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3

땅을 묵혀라!

기타 조회 수 11363 추천 수 34 2004.07.02 16:20:59
성경본문 : 레위기 25:1-7 

땅을 묵혀라!
레 25:1-7

유대인의 율법이 매우 복잡하지만 관점에 따라서 몇 가지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순
전히 종교적인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윤리적인 것입니다. 예컨대 제사장의 옷을 비
롯한 성전에 관한 제반 규정은 순전히 종교적인 요소이지만, 가난한 사람이 저당 잡힌
옷을 해가 지가 전에 돌려주라는 명령은 윤리적 요소입니다. 이 두 요소가 경우에 따라
서 독립적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중복되기도 합니다. 율법이 이렇게 종교적인 차원만이
아니라 윤리적인 차원까지 아우르고 있다는 사실은 유대교가 야훼 신앙을 그만큼 철저하
게 (사회)윤리적인 구도 안에서 생각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이 율법을 다른 관점에서 이렇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약에 등장하는 여러 율법
항목 중에는 우리와 전혀 상관없는 것들이나, 오늘 우리의 기준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
들, 또는 수용해야할 것들이 있습니다. 제사장의 옷에 관한 규정은 우리와 전혀 상관이
없으며, 돼지고기를 먹지 말아야 한다는 명령은 우리가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이런 요소
들은 대개 유대인이 처한 구체적인 삶의 정황에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오늘 우리는 그
런 율법 조항들을 무시해도 됩니다. 그러나 가난한 사람이 먹을 게 없어서 옷을 저당 잡
혔을 때 해가 지기 전에 돌려주어야 한다든지, 고아와 과부들을 돌보아 주어야 한다는
명령같이 사회적 약자에 관한 배려는 오늘 우리의 신앙적 삶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
다.
특히 종교적이면서 윤리적인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 어떤 율법은 그들 이스라엘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를 위해서도 아주 탁월한 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의 대표적인 율법이
‘안식일’입니다. 그것은 엿새 동안 일하고 이레 날에는 쉬라는 야훼의 명령입니다. 유
대인들의 이 안식일 전승은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한 사건과 출애굽 사건에 맞닿아 있을
정도로 오래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대교의 정수를 보여주는 핵심적 율법 조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안식일 전승은 안식년과 희년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안식년은 육 년 동
안 농사를 짓고 칠 년째는 그 땅을 쉬게 하는 제도이고, 희년은 사회질서를 50년마다 원
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제도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읽은 본문은 주로 안식년에 관한
내용입니다.

땅을 묵혀라
오늘 말씀은 이스라엘 민족이 아직 가나안 땅에 발을 딛기 전 시내 산에서 하나님이
모세에게 주신 것입니다. 아직 땅이 없지만 땅을 갖게 되었을 때 견지해야 할 태도에 대
한 지침입니다. 4, 5절 말씀은 이렇습니다. “칠 년째 되는 해는 야훼의 안식년이므로
그 땅을 아주 묵혀 밭에 씨를 뿌리지 말고, 포도순을 치지도 말라. 너희가 거둘 때 떨어
진 데서 절로 자란 것을 거두지 말고, 순을 치지 않고 내버려 둔 덩굴에 저로 열린 포도
송이를 따지 말며 땅을 완전히 묵혀야 한다.”
