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삶으로서의 예배

기타 조회 수 9905 추천 수 29 2004.07.02 15:50:31
성경본문 : 미가 6:6-16 

삶으로서의 예배
미가 6:6-16

미가서 1장1절에 보면 미가는 북이스라엘의 수도인 사마리아와 남유다의 수도인 예루살
렘 모두를 대상으로 예언하고 있습니다. 요즘 우리의 입장과 대비시켜본다면 서울과 평양 양
측을 모두 포괄하는 예언이라는 뜻인데, 이는 곧 그의 활동 영역이 상당히 광범위하다는 것이
겠지요. 그가 활동한 시기는 BC 8세기와 7세기에 걸쳐 있는데, 이 기간 중에 북이스라엘에 앗
시리아의 이해서 멸망했으며 남유다도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었습니다. 다른 예언자들과 마
찬가지로 미가도 역시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서 큰 죄를 지었다고 책망합니다. 이제
이들이 하나님의 용서를 받아야 하는데, 죄에 빠진 이들은 어떻게 하는 게 바로 하나님의 용
서를 받을 수 있는 길인지 모릅니다. 그 문제를 두고 이제 미가와 이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집
니다. 우선 6,7절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들은 참된 예배,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용서받을 수
있는 방식을 두 가지 전통에서 찾고 있습니다. 하나는 이스라엘의 종교적 전통이며, 다른 하
나는 이교적 전통입니다. "높이 계시는 하느님 야훼께 예배를 드리려면 무엇을 가지고 나가면
됩니까? 번제를 가지고 나가야 합니까? 송아지를 가지고 나가야 합니까? 수양 몇 천 마리 바
치면 야훼께서 기뻐하시겠습니까? 거역하기만 하던 죄를 벗으려면, 맏아들이라도 바쳐야 합
니까? 이 죽을죄를 벗으려면 이 몸에서 난 자식이라도 바쳐야 합니까?"

화려한 종교 의식의 이면
번제, 송아지, 수양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제사를 드릴 때 바치는 동물이었습니
다. 이들의 피를 제단에 뿌림으로써 자신들의 죄가 용서받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종교의
식은 상징으로서 큰 의미가 있기 때문에 모든 종교는 이런 의식을 화려하게 거행했습니다. 송
아지가 죽을 때 내는 울음과 비명, 피비린내, 향, 거룩하게 만들어진 제복을 입고 의식을 거행
하는 제사장, 이런 모습들을 통해서 그 종교 의식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은 흡사 신이 강림한
것처럼 생각합니다. 성공회,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의 종교의식은 우리 개신교회에
비해서 훨씬 세련되어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개신교회도 이런 종교의식을 건전한 차원에
서 좀더 발전시켜야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이런 일정한 의식을 통해서 깊은 종교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절 생활이 없는 제가 정확하게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아마 절에서 드리
는 예불도 역시 로마 가톨릭의 미사 못지 않게 이런 종교적 의식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발전되
어 있을 것입니다. 새벽 3,4시에 일어나 아침을 알리는 북을 치고, 대웅전에 모여 함께 불경을
외우는 모습은 그 의미를 충분히 모르는 사람에게도 어떤 외경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합니
다.
