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평화와 두려움

기타 조회 수 14126 추천 수 26 2004.07.02 15:22:28
성경본문 : 요한복음 14:27-31 



평화와 두려움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주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주는 것이다.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는 다르다. 걱정하거나 두려워
하지 말라. 내가 떠나갔다가 너희에게로 다시 오겠다는 말을 너희가
듣지 않았느냐? 아버지께서는 나보다 훌륭하신 분이니 만일 너희가
나를 사랑한다면 내가 아버지께로 가는 것을 기뻐했을 것이다. 내가
지금 이 일을 미리 알려 주는 것은 그 일이 얼어날 때 너희로 하여금
믿게 하려는 것이다. 너희와 이야기를 나눌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
다. 이 세상의 권력자가 가까이 오고 있다. 그가 나를 어떻게 할 수는
없지만 나는 아버지를 사랑하고 아버지께서 분부하신 대로 실천한
다는 것을 세상에 알려야 하겠다. 자, 일어나 가자. <요 14:27-31>

오늘 본문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주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 말씀을 하신 예수님이 현재 처해진 상황은 평화와는 참으로 거리가
멉니다. 14장에서 17장에 이르는 긴 연설과 기도가 끝난 직후에 예수님
은 유대교의 고위 성직자들에 의해서 체포당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야간
심문이 진행되고 다음 날 일찍 빌라도에 의해서 십자가형의 선고가 내려
진 후 결국 죽습니다. 그러니까 오늘 본문 말씀은 예수님이 가장 폭력적
인 권력에 의해서 죽게 되는 바로 그 순간에 선포된 것입니다. 여기서 우
리는 이런 질문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평화를 주고 간다는 예수님의 말
씀은 어딘가 앞뒤가 맞지 않는 게 아닐까요? 만약 그가 참된 평화를 줄
만한 능력이 있는 분이라면 왜 그렇게 평화와 반대되는 사태에 빠져들었
을까요? 예수님의 말씀을 우리가 일단 순수하게 받아들인다는 것을 전
제한다면, 예수님이 말씀하신 평화는 이 세상에서는 별로 쓸모가 없고
피안의 세계에서나 통용되는 것에 불과한 게 아닐까요? 즉 평화 운운하
는 이 예수님의 말씀은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지만 세상의
악한 힘에 의해서 결국 모든 걸 빼앗긴 예언자의 자기 합리화나 하소연
은 아닐까요? 과연 예수님이 주신다는 평화는 무엇이며, 그것은 이 세상
에서 현실성이 있는 것일까요? 더 나아가서 이 세상에도 수많은 평화 단
체들이 평화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마당에 굳이 교회가 또 다른 평화를
주장할 필요가 있을까요?

