각별하게 느껴져서 평생 수행하듯이 겸손하면서도 치열하게 하나님의 선물인 구원을 붙들고 삽니다. 그래서 바울은 9절에서 누구든지 자랑하지 못하게 함이라.’라고 경고했습니다. 잘난척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를 실존적으로 너무나 잘 알고 있었던 바울은 빌 2:12절에서도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너희 구원을 이루라.”라고 권면했습니다. 3:12절에서는 이렇게 고백합니다. “내가 이미 얻었다 함도 아니요 온전히 이루었다 함도 아니라 오직 내가 그리스도 예수께 잡힌 바 된 것을 잡으려고 달려가노라.” 13-14절에서도 반복해서 달려간다.’라고 고백했습니다. 그렇게 달려가는 일이 귀찮거나 지루한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교회 생활을 하든지, 아니면 교회 생활을 아예 포기합니다.

오늘 설교 제목은 죽임에서 살림으로!’입니다. 그게 어느 정도는 설명되었을 겁니다. 그런데요. 정말 중요한 한 가지 사실이 남았습니다. 우리의 실제 삶에서 죽임의 길과 살림의 길이 눈에 띄게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그것입니다. 우리가 사는 길이라고 생각한 것이 죽는 길일 수 있고, 죽는 길이라고 생각한 것이 사는 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깨어 있지 않으면 신앙생활이 힘듭니다. 아니 신앙생활 이전에 우리의 인생 자체가 혼란스러워집니다. 자기가 인생 성공을 위해서 불철주야 애를 써서 뭔가를 이루기는 했는데 전혀 행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기가 볼 때 불행한 인생처럼 보이던 사람의 인생이 사실은 행복할 수도 있습니다.

얼마 전에 저는 유튜브로 어릴 때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를 동시에 앓게 된 여자분에 관한 다큐를 보았습니다. 싱가포르 사람인 그녀는 설거지와 식사 준비에도 완벽하게 집중해야만 했습니다. 정원에서 그녀는 꽃 한 송이를 손의 촉감으로 느끼고 있더군요. 그녀는 다른 사람이 경험하지 못한 생명 깊이를 경험한 것입니다. 객관적으로는 가장 불행한 조건에 놓였던 사람이 우리가 도저히 흉내 낼 수 없는 행복한 사람으로 산 것입니다. 오늘 우리는 삶 자체에 얼마나 집중하나요? 그 신비에 얼마나 놀라워하나요? 자기 자신에 대한 염려와 망상이 가득하여 어느 한순간도 집중하지 못하는 건 아닌가요? 예배도 집중하지 못하고, 예수 그리스도에게도 집중하지 못하는 건 아닌가요? 그게 죄로 죽은 것이라 바울은 말합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우리 인생은 한 번입니다. 그만큼 소중하고 그만큼 위태롭습니다. 정신을 차리지 않으면 바울이 오늘 본문에 경고했듯이 세상 풍조를 따르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르면서 인생을 대충 보낼지 모릅니다. 폭식증 환자처럼 먹어 치우는 쾌락만으로 인생을 보내는 겁니다. 우리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의 은혜와 믿음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과의 친교에 집중하면서 살게 되었습니다. 얼마나 다행스럽고 얼마나 감사한 일입니까.


profile

[레벨:9]소유와존재

March 11, 2024
*.254.11.100

외줄 위에 서 있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실존을 봅니다.

이리 기우뚱 저리 기우뚱

하지만 그러면서도 부채를 펴서 '얼쑤'을 외치면서, 이리저리 동작을 하며 앞을 향해 한 걸음씩 전진하는...

그 한 발을 내딛기 위해 그는 얼마나 많은 시간을 매진 했을까요?


떨어지지 않고 앞으로 가고 싶습니다.

조금이라도 좋으니 앞으로 가고 싶습니다.

한발 아니 반발이라도 내딛는 실력?을 가지고 싶습니다.

주님 도와 주십시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1, 2024
*.181.143.12

'외줄타기'라는 소유존재 님의 표현이 실감 납니다.

외줄이 힘들면 두 줄로 타보세요. 

그것도 잘 안 되면 그냥 땅에서 조심스럽고 당당하게 걸어도 됩니다.

세례가 말하듯이 죽음과 삶을 동시에 살아내야 하니까

그리스도인의 삶은 영적 긴장감으로 팽팽할 수밖에 없답니다.