그런데 이런 종교의식이 종교경험의 본질을 심화시켜나갈 수도 있지만 자칫 그런 의식
자체에 매몰되어 버릴 위험성도 없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런 의식은 우리에게 매우 감각적
으로 작용하지만 본질은 은폐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사람들은 종교의 본질은 외면한 채
그럴듯하게 보이는 것에만 치우치게 됩니다. 속이 부실하면 겉이 소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
다. 오늘 미가의 표현대로 이스라엘 백성들은 "수양 몇 천 마리 바치면 야훼께서 기뻐하시겠
습니까"라는 생각에 이르게 됩니다. 생각해보십시오. 몇 천 마리의 수양을 통해서 제사 드리
는 모습을 말입니다. 거기에 모였던 사람들은 그야말로 인간의 경건한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그래서 하나님이 강림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마음이 들지 않겠습니까? 사람들에게 이런 경
향이 있기 때문에 면죄부 사건을 일으키면서도 로마 베드로 성당을 건축할 생각을 하며, 러시
아의 짜르 정권 시대에 민중들이 생존의 위험에 처해있는 상태에서도 정교회 건물을 화려하
게 장식하고 종교의식을 극도로 정교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렇듯 종교의식만 확대 재생산되고
그 본질이 축소됨으로써 유럽에서는 루터의 종교개혁이 일어났고, 러시아에서는 볼쉐비키 혁
명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자학적인 삶
그런데 본질은 외면하고 대신 겉모양에 치중하는 상태가 극단화되면 자학적인 상태까지
이르게 됩니다. "맏아들이라도 바쳐야 합니까? 이 죽을죄를 벗으려면 이 몸에서 난 자식이라
도 바쳐야 합니까?"라는 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학적으로 종교의식을 발전시키
는 일은 이스라엘 근동의 여러 종교에서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이스라엘은 동물의 피를 제단
에 뿌리지만 근동의 종교는 사람의 피를 뿌렸습니다. 그게 사람의 마음을 훨씬 자극적으로 움
직일 수 있으니까 말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전통, 즉 이스라엘의 제사행위인 동물을 바치는 것이나 이교의 제
사행위인 사람을 바치는 일은 고대의 종교적 의식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오늘에도 여전히 그
흔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종교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세속적인 차원에서 이런 모습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오늘 우리의 삶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겉을 화려하게 꾸미는 것에 매몰되
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이들의 교육에서부터 집 장만이나 살아가는 과정 전체가
남에게 얼마나 그럴듯하게 보이는가에 치우쳐 있습니다. 제가 일일이 거론하지 않겠습니다.
한 마디로 모든 삶의 영역에 삶의 본질이 아니라 흡사 정신병자의 영혼을 지배하는 악령처럼
삶의 껍질만 득세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심해질 경우에는 틀림없이 자학적인 데까지 이르게
됩니다. 수능 학생들이 목숨을 끊고, 노동자들이 목숨을 끊습니다. 이런 극단적인 경우가 아
니라고 하더라도 넓은 평수의 아파트를 장만하고 자식 교육에 목숨을 걸고 사는 모든 사람들
의 일상은 삶의 본질과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사실 자학입니다. 이는 흡사 "이 몸에서 난 자
식이라도 바쳐야 합니까?"라고 생각했던 이스라엘 사람들의 마음상태와 똑같습니다.

불안
고대나 현대 가릴 것 없이 우리는 왜 이렇게 겉모양에 치우치다가 결국 자학적인 차원에
까지 이르게 되는 것일까요? 키에르케골의 표현을 빌리면 '불안'이 그 바록 그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불안의 뿌리는 곧 죄이기도 합니다. 오늘 본문은 이렇게 말합니다. "거역하기
만 하던 죄를 벗으려면 ... 이 죽을죄를 벗으려면..." 삶의 토대가 허술하면 그것이 아무리 그럴
듯한 포장으로 둘러싸여도 결국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생명의 본질과 연결되지 않은 종교
와 삶은 아무리 화려한 의식으로 감추려고 해도 허탈할 수밖에 없습니다. 삶의 본질로부터 벗
어난 것이 죄이며, 그것으로 인해서 불안하다면 그것이 곧 하나님의 징벌입니다. 이런 사람은
극단적인 방법으로 그 불안을 해결해보려고 하다가 자기 자식을 바칠 생각까지 하게 됩니다.
저는 한국 기독교인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치열한 종교행위 앞에서 할말을 잊을 때가
많습니다. 도대체 무슨 힘이 그들을 사로잡고 있기에 저토록 열렬하게, 또는 자학적으로 종교
생활을 할 수 있는 것인가? 요즘 새삼스럽게 한국교회 안에 새벽기도회 열풍이 불었습니다.