샬롬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는 다르다"는 말씀을 우선 진
지하게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이미 그 당시에도 평화는 모든 정치 사회
적 차원에서 중심 이념이었습니다. 오죽 했으면 얼굴을 비비며 나누는
유대인들의 인사가 "샬롬"이었겠습니까? 아마 유대인들은 역사를 통해
서 전쟁이 지긋지긋하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체험했을 것이며, 그래서 이
웃을 만날 때마다 평화를 구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다
시피 예수님 당시에 유대는 로마의 피식민지였습니다. 형식적으로만 왕
도 있고 종교도 있는 하나의 나라였지 실제로는 로마의 완전한 통치를
받았습니다. 그런 식민지 상황도 길게 가지 못하고 기원 후 70년에는 로
마 군대에 의해서 예루살렘이 초토화되고, 결국 나라 자체가 없어지고
말았습니다. 로마는 유대지역만이 아니라 그들이 통치하는 모든 피식민
지에 막강한 로마군을 주둔시켰습니다. 유대의 경우에는 지중해 해변 가
까운 가이사랴에 총독부가 있었고 예루살렘에는 치안을 맡은 일정한 군
인들이 배치되었습니다. 유대민족은 워낙 다른 나라에 배타적인 기질이
강했기 때문에 다른 피식민지 국가보다 훨씬 자주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래서 로마 정부에서는 이 유대인들을 늘 골치거리로 생각하고 이를 통
제하기 위해서 가장 유능한 총독을 임명했습니다. 그런데 로마에서 이런
식민지에 자기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내세운 가장 큰 명분이 바로 "평
화"였습니다. 사회치안을 어지럽히는 악을 제압하고 사회의 안정과 평화
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자기들이 왔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들의 주장에도
어느 정도의 타당성이 없진 않았습니다. 강력한 로마군이 주둔하게 되면
아마 좀도둑이 사라지겠지요. 로마에 대항하는 이들과 친로마인사들 사
이에서 벌어지는 사회 불안도, 또는 그런 상황이 악화되어 발생하는 내
전도 어느 정도 제압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로
마군이 있어야 평화가 유지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가 일본의 식민지
였을 때도 적지 않은 한국 사람들이 일본순사들과 헌병 때문에 서울의
질서가 유지된다고 생각했던 것과 비슷합니다. 이 나라를 대표하는 지식
인들과 문인들과 예술가들이 앞다투어 친일, 부일행각을 벌인 것은 나름
대로 그런 이유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팍스 로마나
그런데 로마가 겉으로는 유대지역의 평화를 지키는 것 같았지만 실
제로는 자기들의 평화만을 절대적인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들이 목표
로 하는 평화는 소위 "팍스 로마나"(로마의 평화)였습니다. 로마는 유대
인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로마의 평화를 위해서 유대사회를 군사력으로
지켜주기도 하고 위협하기도 한 것이지 유대의 평화에는 관심이 없었습
니다. 로마의 평화는 로마의 기득권을 유지시키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
다. 부분적으로는 관용을 베풀기도 하지만 그 모든 것은 결국 로마의 체
제가 보장되는 한도 안에서만 가능한 일입니다. 로마에 사는 귀족들의
사치스런 생활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모든 식민지 사람들은 일정한 세금
을 바쳐야 했습니다. 그러면서 로마는 자기들의 군사력으로 식민지를 지
켜준다고 생색을 냈습니다. 우리는 이런 평화를 진정한 평화라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이미 충분할 정도로 힘을 비축한 사람들의 그 힘만을 보장
하는 평화는 다른 한편으로 아직 힘이 없는 사람들의 희생을 강요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예수님이 말씀하신 세상이 주는 평화는 곧 이런 것이
었습니다.
로마의 평화만이 강요된 시대는 역사에서 사라졌지만 그런 종류의
강압된 평화는 지금도 역시 계속되고 있습니다. 요즘 막강한 군사력으로
세계를 주름잡고 있는 미국을 이 자리에서 거론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너무나 노골적으로 "팍스 아메리카나"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말할 필
요까지도 없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50년 이상이나 이 한반도 땅에 미군
이 점령군처럼 주둔하도록 내버려둔 우리의 태도가 부끄럽기 때문에 말
하기가 싫습니다. 물론 미군의 힘으로 남북한의 군사적 긴장이 더 악화
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기는 합니다만 우리의 남북분단 상
황이 아무리 그렇더라도 우리가 그것을 극복해보려는 노력을 별로 기울
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변명의 여지는 없습니다. 미군 문제는 일단 접어
놓고 대신 우리 사회 내면에 자리잡고 있는 이런 왜곡된 평화의 그림자
는 명확히 집어야합니다. 그래야만 예수님이 주신 평화가 왜 세상이 주
는 평화와 다른지 알 수 있기도 하며, 이 문제가 바로 우리 자신의 것이
라는 사실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상유지
벌써 오랜 전부터 지속된 현상이기도 하지만 IMF 이후에 더 극단적으
로 나타난 현상이 하나 있는데, 고시열풍입니다. 대학생들만이 아니라
거의 마흔 살이 다 된 사람들까지 행정고시, 외무고시, 사법고시에 목을
매고 있는 실정입니다. 특히 사법고시가 그렇게 극성인 이유는 단 한번
의 합격으로 신분이 급상승한다는 매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판
사, 검사, 변호사도 하나의 직업에 불과한데도 불구하고 이 나라에서 이
렇게 인기를 끄는 이유는 돈과 명예를 한몫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런 욕구야 인간에게 있는 자연스러운 것이니까 거기에 매달리는 개인들
을 크게 탓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거의 사회문제가 되다시피 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수요가 많으면 공급을 늘려야 해결되는 것처럼 변호사를
많이 배출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일인데도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공급
을 늘리지 않습니다. 변호사협회는 갑작스럽게 변호사 숫자가 많아지면
사회혼란이 야기된다는 이유를 들어 변호사 숫자를 늘리는 걸 반대합니
다. 사회혼란이 무엇인지 나는 잘 감이 잡히지 않습니다. 이미 변호사 일
을 하던 사람들의 수입이 갑자기 줄어들거나, 아니면 너무 쉽게 변호사
자격증을 주면 변호사들의 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 같은데, 그것이 사회
를 혼란시킬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의사들도 똑같은 논리를 폅니다. 공부
잘하는 학생들이 의과대학에 가서 사람들의 병을 고치는 일을 한다는 것
은 정말 바람직합니다만 그 일이 돈과 너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사
회를 평화공동체로 만드는 일에 방해가 됩니다. 의사협회에서도 의사 숫
자를 너무 많이 늘리지 말아야 한다고 압력을 가합니다. 의사의 질이 떨
어진다고 합니다. 사실 거의 모든 재판문제나 질병문제는 그렇게 전문적
인 지식이 필요하기 보다는 거의 상식적인 지식만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
서 전문적이 지식이 없는 변호사가 일반소송건을 맡는다거나 의사가 환
자의 1차 진료를 맡는다고 해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변호사나
의사의 숫자를 가급적 늘리지 말아야 한다는 그들의 생각은 다른 데 있
습니다. 자신들의 특권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이 사
람들은 이 세상이 그저 이렇게 현상유지(스타투스 크보) 되기를 바랍니
다. 그것을 평화로운 세상이라고 말합니다. 그런 모순된, 한쪽으로 치우
친 힘을 균형 있게 하려는 노력을 사회불안으로 매도합니다. 세상이 주
는 평화는 바로 이런 평화입니다. 로마의 큰 이익을 위해서 작은 분쟁을
억압함으로써 외형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돌아가는 세상의 평
화 말입니다.