사실은 그리스도인만이 아니라 인간 삶 자체가 그렇기는 하지만요.

profile

[레벨:7]좋은나무

March 12, 2024
*.222.228.129

"세상풍조, 공중 권세 잡은 자, 육체의 욕심"이라는 성경의 용어들이.... 에베소의 시대정신으로 이해하니까 좀 더 실질적으로 다가오네요. 자기성취를 위해 부단히 달려가는 안달하는 삶.... 오늘날 우리의 시대정신이기도 하구요. "하늘의 영역"도 그냥 하늘이 아니라, 에베소라는 이 땅과 대립되는 한 다른 세상, 하나님 나라로 이해하니 비로소 저에게 적실하게 더 잘 다가옵니다. 어떤 삶이 죽음의 삶인지, 또 살림의 삶인지 모호하다는 마지막 단락의 말씀을 읽으면서, 최근에 읽은 권정생 선생에 관한 책 '강아지 똥으로 그린 하나님 나라'와 맞닿아 들렸어요!! 삶의 역설... 구원의 역설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귀한 설교문 감사합니다.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2, 2024
*.181.143.12

제 설교를 귀담이 들어줘서 고맙습니다.

세상 풍조와 권세 잡은 자와 육체의 욕심은 멋져보이기는 하나

토대가 부실한 친구들이니까 가까이 하지 않는 게 좋겠지요.

그렇다고 해서 담을 쌓고 살기는 불가능하니까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분별력이 필요할 겁니다.

profile

[레벨:23]브니엘남

March 13, 2024
*.181.10.208

저의 다른 번역: 하나님은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를) 일으키셨으며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늘들의 영역 안에 (우리를) 앉히셨습니다.

헬라어 에포우라니오스(epouranios)를 지금까지 55년간 교회 다니면서 하늘들의 영역이라고 설교하시는 목사님을 처음 뵙습니다. 

epi: 'pertaining to', not here, 'above'

ouranos: ornumi: lift, to heave, aerial heavens(vine's concordance)


하늘들의 영역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받은 가장 높은 위치이다. 우리의 생명이신 그리스도는 우리를 하나님의 모든 원수보다 높은 위치로 구원하셨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늘의 분위기 안에서 하늘의 본성과 하늘의 특성을 가진 하늘의 백성이다, 라고 바울은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사전은  ‘하늘에 있는’(existing in heaven) 또는 ‘하늘의 특성을 가진’(of heavenly nature)으로 설명합니다. 그러므로 교회가 도달한 영적인 위치는 하늘의 특성을 가진 새 예루살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하늘에 올라가 있다는 말이 아니라 우리의 영적인 지위가 그렇다는 말입니다.


하여튼 저는 목사님이 저와 똑같은 해석을 하시는 것을 보고 반가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외의 다른 구절에 대한 해석은 생략하겠습니다. 이 단어만으로 충분하니까요. 

 