서울 강남에 있는 '사랑의 교회'는 새벽 2시부터 7시까지 연이어 드리는 새벽기도회 신자들로
인해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합니다. 어떤 분은 '부모의 새벽기도, 자녀의 평생축복'이라는
새벽기도회 슬로건을 보고 그게 다 수능시험을 코앞에 두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만 그것만으
로 모두 해석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 본문의 '수양 몇 천 마리'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교회에 집중되고 있는 사람과 돈과 시간의 양은 엄청납니다. 이런 에너지가 도대체 어디서 나
왔을까요? 물론 하나님의 은혜라고 한다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그러나 그런 열광적 현상을
모두 하나님의 은혜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기독교 역사에서 그런 열광이 오히려 반(反)그리
스도적인 결과로 나타난 게 한 두 번이 아닙니다. 저는 이렇듯 도에 넘치는 종교적 열성은 그
들이 갖고 있는 '불안'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모든 한민족이 숙명처럼 안고 있는 '한'이
그것일 수도 있고, 예수를 믿으면서도 여전히 서울 강남에서 부동산 투기를 할 수밖에 없는
자신의 부도덕성에 대한 '불안'일 수도 있고, 또는 교회에서 거의 세뇌 당하듯이 들어온 도적
주의적 설교로 인해서 형성된 무의식적인 '불안감'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불안을 극
도의 종교적 열성으로 벗어나려는 심리가 오늘의 치열한 종교적 열광으로 나타나는 게 아닐
까요?
교회는 자칫 이런 인간의 '불안'을 이용하려는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죽음에 대한 두
려움을 이용해서 사람들을 교회에 묶어놓으려고 합니다. '지옥'에 가지 않으려면 예수 잘 믿
어야한다고 떠드는 사람이 있습니다. 참으로 유치하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즉 그런 두려움
에 빠져있는 사람에게는 그런 말이 통합니다. 십일조 헌금을 드리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는 것이라고 협박합니다. 이렇게 사람들을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만듦으로써 어떤 반
응을 요구하는 종교는 사이비입니다. 설령 인간이 죄 의식으로 인해서 불안한 게 어쩔 수 없
는 우리가 감당해야 할 실존적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그 불안을 자극하는 것으로는 아무런 해
결책도 없습니다. 오히려 생명의 본질을 망각하고 그 불안을 벗어나기 위해서 위선적인 행동
을 하거나 자학적인 행동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스라엘에 수양 몇 천 마리를 생각하고, 더
나아가서 자기 자식을 바쳐야 할지 모른다고 생각한 것처럼 말입니다.

하나님이 좋아하시는 일
미가는 전혀 다른 길을 제시합니다. 하나님이 좋아하시는 것은 수양 몇 천 마리나 사람의
자식이 아니라 일상의 삶을 바르게 사는 것입니다. 8절에 그 길이 세 가지로 제시되어 있습니
다. "이 사람아, 야훼께서 무엇을 좋아하시는지, 무엇을 원하시는지 들어서 알지 않느냐? 정의
를 실천하는 일, 기꺼이 은덕에 보답하는 일, 조심스레 하느님과 함께 살아가는 일, 그 일밖에
무엇이 더 있겠느냐? 그의 이름을 어려워하는 자에게 앞길이 열린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
미 들어서 잘 아는 일이지만 이것보다는 오히려 번제, 송아지, 자식을 생각했습니다. 사람은
자기가 생각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가 살아가는 방식으로만 모든 문
제를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도 번제와 송아지로 해결하려는 것이었습니다.
반면에 미가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본질이 무엇인지 익히 알고 있었습니다. 이게 바로 예언
자들의 능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기의 인생경험이나 심리상태에 사로잡혀 있는 게 아니라
진리의 영에게 자기를 열어놓음으로써 생명의 본질을 훼손시키지 않을 수 있는 능력 말입니
다. 그가 제시한 세 가지 길은 아주 특별한 게 아니라 '삶' 자체입니다.