이미 3천5백 년 전 유대인들이 칠 년마다 땅을 묵혀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은 오늘
의 생태학자들에게도 놀라운 일일 것입니다. 안식년 개념은 그런 정도로 매우 생태학적
이고 유기적인 세계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땅이 배고프다거나 피곤하다는 말을 하지는
않지만 땅도 무한정 먹거리를 생산해낼 수는 없습니다. 최소한 6년 농사를 지었으면 그
다음 한 해 동안 놀리는 게 땅의 힘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 길입니다. 그래서 성서는 씨
도 뿌리지 말고, 절로 자란 것을 거두지 말라고 합니다. 아예 손도 대지 말라는 뜻입니
다. 우리 조상들도 이런 지혜가 구체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제가 확인해보지 않았지만 기
본적으로는 그런 농사의 개념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열 마지기의 땅이 있다면 7
등분이나 10등분으로 나누어 돌아가면서 한 부분을 묵히는 제도 말입니다. 이런 식으로
농사를 지어야 지력이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생산성 일변도로 돌아가고 있는 오늘의 농사법은 이렇게 ‘땅을 묵히는’ 방식을 포
기한 지 오래 됩니다. 최대한 땅을 이용해서 얼마나 많은 소출을 올릴 수 있는가, 하는
기준이 농사의 성패를 갈라놓습니다. 이미 여러 환경 단체나 유기농 종사자들이 문제를
제기한 바 있습니다만 비료와 살충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서까지 생산성을 높이려는 게
오늘의 농사 현실입니다. 아마 어느 정도까지는 그런 기술을 통해서 2,30% 이상의 소출
을 올릴 수는 있겠지만 그게 무한정 지속될 수 있겠습니까? 지력을 돋우기 위해서 기름
진 흙을 실어 나르기도 하지만 그런 노력도 한계가 있습니다. 아예 일정 부분을 번갈아
가면서 묵히는 옛 방식을 받아들이는 게 훨씬 지혜로운 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농사에 관해서는 제가 아는 게 별로 많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는 이 정도로 접어두
려고 합니다. 그것보다는 유대인들이 이렇게 땅을 묵히는 안식년 제도를 삶의 내용으로
받아들이고 발전시킨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안식년
개념도 결국은 육일 동안 일하고 칠 일째 쉬라는 안식일 개념에 그 뿌리를 두고 있기 때
문입니다. 땅도 쉬어야 하는데, 하물며 인간이야 두 말할 필요가 있을까요? 노동으로부
터의 자유, 그것으로부터의 ‘쉼’이 성서가 안식일과 안식년 제도를 통해서 유대인들에
게 인식시키려고 한 핵심입니다.

노동의 의미
창세기에 따르면 노동은 인간이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한 징벌의 의미가 있습니다.
선악과 사건이 일어난 다음에 하나님이 이브에게는 아기를 낳는 산고가, 아담에게는 땀
을 흘려야 먹고 살 수 있는 노동의 고통을 주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독교 전통에서
는 여성의 산고와 남성의 노동을 당연한 죄의 결과로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
로 생각하면 이 두 가지 요소가 인간에게 없다면 인간은 멸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오히려 하나님의 은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창세기 기자가 이 문제를 명시적으로
죄와 연결시켜서 설명하고 있긴 하지만 에덴동산을 상실한 인간에게는 오히려 이것이 구
원의 통로입니다. 제가 이 부분에 대해서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습니다. 에덴동산이
아니라 현실에서 살아가야 할 인간에게는 이것보다 더 중요하고 절대적인 행위는 없습니
다. 이 두 문제를 구원론적인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해석해낼 수 있다면 인간의 행복은
그만큼 가까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도로테 죌레라는 독일의 여성신학자는 ‘사랑과 노동’이라는 책에서 사랑과 노동을
인간 구원의 핵심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사랑과 노동을 통해서 구원받는다는
말입니다. 죌레는 현대의 사랑이 일종의 상품으로 변질되었고, 노동도 역시 금전적인 차
원에서만 논의된다는 점에서 현대인은 구원과 거리가 먼 삶을 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옳습니다. 우리 모두 경험하듯이 사랑의 결과도 허무하고 노동의 결과도 역시 그렇습니
다. 이혼율이 3,40%가 된다는 믿기 힘든 보고서가 있습니다. 노동 문제는 이 세계 모든
나라에게 가장 골치 아픈 문제가 되어 있습니다. 인간의 사랑과 인간의 노동을 창조적
차원으로 끌어올릴 수 길은 어디에 있을까요? 사랑과 노동이 존재론적인 차원에서 본래
의 의미를 회복해야만 합니다. 비록 성서는 아기를 낳는 산고와 땅을 파며 땀을 흘리는
노동을 하나님의 징벌이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에덴동산이 아닌 현실의 삶에서 그것은 하
나님의 은총이며 구원이라는 점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노동이 하나님의 징벌이라는 성서의 전통 때문인지, 또는 노동 자체에 대한
인간의 나쁜 경험 때문이지 노동에 대한 우리의 생각은 별로 호의적이지 않습니다. 가능
한 대로 땀을 흘리는 육체노동보다는 머리를 쓰는 일을 선호합니다. 실제로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보다는 서비스업이나 관리직에 있는 사람들이 돈을 더 받기도 합니다. 요즘 청
년 실업 때문에 걱정들이 많습니다만, 다른 한편으로는 육체노동을 하는 현장에는 사람
구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결국 오늘의 노동의 의미는 완전히 훼손되었습니다. 가능한
대로 땀 흘리지 않고 편하게 사는 것만을 목표로 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이 어떻게 노동
으로부터 소외당하지 않고 오히려 그 노동에서 창조성을 경험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은 칼
마르크스의 중심 사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의 여망이기도 하고, 안식일 개념과 연관
해서 기독교의 중요한 구원론에 속합니다.