profile

[레벨:100]정용섭

March 13, 2024
*.181.143.12

예, 평신도 성서신학자이신 브니엘남 님의 인정을 받았으니 다행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0176
1052 부활절 부족함 없는 삶, 가능한가? (시 23:1-6) 2024-04-21 391
1051 부활절 죽은 자 가운데서 (눅 24:36b-48) [2] 2024-04-14 533
1050 부활절 생명의 로고스 (요일 1:1-10) [2] 2024-04-08 573
1049 부활절 예수 부활의 첫 증인들 (막 16:1-8) [4] 2024-03-31 681
1048 사순절 향유를 손에 든 여자 (막 14:1-11) [4] 2024-03-24 711
1047 사순절 새 언약의 날 (렘 31:31-34) [2] 2024-03-17 618
» 사순절 죽임에서 살림으로! (엡 2:1-10) [6] 2024-03-10 868
1045 사순절 십자가의 길과 하나님의 능력 (고전 1:18-25) [2] 2024-03-04 898
1044 사순절 예수 승천과 하나님 우편 (벧전 3:18-22) [9] 2024-02-18 1226
1043 주현절 예수의 변모 사건 (막 9:2-9) [5] 2024-02-11 954
1042 주현절 여호와를 믿고 기다리는 사람 (사 40:21-31) [6] 2024-02-05 1001
1041 주현절 예수의 배타적 권위 (막 1:21-28) [4] 2024-01-28 904
1040 주현절 부름-버림-따름 (막 1:14-20) [2] 2024-01-21 963
1039 주현절 사무엘의 하나님 경험 (삼상 3:1-10) [2] 2024-01-14 1004
1038 주현절 요한의 세례와 예수의 세례 (행 19:1-7) [5] 2024-01-07 1000
1037 성탄절 만물의 찬양 (시 148:1-14) [2] 2023-12-31 1172
1036 대림절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 (눅 1:26-38) [2] 2023-12-24 2111
1035 대림절 은혜의 해와 보복의 날 (사 61:1-4, 8-11) [2] 2023-12-17 2308
1034 대림절 하나님의 날: 새 하늘과 새 땅 (벧후 3:8-13) [2] 2023-12-10 2289
1033 대림절 깨어있음이란? (막 13:24-37) [2] 2023-12-04 2585
1032 창조절 교회는 하나님의 충만하심이다! (엡 1:15-23) [2] 2023-11-26 1147
1031 창조절 은혜를 갈망하는 시인 (시 123:1-4) [2] 2023-11-19 1204
1030 창조절 외면당한 사람들 (마 25:1-13) [5] 2023-11-12 1315
1029 창조절 높은 자리와 낮은 자리의 역설 (마 23:1-12) 2023-11-07 1051
1028 창조절 그리스도 논쟁 (마 22:41-46) [7] 2023-10-29 1344
1027 창조절 재림신앙 (살전 1:1-10) [4] 2023-10-22 1303
1026 창조절 금송아지 이야기 (출 32:1-14) 2023-10-15 1190
1025 창조절 모퉁이 머릿돌이신 예수 (마 21:33-46) 2023-10-09 1134
1024 창조절 과정으로서의 구원 (빌 2:1-13) 2023-10-01 1177
1023 창조절 하나님의 선하심 앞에서 (마 20:1-16) [2] 2023-09-24 1297
1022 창조절 홍해 이야기 (출 14:21-31) 2023-09-17 1303
1021 창조절 도반 공동체 (마 18:15-20) [4] 2023-09-10 1242
1020 창조절 '악' 앞에서 (롬 12:14-21) [4] 2023-09-04 1420
1019 성령강림절 모세의 출생 이야기 (출 2:1-10) 2023-08-27 1175
1018 성령강림절 가나안 여자의 큰 믿음 (마 15:21-28) [6] 2023-08-20 1543
1017 성령강림절 그리스도는 하나님이시다! (롬 9:1-5) [2] 2023-08-08 1733
1016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에 관한 말씀 (마 13:31-33, 44-50) [2] 2023-07-30 1669
1015 성령강림절 여기 계신 하나님 (창 28:10-19a) [4] 2023-07-23 1790
1014 성령강림절 생명의 영,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1-11) 2023-07-16 1330
1013 성령강림절 영혼의 안식 (마 11:16-19, 25-30) [4] 2023-07-09 1618
1012 성령강림절 인신 제사의 유혹 (창 22:1~14) 2023-07-03 1299
1011 성령강림절 두려워하지 말라! (마 10:24~33) [4] 2023-06-25 1789
1010 성령강림절 성령과 하나님 사랑 (롬 5:1~8) 2023-06-18 1453
1009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소명 경험 (창 12:1~9) [2] 2023-06-11 1604
1008 성령강림절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 (마 28:16~20) [6] 2023-06-05 1568
1007 성령강림절 평화-파송-성령-사죄 (요 20:19~23) [2] 2023-05-28 1485
1006 부활절 가난한 자의 하나님 (시 68:1~10) [4] 2023-05-21 1792
1005 부활절 "살아있음" (요 14:15~21) [2] 2023-05-14 1605
1004 부활절 어둠에서 빛으로! (벧전 2:2~10) [5] 2023-05-08 1888
1003 부활절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 (벧전 2:18~25) 2023-04-30 1374