첫째는 정의를 실천하는 일입니다. 구약의 예언자들이 정의 문제를 얼마나 철저하게 받
아들였는지에 대해서는 긴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명백합니다. 예언자들이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서 입을 열 때마다 정의에 대해서 언급했다는 것은 이스라엘이 전혀 정의롭지 못했다는
뜻입니다. 사회 정의는 쉽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근본적으로 사람들이 이기적이
기 때문입니다. 불교 용어로 말하자면 자기 집착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삶의 순간을 순
전히 자기 자신을 성취하는 기회로만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정의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사
람들은 이기적이라는 말과 자기 성취감이라는 말을 전혀 다른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결국은
같은 차원에서 작용하는 인간의 심리입니다. 남에게 해를 끼치면서도 자기 자신만을 생각하
는 게 이기심과 자기를 성취하려는 욕망을 구분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근본적으로 비슷합
니다. 그래서 아무리 도덕적이고 계몽된 사회가 된다고 하더라도 사회정의를 실천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오히려 교묘한 방식으로 사회정의가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예컨
대 이라크 파병 문제만 해도 그렇습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이게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 아닌가
의 기준에서 판단합니다. 국제 정의가 아니라 국익이 우선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노무현 대
통령이 국익우선주의라고 말하면 대개가 동의합니다. 이런 국익이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서 절대적인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단지 경제적으로
국가에 도움이 되는가 아닌가에 생각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외국인 노동자 문제도 사회 정
의가 아니라 국익의 차원에서 해결하려고만 합니다. 아마 노 대통령이 정의를 이 나라의 최고
가치로 본다고 말한다면 지지도가 10%대로 떨어지고 말겠지요. 정의를 말하려면 일단 경제
적으로 조금 못살게 되더라도 감수하겠다는 생각을 전제하는 것인데, 이런 상태를 받아들일
국민들이 얼마나 될까요?
둘째는 "기꺼이 은덕에 보답하는 일"입니다. 각주에 보면 이 구절은 "한결같은 사랑을 즐
겨 행하는 일"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고 해설되어 있습니다. 뭉뚱그림으로 다시 해석한다면 자
기에게 주어진 삶을 감사할 줄 알고 더 나아가 주변의 모든 세계와 사랑의 관계를 맺으라는
말씀입니다. 자기의 삶을 감사할 줄 안다는 것은 그냥 되는 게 아니라 '은총'의 세계에 들어가
야만 가능합니다. 자기에게서 성취된 일을 자기의 능력으로, 자기가 잘난 증거로 생각하는 한
사람은 감사할 수 없습니다. 교양으로 감사하다는 말은 할 수 있지만 그렇게 살아갈 수는 없
습니다. 결국 은덕에 보답하는 일은 자기의 삶에 대한 전혀 새로운 이해에서 가능하다는 말이
됩니다. 자기 중심에서 은총 중심으로, 물질 중심에서 생명 중심으로 삶의 방향을 완전히 바
꿀 때만 가능합니다. 지나치게 화려한 종교의식과 자학적인 행동으로 빠져든 이유가 인간의
불안 때문이라고 말씀드렸는데, 종교는 이 불안이 아니라 은총을 계기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어야 건강합니다. 이렇게 새로운 시각으로 자기와 주변의 삶을 받아들이는 사람이야말로
철이 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식과 부모의 관계도 비슷합니다. 부모가 자기를 버릴까 불
안해서 부모에게 의지한다면 그 관계가 정상은 아닙니다. 비록 자신에게 부족한 게 많지만 그
래도 부모의 사랑을 의지하고 감사한 마음을 가질 때 바른 관계가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
나님이 좋아하시는 두 번째 일은 종교적으로 유별한 행동을 하는 게 아니라 자기의 삶을 은총
으로 인식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사는 것입니다.
셋째는 "조심스레 하느님과 함께 살아가는 일"입니다. 사실 앞에서 제시한 두 가지 일도
이 셋째의 일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정의와 은총이라는 말은 어느 정도 알아들을 만 하지만
하느님과 함께 살아가는 일은 약간 애매합니다. 보통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은 교회에 잘 나와
서 예배드리고 봉사생활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이미 앞서 번제, 송아지, 헌금이 중요
한 게 아니라는 말씀을 미루어보면 무언가 다른 뜻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여기서 더 이상
할 말이 없습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얼추 비슷한 설명이라도 드려야겠지요. 하
나님은 우리가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님과 동행한다는 것을 구체
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장자가 말하는 도, 하이덱거의 존재와 동행한다는 게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소극적으로 말할 수밖에 없
습니다. 늘 자기를 비우고 절대적인 생명의 영이 활동하게 하는 것, 이런 데 민감하게 반응하
면서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 곧 하나님과의 동행이라고 말입니다. 거꾸로 하나님과 동행하지
않는 삶이란 자기가 보기에 그럴듯한 것을 절대화하는 것입니다. 땅을 넓히고 재물을 쌓아둘
창고를 늘리는 것에 자기의 삶을 묶어두는 것이 말입니다. 이렇듯 자기를 절대화하지 않는 사
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을 받았기 때문에 첫 번째로 제시된 정의를 실천하기 마련이
며, 둘째로 제시된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가게 마련입니다.