걱정과 두려움
그런데 이런 평화는 걱정과 두려움이라는 속성을 갖습니다. 오늘 예
수님께서 "내가 주는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는 다르다"고 말씀하시
면서 이어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걱정하거나 두려워 말라."(27절). 걱
정하거나 두려워 말라는 이 말씀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가리키는지 명확
하지는 않습니다. 예수님이 세상을 떠나실 것에 대한 제자들의 두려움을
단순히 위로하기 위한 말씀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바로 앞서 예수
님 당신의 평화와 세상의 평화를 구별해서 말씀하신 걸 감안한다면 이
걱정과 두려움이 바로 참된 평화와 위선적 평화를 구별해낼 수 있는 기
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세상의 평화는 걱정과 두려움을 생산
해낸다는 말씀입니다.
오늘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 안에는 많은 힘들이 서로 충돌하
고 타협합니다. 그 힘들 사이에 균형이 맞추어진 상태를 사람들은 평화
라고 생각합니다. 한쪽이 워낙 강해서 상대방이 도전할 의사를 갖지 못
하든지, 아니면 양측의 힘이 거의 똑같아서 서로간에 조심을 하든지 나
름대로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 사회라는 점에서나, 인간
의 자기 중심적 속성이라는 점에서나 이런 정도의 균형을 맞추어 내는
것도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정치인들의 정치활동도 역시 이런 힘의
균형이라는 메커니즘 안에서 돌아갑니다. 어쨌든지 그런 정도라도 애를
쓰면 살아간다는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힘의 균형을 통한
평화가 얼마나 위선적인가를 명확하게 뚫어보아야 합니다. 이런 종류의
평화는 인간을 걱정거리에 싸이게 하고 두려워하게 만듭니다. 그게 이상
합니다. 평화를 일군다고 하면서도 평화와 반대되는 걱정과 두려움이 휩
싸여 있습니다.
이런 사회적인 차원이 아니라 우리 개인의 삶에도 역시 이런 불상사
가 개입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경제활동이나 가정생활, 또는 직장이나
대인관계에 이르는 모든 일상적인 삶이 결국은 평화를 얻으려는 것입니
다. 돈을 벌어야 가난으로 인한 불화를 깨고 평화롭게 살아갈 수 있습니
다. 그런데 자기 삶의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들이 결국은 평화와 반대되
는 걱정과 두려움에 빠져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합니
까? 어느 정도 사회신분이 상승된 사람들도 평화로운 삶보다는 두려운
삶을 살아갑니다. 평화로운 삶을 위한 모든 일들이 결국은 두려운 삶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일들이 우리의 현실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셈입니다.

그리스도의 평화
오늘 성서말씀에 의하면 예수님은 걱정과 두려움이 없는 평화를 우
리에게 준다고 약속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하나님과의 평화가 모든 평화
의 근원이라는 의미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걱정하지 말라는 말씀
에 이어서 "내가 떠나갔다가 너희에게로 다시 오겠다"고 하셨습니다. 인
간에게 걱정과 두려움이 없는 평화는 하나님과의 평화에서만 주어집니
다. 참된 평화는 인간이 자동차를 만들 듯이 생산해내는 게 아니라 하나
님 나라 자체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물론 우리는 UN을 조직해서 지구
전체의 평화를 어느 정도 진작시킬 수는 있습니다만, 요즘 미국의 행동
에서 보듯이 막강한 힘을 가진 나라가 다르게 마음을 먹으면 그런 평화
기구와 약속은 단숨에 깨지고 맙니다. 노사관계도 그렇고 가족관계도 역
시 그렇습니다. 인간이 만든 평화 구조는 약간 그럴듯하게 보일 뿐이지
근본적으로 평화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구체적으
로 이 세상에서 평화 공동체를 위해 투쟁할 필요가 없다는 뜻을 결코 아
닙니다. 우리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는 물론이고, 자연과의 평화를
위해서도 실질적인 노력을 기울여나가야 합니다. 특히 우리처럼 남북분
단체제에서는 이 평화운동이 절실하게 요구됩니다. 다만 이런 평화운동
이 오늘 예수님의 말씀에 지적되었듯이 세상이 주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로서 승화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 자신과 우리
편의 이익을 위해서 교묘하게 기술적으로 힘의 균형을 맞추어나가는 정
도의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차원에서 요구되는 평화를 지향해야
나가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미국이 늘 세계 평화의 사도연 하는 것처
럼 자기 구미에 맞는 것만을 선택하면서 그것이 흡사 평화의 본질이며
성취인 것처럼 호도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세상이 주는 평화의 한계
입니다.   (7월27일)