1002 부활절 눈이 밝아진 두 제자 (눅 24:28~35) [7] 2023-04-23 1801
1001 부활절 믿음의 깊이 (요 20:24~31) 2023-04-16 2230
1000 부활절 감추어짐과 나타남 (골 3:1~4) [7] 2023-04-09 2418
999 사순절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 (사 50:4~9a) 2023-04-02 1927
998 사순절 하나님의 영 (롬 8:6~11) [4] 2023-03-26 1883
997 사순절 바리새인의 '죄' 문제 (요 9:35~41) 2023-03-19 1883
996 사순절 '르비딤' 광야에서 (출 17:1~7) [6] 2023-03-12 2931
995 사순절 믿음과 영생 (요 3:1~7) [2] 2023-03-05 2303
994 사순절 생명 왕권 (롬 5:12~19) 2023-02-26 2240
993 주현절 예수는 빛이다 (마 17:1~8) [4] 2023-02-19 2731
992 주현절 양자택일 (신 30:15~20) [3] 2023-02-12 2623
991 주현절 천국 윤리 (마 5:13~20) [4] 2023-02-06 2470
990 주현절 삶의 무게 (미 6:1~8) [4] 2023-01-29 3483
989 주현절 가버나움 사람 (마 4:12~23) [4] 2023-01-22 2532
988 주현절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나타나심 (고전 1:1~9) [4] 2023-01-15 2601
987 주현절 여호와께 예배하라! (시 29:1~11) [2] 2023-01-09 2567
986 성탄절 나사렛 사람 (마 2:13~23) [4] 2023-01-01 3312
985 성탄절 큰 기쁨의 좋은 소식 (눅 2:1~14) [7] 2022-12-25 3252
984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종 (마 11:2~11) [3] 2022-12-22 3263
983 대림절 구원의 징표 (마 11:2~11) [1] 2022-12-11 4466
982 대림절 여호와를 아는 지식 (사 11:1~10) [3] 2022-12-05 4073
981 대림절 잠듦과 깨어 있음 (마 24:36~44) [2] 2022-11-27 4493
980 창조절 기쁨 충만, 가능한가? (빌 4:4~9) [2] 2022-11-21 3010
979 창조절 마지막에 관한 이야기 (눅 21:10~19) 2022-11-14 2630
978 창조절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선하심 (시 145:1~5, 17~21) 2022-11-07 2583
977 창조절 부르심에 합당한 사람 (살후 1:1~4, 11~12) [2] 2022-10-31 3270
976 창조절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 (욜 2:23~32) [4] 2022-10-24 2677
975 창조절 기도의 신비와 능력 (눅 18:1~8) 2022-10-17 4153
974 창조절 하나님께 영광=예수께 영광! (눅17:11~19) [8] 2022-10-11 3294
973 창조절 은혜의 시원적 깊이 (딤후 2:1~11) 2022-10-03 2812
972 창조절 한 부자와 거지 나사로 (눅 16:19~31) 2022-09-26 3606
971 창조절 하나님과 사람 '사이' (딤전 2:1~7) 2022-09-19 3297
970 창조절 하나님을 모르는 하나님의 백성 (렘 4:11~12, 22~28) [1] 2022-09-12 3506
969 창조절 왜 예수 제자인가? (눅 14:25~35) 2022-09-05 3435
968 성령강림절 복된 삶의 역설 (눅 7:1, 7~14) [6] 2022-08-29 3936
967 성령강림절 흔들리지 않는 나라 (히 12:18~29) [4] 2022-08-22 3627
966 성령강림절 포도원 노래꾼 (사 5:1~7) [4] 2022-08-15 2489
965 성령강림절 준비된 삶이란? (눅 12:32~40) [5] 2022-08-08 3748
96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긍휼과 거룩하심 (호 11:1~11) [6] 2022-08-01 3632
963 성령강림절 성령을 주시리 (눅 11:1~13) [6] 2022-07-25 4656
962 성령강림절 ‘말씀’이 없는 시대 (암 8:1~12) 2022-07-17 4245
961 성령강림절 아들의 나라 (골 1:1~14) 2022-07-11 2881
960 성령강림절 하늘에 기록된 이름 (눅 10:1~11, 16~20) [2] 2022-07-03 3483
959 성령강림절 하나님 나라의 미래 지향성 (눅 9:57~62) [2] 2022-06-26 2732
958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산 호렙에서 (왕상 19:1~4, 8~15a) [2] 2022-06-20 3458
957 성령강림절 성령이여, 오소서! (요 16:12~15) [2] 2022-06-12 3539
956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양자의 영 (롬 8:14~17) [4] 2022-06-05 4823
955 부활절 의로운 자의 기쁨 (시 97:1~12) [2] 2022-05-29 4029
954 부활절 루디아와 빌립보 교회 (행 16:9~15) [4] 2022-05-22 4610
953 부활절 새로운 계명 '사랑' (요 13:31~35) [2] 2022-05-15 2965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