일상과 예배
오늘의 말씀에서 우리가 결론적으로 배워야 하는 것은 결국 예배는 우리의 일상에서 드
려져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번제, 송아지, 수양 몇 천 마리를 통해서 하나
님께 예배드리는 것만을 생각했지만 미가는 그게 아니라 일상에서 정의로우며, 은총을 알고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일상이 예배로 승화되어야 하고, 예배가 곧 일상에
서 현실화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안식일을 법적인 차원에서 구별하는 것보다
하나님의 일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으며, 바울도 우리의 몸을 거룩한 산제사로 드리
라고 가르쳤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일정한 형식의 예배가 필요 없다는 말은 아닙니다. 이것은
이것대로 의미가 있습니다만, 이 일정한 형식의 예배는 반드시 일상의 예배로 구체화되어야
합니다. 일상의 예배를 담아내지 못하는 그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의 삶을 서술하고 있는 9절
이하의 말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가는 이런 일상의 예배를 정의로운 삶으로 제시했습니
다. 오늘 우리에게는 또 다른 일상의 예배가 가능할 것입니다. 오늘 우리의 삶이 어떻게 하나
님이 받으실만한 예배로 승화되어야 할는지 우리 자신을 진지하게 돌아보아야 합니다.
2003.11.16

profile

[레벨:13]토토

May 22, 2007
*.158.162.34

오늘 TV에서 십일조 떼먹으면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한 것이라는 설교를 들었습니다
그래도 그런 얘기가 계속 설교에 등장하는 거 보면 그런 구절이 성서에 있나보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305
353 기타 말씀 망각의 심판, (8월1일) 2004-08-05 8681
352 부활절 예수의 평화 (요 14:23-29) [4] 2019-05-26 8652
351 주현절 예수 부활의 증인들 (고전 15:1-11) [8] 2019-02-12 8643
350 창조절 '주의 날'과 일상 (살전 5:1-11) [4] 2020-11-15 8636
349 기타 자유의 길, 분열의 길, 2월13일 2005-02-13 8633
348 성탄절 행위에서 존재로! (갈 4:4-7) [5] 2020-12-27 8627
347 사순절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다 (고전 1:18-25) [10] 2015-03-08 8607
346 주현절 변모의 예수, 하나님의 아들 (눅 9:28-36) [3] 2016-02-07 8573
345 기타 평화를 위한 분열, 8월29일 [5] 2004-08-30 8559
344 성령강림절 쉼 (마 11:16-19, 25-30) [2] 2020-07-06 8542
343 사순절 "내 뒤로 물러가라!" (막 8:31-38) [7] 2018-02-25 8476
342 주현절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 (막 9:2-9) [4] 2015-02-15 8414
341 사순절 고난의 그리스도 (사 50:4-9) [8] 2015-03-29 8393
340 창조절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사실 (눅 14:25-33) [15] 2016-09-04 8383
339 주현절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눅 3:15-17, 21-22) [4] 2016-01-10 8340
338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는 다시 오신다!" (살전 5:16-24) [4] 2017-12-17 8337
337 주현절 고난 받는 하나님의 종 (사 49:1-7) [4] 2017-01-15 8335
336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 (마 21:33-46) 2017-10-08 8332