profile

[레벨:13]토토

May 15, 2007
*.158.162.63

어디나 자기 집단의 이익만 생각하는거 같습니다
저희과도 예전에 관련법 개정을 위해서 학생들을 서울로 끌고가서 데모를 시켰다는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778
353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702
352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681
351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678
350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673
349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671
348 기타 자유의 길, 분열의 길, 2월13일 2005-02-13 8650
347 사순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25) [10] 2015-03-08 8634
346 주현절 변모의 예수, 하나님의 아들 (눅 9:28-36) [3] 2016-02-07 8592
345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588
344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578
343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497
342 주현절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 (막 9:2-9) [4] 2015-02-15 8440
341 사순절 고난의 그리스도 (사 50:4-9) [8] 2015-03-29 8413
340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409
339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8400
338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360
337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눅 3:15-17, 21-22) [4] 2016-01-10 8358
336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356
335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37] 2016-06-13 8356
334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354
333 창조절 예수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다 (히 5:1-10) [8] 2015-10-18 8337
332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326
331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322
330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319
329 창조절 고난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11:18-20) [12] 2015-09-20 8287
328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278
327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264
326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248
325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245
324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223
323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167
322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 6:24:35) file [15] 2015-08-02 8161
321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8141
320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8128
319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8118
318 주현절 사랑, 하나님의 존재 방식 [9] 2016-01-31 8066
317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8058
316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8042
315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8001
314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7997
313 성령강림절 하늘의 양식 (요 6:35, 41-51) [8] 2015-08-10 7972
312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7952
311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950
310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948
309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900
308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867
307 부활절 죽임 당한 어린 양 (계 5:11-14) [9] 2016-04-10 7865
306 사순절 하나님 여호와를 경배하라! (신 26:1-11) [6] 2016-02-14 7851
305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850
304 부활절 부활의 증인이란? (행 5:27-32) [9] 2016-04-03 7841
303 창조절 행위와 믿음 (약 2:1-10, 14-17) [4] 2015-09-06 7840
302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789
301 성령강림절 불순종의 역설 (롬 11:1-2a, 29-32) [17] 2014-08-17 7779
300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728
299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726
298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604
297 사순절 하나님의 영광, 그리스도의 영광 [4] 2015-03-22 7575
296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574
295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544
294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530
293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526
292 성령강림절 산과 언덕이 노래하리라. (사 55:10-13) [6] 2014-07-13 7520
291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501
290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474
289 대림절 늘 깨어 기도하라! (눅 21:25~36) [1] 2021-11-28 7469
288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3] 2016-02-21 7455
287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439
286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436
285 사순절 생명과 존재의 근원 (롬 4:13-25) [7] 2015-03-02 7436
284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397
283 성령강림절 집행 유예의 삶 (마 1324-30, 36-43) [14] 2014-07-20 7367
282 창조절 교회는 성찬 공동체다 (막 14:22-25, 고전 11:23-26) [7] 2014-10-19 7365
281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6] 2015-06-07 7333
280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325
279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294
278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276
27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261
276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256
275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247
274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247
273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질문 (막 13:1-8) [8] 2015-11-15 7244
272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231
271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7189
270 성령강림절 상투스 상투스 상투스 (사 6:1-8) [10] 2015-05-31 7185
269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7141
268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7137
267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7137
266 성령강림절 다윗과 임마누엘 (삼하 5:1-5, 9-10) [8] 2018-07-09 7124
265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7098
264 부활절 "내가 주를 보았다!" (요 20:1-18) [8] 2015-04-05 7072
263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7065
262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7063
261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7051
260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7049
259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7044
258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7005
257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984
256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943
255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929
254 부활절 사도의 직무 (행 1:15-17, 21-26) [12] 2015-05-17 6910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