성서 시대에도 육체노동을 업신여기는 현상은 일반적이었을 것입니다.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나 전쟁 후에 노예로 잡혀 온 사람들은 인생을 힘든 노동에 바쳐야만 했습니다.
성서가 말하는 안식일에는 그 집의 손님이나 일군과 노예들까지 모두 노동을 멈추어야
했습니다. 이런 강제 규정을 통해서라도 노예들을 쉬게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 이유
는 노동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였기
때문입니다. 무조건 생산성을 높이는 데 혹사되는 것으로는 어느 누구도 인간다움을 회
복할 수 없습니다. 최소한의 쉼이 있어야만 인간은 인간다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
다. 땅도 쉬고, 공장도 쉬고, 사람도 쉬어야 합니다.


요즘 도시 생활은 밤과 낮이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끊임없이 돌아갑니다. 인간이 전
기를 발견한 이후에 밤은 사실상 사라졌습니다. 밤을 낮처럼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을 제
고시켰습니다. 많이 생산하고 많이 소비함으로써 인생을 즐겁게 산다고 생각합니다. 현
대인들이 어쩔 수 없이 이런 메커니즘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만 그런 구조 속에서 행복하
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입니다. 그게 길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현대사회라는
고속열차에 몸을 싣고 있으니까 어쩔 수 없이 그렇게 사는 것입니다.
이런 현상은 이미 오래 전에 현대화의 길을 걸었던 유럽보다 우리가 훨씬 심각한 것
같습니다. 미국은 잘 모르겠지만 유럽, 그 중에서도 독일의 밤은 매우 조용합니다. 특별
한 경우만 제외한다면 모든 일은 낮에 처리하고 해가 지면 모두 집으로 일찍 돌아가서
쉽니다. 청소년들도 밤에 돌아다니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물론 슈퍼마켓도 일찍 문을
닫습니다. 해만 지면 도시가 썰렁할 정도로 사람들이 외출을 꺼리고 있습니다. 아마 그
런 데서 살던 사람이 한국의 대도시에 와 보면 깜짝 놀랄 것입니다. 서울 같은 곳에는
새벽까지 청소년들이 길거리에 득실거립니다. 고 3학생들이 밤 11시까지 학교에서 공부
하고 그 다음에 학원에 간다는 사실은 해외 토픽감입니다.
우리에게 참된 쉼이 별로 없다는 것은 사회현상일 뿐만 아니라 신앙생활에서 나타나
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신앙생활도 흡사 수능시험을 앞둔 학생들이 밤새워 공부하듯이
그렇게 치열하게 진행됩니다. 어느 정도 인정받을 정도로 신앙생활을 하려면 직장이나
학교 등 자기의 직업에 쓰는 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을 교회에 쏟아 부어야만 합니다.
자기 시간을 쓸데없는 일에 소비하는 것보다는 교회에서 보내는 게 훨씬 좋은 게 아니
냐, 하고 말할 수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신앙생활에 쉼이 없다는 것은 그렇게
바람직한 게 아닙니다.
사실 우리가 하나님을 찾는다는 것은 곧 참된 ‘쉼’을 얻자는 것입니다. 성서가 말
하는 핵심은 하나님 앞에서만 인간에게 참된 쉼이 보장된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을 경
험한 사람들은 한결같이 정신적인 쉼을 발견했고, 이를 통해서 참된 평화를 얻었습니다.
예수님께서도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모두 내게로 오
라. 내가 너희를 편히 쉬게 하리라.