335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갈 2:15-21) [37] 2016-06-13 8332
334 창조절 새로운 창조를 기다리며... (사 65:17-25) [4] 2016-11-14 8330
333 창조절 예수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다 (히 5:1-10) [8] 2015-10-18 8317
332 창조절 죽음 넘어! (출 12:1-14) 2017-09-11 8305
331 사순절 영적 시각 장애 (요 9:35-41) [2] 2017-03-26 8303
330 창조절 말씀과 삶의 일치로 인한 복 (약 1:17-27) [4] 2018-09-02 8285
329 창조절 고난의 선지자 예레미야 (렘 11:18-20) [12] 2015-09-20 8265
328 성령강림절 거듭남과 성령 (요 3:1-13) [2] 2018-05-27 8245
327 창조절 투쟁적인 믿음 (딤전 6:6-16) [4] 2019-09-29 8231
326 창조절 생명 완성의 때 (마 25:1-13) [2] 2020-11-08 8218
325 창조절 영벌인가, 영생인가! (마 25:31-46) [3] 2020-11-22 8209
324 창조절 용서, 그 불가능한 명령 (마 18:21-35) [9] 2020-09-13 8190
323 성령강림절 빈 들에서 배불리 먹다 (마 14:13-21) [8] 2017-08-06 8145
322 성령강림절 영원한 생명의 양식 (요 6:24:35) file [15] 2015-08-02 8139
321 부활절 예수의 살과 뼈 (눅 24:36-48) [4] 2018-04-15 8118
320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아들의 나라 (골 1:1-14 [9] 2016-07-11 8105
319 창조절 자기 의(義)와 하나님의 의 (빌 3:4-14) [2] 2020-10-04 8079
318 주현절 사랑, 하나님의 존재 방식 [9] 2016-01-31 8036
317 주현절 하늘이 열리고 … (요 1:43-51) [7] 2021-01-17 8024
316 대림절 구원의 바위 (시 89:1-4, 19-26) [4] 2017-12-24 7991
315 부활절 바울, 부활의 예수를 만나다! (행 9:1-6) [4] 2019-05-05 7980
314 성령강림절 의심과 믿음 사이에서 (마 14:22-33) [2] 2020-08-09 7951
313 성령강림절 하늘의 양식 (요 6:35, 41-51) [8] 2015-08-10 7939
312 창조절 십자가와 생명 (마 16:21-28) [6] 2017-09-03 7930
311 창조절 흑암의 권세에서 아들의 나라로! (골 1:1-20) [6] 2019-11-24 7921
310 창조절 복 있는 삶 (눅 14:7-14) [2] 2019-09-01 7907
309 주현절 금식 (사 58:1-9a) [2] 2017-02-05 7874
308 부활절 하나님은 누군가? (벧전 5:6-11) [8] 2017-05-28 7841
307 부활절 죽임 당한 어린 양 (계 5:11-14) [9] 2016-04-10 7839
306 사순절 하나님 여호와를 경배하라! (신 26:1-11) [6] 2016-02-14 7833
305 부활절 부활의 증인이란? (행 5:27-32) [9] 2016-04-03 7818
304 부활절 성령 임재의 증거 (행 10:44-48) 2018-05-06 7817
303 창조절 행위와 믿음 (약 2:1-10, 14-17) [4] 2015-09-06 7814
302 창조절 여호와의 날에 구원 얻을 자 (욜 2:23-32) 2019-10-27 7764
301 성령강림절 불순종의 역설 (롬 11:1-2a, 29-32) [17] 2014-08-17 7738
300 창조절 하나님의 은총,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얼굴 (출 33:12-23) [2] 2017-10-22 7700
299 창조절 나오미와 룻 (룻 1:1-18) [10] 2018-11-04 7697
298 성령강림절 이성적 예배로서의 일상 (롬 12:1-8) [2] 2017-08-27 7583
297 사순절 하나님의 영광, 그리스도의 영광 [4] 2015-03-22 7548
296 사순절 예수의 죽음과 매장 (막 15:33-47) [4] 2018-03-25 7542
295 성령강림절 돌보시는 하나님 (창 21:1-7) 2017-06-18 7522
294 주현절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 (고전 1:18-31) [1] 2017-01-29 7503
293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영과 하나님의 아들 (롬 8:14-17) [9] 2019-06-10 7502
292 창조절 청함과 택함 "사이" (마 22:1-14) 2020-10-11 7461
291 성령강림절 산과 언덕이 노래하리라. (사 55:10-13) [6] 2014-07-13 7461
290 부활절 복음의 보편적 능력 (행 8:26-40) [4] 2018-04-29 7444
289 사순절 영광의 몸으로! (빌 3:17-4:1) [3] 2016-02-21 7427
288 대림절 늘 깨어 기도하라! (눅 21:25~36) [1] 2021-11-28 7419
287 주현절 엘리야의 승천 이야기 (왕하 2:1-12) [8] 2018-02-12 7414
286 사순절 생명과 존재의 근원 (롬 4:13-25) [7] 2015-03-02 7414
285 부활절 생명수 샘물을 값없이 ... (계 21:1-6) 2019-05-19 7395
284 창조절 하나님의 근본 속성 (딤전 1:12-17) [7] 2019-09-15 7361
283 창조절 교회는 성찬 공동체다 (막 14:22-25, 고전 11:23-26) [7] 2014-10-19 7347
282 성령강림절 하늘의 영원한 집 (고후 4:13-5:1) [6] 2015-06-07 7306
281 성령강림절 마르다의 염려와 근심 (눅 10:38-42) [4] 2019-07-21 7301
280 성령강림절 집행 유예의 삶 (마 1324-30, 36-43) [14] 2014-07-20 7299
279 주현절 "생명을 선택하라!" (신 30:15-20) [8] 2020-02-16 7249
278 창조절 먼저 된 자와 나중 된 자 (막 10:23-31) 2018-10-08 7242
277 성령강림절 솔로몬의 믿음과 좌절 (왕상 2:10-12, 3:3-14) [13] 2018-08-19 7235
276 성령강림절 아브라함의 하나님 경험 (창 22:1-14) 2017-07-02 7233
275 성령강림절 "믿음" (히 11:1-3, 8-16) 2019-08-11 7221
274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질문 (막 13:1-8) [8] 2015-11-15 7218
273 창조절 믿음과 구원 (눅 17:11-19) 2019-10-06 7210
272 성령강림절 "나는 하나님이다." (호 11:1-11) [11] 2016-07-31 7205
271 성령강림절 상투스 상투스 상투스 (사 6:1-8) [10] 2015-05-31 7160
270 부활절 피와 해방 (계 1:4-8) [4] 2019-04-28 7157
269 부활절 기독교인의 세상살이 (요 17:6-19) [2] 2018-05-14 7116
268 성령강림절 다윗과 임마누엘 (삼하 5:1-5, 9-10) [8] 2018-07-09 7092
267 주현절 하나님의 정의 (사 42:1-9) [9] 2020-01-13 7091
266 대림절 평화! (미 5:2-5a) [8] 2018-12-23 7074
265 사순절 "구원을 받으리라!" (롬 10:8-13) [2] 2019-03-10 7059
264 부활절 "내가 주를 보았다!" (요 20:1-18) [8] 2015-04-05 7045
263 성령강림절 다윗의 법궤와 예수의 십자가 [4] 2018-07-15 7032
262 사순절 예수의 낮아짐과 높아짐 [4] 2017-04-10 7028
261 창조절 돌 하나 돌 위에 남지 않는 날! (눅 21:6-13) [8] 2019-11-17 7026
260 창조절 토기장이의 손 (렘 18:1-11) [1] 2019-09-09 7015
259 성탄절 그리스도인의 영적 실존 세 가지 (골 3:12-17) [9] 2018-12-30 6999
258 성령강림절 "너희 죽을 몸을 살리시리라." (롬 8:1-11) 2017-07-16 6984
257 대림절 전쟁 연습, 평화 연습 (사 2:1-5) [7] 2019-12-01 6927
256 성령강림절 삼위일체 신앙의 토대 (마 28:16-20) [5] 2017-06-12 6919
255 성령강림절 즐거운 인생(?) (눅 12:13-21) 2019-08-04 6890
254 부활절 사도의 직무 (행 1:15-17, 21-26) [12] 2015-05-17 6881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