여기서 무엇을 쉼이라고 생각합니까? 무조건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인가요? 그럴
수도 있긴 합니다만 근본적으로는 어떤 의무감, 또는 성취감으로부터의 해방을 말합니
다. 대개 우리는 자기가 계획한 것을 성취하는 것이 곧 인생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모든 힘을 쏟다가 결국 불안과 불만에 빠집니다. 그것으
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것이 곧 쉼입니다. 이런 점에서 참된 쉼은 모든 것을 상대
화시키는 힘의 근거인 하나님 안에서만 가능합니다.  

쉼을 통해서 생명을
다시 본문으로 돌아가 봅시다. 땅을 묵히라는 야훼의 명령을 그대로 따른다면 당연
히 먹거리의 7분의 1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러나 성서는 이렇게 땅을 묵히는 이유는 “
너희 뿐 아니라 너희 집에 머무는 너희 남종과 여종과 품꾼과 식객까지 모두 먹여 살리
기 위한 것이다. 그러면 너희 가축과 너의 땅에 사는 짐승도 땅에서 나는 온갖 소출을
먹고 살 수 있을 것이다.”(6,7절). 참으로 이상한 셈법입니다. 생산량이 줄어들면 여러
사람이 살기 힘들 텐데, 성서는 오히려 그래야만 모든 사람들이 먹고 살 수 있다고 가르
칩니다. 그 모든 사람들 속에는 남종과 여종, 가난한 사람들, 장애인들, 더 나아가서 짐
승들까지 포함됩니다. 이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들이 더불어서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바로 땅의 쉼에 있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런 안식년의 가르침을 오늘 우리가 기계적으로 반드시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
는 것은 아닙니다. 7년 단위로 하든지, 10년 단위로 하든지, 또는 전혀 색다른 방식으로
하든지, 그것은 오늘 이 시대에 맞는 방식을 찾으면 됩니다. 다만 우리 삶의 토대를 단
지 생산성 향상에만 맞추지 말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참
된 쉼의 근거인 하나님 안에서 우리 삶의 구조를 새롭게, 끊임없이 갱신해 나가야 합니
다.
저는 이것이 바로 우리 모두가 더불어서 생명을 얻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나님
안에서 참된 쉼을 얻는 것 이외에 우리가 생명을 얻는 길이 어디에 있습니까? 현대적 삶
의 구조는 인간으로 하여금 하나님 안에서 누리는 쉼의 의미를 포기하게 만들었습니다.
자기들도 모르게 자기들이 만들어놓은 것에 사로잡혀서 살아가도록 만들었습니다. 이것
을 우리는 세속주의라고 표현해도 좋습니다. 노련하게 재테크를 발휘해서 돈을 축적하
고, 온갖 취미생활을 하고, 여가를 즐기는 것으로 이미 구원받은 것처럼 살아가고 있습
니다. 이렇게 해서 인간이 구원받을 것으로 생각한다면 이는 큰 착각입니다. 반대로 종
교 열광주의도 해결책은 아닙니다. 세속주의를 피한다면서 또 하나의 종교적 피안의 세
계로 도피하는 방식으로는 참된 쉼을 얻을 수 없습니다. 세속주의가 세속의 방식으로 자
기를 소진시킨다면, 열광주의는 종교적인 방식으로 자기를 소진시킬 뿐입니다.
참된 쉼을 통해서 생명의 세계에 들어가는 이 문제에 대해서 제가 여러분에게 맞춤
형 해결책을 제공해 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것은 성령이 하시는 일입니다. 다만 현재 여
러분의 영혼이 참된 쉼을 맛보고 있는지 아닌지 성찰해 볼 필요는 있습니다. 존재의 기
쁨과 평화가 여러분의 내면에 가득하다면, 또는 조금씩 심화 확대된다면 감사한 마음으
로 그 길을 계속 가십시오. 혹은 거꾸로 그런 세계가 허물어져 있다면 예수님이 약속하
신 참된 ‘쉼’을 얻을 수 있도록 자기 목표 지향성을 포기하고 성령에게 자신을 맡겨보
십시오.  

<2004.2.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 설교 퍼가는 분들께! [30] [3] 2007-02-16 71214
253 사순절 약속의 하나님 [29] [4] 2009-03-09 14473
252 기타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막 9:14-29) [2] 2004-06-30 14475
251 기타 신앙의 외면과 내면 (빌 2:14~18) [1] 2004-06-30 14510
250 성령강림절 성령경험과 구원경험 [2] 2010-05-23 14533
249 성령강림절 다리 저는 야곱 [10] 2011-07-31 14545
248 대림절 그 날이 오면... [4] 2006-12-17 14588
247 창조절 약속의 하나님, 하나님의 약속 (렘 31:27-34) [10] 2013-10-21 14599
246 성령강림절 울지 말고, 일어나라! (눅 7:11-17) [16] 2016-06-05 14610
245 대림절 너희의 하나님을 보라! [8] 2008-12-08 14639
244 사순절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롬 8:6-11) [6] 2014-04-07 14647
243 성령강림절 재물과 하나님 나라 [22] 2009-10-19 14664
242 성령강림절 하늘나라 주인의 셈법 [19] 2008-11-09 14681
241 대림절 광야의 ‘소리’를 넘어 [18] 2008-12-15 14694
240 사순절 아브람의 거룩한 두려움 [8] 2010-03-01 14696
239 기타 마음의 장애를 넘어 [4] 2006-06-18 14710
238 성령강림절 “그는 누군가?” [18] 2009-07-06 14751
237 대림절 영적 각성 [19] 2007-12-02 14755
236 성령강림절 종말과 생명 완성 (마 16:21-28) [16] 2011-08-29 14783
235 창조절 의인은 믿음으로 산다 (합 1:1-4, 2:1-4) [10] 2013-11-04 14808
234 창조절 하나님 나라의 열매(마 21:33-46) [8] 2011-10-02 14820
233 사순절 살리는 영 [10] 2008-03-09 14829
232 부활절 하나님의 영광이 답이다 (벧전 5:6-11) [15] 2011-06-07 14830
231 성령강림절 믿음과 의심 사이에서 (마 14:22-33) [18] 2014-08-10 14879
230 대림절 거룩한 길이 열린다! [8] 2007-12-16 14886
229 성령강림절 우리의 주인은 한 분이다! file [5] 2010-09-20 14893
228 성령강림절 상을 받는다는 것 (마 10:40-42) [11] 2014-06-29 14917
227 주현절 야훼의 영광과 빛 [11] 2008-01-06 14932
226 기타 욥의 하나님 경험 [6] [1] 2006-11-05 14933
225 성령강림절 신앙과 위선 (눅 13:10-17) [6] 2013-08-25 14942
224 대림절 두 여자의 만남 [1] 2006-12-24 14952
223 사순절 무엇이 구원의 표적인가? [13] 2009-03-16 14957
222 기타 만나의 영적 의미, 9월18일 [6] 2005-09-18 14971
221 대림절 영광과 찬양의 삶이란? [3] 2006-12-10 14977
220 기타 예수의 제자로 산다는 것, 1월22일 [2] 2006-01-22 14985
219 기타 하나님 나라의 통치방식 [1] 2004-07-02 15027
218 대림절 “사람의 아들”이 온다. [2] 2006-12-03 15173
217 성령강림절 하나님이 역사의 주인이다 [24] 2009-06-29 15178
216 성령강림절 믿음의 완성 [26] 2007-08-26 15214
215 부활절 환상을 보는 사람들 (행 16:6-15) [12] 2013-05-06 15217
214 성령강림절 마리아의 좋은 선택 (눅 10:38-42) [15] 2016-07-17 15242
213 대림절 그 날과 그 때 (막 13:24-37) [8] 2014-11-30 15254
212 부활절 '서로' 사랑하라. (요 13:31-35) [15] 2016-04-24 15256
211 기타 기도와 말씀 선포 [6] [2] 2004-06-30 15263
210 부활절 하늘이 열립니다! [4] 2008-04-20 15334
209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사랑의 실체’ [10] 2008-07-20 15343
208 기타 창조 영성 [4] [2] 2006-09-17 15362
207 부활절 그리스도인의 이중 실존 [8] 2009-05-25 15362
206 주현절 원수사랑, 가능한가? (마 5:38-48) [26] 2014-02-23 15363
205 기타 빛과 어두움 [3] 2004-06-30 15374
204 기타 마른 뼈와 야훼의 영 [1] 2006-06-04 15398
203 성령강림절 성령의 중보기도 [21] 2009-06-01 15401
202 주현절 온전한 것과 부분적인 것 [15] 2010-02-01 15412
201 기타 고난 받는 그리스도 [2] [2] 2006-10-01 15434
200 성탄절 예수는 예언의 성취! [5] 2007-12-30 15457
199 성령강림절 생명과 소유 [8] 2010-08-02 15472
198 기타 사랑이란 무엇인가? [1] 2004-07-02 15538
197 부활절 누가 내 어머니인가? [16] 2007-05-13 15540
196 대림절 새로운 세상이 온다! [2] 2006-11-26 15560
195 창조절 거룩한 부르심 앞에서 (딤후 1:1-14) [12] 2013-10-07 15573
194 부활절 부활의 오늘과 내일 [15] 2008-03-23 15593
193 기타 영적인 삶과 이성적인 예배 (롬 12:1, 2) [2] 2004-06-30 15613
192 창조절 쉐마 이스라엘! (신 6:1-9) [4] 2015-11-01 15632
191 사순절 의식하지 못한 은총 (요 12:1-8) [10] [2] 2013-03-18 15644
190 성령강림절 거짓 예배, 참된 예배 [7] 2007-11-11 15646
189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의 ‘몸’ [8] 2009-12-21 15657
188 사순절 예수와 헤롯 (눅 13:31-35) [8] [1] 2013-02-24 15674
187 성령강림절 성찬의 신비, 생명의 신비 [17] 2009-09-07 15676
186 주현절 교회 일치의 신비 [11] 2010-01-25 15689
185 대림절 주의 날을 준비하라. (마 24:36-44) [11] 2016-11-27 15696
184 성령강림절 율법과 십자가 신앙 [19] 2010-06-13 15765
183 사순절 악마의 유혹 앞에서 [14] 2008-02-10 15800
182 성령강림절 건지시는 하나님 (출 2:1-10) [14] [1] 2011-08-22 15817
181 주현절 그리스도의 비밀, 교회의 비밀 [5] 2007-01-07 15820
180 성령강림절 주는 우리의 평화! [19] [1] 2010-08-16 15824
179 주현절 예레미야의 소명 [11] 2007-01-28 15844
178 부활절 창조의 위기와 구원 [10] 2010-05-03 15849
177 기타 예루살렘 성전과 예수의 부활 [4] 2006-03-19 15869
176 대림절 여호와의 빛 (사 2:1-5) [13] 2013-12-01 15869
175 성령강림절 성령은 진리의 영이다 (요 14:8-17) [4] 2013-05-20 15927
174 성령강림절 하늘나라와 예수 [23] 2008-07-13 15939
173 사순절 생명의 왕국 [5] 2011-03-13 15951
172 성탄절 그리스도 찬양 [11] 2011-01-02 15967
17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법과 죄의 법 [8] 2011-07-04 16012
170 기타 하나님의 약속과 우리의 희망 [2] 2006-11-12 16016
169 부활절 눈이 밝아진 그들 [11] 2011-05-08 16024
168 성령강림절 번제의 길 [22] 2009-10-12 16028
167 성탄절 하나님이 하나님 되는 때 [21] 2010-01-04 16051
166 부활절 바울과 실라, 빌립보 감옥에서 (행 16:16-34) [4] 2019-06-02 16066
165 주현절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늘의 삶 (고전 15:12-19) [37] 2007-02-11 16118
164 사순절 하나님과의 다툼 [13] 2008-02-24 16124
163 주현절 거룩한 생명의 씨 [10] 2010-02-08 16157
162 대림절 그 날이 임하리라! [17] 2009-11-30 16210
161 성령강림절 하나님의 구원 섭리 [33] 2009-06-22 16243
160 대림절 "내 백성을 위로하라!" (사 40:1-11) [3] 2017-12-11 16259
159 주현절 세례 받은 하나님의 아들 (마 3:13-17) [4] 2014-01-13 16272
158 기타 예언의 성취 2006-08-13 16298
157 대림절 "당신은 메시아인가?" file [10] 2010-12-12 16305
156 부활절 죽임, 살림, 증인 [25] 2009-04-27 16328
155 성령강림절 깨어 있으라! [10] 2008-11-23 16338
154 기타 우상과 귀걸이 [1] 2004-07-02 16369
TEL : 070-4085-1227, 010-8577-1227, Email: freude103801@hanmail.net
Copyright ⓒ 2008 대구성서아카데미 All rights reserved.